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현대차가 개발한 ‘미친’ 신기술… 이젠 아반떼만 타도 슈퍼카 씹어 먹는다?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3.03.03 10:01:37
조회 679 추천 3 댓글 0
														



현대 아반떼 N 라인

현대 아반떼 N 라인

엔지니어링의 난제
출력, 연비 중 하나만?
둘 다 개선할 방법 있다

같은 조건의 엔진에서 출력과 연비는 반비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출력을 높이려면 그만큼 많은 연료가 필요하니 연비가 떨어지고 반대로 연비를 높이려면 출력을 희생할 수밖에 없다는 이야기다. 하지만 1세기 넘는 세월 동안 내연기관 기술력은 발전을 거듭했고 현재는 1,000cc 엔진으로도 20여 년 전 2,000cc 엔진에 버금가는 출력과 그 이상의 효율을 낼 수 있다.

내연기관의 시대의 끝이 예정된 2035년부터는 새로운 엔진 기술도 나오지 않을 것이다. 과거 30% 수준에 머물렀던 내연기관의 열효율은 2020년대 들어 물리학적 한계치로 알려진 40%까지 올라왔는데, 여기에 기여한 첨단 기술 한 가지를 살펴보자. 가변 밸브 제어 시스템은 출력과 연비를 동시에 4~5%가량 상승시킬 수 있어 발표 당시 큰 충격을 줬으며 현행 내연기관 자동차의 필수 시스템으로 여겨진다.


이정현 기자


밸브가 열린 실린더 헤드 / 사진 출처 =

밸브가 열린 실린더 헤드 / 사진 출처 = “CNET”


포르쉐 배리오캠 시스템이 적용된 캠샤프트 / 사진 출처 =

포르쉐 배리오캠 시스템이 적용된 캠샤프트 / 사진 출처 = “eBay”

가변 밸브 제어 시스템
개폐 시점, 열림량 제어

자동차 엔진의 실린더 헤드에 달린 흡기 및 배기 밸브는 엔진 내부로 연료와 공기를 넣어주고 연소 가스를 배출해 주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이 밸브를 여닫는 캠샤프트의 형상에 따라 밸브가 여닫히는 타이밍, 열림량 등이 결정된다. 밸브 열림량을 늘려주는 하이캠 장착된 엔진은 더욱 많은 혼합기가 들어갈 수 있도록 해줘 고속에서 높은 출력을 발휘하지만 저속에서는 안정성이 떨어져 엔진 떨림 현상을 유발한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엔지니어들은 필요에 따라 밸브 열림량과 개폐 타이밍을 조절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노력했고 1992년 포르쉐가 ‘배리오캠(Vario Cam)’이라는 최초의 가변 밸브 타이밍(CVVT) 기술을 선보였다. 2001년 BMW는 이보다 진보한 가변 밸브 리프트(CVVL) 기술 ‘밸브트로닉(Valvetronic)’을 업계 최초로 개발해 현재는 양산차 대부분에 적용되고 있다.


밸브트로닉 시스템이 적용된 BMW 엔진 헤드 / 사진 출처 =

밸브트로닉 시스템이 적용된 BMW 엔진 헤드 / 사진 출처 = “Fluid Motor Union”


현대자동차 CVVD 시스템 발표 현장 / 사진 출처 =

현대자동차 CVVD 시스템 발표 현장 / 사진 출처 = “현대자동차그룹”

효율 개선 한계에 봉착
장점 합친 CVVD 등장

이 두 가지 시스템은 엔진의 성능과 효율을 끌어올려 주는 혁신적인 사양이었지만 한계가 존재했다. CVVT의 경우 밸브 열림량이 고정되어 있어 고회전 영역에서는 흡입량이 부족해 출력이 떨어지거나 저속 영역에서 배기가스 배출이 원활해지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CVVL은 밸브 열림량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지만 개폐 시점이 고정되어 성능과 연비 중 하나에 집중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등장한 것이 CVVD(Continuously Variable Valve Duration) 기술이다. 이는 CVVT와 CVVL을 합친 개념으로 밸브의 개폐 타이밍, 열림량을 모두 조절할 수 있다. CVVD는 놀랍게도 현대자동차가 지난 2019년 세계 최초로 개발해 쏘나타 센슈어스, 아반떼 N 라인 등에 탑재했는데, 밸브가 열려 있는 시간을 1,400단계까지 제어할 수 있는 정밀함을 갖췄다.


현대 쏘나타 센슈어스 엔진룸 / 사진 출처 =

현대 쏘나타 센슈어스 엔진룸 / 사진 출처 = “Cars.com”


현대 쏘나타 센슈어스 / 사진 출처 =

현대 쏘나타 센슈어스 / 사진 출처 = “Road Blazing”

성능, 연비 모두 잡았다
배출가스 저감도 가능

CVVD 기술이 탑재된 엔진은 낮은 출력만으로도 충분한 정속 주행 상황에서 흡기 밸브를 조금만 열어 에너지 손실을 줄이고 결과적으로 연비를 개선해 준다. 반대로 엔진 힘을 최대한 활용하는 가속 주행 상황에서는 흡기 밸브를 일찍 닫아 토크를 향상시켜주기도 한다.

이외에도 최적의 밸브 개폐 타이밍을 구현해 유효 압축비를 4:1에서 10.5:1까지 폭넓게 조절할 수 있으며 연소 효율을 높여 배출가스를 줄여주기도 한다. 현대차에 따르면 CVVD 기술이 적용된 엔진은 성능과 연비가 각각 4%, 5% 이상 향상되며 배출가스는 12% 이상 저감할 수도 있다. 다만 해당 수치는 CVVD를 흡기 밸브에만 적용했을 경우로 이를 배기 밸브에도 모두 적용한다면 배출가스를 50%까지 줄이는 것도 가능하다.

오토포스트 주요뉴스



▶ 이딴 법이 합헌이라고…? 운전자 불만 쏟아졌던 ‘민식이법’의 충격적인 근황▶ 비싸도 이건 사야 해… 현대차 ‘역작’이라 불린 자동차, 양산형 모델 나올까?▶ 우리가 졌습니다… 현대차에 패배 선언한 테슬라, ‘이 기술’까지 공유한다고?



추천 비추천

3

고정닉 0

1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힘들게 성공한 만큼 절대 논란 안 만들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10 - -
2509 할 말을 잃었다.. 인도에서 출시된 10인승 대형차, 가격은 고작 2천만 원대? [5]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4.14 1134 2
2508 제발 좀 사주세요.. 가격 인하 거듭하는 테슬라, 결국엔 ‘이것’까지 팔겠다고? [6]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4.14 787 1
2506 이걸 제네시스가.. 전비 경주에 참가한 국산 전기차, 깜짝 놀랄 성적 거뒀다 [3]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4.14 271 1
2505 프리미엄 미쳤네.. 실적 상승세 무서운 ‘제네시스’, 이런 자동차까지 만든다고? [11]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4.13 2193 3
2503 전기차보다 훨씬 낫네.. 국내서 외면 받았던 ‘PHEV’, 요즘 다시 뜨는 중이다? [6]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4.13 1974 2
2502 생각보다 더 싸네.. 무려 4천 초반대로 출시됐다는 ‘혼다 SUV’, 과연 무엇일까?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4.13 300 4
2501 세단은 못 타겠어.. 아빠들이 유독 ‘SUV’를 고집했던 이유, 바로 이것이었다 [2]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4.12 544 1
2500 진짜 짜증나는 상황.. 견인 중 파손된 내 차, ‘이것’ 알면 100% 구제 가능하다?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4.12 587 1
2499 부러우면 한국 오던가.. 북미에서 공개된 EV9, 한국과 달리 ‘이 옵션’ 빠진다? [12]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4.12 2152 1
2498 아반떼랑 비교하니.. 역대급 디자인 보여줬던 신형 ‘프리우스’, 그 가격 수준은? [40]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4.11 3538 7
2497 구설수만 해도 한가득.. 위기에 빠진 ‘테슬라’, 신형 OOO으로 승부를 보겠다고? [11]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4.11 1719 4
2496 이 도시는 도대체.. 외제차 택시가 유독 많다는 부산, 이젠 ‘이 차’까지 발견됐다 [15]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4.11 2497 6
2495 우리도 이제 흑자다.. 최근 국내서 잘 나간다는 ‘한국GM’, 그 비결 살펴봤더니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4.11 249 1
2494 불매 운동은 한철.. 노 재팬에 타격 입었다던 ‘일본차’들, 판매량 근황 어떨까? [6]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4.11 327 2
2493 이건 생각 못 했는데.. 기아의 야심작 ‘EV9’, 미국에선 호불호 갈리는 중이다? [3]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4.10 792 1
2492 오프로드 끝판왕답다.. 내년 출시되는 ‘신형 랭글러’, 실내가 진짜 대박입니다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4.10 929 3
2491 미국은 좀 다를까.. 국내에서 부진했던 ‘신형 코나’, 북미 시장 반응 어땠을까? [1]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4.10 294 2
2490 포터보다 더 멀리 간다..? 벌써부터 대박 예상된다는 ‘중국산 전기 트럭’ 정체 [1]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4.10 235 1
2489 법 개정까지 코 앞..? 소비자가 입증해야 했던 ‘급발진’, 이젠 제조사 책임으로? [17]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4.10 1784 15
2487 가성비가 좋긴 한데.. 1천만 원대 ‘중국산 전기차’, 빠르면 다음 달 출시된다? [7]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4.07 540 1
2486 잘만 뽑으면 장땡.. 결함으로 시끄러운 ‘신형 그랜저’, 벌써 이만큼 팔렸다고? [15]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4.07 4979 2
2485 현대기아 따라잡을까.. 요즘 대세라는 ‘KG모빌리티’, 벌써 이만큼 성장했다고? [1]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4.07 473 2
2484 정신 차리겠다며.. 최근 포착된 벤츠 ‘신형 전기차’, 결국 네티즌들은 술렁였다 [11]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4.06 2231 2
2483 저렴할 수밖에 없다.. 깜짝 공개된 KG ‘F100’, 이 가격이면 무조건 대박 친다? [1]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4.06 389 2
2482 현대차 독주 막자.. 가성비 신차에 ‘웃음꽃’ 핀 GM·KG, 르노코리아는 언제쯤? [1]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4.06 344 2
2481 아직도 2년씩 걸릴까.. 직접 보고도 안 믿긴다는 현대차 ‘출고 대기’ 근황은?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4.06 490 1
2480 지금 뭘 빼겠다고..? GM, 앞으로 출시될 신차에는 ‘이 옵션’ 빼고 출시한다 [6]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4.06 2182 1
2479 이건 우리도 인정해.. 내연기관 절대 안 된다던 ‘유럽 연합’, 결국 꼬리 내렸다 [16]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4.05 2420 4
2478 QM6는 이제 그만.. 국내 반응 ‘폭발’했다는 르노 신차, 디자인 수준 살펴보니 [3]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4.05 521 1
2477 저게 왜 천장에.. 국산차 오너들 절대 모르는 수입차 ‘이것’, 이런 비밀 있었다 [14]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4.05 2254 7
2476 쓸데없이 비쌌네.. 소비자들이 신형 코나가 아닌 ‘신형 트랙스’에 열광한 이유 [1]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4.05 297 3
2475 디자인 하난 예술.. 기아가 만들 ‘EV9 픽업트럭’, 기대되는 포인트 어디일까? [12]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4.05 1396 3
2474 EV9으론 부족했나.. 전기차에 물오른 기아, 깜짝 놀랄 ‘신차 소식’ 또 전했다 [1]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4.04 327 1
2473 벤츠 BMW 다 왔는데.. 독 3사 ‘아우디’, 이번 서울 모빌리티쇼 불참한 이유? [1]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4.04 261 1
2472 카푸어 이미지 벗겠다.. 7년 연속 판매량 ‘1위’ 벤츠, 한국 시장 노선 바꿀까? [18]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4.04 2751 1
2471 차키만 봐도 충격적.. 네티즌들이 뽑은 현대차 ‘최악의 디자인’ 요소는 뭘까? [53]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4.04 4186 9
2470 제발 좀 사주세요.. 점점 커지는 ‘전기차 화재’ 걱정, 결국엔 정부까지 나섰다? [41]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4.04 2946 6
2469 4년 만에 일냈다.. 기자들 전부 만족한 ‘토레스 전기차’, 스펙은 이렇습니다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4.03 266 2
2468 그새 맘이 바뀌었나…? 콧대 높던 ‘테슬라’, 국내 모터쇼에 최초 참석한 이유 [1]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4.03 1015 2
2467 기자들 입 떡 벌어져.. 기아의 야심작 ‘EV9’, 한국 아빠들 지갑 공략 성공할까? [8]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4.03 1222 7
2466 아빠들 ‘행복회로’ 풀 가동.. 국산 대형 전기 SUV 시장, 결국 3파전 시작됐다 [4]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4.03 217 2
2465 드디어 오셨군요.. ‘오프로드 마니아’들 주목하는 수입 SUV, 한국 땅 밟았다 [5]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4.03 1236 4
2464 [2023 서울모빌리티쇼] 전기차 퍼포먼스의 미래, 벤츠 ‘AMG EQE 53’ 실물 공개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3.31 212 1
2463 [2023 서울모빌리티쇼] 상남자 오프로더, 국내 최초 공개된 이네오스 ‘그레나디어’ [6]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3.31 989 4
2462 [2023 서울모빌리티쇼] 알파모터스 전기 픽업트럭 ‘울프’, 세계 최초로 실물 공개!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3.31 189 1
2461 현직 기자들이 뽑았다.. ‘2023 서울 모빌리티쇼’ 대박 국산차 3종 무엇일까? [2]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3.31 1056 1
2460 이게 진짜 벤츠였지.. 국내 최초 ‘역대급 신차 공개한 벤츠, 포람페 잡겠는데? [8]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3.31 1572 3
2459 라인업이 걸출하네..! 하루 남은 ‘서울 모빌리티쇼’, 시선 강탈할 핵심 차량은? [2]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3.30 1228 5
2458 왕년엔 진짜 볼만했죠.. D-1 ‘서울 모빌리티쇼’, 그 시절 위상은 더 대단했다? [4]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3.30 1605 6
2457 ‘전기 픽업트럭’까지..? 테슬라보다 더 화제라는 전기차 업체, 한국 땅 밟는다 [7]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3.30 1409 1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