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연관 갤러리
편의점 갤러리 타 갤러리(0)
이 갤러리가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타 갤러리 편의점 갤러리(0)
이 갤러리를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개념글 리스트
1/3
- [중복요리대회] 복날에는 역시 보빔 원조복실이
- ㅅㄱㅂㄱ 싱붕이 레딧 탐방기 강지훈
- 싱글벙글 "개를 패면 정신차리나요?" 전문가의 답변 키배전사
- 의외의외.. 연애 하수라는 미주의 연애썰 ㄷㄷ.. JPG ㅇㅇㅇ
- 똥파리에게서 생명의 위협을 느꼈다.manhwa 최찬초
- 고든램지도 인정한 독특한 생물.jpg 네거티장애
- 결정사에 와서 무조건 의사 달라는 예비장모 ㅇㅇ
- 한미 관세협상 타결 뒷이야기 반갤러
- 남자들이 한 여자와 오래 관계하지 못하는 속마음.jpg ㅇㅇ
- 싱글벙글 압구정 현대아파트 재개발 근황 운지노무스케
- 폐급이 이세계 간 manhwa 22화 BIGDAN
- 싱글벙글 제대로 정변에 성공한 아름다운 아역배우 ㅇㅇ
- 타 커뮤에 올라온 한 점주의 호소문 학헉학
- 한국인에게 고구려 역사를 강의하는 중국인...jpg 수류탄이야
- (싱글벙글) 여시언냐 번따 후기 ㅋㅋㅋㅋㅋㅋㅋㅋ 낙태음보살
싱글벙글 한국서 "독박육아"라는 단어를 들은 탈북자
탈북해보니 남자가 살기 불리한 사회 같다는 탈북남 알다시피, 북한은 완전한 남성우월 사회임 (고전 시대 특징. 조선의 그것과 같음) 탈북녀는 북한에 있을 당시, 여성으로서 너무 불리했기에 여자로 태어난 운명을 원망함 근데 한국 살아보니 탈북남녀 입을 모아 하는 말 "한국은 여자들의 힘이 너무 막강하다" 한국 여자들이 말하는 "독박육아"라는 단어를 처음 듣고 너무 어이없어하는 탈북민 북한 어머니들은 밖에서 돈 벌고, 임신 출산 육아, 남편 뒷바라지 등등 모조리 도맡음 따로 요리하는 게 아니라 비비고 가공식품만 냄비에 넣어 끓이고, 애들은 포대기도 아니고 유모차 태워서 편히 다니는데 도대체 뭐가 힘드냐며, 한국 여성들이 호소하는 "독박육아"를 아예 이해 못 하는 탈북녀 여자들이 할 일이 없다고 평가함 근데 한국 살다보니 나도 너무 편히 살아서 정신이 한국 여성처럼 찌들었다고 자조하는 탈북녀 옛날 북한시절에는 세탁기도 없어서 방망이질하며 손수 다 손빨래 했음 근데 ㅋㅋ한국 살다보니 세탁기에서 옷 꺼내 말리는 것도 귀찮다고 자기 정신이 너무 한국에 찌든 것 같다고 농담함 너무 편히 살아서 브루주아처럼 만사 귀찮아하고 속세에 찌들었으니 북한 시절처럼 좀 더 성실해지도록 북한 한 번 갔다와서 정신의 "혁명화"(정상화X)를 해야 겠다고 농담함 탈북 여성들이 보기에도 가공식품 조리하고 유모차 태우고 애들 하루종일 학교~학원에 두고 남편 혼자 돈 벌게 시키면서 집에서 놀다가 독박육아 힘들다고 찡찡거리는 한국 여성들이 기괴하게 보인다고 함
작성자 : ㅇㅇ고정닉
싱글벙글 조공책봉 쉽게 이해하기
[시리즈] 싱글벙글 역사 · 싱글벙글 전근대 짱깨 규모 클라스 · 스압) 싱글벙글 근대 유학자들의 민주주의 평가 전근대 동아시아의 국제질서는 중국을 중심으로 한 조공책봉 관계로 대표됨. 조공은 주변국이 중국 황제에게 예무를 바치고 조공국의 예를 다하는 것이고, 책봉은 중국 황제가 해당 국가의 군주를 정식으로 승인해주는 것임. 이번엔 주로 14세기 이후 동아시아의 조공 관계를 써봄. 예컨대 조선 국왕은 중국 황제의 책봉을 받아야 그 정통성이 생겼음. 여기서 생기는 오해가 조공책봉 관계를 지배국과 종속국의 개념으로 생각하는 것임. 실질적인 지배 관계는 아니고 내정 간섭도 거의 없었음. 오늘날 국제 사회에서 인정 받는 국가가 되려면 UN에 가입하고 UN 회원국들의 동의를 얻어야 어엿한 국가가 되듯이 전근대 동아시아에서 비슷한 의례가 조공과 책봉이었던 것임. 이는 19세기 서구 세력의 진입과 함께 주권국가 체제가 등장하며 붕괴하기 시작함. 중국을 세계의 중심으로 인식한 동아시아의 조공책봉 관계에 주변국들은 자발적으로 참여했음. 발달된 중국의 학문을 들여오고, 무역을 하며, 중국 황제가 주는 하사품을 받기 위해서인것. 중국 황제는 권위를 과시하기 위해 조공 예물보다 더 많은 하사품을 조공국에게 주었음. 일본은 무로마치 막부 시기 명나라에 조공을 했음. 명나라의 왜구 문제가 심각해지자 명은 정식 조공국이 아니면 교역을 하지 않는 해금령을 내렸고, 일본은 감합이라는 증서가 있는 배만이 교역 가능했음. 무로마치 막부는 명과 조공 관계를 맺고 감합 무역을 시작했으며, 쇼군은 "일본 국왕"으로 책봉되었음. (천황과는 다름) 류큐 역시 명에 조공하며 막대한 이득을 얻음. 일본에 비해 조공 주기가 짧아 중국의 문물을 더 많이 수용할 수 있었고 이를 일본과 교역하며 많은 부를 쌓을 수 있었음. 중계무역으로 성장한 류큐는 이후 중국이 해금을 해제할 시기까지 번성했음. 조선은 중국과 가장 밀접한 조공국이었음. 고려를 무너뜨린 조선 왕조는 정통성을 인정받기 위해 명 황제로부터 책봉을 받음. 1년에 3~4회 정도 사신을 파견했고, 막대한 하사품을 받아옴. 명을 섬기고 (사대), 여진과 같은 오랑캐와는 사귀는 (교린) 사대교린 정책을 시행함. 병자호란에서 청나라에게 패배하며 조선은 청의 조공국으로 편입됨. 명나라 때와 비슷하게 정기 사절단 (연행사)를 파견하고 조공책봉 관계를 지속함. 북벌론을 외치며 청을 오랑캐 국가로 무시, 조선을 새로운 중화로 여기는 소중화 사상이 있기도 했지만 실질적으로는 청 중심의 국제질서에 순응함.
작성자 : ㅇㅇ고정닉
차단 설정
설정을 통해 게시물을 걸러서 볼 수 있습니다.
[전체 갤러리]
차단 기능을 사용합니다. 차단 등록은 20자 이내, 최대 10개까지 가능합니다.
설정된 갤러리
갤러리 선택
설정할 갤러리를 선택하세요.
[갤러리]
차단 기능을 사용합니다. 전체 설정과는 별개 적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