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바둑썰) 한국류 외전 - 전류

(112.149) 2012.11.23 21:16:55
조회 281 추천 1 댓글 3

출처:한게임바둑 박치문의 바둑시론 (<U>http://www.hangame.com/baduk</U>)

 

한국류 외전(外傳) - 전류(田流)‥‥‥‥‥‥‥‥‥‥‥‥‥‥‥‥  2002. 5. 30. 木

 

30여년전의 얘기를 잠시 하고 싶다.


무대는 서울의 불광동과 녹번동. 당시 대학생이던 나는 친구와 함께 녹번동에서 하숙을 하고 있었다. 집 앞엔 녹번천(川)이 흐르고 있었고 그 냇물을 건너면 바로 불광동이었다.


천변에는 나즈막하고 녹슨 양철 지붕들과 돌담, 그리고 비툴비툴한 골목이 이어졌고 그곳을 좀더 벗어나 시장 근처에 가면 어떤 허름한 건물의 2층에 동네기원이 있었다. 김희중, 정낙윤, 노영하등을 만난 것은 바로 그시절 그곳에서였다.


전에 잠시 알았던 전영선도 그곳에서 다시 만났고 최욱관과 함께 아마바둑계의 황제로 불렸던 진홍명도 종종 만났다.


당시 고등학생 교복을 막 벗은 김희중과 노영하는 오래 전에 프로9단이 됐고 7단에서 멈춘 전영선은 '이창호의 스승'이란 간판을 뒤로 한채 요즘은 병마와 싸우고 있다.

 

정낙윤은 대단한 강자였지만 한국기원의 사무국장과 한번 크게 싸운 뒤로 다시는 대회에 나타나지 않았다.

 

최욱관은 당시 진홍명에게 선을 접혀야했고 종종 2점까지 올라가곤 했으나 입단대회는 쉽게 통과했고 진홍명은 영영 프로가 되지 못했으니 그것도 신기한 일이었다.


전영선은 아마도 중학생 때부터 내기를 두었던 것으로 기억된다. 어느 두부공장 사장하고 내기바둑을 두는 모습을 봤는데 두는 족족 이겼다. 칫수를 바꿔줘도 계속 이겼다.

 

기재(棋才)가 몹시 뛰어난 전영선이었기에 매달 한두급씩 실력이 높아지는 통에 만년5급인 그 사장은 계속 칫수를 고쳐도 당할 길이 없었던 것이다.


아무튼 김희중 전영선 정낙윤 이들 세사람은 당시 아마바둑계에선 떠오르는 신인강자였고 그들은 서울 시내의 기원에서 벌어지는 바둑대회를 거의 휩쓸다시피 했다. (당시는 각 기원이 손님들 중심으로 대회를 열었고 지금과 같은 전국대회는 상상이 안가던 시절이었다)


당시 동네기원 대회는 1등에게 금반지나 쌀 한가마를 주는 지금 생각하면 시시한 대회였다.


게다가 모조리 칫수를 접어야하는 대회여서 1급으로 출전하면(당시는 아마 단이 없었기에 1급이 최고였다) 10급을 9점 접고 이겨야했다. 많은 하수들이 소금처럼 짠 급수로 출전했음은 말할 나위도 없다. 5급이 눈 딱감고 10급으로 나오는 일도 있었다.

 

하다보니 결승전 쯤 가면 평소 4점 접는 바둑을 9점이나 접어야하는 기막힌 일이 벌어지기도 했다.


그러나 싸움바둑으로 유명한 전영선은 온갖 맥과 꼼수(?)를 총동원하여 9점을 접고도 이겨내곤 했다.


전영선의 기재와 함께 김희중의 기재도 참으로 놀라운 것이었다.

 

속사포에 유연하고 기발한 감각을 지닌 김희중은 상대 돌의 머리를 이리 두드리고 저리 두드리며 사석전법을 쓰는 감각이 마술적인 경지였다.

 

상대가 그의 손속에 현혹되어 쫓아다니다 보면 손에 쓰레기만 잡고있는 경우가 허다했다. 김희중은 이렇게 한건을 올린 뒤 전영선을 돌아보며 "흐흐흐, 어때 우아하지."하고 웃으며 어린애처럼 좋아했다.


방랑의 시절이었다. 지금 생각하면 전영선과 김희중은 명 콤비였고 그들은 그렇게 어울려 전국을 돌아다녔지만 그래도 불광동이 본거지나 다름없었다.


두사람 다 방내기의 명수였기에 대마잡기에도 명수였고 좁은 곳에서 수를 내는데도 명수였다.

 

감각파라 할 김희중에 비해 전영선은 좀더 실전적이고 치열한 수법들을 즐겨 썼고 암수에도 정통했다.


훗날 바둑계에선 이와같은 전영선의 바둑 스타일을 '전류(田流)'라 불렀다. 그리고 홍종현 8단의 '홍류(洪流)'와 함께 많은 사람들의 입에 오르내리곤 했다.


'田流'는 기세를 중시하는 싸움바둑을 말한다.

 

끊을 곳은 반드시 끊고 무디고 느슨한 수를 두지않는 싸움바둑. 그러나 田流란 단어속엔 능란한 잔수 접전과 상대를 못살게하는 온갖 맥점, 암수와 함정수등의 이미지가 진하게 녹아있다. 내기바둑과 방내기, 뒷골목등을 연상시키는 온갖 수법들을 함축하고 있는 것이다.


'洪流'는 포석이 적당히 끝났다 싶으면 싸움할 곳을 찾는게 아니라 착착 젖혀잇고 바로 끝내기로 돌입하는 스타일을 말한다.

 

경기고 - 서울법대 출신의 홍종현 8단은 계산과 끝내기에 탁월하여 '홍소금'이란 별명도 갖고 있었다.

 

洪流란 단어는 소금같이 짠 끝내기 이미지와 함께 싸움을 피하고 집내기를 중시하는 스타일을 말한다.


생각하면 김희중, 전영선, 홍종현은 모두 술의 대가들이다. 그리고 결사적으로 놀기를 즐긴 이름난 한량들이다.

 

아마도 그들이 술과 더불어 노는 시간을 절반만 줄였더라면 바둑사는 영 달라졌을 것이다.


이창호 9단은 어린 시절 전영선에게서 바둑을 배웠다. 두사람의 실전도 헤아릴 수 없이 많았다.

 

이창호는 전영선의 '독랄한'수법들을 무수히 받아내야 했고 그바람에 잔수능력에다 온갖 수법들에 정통하게 되었을 것이다.

 

가끔 이창호의 바둑에서 흑도(黑道)의 냄새가 나는 것도 전영선의 영향일 가능성이 농후하다.


이창호의 바둑은 물론 정통파의 바둑이며 기를 쓰고 싸우기는 커녕 그 반대의 스타일, 즉 '洪流'에 더 가까운 스타일을 보여주고 있다.

 

하지만 가장 예민한 시절 전영선에게서 바둑을 배운 이창호이기에 그의 바둑 깊은 곳엔 전영선의 스타일, 즉 '田流'의 한가닥이 깊숙히 뿌리를 내리고 있을 것이다.


이창호가 묘수를 잘 두고 끝내기의 맥점에 능하고 생사에도 탁월한 점에서도 田流의 흔적을 느끼곤 한다.


전영선은 정법으로 바둑을 익힌 사람은 아니었고 뒷골목에서 바둑을 배운 사람이었기에 수법이 기기묘묘하고 흥미진진했지만 그 역시 한가지 철칙은 있었다.


"시시한 수, 냄새나는 수를 두지 않는다."는 것이었다.


이기려고 몸을 사리는 수는 시시하다. 겁이 나서 끊을 곳을 끊지 못하는 수는 비겁하고 냄새나는 수다. 그런 기백이 없는 수로는 바둑을 이길 수 없다는 얘기였다.


불광동 시절, 나는 전영선 김희중등과 어울려 꽤 많은 날들을 보냈다.

 

하루는 오래 밀린 빨랫거리를 몽땅 싸들고 세탁소를 찾으러 나갔다가 그만 기원부터 들려 밤샘을 하고 말았다.

 

공교롭게도 그날 하숙집에 도둑이 들었다. 그것도 모르고 저녁때 들고 나간 보따리를 새벽에 다시 들고 들어온 나는 도둑 혐의를 쓰고 서대문 경찰서까지 가서 조사를 받아야했다. 30여년전 얘기다.


며칠전 전영선 7단을 한 기원에서 만났다. 중병을 앓고 있는 탓에 그의 얼굴은 전보다 야위었지만 눈빛은 여전히 맑았다.

 

바지 뒷주머니에 소주 두병을 차고 다니다가 "내총 받아라."하며 쌍권총을 뽑아들던 전영선의 모습이 영화의 한장면처럼 떠올랐다.

 

그가 때늦게 결혼이란 걸 했을 때 내 낡아빠진 포니 승용차를 부부가 타고 스카이웨이를 돌았던 기억도 아직 생생하다.   


"내 얘기 들었지."하고 그는 스스럼없이 말을 걸어왔다. "이번이 세번째야"하며 히죽 웃었다. 죽을 고비를 세번째 넘었다는 얘기인데 그 익살맞은 웃음은 하나도 변한게 없었다.


가난하고 욕심없고 개구쟁이고 익살맞은 전영선. 취권으로 세상을 살았지만 바둑에는 뼈대가 있었던 전영선. 그의 얼굴을 보니 한국의 고추장 냄새 물씬 풍기는 田流가 떠올랐다.

 

세계를 제패한 한국류라고 하는 큰 강을 거슬러 올라가고 또 올라가면 산기슭 어디 한쪽에 田流라는 독특하고 재미있게 생긴 계곡이 있을거라는 생각이 들었다.

 

추천 비추천

1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가족과 완벽하게 손절해야 할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24 - -
15427 우리도 뒷맛을 노릴수있다 ㅎㅎ (입문자용) [3] 나눔과배려(118.220) 13.03.06 257 1
15425 [입문자행마2]넘버식스님 감사드립니다 꾸벅 ^^ 두번째 모양 보내드려요~ [5] 나눔과배려(118.220) 13.03.05 173 1
15423 [입문자행마]드라고 성공한거같아요... 시험중... [5] 나눔과배려(118.220) 13.03.05 200 0
15422 손해 안보고 정석으로 눈사태 피하는 방법 랄리랄리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03.04 182 0
15420 박정환 지겄다 ㅠ kg(220.79) 13.03.04 94 0
15419 한해 반짝하고 사라진 바둑기사 [4] (175.117) 13.03.04 624 2
15418 상대가 눈사태 정석으로 도전해 왔을경우 [2] (175.117) 13.03.04 319 1
15417 오호 바둑갤이 있었군요 [7] ㅁㄴㅇㄴㅁ(182.213) 13.03.04 179 0
15416 정환이.... 저오하니(119.199) 13.03.04 90 0
15414 드라고 아시는분께 질문좀 ㅠ 꾸벅 ~ [3] 나눔과배려(211.36) 13.03.04 97 0
15413 조혜연 9단~ 요즘 머하고 지내시나.. [4] 무릉도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03.03 339 0
15412 한게임은 급수가 어떻게되는거죠? 잇힝(115.143) 13.03.03 88 0
15410 이기는법을 까먹음 [4] 잇힝(115.143) 13.03.03 192 1
15409 농심배 3차전(상하이) --> 응씨배 결승전(상하이) 굿인데? [1] 코코넛(59.18) 13.03.02 104 0
15408 이창호 -- > 이세돌 --> 박정환 테크트리가 맞냐? [6] ㅁㄴㅇ(118.43) 13.03.02 434 0
15407 아;; [2] (112.149) 13.03.02 116 0
15404 입문자행마 시험용으로 하나 올려드려요~ [4] 나눔과배려(118.220) 13.03.02 257 2
15403 바둑갤님들께 질문드립니다 [3] 냠냠(118.36) 13.03.02 125 1
15401 적어도 바둑 분야는 최소한 다른 분야에 비해서 얼마나 머리를 써야하며 [7] 내재된 틀(1.231) 13.03.01 313 1
15400 ★☆★☆ 경 ★☆★☆ 축 ★☆★☆ 박정환 9단 맹활약, 농심배 한국우승! [3] 도라지로(58.148) 13.03.01 158 1
15399 바둑 한판 구경하기 힘드네 잇히(115.143) 13.03.01 114 0
15398 37수까지 진행됐네... 아직은 긴 바둑이겠지만 도라지로(58.148) 13.03.01 136 0
15397 나눔과배려 님 질문있습니다.^^;; [4] defm(59.12) 13.02.28 195 0
15396 박정환 농심배+응씨배 우승 가자~!! [2] 코코넛(59.18) 13.02.28 156 0
15393 바둑 재미있나요? [3] 픵픵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02.28 216 0
15392 서양 바둑인들의 장난감중 하나 Dots go [4] 초심자(1.229) 13.02.28 366 1
15391 아저씨들 간단한 사활 질문 좀 할게요 [8] 맄느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02.27 292 0
15390 하필 응씨배 하는 날이 고등학교 입학 날 ㅡㅡ [2] 고딩(119.199) 13.02.27 145 0
15389 아 박정환 지금 나오면 안되는데 -_-; [1] 코코넛(59.18) 13.02.27 160 0
15388 농심배 누가 대회진행 방식좀 알려줘라 농심배 홈페이지도 갔는데 알다가도 [62] d(116.127) 13.02.27 377 1
15386 혹시 체커라고 아십니까 대각선으로만 말을 움직이게 하는... [2] 내재된 틀(1.231) 13.02.27 243 0
15385 바둑두면서 예의범절을 배운다는것은 헛소리 [4] ㅠㅜ무(119.199) 13.02.27 295 0
15384 바둑둘때 눈사태 나오면 다들 어떻게 하심? [8] 코코넛(59.18) 13.02.27 302 0
15383 바둑판 부셔버리고싶다 [5] ㅠㅜ무(119.199) 13.02.26 285 0
15382 바둑갤 아저씨들아 바둑 시작하려는데 질문 좀 [5] 맄느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02.26 314 0
15381 바둑을 재밌어서 두고 싶네요. [6] 눈팅하는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02.26 163 1
15379 최철한이 농심배는 마무리 해줘야 함. [1] 코코넛(59.18) 13.02.26 118 1
15378 어제녹화있었는데.. [6] 눈팅하는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02.26 160 1
15377 바둑에서 입문자와 초고수의 실력격차는 몇 단계 정도? [5] 초심자(1.229) 13.02.26 423 2
15376 바둑 공부할때 책보면서 혼자서 두는것도 도움되나요? [4] cizen(175.210) 13.02.26 267 1
15375 다이긴거 진게 멘붕이구나 [6] 잇힝(180.229) 13.02.26 209 0
15374 바갤여러분 바둑교재좀 추천해주세요 [2] 트뤁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02.26 241 1
15373 넷마블 5단 찍었다.. [5] 바둑매니아(14.48) 13.02.25 315 0
15371 인터넷 유단자가 되고싶습니다. [10] 강만우구단팬(61.106) 13.02.25 341 1
15369 시니어프로와 시니어아마최강자 치수가 2점인걸로 보이던데 [1] (121.161) 13.02.25 172 1
15368 우리가게 손님중에서 한게임 1단이신분이 있는데요... [13] 나눔과배려(117.111) 13.02.25 502 0
15367 사람들이 왜 자꾸 두다가 나갈까요 ㅠㅠ [4] 잇힝(180.229) 13.02.24 184 0
15366 인터넷 기력과 현실 기력 비교.jpg [32] 코코넛(59.18) 13.02.24 3440 30
15365 기원 갔다 온 후기. [2] 김기원(119.199) 13.02.24 431 2
15363 바둑알 [4] 공공(58.233) 13.02.24 229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