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이건 페라리도 피한다" 국내에서 포착된 레전드 자동차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1.07.16 10:32:58
조회 4572 추천 17 댓글 23
														


(사진=네이버 남차카페 '신근'님 제보)


 인간은 본능적으로 자신의 기준에 부합하는 ‘미’를 추구한다. 오죽하면 철학에서는 '아름다움'을 대상으로 삼아, 아름다움의 본질을 연구하는 ‘미학’이라는 학문까지 있는 정도다. 인간이 자신만의 ‘미’를 추구한다는 걸 증명하는 의미에서 가장 친근한 예시를 들어보자. 우리는 가끔 예상치 못하게 너무 잘생기거나 예쁜 사람을 보면 자신도 모르게 ‘헉’하며 말을 잃게 될 때가 있다는 것을 말할 수 있다.

 

물론 꼭 사람만이 아니라, 어떤 물건 등을 보게 될 때도 마찬가지다. 아마 자동차 애호가들에게는 평소에는 잘 볼 수 없는 모델을 보게 됐을 때 이런 일이 일어나지 않을까 싶다. 오늘의 주인공도 누군가에게는 ‘미’ 그 자체인 모델이다. 롤스로이스 팬텀 역사상 가장 오래 생산된 6세대 팬텀이 국내 도로에서 포착됐다. 롤스로이스 팬은 오늘의 콘텐츠를 주목해도 좋다. 포착된 6세대의 사진과 팬텀의 역사를 두루 살펴보도록 하자.



(사진=네이버 남차카페 '신근'님 제보)


롤스로이스의 유래 그리고

장수 모델이자 대표 모델 팬텀


롤스로이스는 1906년에 전구용 필라멘트를 만들던 프레드릭 헨리 로이스와 자동차 딜러를 하면서 레이서로 활약한 귀족 찰스 롤스가 함께 만든 자동차 회사다. 롤스로이스의 정체성은 파르테논 신전을 본뜬 라디에이터 그릴과 플라잉 레이디를 말할 수 있다.

 

이런 롤스로이스의 대표 모델 중 하나인 팬텀은 그 이름처럼 조용하고 편안하며 강력함이 있는 게 특징이다. 1년에도 수십 대의 새 모델이 등장하는 요즘, 한 이름으로 약 100년간 장수하고 있는 팬텀 같은 모델이 있다는 것은 놀랄 만한 일이다.

(사진=네이버 남차카페 '신근'님 제보)


품격에 어울리는 고객만

팬텀을 구매할 수 있다?


여담으로, 롤스로이스는 자신들의 차를 아무에게나 팔지 않고 심사를 거쳐 차의 품격에 어울리는 고객에게만 판매했었다는 유명한 일화가 있다. 실제로 지금은 차량 가격만 지불하면 롤스로이스를 구매할 수 있지만, 예전엔 달랐다.

 

과거에는 고객이 차량 구매를 원할 경우, 사회적 지위나 평판을 참작해서 판매 여부를 결정했다. 1950~1956년경에 선보였던 5세대 팬텀이 영국 왕실과 국가 원수들만을 위해 한정 제작했던 사건이 계기로 알려져 있다.


무려 22년간

생산된 팬텀 6세대


이번에 국내 도로에서 포착된 6세대 팬텀은 롤스로이스 팬텀 역사 중 가장 오랜 기간 생산된 이른바 레전드 모델이다. 롤스로이스 팬텀 6세대는 무려 23년간 생산되었다. 7세대가 2003년부터 2016년까지 13년 동안 생산되던 것에 비하면 정말 긴 기간 생산된 모델이라고 볼 수 있다.

 

특히 6세대 팬텀은 워낙 오랜 기간에 걸쳐 나온 차라서 대중매체에서도 자주 등장했다. 2002년에 개봉한 스파이더맨 영화에서 노먼 오스본의 차가 바로 이 6세대 팬텀이다. 부의 상징과도 같은 차이기에 영화 속 갑부 캐릭터들의 애마로 자주 등장했다.



1925년 1세대 팬텀 탄생

1929년 2세대로 진화


지금부터는 팬텀의 역사에 대해 알아보자. 롤스로이스 팬텀의 시작은 1925년이다. 당시 실버 고스트 후속 모델로 출시됐으며, 실버 고스트와 같은 섀시를 둘렀지만 엔진은 OHV 직렬 6기통으로 새로워졌다. 배기량은 7,668cc에 달했으며 뒤쪽에 짐을 실을 수 있는 선반을 달기도 했다.

 

2세대 팬텀은 1세대 팬텀의 6기통 엔진을 개량해 얹었다. 새 엔진은 흡기 구멍과 흡기 밸브가 배기 구멍과 배기 밸브의 반대쪽에 달린 크로스 플로 실린더 헤드를 얹었다. 이 엔진은 이전 팬텀과 달리 4단 수동변속기와 직접 결합됐다. 기본 모델의 휠베이스는 3,800mm였지만 100mm 짧은 모델도 선보였다.

1936년 V12 시대의 개막

1950년 18대 한정판 4세대

3세대 팬텀은 1998년 실버 세라프가 등장하기 전까지 롤스로이스의 유일한 V12 모델이었다. 최고 속도는 시속 140km였으며, 시속 97km까지 16.8초 만에 도달할 수 있었다. 연비는 리터당 3.5km였다.

 

1931년 벤틀리를 인수한 롤스로이스는 제조 비용을 줄이기 위해 벤틀리의 섀시를 공유하기로 결정했다. 7인승 리무진 섀시를 얹은 프로토타입을 만들었는데, 이 프로토타입이 바로 팬텀 4의 시초다. 영국 귀족이나 왕족에게만 주문을 받아 생산했기 때문에 1950년 출시된 4세대 팬텀은 오직 18대만 만들어졌다.

1959년 자동변속기를 달다

1968년 오늘의 주인공 6세대


실버 클라우드 Ⅱ를 기반으로 만든 5세대 팬텀은 V8 6.2L 엔진을 얹고 GM에서 가져온 유압식 4단 자동변속기를 달았다. 비틀스 멤버 존 레넌의 차로도 유명한데, 존 레논은 차를 인수한 당시 보디는 물론 지붕까지 온통 노랗게 칠하고 독특한 무늬를 그려 넣었던 바 있다.

 

5세대 이후 출시된 모델이 오늘의 주인공인 6세대 팬텀이다. 앞서 말했듯 6세대는 팬텀 역사상 가장 오래 생산된 모델이다. 23년 동안 총 374대가 만들어졌으며, 5세대 모델과 달리 미국에서는 팔리지 못했는데 이는 환경과 안전 규제를 맞추지 못했기 때문으로 알려져 있다.

2003년 부활한 팬텀

2007년 2도어 컨버터블 출시


1998년경 BMW에 롤스로이스가 인수됐다. 인수와 동시에 팬텀도 생을 마감하는 듯했으나 BMW는 2003년 팬텀을 부활시키면서 7세대를 출시했다. 외부와 내부 모두 완전히 새로워졌지만 팬텀을 상징하는 수직 프런트 그릴과 양쪽으로 열리는 코치 도어는 유지되며 헤리티지를 이었다. 2005년 제네바 모터쇼에서는 휠베이스를 250mm 늘인 팬텀 익스텐디드 휠베이스가 공개되기도 했다.

 

더불어 2007년 북미 국제 오토쇼에서는 2도어 컨버터블 버전의 팬텀 드롭헤드 쿠페가 공개되기도 했다. 해당 모델의 시트는 네 개이며 소프트톱 지붕을 얹었다. 해당 모델에는 차가 잠기거나 달릴 때 보닛 위에 놓인 엠블럼이 자동으로 안으로 들어가는 특징이 있었다.

2008년 쿠페도 추가

2017년 8세대 팬텀

BMW는 팬텀의 모든 버전을 다 선보이려고 작정한 듯, 2008년 제네바 모터쇼에서 2도어 쿠페 스타일의 팬텀 쿠페를 공개했다. 다른 팬텀 모델처럼 V12 6.75L 엔진을 얹었으며 최고출력 460마력을 냈다.

 

2017년 7월에는 8세대 팬텀이 온라인으로 모습을 공개했다. 겉모습은 크게 달라지지 않았지만 프런트 그릴이 조금 커지고, 레이저 헤드램프와 LED 주간주행등을 탑재한 것이 차별점이었다. 여기에 V12 6.75L 트윈터보 엔진을 얹어 최고출력이 무려 563마력으로 높아졌다. 차세대 에어 서스펜션을 적용했으며 부드러운 조향을 위한 4휠 조향 시스템도 채용했다.



팬텀은 이건희 삼성전자 전 회장,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 등 한국 재계 오너들이 보유했던 것으로도 유명하다. 그도 그럴 것이 시작 가격만 6억 3,000만 원에 달하기 때문이다. 팬텀의 이미지 자체도 '회장님 차'라는 인상이 강했다.  

 

하지만, 각종 언론 보도에 따르면 요즘에는 구매 연령층이 점점 낮아지는 추세다. 약 100년의 역사를 지닌 장수모델임에도 롤스로이스 팬텀의 역사는 아직 끝난 것이 아니라, 여전히 계속되고 있다. 앞으로 롤스로이스가 얼마나 대담하고 새로운 럭셔리의 최고봉을 보여줄지 기대해 봐도 좋지 않을까 싶다. 오토포스트 이슈플러스였다.

추천 비추천

17

고정닉 2

2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시세차익 부러워 부동산 보는 눈 배우고 싶은 스타는? 운영자 24/05/27 - -
231 BMW가 올해 출시한다는 전기차 놀랍다 [5]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17 1807 0
230 취향타는 디자인 빼고 다 완벽하다는 전기차 [13]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17 2687 2
229 "이 정도면 인정" EV6 실물보니 인기 비결 알겠네요 [3]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17 522 1
228 "판도가 바뀝니다" 현기차보다 먼저 파격선언한 제조사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17 211 0
227 이쁘고 차 좋다며 다들 난리인데 판매량은 폭망인 자동차들 [30]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17 3511 3
226 찐팬들은 이 차만 즐긴다는, BMW가 만들어낸 진짜 펀카 [8]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13 2673 1
225 45억 짜리 부가티가 업무용 법인차, 이대로 정말 괜찮을까? [44]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13 3916 26
224 "현대차도 못 만들거야" 국내 정식 출시됐던 수입차 [2]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13 3174 2
223 국내 시장 점유율 80%인데도 현대기아차가 걱정되는 이유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13 206 0
222 "소리없이 강하다" 모든 설명이 끝났던 레전드 국산차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13 530 1
221 "제2의 코나 사태?" 이번엔 수소차에서 문제 터졌다 [1]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12 307 1
220 모닝 사려다가 실제로 롤스로이스까지 가게되는 이유 [21]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12 2731 3
219 디자인 최악이라더니 갑자기 주목받는 이유 [11]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12 3082 1
218 G70 살 돈으로 구매 가능한 동급 수입차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12 678 1
217 "만만치가 않아" 자동차 사면 들어가는 실제 유지비 [20]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12 3567 26
216 한국을 호구로 보지 마!, 차주들까지 들고 일어서게 만든 이유 [49]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11 2327 3
215 한국 군대가 포방부로 불리는 이유, 이런 결과물이 탄생했습니다 [18]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11 3201 17
214 이건 몇 km나 달릴까요? GV70 전기차의 핵심은 이렇습니다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11 250 0
213 할인만 무려 1,200만 원 이라는 아우디, 지금 사도 될까요?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11 447 0
212 국내 출시되면 사회 초년생들 첫차로 각광받을 수입차 [35]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11 3506 3
211 G90 풀체인지 포착되자 호불호 갈린 이유 [31]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10 3540 1
210 쏘나타 너무 안 팔리자 결국 현대차 결단 내렸다 [120]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10 6426 16
209 뭘 해도 K8 보다 그랜저가 많이 팔리는 이유 [2]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10 642 0
208 "아이오닉 5보다 좋다는 EV6 이렇게 사세요 [1]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10 488 0
207 현직 정비사가 알려주는 자동차 정비소 가서 호구 안당하는 꿀팁 [17]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10 4313 13
206 말 그대로 미쳤다던 제네시스 북미 판매량 실제론 어느 정도? [2]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09 365 0
205 "다 온라인 판매" 현대차 폭탄선언에 노조 반응 [46]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09 4221 24
204 흰색 K5가 양카라고 불리는 진짜 이유를 알려드립니다 [26]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09 4426 17
203 결국 형님까지 앞질러버린 7월 국산차 판매량이 소름돋는 이유 [19]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09 2020 6
202 사회초년생 현실드림카 셀토스 실물 느낌 [2]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09 1182 0
201 보배드림에서 난리난 타워주차 사고사건 [30]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06 5102 45
200 "또 1년.." 팰리세이드 페이스리프트 변화포인트 [2]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06 638 0
199 텔루라이드 페이스리프트 변화포인트 [2]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06 380 0
198 쌍용차 사겠다는 회사 공개되자 네티즌 반응 [16]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06 3563 7
197 요즘 잘나가는 스포티지는 원래 이런 차였습니다 [16]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06 2938 11
196 쌍용 골수 팬들이 목이 터져라 외쳤단게 바로 이 자동차입니다 [14]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05 3113 15
195 "중고차 아니야?" 이런 차를 그대로 인수해도 될까요? [5]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05 1932 1
194 4개월만에 겨우 출시된 EV6가 여전히 걱정스러운 이유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05 284 0
193 기블리 하이브리드 출시소식 접한 네티즌들 현실 반응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05 281 1
192 폭스바겐이 국내 출시할 신차 공개되자 현대차마저 긴장한 이유 [18]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05 2664 4
191 "너무했죠" E클래스 연식변경에 드디어 탑재된 옵션 [21]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04 2543 4
190 쌍용차 사겠다고 나선 의외의 기업 공개되자 네티즌들 반전 반응 [19]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04 2949 3
189 디젤차만 팔려는 폭스바겐이 한국에서 성공할 수 있을까?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04 181 0
188 "동정심 안간다" 현기 공화국에서 르쌍쉐가 맞이한 현실 [17]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04 2358 3
187 "국내 나오면 끝납니다" 신형 트래버스 가격 수준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04 533 2
186 세계 최고 성능 뽐낸다는 국산 자주포 실물 수준 [26]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03 2749 10
185 국내 출시 하면 무조건 대박날거 같은 SUV [5]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03 1879 1
184 국내 신차 안전도 결과를 확인할 수 없었던 이유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03 180 0
183 "포르쉐 잡을까?" 현대차가 준비중인 어마무시한 신차 [8]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03 738 1
182 전기차 주행거리 너무 안나오자 제조사들이 벌이고 있는 행동 [22]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8.03 2771 9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