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횽들 정말 논술 이따위로 나와? ㅠㅠㅠ

ㅏㅏㅏ 2006.11.13 17:13:43
조회 79 추천 0 댓글 3

당연한 것을 의심해 봤나요 [중앙일보 2006-11-13 14:01]          광고    [중앙일보 프리미엄] 새로워진 논술에서 중요한 것은 통합적 사고력이라고 사람들은 말한다. 하지만 어떻게 통합적 사고력을 기를 수 있는 지에 대해서는 왜 아무도 말해주지 않는 걸까. 잠시 머리라도 식혀볼 겸, 통합적 사고가 무엇인지도 생각해볼 겸, 답답한 학부모와 학생들에게 간단한 질문을 던진다. ▶첫 번째 질문:우리는 매일 아침 일찍 학교에 가고, 정해진 시간에 수업을 들으며, 수업 사이사이 휴식을 취하고, 일정한 시간에 점심 식사를 한 뒤 수업이 끝나는 종이 울리면 집으로 돌아오는 일상적인 삶을 살고 있다. 그런데 혹시 지극히 일상적인 당신의 이런 생활이 뭔가 이상하다고 느껴본 적은 없는가. ▶두 번째 질문:'두발규제와 자유화''몸짱 신드롬''웰빙 열풍''스포츠에 대한 열광적인 관심'은 모두 논술시험의 단골 문제다. 그런데 만약 이 논제들을 하나로 묶는다면 도대체 그 속에서 당신은 어떤 공통된 주제를 뽑아낼 수 있을까. 간단한 질문을 하기로 해놓고 비겁하게 머리를 더 복잡하게 했다고. 미안하긴 하지만, 그러나 바로 그것이 통합적 사고를 해결하는 첫출발이다. 우선 첫 번째 문제부터 함께 고민해보자. 학교에서 보내는 나의 일상적인 하루가 도대체 뭐가 이상하다는 것일까. 하지만 좋은 논술은 당연한 것처럼 보이는 바로 그 부분부터 의심한다. 도대체 왜 우리는 그렇게 일찍 학교에 가는 것일까. 왜 우리는 그렇게 규칙적으로 살도록 교육받는 것일까. 만약 여기 철수가 "선생님 저는 올빼미형 인간이에요. 아침엔 아무리 공부해도 능률이 오르지 않아요. 2교시쯤 등교하고, 좀 더 늦게 집에 가면 안 될까요"라고 심각하게 건의한다면 어떻게 될까. 남들과는 조금 다른 올빼미형 인간 철수에게 그것이 허락될까. 아마도 철수에게 돌아오는 건, "너 하나만을 위해 규칙을 깨면 다른 학생들이 가만있겠니"라는 대답이거나 "그렇지만 철수야, 일찍 자고 일찍 일어나는 규칙적인 생활을 하면 건강에도 좋고 공부에 능률도 오른단다"라는 합리적인 설명, 혹은 몽둥이찜질 같은 가혹한 형벌 중 하나일지 모른다. 하지만 이 문제를 다른 측면에서 접근해보자. 모든 국가와 사회에서 학교가 제공하는 커리큘럼이나 교육의 목적이 모두 동일할까. 예를 들어 남한과 북한의 교육 목표가 완전히 똑같을까. 확실히 그렇지 않다면, 그 사실은 결국 "학교란 그 사회가 바람직하게 여기는 구성원을 재생산하기 위한 일종의 제도적 장치"임을 보여준다. 다시 말해 학교에 다니면서 학교교육이 제공하는'훈육'을 받아들인다는 것은 곧 학교를 통해 일정한 사회화의 과정을 겪고 있다는 말과 동일한 것이다. 결국 학교 교육은 그 사회의 지배계급의 이데올로기를 주입함으로써 그 사회에 필요한, 그 사회가 원하는 획일화된 인간형을 양산한다. 그런데 이때 문제가 되는 것은 단순히 학교가 제공하는 교과의 내용이나 과정만이 아니다. 그보다 중요한 것은 학교가 학생들에게 그 사회의 가치와 이데올로기를 교육하는 동안 부지불식간 사회 권력은 재생산되고 있다는 사실이다. 학생의 의견이 반영되지 않은 온갖 규율과 일상적으로 가해지는 복종의 논리들을 통해, 이 사회의 통제 장치는 개인에게 내면화된다. 줄을 서고, 시험 점수에 따라 순위가 매겨지고, 꽉 짜인 시간표에 맞춰 규칙적으로 생활하는 그 속에서 우리는 '권력이 나에게 작용하는 방식'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이게 된다. 게다가 아침 일찍 학교로 가서 규칙적으로 생활하는 것은 학생만이 아니다. 우리의 아버지와 어머니가 아침 일찍 회사로 나가 규칙적으로 생활하고, 우리의 형들이 군대에서 규칙적으로 생활하며, 감옥의 죄수들 또한 규칙적으로 생활한다. 하지만 올빼미형 인간 철수처럼 그 규칙을 깰 것을 요구하는 사람은 더 이상 없다. 권력은 우리에게 그리고 우리의 신체에 일상적으로 작용하고 있지만, 지속적인 교육을 통해 우리는 그것을 당연하게 여기게 되기 때문이다. 두 번째 질문에 대해선 핵심적인 부분만 언급한다. u '두발 규제'와 '몸짱 신드롬','웰빙 열풍'과'스포츠에 대한 관심'은 서로 동떨어진 문제처럼 보인다. 그러나 누누이 강조했던 것처럼 항상 어떤 사건과 현상과 관련해 그 본질을 살펴보는 일은 보다 깊이 있는 논술을 위해 중요하다. 현상의 근본적인 메커니즘을 규명할 수 있다면 서로 별개의 것처럼 보였던 수많은 사건이 서로 맞닿아 있다는 사실을 깨달을 수 있다. /u 사실 위에서 언급한 사회적인 문제들은 권력이 어떤 특정한 방식을 통해 (특히 우리의'몸'에) 작동하고 있는 과정을 보여준다. 가령 군대와 감옥에서 효율적인 관리와 통제를 위해 사용하는'두발규제'는 학생들 역시 사회의 관리대상임을 보여준다. 앞에서 말했던 학교 교육의 속성처럼 '두발규제' 역시 규율과 통제를 통해 권력이 학생들의 신체에 작동하고 있는 과정을 보여준다. 한편 아름다운 몸에 대한 관심을 촉구하는'몸짱 신드롬'의 이면에는 권력을 생산하는 과정 속에서 대상화되는 신체가 있다. 아름답고 날씬한 몸은 역설적으로 뚱뚱하거나 늙은, 그리고 장애를 가진 몸을 배제시킨다. 아름다운 몸이 그렇지 못한 몸에 대해 우월성을 획득하면서 그것은 하나의 권력으로 변화하는 것이다. 덧붙여 아름다운 몸을 위해서는 시간과 돈이 필요하다는 점을 생각해본다면 아름다운 몸 그 자체가 이미 자본주의가 욕망하는 가치를 구현하는 표상이다. 같은 맥락에서 좋은 음식과 행복한 삶을 강조하는'웰빙 열풍'을, 규칙에 대한 준수를 강조하는'스포츠'의 문제를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통합적 사고란 다양한 생각을 서로 엮어갈 수 있는 능력이다. 겉으로는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은, 전혀 무관한 것처럼 보이는 서로 다른 현상들 속에서 일정한 관계를 만들고, 그 관계가 만들어내는 의미의 망들을 생각해보는 것은 통합적 사고를 키우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다. 또박또박국어논술학원 고등부 대표강사, 창작 공간'아아쉬에'대표 ◆관련 기출문제 -경북대 2008학년도 통합논술 예시문 -한양대 2007학년도 수시 2 -동국대 2007학년도 수시 1 문항 4 -고려대 2006학년도 정시 -고려대 2000학년도 정시 -연세대 2000학년도 정시 자연계열 -연세대 1999학년도 정시 자연계열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가족과 완벽하게 손절해야 할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24 - -
AD 로스쿨 합격, 하나로 잇다! 1타 유닛 패키지 운영자 24/05/29 - -
AD 해커스로스쿨 기초인강 전강좌 100% 무료! 운영자 24/02/24 - -
147404 소강좆병신은 이거 보고 버로우 해라 ㅋㅋ 06.11.25 38 0
147403 지잡대에서 고시가 안나오는 이유는 개인주의가 없어서 그렇다 C 06.11.25 39 0
147402 단국대생 존내 처절하다.. [1] ㅁㄴㅇㄹ 06.11.25 123 0
147401 야 근데 연경이 원점으로 460점대 이정도 밖에 안돼? [6] dd 06.11.25 96 0
147400 취업률 말야... [1] ㅇㅇ 06.11.25 40 0
147399 대기업 취업률 서강대 나도 그자료 봤는데 [2] 고3 06.11.25 127 0
147398 쭈꾸미형 나도 배치표~ [1] a 06.11.25 117 0
147396 쭈꾸미 횽 지금 있어 ? [6] EGU 06.11.25 107 0
147395 쭈꾸미 나도 배치표 보내주면 안될까? [4] ㅂㅈㄷㄱ 06.11.25 105 0
147394 대기업취업1등이라고자랑하는소강좆병신대 [6] 한양대훌리 06.11.25 110 0
147392 오늘 고대수시에 한양대잠바 입고 온놈 있었다..... [2] ㅁㅇㅁㄴㅇ 06.11.25 168 0
147390 배치표 이과 대충 편집한거 [1] 나잔다 06.11.25 128 0
147389 내 친구중에 적성에 안맞는다고 서성한 자연과학부때려친... [1] 06.11.25 67 0
147388 근데 서성한 나와도 과외 잘돼? [4] 123 06.11.25 108 0
147386 정말 건국대가 생명과학쪽 그렇게 밀어줘? [4] 고3 06.11.25 95 0
147385 과외할 때 서성한 인문계열 vs 중경외시 사회계열 [3] ㅂㅈㄷㄱ 06.11.25 91 0
147384 건국대 vs 아주대 [5] 고3 06.11.25 175 0
147383 현역으로 충남대의대vs 삼수 서울대경영 [3] ㅇㅇ 06.11.25 116 0
147382 밑에 배치표는 K사 인데 [10] 배치표올린놈 06.11.25 214 0
147381 내 친구 고대생인데 이마트에서 알바했다 [6] ㅇㅇ 06.11.25 183 0
147380 과외가 최강이다. 내 친구놈이 민들레 영토 알바할때만 해도 [1] dd 06.11.25 105 0
147379 어디가 좋으냐? 울산대 기계차vs아주대 기계 [1] ㅇㅇ 06.11.25 91 0
147378 니들 과외선생이 영어로 뭔지 아냐? [1] ㅇㅇ 06.11.25 105 0
147377 반수해서 서울대는 가겠지? [6] 123 06.11.25 89 0
147376 우리 지역에 3년전에 전설이라고 불리는 형 있었다. [4] 06.11.25 131 0
147375 미국은 하버드가 꽉 잡고 있다 [2] ㅂㅈㄷㄱ 06.11.25 56 0
147374 좋은대학 다니는애들 막장알바 할때 [4] ㅇㅇ 06.11.25 110 0
147373 천안은 단대가 꽉 잡고 있다 ㅇㅇ 06.11.25 61 0
147372 입결보니깐 건국대 최하위학과가 [1] 고3 06.11.25 101 0
147371 인천은 인하대가 꽉 잡고 있다 ㅇㅇ 06.11.25 58 0
147370 고려대vs원세대 [1] ㅇㅇ 06.11.25 53 0
147369 건국대공대>부산대공대 [20] 음냐 06.11.25 209 0
147368 원주는 원세대애들이 꽉 잡고 있다 ㅇㅇ 06.11.25 73 0
147367 고려대 보건행정도 학교냐? [3] ㅁㅁㅁㅁ 06.11.25 73 0
147366 내가 전에 목동 지나가다가 과외 전단지봣는데 ㅋㅋㅋㅋ [4] 내가전에 06.11.25 132 0
147365 씨발럼들 고2때 수능쳐서 성대 사과간다고? [7] 123 06.11.25 76 0
147364 아주대 기계vs울산대 기계차 ㅇㅇ 06.11.25 48 0
147363 각 대학별 대기업 입사 가산점 배치표 [3] ㅇㅇㅇ 06.11.25 218 0
147362 글올리는 사람들은 대학 어디다녀 [3] 여기 06.11.25 66 0
147361 어디가 좋으냐? 중앙대 기계vs인하대 기계 [1] ㅇㅇ 06.11.25 83 0
147360 어떤 븅신색히가 고2말에 수능쳤어도 성사과간다고 하냐 [2] 뤼팽 06.11.25 59 0
147359 과외할놈들이 피해야 될 동네들 [5] ㅇㅇ 06.11.25 153 0
147358 의에 죽고 참에 살자 [4] ㅂㅈㄷㄱ 06.11.25 70 0
147357 아주대 자연과학부 vs 건국대 자연과학부 [4] 고3 06.11.25 98 0
147356 기다려라 건국대>부산대 증명해줄께 [2] 배치표 06.11.25 58 0
147355 공대 서울산업대vs 명지대 [5] ㅎㅎ 06.11.25 146 0
147354 숭실대학생도 과외하더라 [5] ㅇㅇ 06.11.25 145 0
147352 중앙대 영문과도 과외할수있음???? [4] ㄷㄱ 06.11.25 111 0
147351 내 친구 광운대 학생인데 과외한다 [4] ㅇㅇ 06.11.25 127 0
147350 진짜 과외 페이 졸라쎄다..ㅋㅋ 미안할정도로 [5] 쭈꾸미 06.11.25 147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