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치매엔 바둑과 고스톱이 좋다??

옥상호출령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08.09.26 16:29:47
조회 451 추천 0 댓글 4


i_logosegye.gif
 

http://www.segye.com/Articles/Main.asp

고스톱·바둑이 치매 예방?…오해와 편견 바로잡기

독서·운동이 더 좋아요
 
◇대표적인 노인성 질환인 치매는 아직까지 그 원인이나 치료법이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초기에 발견해 약물 치료를 하면 호전될 수 있다. 또, 평소 독서 등을 통해 뇌 활동을 많이 하고 규칙적인 운동을 하면 치매를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게 전문의의 설명이다.




























◆치매에는 아직 약이 없다?

치매는 분명 아직까지 현대 의학으로는 완치가 불가능한 병이다. 노인성 치매(알츠하이머)는 원인을 알 수 없으므로 특별한 치료법도 아직 나와 있지 않다. 하지만 모든 치매가 이런 것은 아니다. 국내 치매환자 4명 중 1명에 해당하는 혈관성 치매는 비교적 노인성 치매보다 예방과 치료가 손쉽다.

혈관성 치매는 고혈압, 동맥경화 등 뇌혈관이 손상돼 발생하는 병이다. 혈압과 콜레스테롤 조절과 같은 뇌혈관 치료를 받으면 예방이 가능하다. 또한, 지연 치료도 충분히 가능하다. 기억력 감퇴와 같은 치매 증상이 뇌졸중 끝에 따라오거나 마비와 발음장애와 같이 다른 증상이 동반되면 혈관성 치매일 가능성이 크다.

뇌졸중이 반복되면 나타날 가능성이 커지므로 뇌졸중 조기치료만 잘 해도 충분한 치매 예방이 가능하다. 노인성 치매에도 치료는 어렵지만 약물 복용을 통해 악화를 늦출 수는 있다. 특히 최근에는 여러 가지 진단방법의 발달로 조기에 발견하는 것도 가능해졌다. 기억력을 비롯해 행동, 인지능력이 조금씩 떨어지는 단계인 경도인지장애(Mild Cognitive Impairment, MCI)에서는 약물요법 등으로 치매를 충분히 호전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도인지 장애는 치매선별검사(MMSE)라는 간단한 문답형 검사를 통해 1차적으로 파악이 가능하고 신경인지기능검사(SNSB)를 통하면 좀 더 정확한 구분이 가능하다.

이 시기에 약물 치료를 꾸준히 해주면 치매의 진행 속도를 평균 1∼2년 늦추며, 네 명 중 한 명 정도는 기억력이 좋아지는 효과를 보인다. 물론 자식의 얼굴을 알아보지 못할 정도로 증상이 심한 말기에는 별 도움이 되지 못한다.

◆건망증이 심한 사람이 치매에 걸리기 쉽다?

흔히 중년 이후에 자주 무엇을 잊어버리는 건망증의 증상이 생기면 치매의 초기 증상으로 알고 본인이나 가족이 병원을 찾기도 한다. 그러나 치매와 건망증은 원인부터 다르다는 게 전문의의 설명이다.

건망증은 기억이 일시적으로 잘되지 않는 현상이다. 그러나 치매는 판단력과 통찰력은 물론, 장소와 시간에 대한 전반적인 지적능력의 이상에서 온다. 작용하는 과정도 다르다. 건망증은 뇌의 신경 회로가 좋지 않을 때 나타나지만 치매는 뇌 신경조직 손상으로 일어난다. 치매는 나이가 들어 신경세포 파괴가 심해지면서 기억력과 판단력의 장애를 부르는 것이다. 이렇게 진행기전이 다른 만큼 원인도 차이가 있다. 예를 들면 자동차 키를 둔 장소를 자주 잊어버리면 건망증이지만 자동차 키의 용도에 대해서 생각이 나지 않으면 치매증상으로 볼 수 있다는 것이다.

현대인들의 건망증의 큰 원인 중 하나는 과다한 정보량이다. 또 특정한 주제나 일에 지나치게 신경을 많이 써도 건망증이 올 수 있다. 이것은 뇌 손상으로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해야 할 일이 많고 기억해야 할 약속도 많다 보니 잊어버리고 혼동이 생긴다.

이에 비해 치매는 외부충격에 따른 뇌세포의 손상이 퇴행성 변화가 원인이다. 이 때문에 건망증은 충분한 휴식을 취하면 회복되지만 치매는 쉰다고 해결되지 않는다. 기억회로의 이상은 수리가 가능하지만 회로를 구성하는 뇌세포의 손상은 복구가 어려운 것과 같은 원리다.

◆고스톱이나 바둑은 치매를 예방한다?

흔히 상식처럼 알고 있는 얘기다. 한때 이런 얘기들이 나돌면서 치매예방을 위해 고스톱을 못 치던 노인들조차 고스톱을 배우는 일도 있었다. 소문처럼 떠도는 고스톱 얘기가 전혀 근거가 없는 얘기는 아니다. 종합적인 지적능력을 요구하는 놀이는 치매예방에 좋은 방법일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연구 결과에 따르면 치매 예방에는 바둑이나 고스톱보다 독서가 훨씬 낫다는 결과가 나왔다.

노년 부부관계가 원만하지 못하거나, 빨래, 청소와 같은 단순 허드렛일을 하는 것도 치매의 발병 가능성을 높인다. 반면 하루 1시간 이상 독서를 한 사람들의 경우에는 치매 발병률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뿐만 아니라 젊은 시절부터 꾸준히 운동을 한 사람의 경우 치매 발병률이 낮다. 따라서 치매 예방을 위해서는 고스톱이나 바둑을 두는 것보다는 독서를 하고, 운동을 하는 것이 훨씬 바람직하다.

◆치매에 술은 무조건 해롭다?

술과 담배가 치매에 직접은 아니더라도 2차적 영향을 주는 건 확실하다. 물론 술이 치매에 좋지 않은 영향을 주는 건 확실하다. 이것은 술이 뇌세포를 파괴하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이다. 술을 많이 마시는 사람들은 알코올성 치매에 걸리기 쉽다. 하지만, 지나치지 않은 적당한 음주라면 오히려 치매 예방에 상당히 도움이 된다.

네덜란드 로테르담 에라스무스대학 의과대학의 브레텔 박사가 영국의 한 의학전문지에 발표한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매일 1∼3잔의 술을 마시는 사람은 술을 전혀 마시지 않는 사람에 비해 치매에 걸릴 확률이 절반 가까이 낮았다. 하루 1잔에서 3잔의 술을 마신 사람은 술을 전혀 마시지 않은 사람에 비해서 치매 위험이 42% 낮았고, 일주일에 한 잔 이상 마신 사람은 술을 전혀 마시지 않은 사람에 비해 25% 낮은 것으로 드러났다.

하지만, 하루 6잔 이상을 마시는 사람은 술을 전혀 마시지 않은 사람에 비해서 치매 위험이 1.5배 이상 더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적당한 술은 치매 예방에 도움이 되지만, 하루 6잔 이상이나 필름이 끊어질 정도의 지나친 음주는 뇌 손상을 불러 알코올성 치매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박태해 기자

pth1228@segye.com

〈도움말:채승희 세란병원 신경과장,

김성윤 서울아산병원 신경과 교수〉

■치매 자가진단 방법●과거에 있었던 일은 쉽게 기억나는데 최근에 있었던 일을 기억하는 데 애를 먹는가?

●대화나 TV 프로그램의 진행을 쫓아가기가 어려운가?

●친구나 일상적인 사물의 이름을 걸핏하면 잊어버리는가?

●말하고 읽고 쓰는 데 문제가 있나?

●결정이 잘 내려지지가 않는가?

●대화할 때 말을 반복하거나 자신이 무슨 말을 했는지 잊어버리는가?

●가게 같은 친숙한 장소에서 집으로 가는 길을 잊어버리는가?

●뭘 자꾸 잊어버리는 것이 불안하거나 우울하거나 화가 나는가?

●남들에게서 내가 건망증이 심하다는 얘기를 듣는가?*9가지 질문 중 하나라도 해당하고, 그 문제가 일상생활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면 의사를 찾아 상담하는 게 좋다.

자료:영국 알츠하이머병학회
 기사입력 2008.09.18 (목) 17:39, 최종수정 2008.09.19 (금) 15:44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cl_5.gif

http://www.segye.com/Articles/NEWS/CULTURE/Article.asp?aid=20080918002472&subctg1=&subctg2
</LI></UL>

 - 바둑 관련 기사 찾던중 발견한 기사, 보통 노인들 하루 5시간씩 고스톱 삼매경 이던데, 허당이었나요.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비난 여론에도 뻔뻔하게 잘 살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03 - -
12220 슈퍼인터바둑 [1] godming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8.19 1268 0
12218 인터넷 바둑 사람 수 많고 제일 강한 곳이 어디에요? [4] 못찾겠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8.19 284 0
12217 바투 규칙 질문합니다 [5] 나일한사람이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8.18 151 0
12215 혹시 네이버 '바둑감상'이라는 카페 아시는 분? [3] Novabadu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8.18 254 0
12211 어제 학원에서 페어바둑 뒀는뎅 [2] dd(122.44) 11.08.18 173 0
12210 여기 혹시 (공인) 아마단증 가진 사람있음? + 학원 다녔던 얘기 [6] (184.78) 11.08.18 356 0
12209 다이긴거 졌을때 스트레스 어떻게풀어야하죠? [8] 아.....(175.127) 11.08.17 244 0
12208 아직도 '두텁다'와 '발이 느리다'의 차이를 명확히 모르겠습니다. [7] Novabadu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8.17 353 0
12205 이세돌과 구리의 차이?? [4] 6급(123.143) 11.08.17 390 0
12204 joonki 사범이 싸움바둑이라는 오해에 대하여. [13] whoknow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8.17 538 0
12202 타이젬 고수 추천좀 해주세요. [5] 바둑꼬꼬마(118.176) 11.08.17 284 0
12199 실전 끝내기 최선의 수순은? [14] 은은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8.16 381 0
12197 아 온라인으로 바둑두면 왜이렇게 막두게되나 [38] ㅇㅇ(125.183) 11.08.16 474 0
12196 최정 대단하네여 [2] 노원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8.16 180 0
12195 요즘 온라인바둑은 전부 도박사이트화가 되어버려 안타깝네요. [8] 김철수.(222.235) 11.08.16 291 0
12194 전에 뒀던 바둑 봤더니 OME네요 -_-;; [6] 소인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8.15 208 0
12192 후지쯔배 다시보는 방법 있나요? [4] 호이(58.228) 11.08.15 133 0
12191 아유 맨날 실수만하네요 [2] 하수의한(125.136) 11.08.15 88 0
12190 바둑느는법 [2] 3할30홈런100타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8.15 316 0
12189 귀나 삼삼같은데 들어가서 사는 방법 모아놓은 책 없나여? [3] 훌륭한아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8.14 206 0
12188 이런 장면에서는 어떻게 응수를 해야 하나요? [9] Novabadu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8.14 305 0
12187 한국 바둑책은 살 필요가 없음 [6] 도ㅛ(59.26) 11.08.14 514 0
12185 박정환 대단하네 [3] (220.81) 11.08.14 350 0
12184 기본수법사전을 구입했습니다 [7] wikizero(61.72) 11.08.14 1000 0
12181 와 박정환... [3] 가네심미(14.52) 11.08.13 375 0
12173 엠게임은 기력 속이고 바둑두나 왜케 잘둬? [2] ㅁㅇㄴㄹㅇ(211.109) 11.08.13 267 0
12172 [감상] 천재기사 이세돌의 신의한수 [3] 마막장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8.13 688 0
12171 [감상] 조훈현 명국선/ 유창혁 명국선 [7] 마막장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8.13 639 0
12170 [감상] 이세돌 명국선 [2] 마막장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8.13 594 0
12168 기억에 남는 기보 1 - 조훈현 vs. 최철한 KT배 결승 3국 [5] 털남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8.13 266 1
12165 바둑TV 퀴즈극장 경품도 펑펑~ [1] quizman(203.248) 11.08.12 84 0
12163 안녕, 바둑 갤러리 여러분? [1] 봉호◕ܫ◕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8.12 73 0
12162 @ /) /) [1] ㅇㅇ(218.157) 11.08.12 43 0
12161 (ㅡ.ㅡ) [1] ㅇㅇ(218.157) 11.08.12 39 0
12160 동형반복실전사활을 공통사활신사전 정도로 대체 가능한가요? [4] Novabadu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8.12 812 0
12159 편강배 아마최강전 보는데, 아마 최강자들이 사활이 좀 약하네요. [3] Novabadu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8.12 139 0
12158 근데 조훈현은 제자가 이창호 하나뿐인가?? [5] K(184.78) 11.08.12 794 0
12157 저기 제가 바둑사이트를 잘 안가서 여쭤볼게 있는데요. [4] 내재된 틀(175.125) 11.08.11 161 0
12156 이야마 유타 오늘 대단하네요. [2] 가네심미(14.52) 11.08.11 265 1
12155 완전초보입니다..고수분들 좀 봐주세요.. [1] 222(116.39) 11.08.11 96 0
12153 '블루빔 프로젝트' 라는 그들의 계략에 대해 알고 잇냐? [1] (121.174) 11.08.11 82 0
12152 바갤에 자주 올라오는 무리수 응징 잘하는법에 대한 제 나름의 정리. [3] 치킨111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8.11 288 1
12151 천재성으로 따지면 조훈현>>>>>>>>>>>>>이창호>=이세돌인듯 [3] 6급(123.143) 11.08.11 626 0
12149 디씨에 바갤이 있엇어?!ㅋㅋ완전 동질감 느낀다ㅋ [1] 디씨에바갤이(222.121) 11.08.11 104 0
12147 이야마 유타 바둑은 신기하네요. [3] 소인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8.10 313 0
12145 궁금한게 있는데 일본은 왜 바둑에서 호구취급을 받나요? [3] ???(218.150) 11.08.10 280 0
12144 과거의 기사 vs 현대의 기사 [6] 가네심미(14.52) 11.08.09 492 0
12141 요즘 프로들은 백 잡는게 편하다는 이야길 많이 듣는거 같아요. [1] 가네심미(14.52) 11.08.09 143 0
12139 흑승률과 백승률의 차이가 현격하다면 무엇이 문제일까요? [9] Novabadu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8.09 384 1
12138 옛날 일본 고수들이랑 현대 프로랑 몇점 놓고 둘까요? [7] ㄷㄷㄷ(122.32) 11.08.09 390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