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나라 망신 제대로네” 전기차 주행거리 인증 대결로 드러나버린 충격적인 결과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2.12.28 10:24:41
조회 4181 추천 15 댓글 24
														

전기차 주행가능거리
실제 주행 오차 범위는?
측정 결과 충격적이다

사진 출처 = “클리앙”

디자인, 주행성능, 안전성 등 신차를 구매할 때 최우선으로 고려하는 기준은 사람마다 다를 것이다. 하지만 전기차는 최우선 순위에서 주행가능거리가 빠질 수 없다. 아직 전기차 보급 과도기인 만큼 충전 인프라가 충분하지 않으며 충전 시간도 오래 걸려 한번 충전 후 달릴 수 있는 거리가 편의성을 크게 좌우하기 때문이다.

국가별로 전기차 주행가능거리 인증 방식이 조금씩 다른데, 인증받은 주행가능거리와 실주행거리의 차이가 큰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내연기관 자동차도 이로 인한 대규모 소송 등 시행착오를 거치며 현재의 공인 연비 인증제도로 자리 잡은 바 있다. 한편 미국 전기차 전문 매체 ‘인사이드 EV(Insdie EVs)’는 미국에서 판매 중인 전기차 35종의 실주행거리를 측정하고 공인 주행가능거리와 비교한 결과를 공개해 관심을 모은다.

이정현 기자


포르쉐 타이칸 / 사진 출처 = “Reddit”

현대 아이오닉 5 롱레인지 AWD

1등은 포르쉐 타이칸
꼴찌는 현대 아이오닉 5


인사이드 EV는 각 차량의 배터리 잔량 100%까지 충전한 후 고속도로에서 시속 70마일(약 113km/h)로 방전될 때까지 정속주행하는 방식으로 테스트를 진행했다. 이는 미국 EPA(환경보호청)의 주행가능거리 측정 방식과 비슷한 조건이었다. 흥미롭게도 전기차 대부분 모델에서 5% 내외의 차이가 발생했다.

2020년형 포르쉐 타이칸 4S는 실주행거리 447.4km를 기록해 EPA 기준 주행가능거리 326.7km보다 36.9% 우세한 결과를 보여 1등에 올랐다. 반면 꼴찌는 놀랍게도 국산차가 차지했다. 2022년형 현대 아이오닉 5 AWD 모델은 실주행거리가 313.8km에 그쳐 EPA 기준 412km에 24%나 못 미치는 결과를 기록했다.

테슬라 모델 X / 사진 출처 = 네이버 남차카페 “화성ll빡구”님

현대 아이오닉 EV

제조사별 차이도 드러났다
포르쉐는 최대 36% 높아


해당 테스트에 따라 제조사별 전기차 주행가능거리의 차이도 함께 드러났다. 포르쉐의 경우 모델에 따라 공인 주행가능거리 대비 17~36% 높은 실주행거리를 기록했다. 미국 전기차 시장 점유율 1위인 테슬라는 승용 모델 4종 모두 실주행거리가 공인 주행가능거리보다 10% 낮은 모습을 보였다. 현대차그룹 전기차는 실주행거리가 0.6% 높은 2020년형 현대 아이오닉 EV를 제외한 나머지 4개 모델 모두 공인주행가능거리에 못 미쳤다.

전기차 대부분에서 실주행거리 오차가 크게 나타난 이유는 공인 주행가능거리 측정 방식에 있다. 미국 EPA는 물론이며 유럽의 WLTP, 국내 환경부까지 모두 실제 도로가 아닌 실험실에서 측정을 진행한다. 전기차는 시속 100km 이상 고속주행, 급가속 빈도와 회생제동 강도 및 사용 빈도 등에 따른 변수가 많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나름의 보정식을 반영하지만 실주행거리과 차이가 날 수밖에 없다. 해당 매체에서 진행한 테스트는 약 113km/h의 고속 주행만 진행된 만큼 절대적 지표로 삼기에는 무리가 있다.

WLTP 전기차 주행가능거리 측정 / 사진 출처 = 유튜브 채널 “Out of Spec Reviews”

EPA 전기차 주행가능거리 측정 / 사진 출처 = “AAA Oregon”

국가별 측정 방식은?
미국은 70%만 인정


각 국가의 주행가능거리 측정 기준을 살펴보았다. 유럽은 대표적으로 WLTP(Worldwide Harmonized Light Vehicle Test Procedure)를 사용한다. 총 23km 거리를 평균속도 47km/h, 최고속도 130km/h로 주행하며 고속도로 주행보다 도심 주행에 비중을 둔 구성이다.

미국의 EPA도 고속도로와 도심 주행을 모두 진행하며 배터리 잔량이 완전히 바닥날 때까지 주행하는데 WLTP보다 주행가능거리가 약 10% 정도 낮게 나온다. 이는 외기 온도 등 주행 환경에 관한 변수를 직접 반영하지 않는 만큼 주행한 거리의 70%만 인정하기 때문이다. 일례로 한여름에 에어컨을 켜거나 겨울에 히터를 켜면 주행가능거리가 최대 30%가량 감소한다.

환경부 전기차 주행가능거리 측정 / 사진 출처 = “경향신문”

아이오닉 6 히터 최고 온도 / 사진 출처 = 유튜브 채널 “차쌈TV ChaSSamTV”

환경부는 저온 별도 측정
전 세계에서 가장 가혹해


우리나라의 환경부는 미국 EPA 기준을 참고하되 더욱 가혹한 기준으로 주행가능거리를 측정한다. EPA와 동일한 방법으로 주행 테스를 진행한 후 측정값의 70%에 환경부 자체 보정식 ‘5-사이클’을 대입한다. 여기에는 국내 도로 사정을 고려한 시내 및 고속도로 주행 비율, 급가속 빈도, 에어컨 및 히터 등 공조 장치 가동 상황과 외부 기온 등이 반영된다.

독특한 점은 고온과 저온 주행가능거리를 별도로 산출한다는 것이다. 저온의 경우 히터를 틀고 측정하는데, 이때 주행가능거리가 고온의 70%에 못 미치면 전기차 구매 보조금 지급 대상에서 완전히 제외된다. 따라서 전 세계 주행가능거리 인증 체계 가운데 가장 까다롭다는 평가를 받으며 해외 제조사들은 실제 주행거리보다 유독 짧게 나온다고 불만을 표현하기도 한다.

대한민국 환경부 / 사진 출처 = “Wikipedia”

해외 제조사 불평 이어져
규정 개선이 시급하다


해외 완성차 업계의 불만에도 어느 정도 일리가 있다. 저온 주행가능거리 측정 시 히터 온도에 별도 기준을 두지 않고 해당 차량에서 가능한 최고 온도로 가동하기 때문이다. 현대차그룹 전기차의 경우 히터를 최고 27도까지 틀 수 있지만 테슬라는 27.5도, 쉐보레 볼트 EUV 및 EV는 31도, 메르세데스-EQ, 폭스바겐, BMW 등 독일 전기차들은 32도까지 올릴 수 있다.

실내 온도 1도 차이만으로도 전력 소모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치는 만큼 국내 수입차 업계 곳곳에서 측정 기준을 평등하게 개선해야 한다는 요구가 이어지고 있다.

오토포스트 주요뉴스



▶ “뻥스펙이 아니었다” 국내 출시 임박한 중국 전기 SUV의 실제 주행거리 수준▶ “하나 더 사시든지” 차량 두 대로 아파트 주차 자리 독점하는 민폐족의 최후▶ “그랜저 계약 취소해야 하나?” 토요타가 한참 망설이더니 결국 출시한다는 신차



추천 비추천

15

고정닉 2

6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힘들게 성공한 만큼 절대 논란 안 만들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10 - -
2304 “일본차라고 무시했나?” 무서운 속도로 현대차 추격 중인 일본 완성차 제조사 [35]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08 2347 5
2303 “한국 접수하러 왔습니다” 모습 드러낸 미국산 픽업트럭의 충격적인 국내 가격 [4]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08 609 1
2302 그릴 크기 미친듯이 키우던 BMW, 골수 팬들 원성에 끄떡 않더니 이젠 헤드라이트까지? [49]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07 7481 4
2301 “1차로 깔끔하겠네” 국내 최초 200km/h 질주 가능한 고속도로 소식에 네티즌들 반응 [112]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07 9218 12
2300 “저 실내 실화인가?” 엠비언트 라이트까지 들어가는 역대급 트럭 등장 [2]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07 655 1
2299 “면허 반납할게요” 운전자들 극대노, 버스에서 튀어나온 아이와 사고 나면 과실이… [48]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07 8607 11
2298 “현대차는 옵션으로도 선택 불가능” 작정한 수입차 업계의 대반란 시작됩니다 [3]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07 598 2
2297 “너무한 거 아니냐” 역대급 불만 터진 수입차 업계, 결국 환경부 두손 두발 다 들었다 [20]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06 4810 2
2296 “중국이 세계 제일” 치켜세우던 일론 머스크, 판매량에서 뒷통수 제대로 쳐버렸다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06 604 1
2295 “억지도 이런 억지가 없습니다” 전기차 만들기 싫은 제조사들도 동참하는 이유 [1]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06 551 1
2294 끔찍했던 이태원 대참사, ‘구급차’ 가로막고 있던 ‘택시’가 받게 될 처벌 수위는? [76]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06 8059 35
2293 “전기차에 날개가?” 외계인이 만든다는 포르쉐가 작정하고 올해 내놓을 신차 포착 [17]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06 4764 2
2292 “우린 죽어도 전기차 안 만듭니다” 라던 람보르기니, 관계자가 직접 밝힌 내용은… [4]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03 1021 2
2291 “중국차도 이 정도는 아니야” 주행 중 초유의 결함 발생한 테슬라, 처참한 품질 수준은? [131]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03 15670 50
2290 “쟤가 운전했어요” 사망한 친구에 누명 씌우려다 들통난 만취 포르쉐 운전자 [160]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03 17203 47
2289 “슈퍼카 자랑 이제 못한다” 하반기부터 법인차에 실시되는 제도에 오너들 ‘분노’ [7]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03 1019 7
2288 “운전하는데 갑자기 불이…” 주행 중에 전소된 테슬라 전기차, 대체 왜 그런걸까?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03 342 1
2287 “얼마나 많이 샀는데…” 드디어 민낯 드러난 쌍용 토레스의 충돌 테스트 결과 [7]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02 968 2
2286 “그래봤자 승차거부 할 거잖아요” 껑충 뛴 택시 요금, 과연 이제는 잘 잡힐까? [34]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02 5776 13
2285 “한국 철수? 1위 하겠습니다” 한국 GM 최후의 결단, 상상조차 못했던 신차 쏟아진다 [51]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02 7688 5
2284 “제대로 통수 맞았다” 테슬라 대규모 불매 운동 조짐, 사전 계약자들 역대급 분노 [6]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02 1921 7
2283 ‘저급 짝퉁차’나 만들던 중국…이제는 현대차 위협할 수준까지 치고 올라왔다고? [8]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02 628 1
2282 “대륙의 실수 보여주겠다” 최근 전기차 준비 선언한 기업이 놀라운 이유 [4]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01 731 2
2281 “중학생이 만든 과제같아” 닛산이 공개한 전기차 콘셉트에 네티즌들 경악한 이유 [52]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01 8295 14
2280 “시작 가격 5천만 원?” 신형 코나 일렉트릭 실제로 보면 이런 느낌 [32]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01 4119 4
2279 “가격은 묻지 마세요” 출시하자마자 499대 모두 완판됐다는 한정판 슈퍼카의 정체 [23]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2.01 5663 4
2278 “대체 무슨 생각이냐” 아파트 주차장에 알박기한 고급 외제차들, 정체 알고 보니… [9]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31 3053 6
2277 “우린 테슬라 잡을 껍니다” 토요타가 최근 건 목표에 콧방귀 끼는 이유 [3]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31 573 1
2276 “최소 15억 입니다” 전 세계 500대 한정 하이퍼카 국내 등장하자 네티즌 반응 [15]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31 2637 5
2275 “BMW가 비빈다고?” 람보르기니 자존심 제대로 긁는 역대급 신차 등장했습니다 [7]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31 2052 3
2274 “쓸모가 없다고 봐야죠” 급발진 의심 사고에 중요한 단서 된다는 ‘이것’, 진짜일까? [2]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31 472 2
2273 수입차 업계 1위 벤츠도 초비상, 신차 고객들이 다른 브랜드로 빠져 나가는 이유 [2]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30 604 2
2272 “현대차 누르러 왔습니다” 올해 한국 출시 확정된 역대급 수입 전기차 [19]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30 2858 7
2271 “저희도 어쩔 수 없어요” 자동차 보험 업계가 현기차들을 거르기 시작한 이유 [17]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30 3524 30
2270 폭스바겐 CEO의 과감한 저격, “현대차가 하고 있는 건 솔직히 가망 없습니다” [34]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30 3500 8
2269 “람보르기니가 어쩌다가…” 배기음 자체가 사라져버린 이상한 테스트카 포착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30 531 2
2268 “롤스로이스보다 안 팔렸다고?” 역대 최저 판매량에도 철수 안하는 제조사 [7]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27 2231 6
2267 정체 불명의 티볼리 위장막 테스트카 포착, “드디어 8년 만에 풀체인지 되나?” [2]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27 490 3
2266 “현대한테 지다니…” 자존심 제대로 구긴 독일차 브랜드가 준비 중인 신차 [13]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27 4978 1
2265 “4천만 원 실화냐” 코나 하이브리드 가격에 분노한 아빠들이 구매하는 자동차 [1]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27 713 3
2264 전기차 혁신 외치던 세계 1등 제조사, 결국 폭망하더니 ‘이 브랜드’한테도 거절 당했다 [19]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27 6039 5
2263 “이제 현대차 말곤 쳐다도 안 봐요” 판매량 역대급 찍더니 결국 이런 결과 나왔습니다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26 635 3
2262 “남자라면…끓어 오르는 이거 몰라?” 죽기 전에 꼭 한번은 타봐야 하는 자동차 [4]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26 1506 2
2261 “풀옵션 4,000만 원?” 그랜저급 가격 되어버린 신형 코나, 실제로 보면 이런 느낌 [38]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26 2255 6
2260 “죄다 들통나버렸다…” 해외에서 유출된 EV9 출시 정보, 주행거리 이게 맞나?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26 433 1
2259 “사고나면 문이 안 열려…” 요즘 이런 손잡이 달린 차는 무조건 거르는 소비자들 [12]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26 2424 11
2258 결국 대량 취소 사태 발생, ‘폭스바겐’의 어이없는 판매 정책에 돌아서는 소비자들 [20]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25 3784 6
2257 한국 아빠들이 그렇게 사랑했던 볼보, 작년엔 예상 외로 굴욕 당했다고? [4]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25 588 1
2256 “코나 전기차 잡겠습니다” 쌍용의 야심작 데뷔 일정 확정, 스펙 어느 정도길래? [3]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25 517 1
2255 10만 대 계약 됐다던 신형 그랜저 수십가지 결함 발생, “차주들 분노 대폭발” [42]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25 3412 2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