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노후의3대 리스크모바일에서 작성

생갤러(223.33) 2023.08.11 02:17:37
조회 541 추천 0 댓글 0


노후의 가족리스크 1 : 자녀리스크

1. 부모와 동거 중인 성인 캥거루족 30%나 돼!
‣ 성인이 되어 자립할 나이가 되었는데도 부모에게 경제적으로 기대어 동거하는 젊은이를 일컬어 ‘캥거루족’이라고 하는데 이들의 비율이 만만치가 않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최근 자료에 따르면 캥거루족이 19~49세 성인의 30%나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혼인상태별로 보면 ‘미혼 성인 자녀’가 캥거루족인 경우가 64%로 기혼 3%에 비해 압도적으로 높았고, ‘비취업’ 성인 자녀의 경우 44%가 캥거루족이었다.
‣ 캥거루족을 연령별로 살펴보면, 30대의 경우 절반 이상이고, 40~44세도 44%로 적지 않음을 알 수 있다. 경제적 요인(eg. 취업, 내 집 마련) 등으로 결혼을 늦추거나, 비혼을 선택하는 청년들이 늘어남에 따라 부모를 떠나는 나이도 점점 늦춰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지표이다.
af2de814ac19d09e572d79ad1fe82555_1661845696_0455.png

◎ 고령층의 대다수, 자녀 돌보고 싶지 않지만 현실은 15%가 자녀를 돌보고 있어!
‣ 라이나전성기재단이 만 55~74세 장노년층을 대상으로 조사한 ‘전성기 웰에이징 보고서’(2021.11)에서 가족 돌봄에 대한 인식이 눈에 띈다.  
‣ 응답자의 92%는 ‘앞으로 자녀를 돌볼 계획이 없다’고 답했지만, 현재 자녀를 돌보고 있는 비율이 15%로 ‘노부모(7%)’나 ‘손주(5%)’를 돌보고 있는 비율보다 2배 이상 높았다. 노년이 되어 이제는 돌봄 의무에서 벗어나고 싶지만 자녀와 노부모, 심지어 손주마저 돌보지 않으면 안되는 현실을 보여주고 있다.



노후의 가족리스크 2 : 부모간병 리스크




3. 한국인의 기대수명 83.5세, 건강수명 73.1세, 인생 마지막 10년은 아픈 상태로 누군가로부터의 돌봄이 필요한 시기!

‣ 통계청(‘국민 삶의 질’ 2021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인의 ‘기대수명(2020년 0세 기준)’은 83.5세로 조사됐다. 유병기간을 제외한 기대수명을 일컫는 ‘건강수명’의 경우 73.1세여서 ‘기대수명’과 10년의 차이를 보이고 있어, 인생의 마지막 10년은 아픈 상태로 살게 된다.





<img src='http://www.mhdata.or.kr/img/m_menu_bar.png' alt='Numbers'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 0px; padding: 0px; border-style: initial; vertical-align: middle; width: 26px;'><img src='http://www.mhdata.or.kr/img/m_logo01.png' alt='Numbers'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 0px; padding: 0px; border-style: initial; vertical-align: middle; width: 145px;'>
<img src='http://www.mhdata.or.kr/img/m_menu_sc.png' alt='검색버튼'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 0px; padding: 0px; border-style: initial; vertical-align: middle; width: 25px;'>





PDF 자료




후원
하기
<img src='http://www.mhdata.or.kr/img/kakao_icon.png' alt='kakao_icon'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 0px; padding: 0px; border-style: initial; vertical-align: middle; width: 50px; height: 50px; border-radius: 50%;'>
<img src='http://www.mhdata.or.kr/img/youtube_icon.png' alt='youtube_icon'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 0px; padding: 0px; border-style: initial; vertical-align: middle; width: 50px; height: 50px; border-radius: 50%;'>

158호-<노후의 3대 가족리스크>


2022-08-30 16:51  714 <img src='http://www.mhdata.or.kr/img/sns/twitter.png' alt='트위터로 보내기'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 0px; padding: 0px; border-style: initial; vertical-align: middle; width: 26px;'> <img src='http://www.mhdata.or.kr/img/sns/facebook.png' alt='페이스북으로 보내기'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 0px; padding: 0px; border-style: initial; vertical-align: middle; width: 26px;'> <img src='http://www.mhdata.or.kr/img/sns/vimeo.png' alt='비메오 링크 바로가기'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 0px; padding: 0px; border-style: initial; vertical-align: middle; width: 26px;'> <img src='http://www.mhdata.or.kr/img/sns/link.png' alt='클립보드 복사' title='클립보드 복사'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 0px; padding: 0px; border-style: initial; vertical-align: middle; width: 26px;'>



꼭 지켜주세요.

1)  본 자료는 무료로 볼 수 있지만, 저작권법에 따라 무단 전재, 복제, 배포를 금합니다.  

2) 본 자료는 저작권법을 준수하여 모든 통계 자료에 출처를 상세히 기록하고 있습니다.  

3) 자료 및 그래프를 인용하실 경우 연구소의 출처를 반드시 밝히시고  원자료 출처(생산자 및 소유자) 역시  밝혀야 합니다.

4) 본 자료의 PDF상의 그래프를 인용하실 경우 반드시 본 연구소 출처를 밝혀주셔야 합니다. (동영상, 서적 등 모든 자료)  




1. 주요내용 : [노후의 3대 가족리스크]

- 노후의 3대 가족리스크 : 자녀리스크, 부모간병, 황혼이혼




연령별로 행복지수를 살펴보면 50대 이후가 되면서 낮아지기 시작한다. 그도 그럴것이 회사에서의 퇴직, 본인의 건강문제, 부모 간병, 자녀 문제, 부부 갈등 등 여러 문제가 동시에 발생 되기 때문이다. 최근 동아일보에서 ‘독립하지 못하는 성인 자녀’, ‘갑자기 닥쳐오는 부모 간병’, ‘황혼이혼’ 리스크 등 ‘노후의 3대 가족 리스크’를 기획기사로 다루었다*. 성인이 되었지만 경제적인 요인 등으로 ‘캥거루족’이 된 자녀와 함께 살면서, 노환으로 병원에 계시는 노부모를 돌봐야 하는 ‘간병’의 길은 녹록지 않다. 또, 결혼한 지 20년 이상 되었지만 노후 30년은 자유롭게 살겠다며 결혼생활을 정리하는 중장년 부부도 부쩍늘어 지난해 이혼한 부부 10쌍 중 4쌍은 ‘황혼이혼’이다. 모두가 ‘가족’과 연결되어 있고, 무엇 하나 쉬운 문제가 없다.이번 <158호>에서는 앞서 언급한 ‘노후의 가족리스크’를 세 가지 주제로 나누어, 각 주제별(자녀리스크, 부모간병, 황혼이혼) 현황과 실태를 살펴보았다. 현재 5060세대가 직면한 주요 가족 문제 리스크를 조명해 보면서 교회의 중심 리더십 그룹인 이들의 삶에 대해 잠시 들여다 보고자 한다.


2. 최근 조사통계 언론보도

   1) 한국인의 중국 인식

<img itemprop='image' content='http://www.mhdata.or.kr/data/editor/2208/af2de814ac19d09e572d79ad1fe82555_1661845086_0425.png' src='http://www.mhdata.or.kr/data/editor/2208/af2de814ac19d09e572d79ad1fe82555_1661845086_0425.png' alt='af2de814ac19d09e572d79ad1fe82555_1661845086_0425.png' class='img-tag '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 0px; padding: 0px; border-style: initial; vertical-align: middle; max-width: 100%; width: auto; height: auto;'>



노후의 가족리스크 1 : 자녀리스크




1. 부모와 동거 중인 성인 캥거루족 30%나 돼!

‣ 성인이 되어 자립할 나이가 되었는데도 부모에게 경제적으로 기대어 동거하는 젊은이를 일컬어 ‘캥거루족’이라고 하는데 이들의 비율이 만만치가 않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최근 자료에 따르면 캥거루족이 19~49세 성인의 30%나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혼인상태별로 보면 ‘미혼 성인 자녀’가 캥거루족인 경우가 64%로 기혼 3%에 비해 압도적으로 높았고, ‘비취업’ 성인 자녀의 경우 44%가 캥거루족이었다.

‣ 캥거루족을 연령별로 살펴보면, 30대의 경우 절반 이상이고, 40~44세도 44%로 적지 않음을 알 수 있다. 경제적 요인(eg. 취업, 내 집 마련) 등으로 결혼을 늦추거나, 비혼을 선택하는 청년들이 늘어남에 따라 부모를 떠나는 나이도 점점 늦춰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지표이다.

<img src='http://www.mhdata.or.kr/data/editor/2208/thumb-af2de814ac19d09e572d79ad1fe82555_1661845696_0455_835x349.png' alt='af2de814ac19d09e572d79ad1fe82555_1661845696_0455.png' class='img-tag '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 0px; padding: 0px; border-style: initial; vertical-align: middle; max-width: 100%; width: auto; height: auto;'>



◎ 고령층의 대다수, 자녀 돌보고 싶지 않지만 현실은 15%가 자녀를 돌보고 있어!

‣ 라이나전성기재단이 만 55~74세 장노년층을 대상으로 조사한 ‘전성기 웰에이징 보고서’(2021.11)에서 가족 돌봄에 대한 인식이 눈에 띈다.  

‣ 응답자의 92%는 ‘앞으로 자녀를 돌볼 계획이 없다’고 답했지만, 현재 자녀를 돌보고 있는 비율이 15%로 ‘노부모(7%)’나 ‘손주(5%)’를 돌보고 있는 비율보다 2배 이상 높았다. 노년이 되어 이제는 돌봄 의무에서 벗어나고 싶지만 자녀와 노부모, 심지어 손주마저 돌보지 않으면 안되는 현실을 보여주고 있다.

<img src='http://www.mhdata.or.kr/data/editor/2208/thumb-af2de814ac19d09e572d79ad1fe82555_1661845704_2319_835x375.png' alt='af2de814ac19d09e572d79ad1fe82555_1661845704_2319.png' class='img-tag '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 0px; padding: 0px; border-style: initial; vertical-align: middle; max-width: 100%; width: auto; height: auto;'>



2. 한국의 부모, ‘노후에 자녀에게 손 벌리고 싶지 않다’ 95%!

‣ 한국인들은 노후에 자녀의 부양에 대해 어떤 생각을 하고 있을까? 이와 관련 5060세대에게 두 가지 질문을 하였다. ‘나는 노후에 내 자식에게 손을 벌리고 싶지 않다’에 대해 전체 응답자의 95%가 동의했고, ‘추후 재산 상속보다 현재 자녀의 부모 부양비를 덜어주는 것이 낫다’에 대해 87%가 동의했다.

‣ 이는 한국의 부모들이 정작 자신들은 노후 대비를 하지 못하고 있지만(노후준비율 31%), 자신들의 노후생활에 있어 자녀들에게 짐이 되지 않기를 원하는 마음이 강함을 보여주는 데이터이다.

<img src='http://www.mhdata.or.kr/data/editor/2208/thumb-af2de814ac19d09e572d79ad1fe82555_1661845712_8455_835x344.png' alt='af2de814ac19d09e572d79ad1fe82555_1661845712_8455.png' class='img-tag '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 0px; padding: 0px; border-style: initial; vertical-align: middle; max-width: 100%; width: auto; height: auto;'>



노후의 가족리스크 2 : 부모간병 리스크




3. 한국인의 기대수명 83.5세, 건강수명 73.1세, 인생 마지막 10년은 아픈 상태로 누군가로부터의 돌봄이 필요한 시기!

‣ 통계청(‘국민 삶의 질’ 2021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인의 ‘기대수명(2020년 0세 기준)’은 83.5세로 조사됐다. 유병기간을 제외한 기대수명을 일컫는 ‘건강수명’의 경우 73.1세여서 ‘기대수명’과 10년의 차이를 보이고 있어, 인생의 마지막 10년은 아픈 상태로 살게 된다.

<img src='http://www.mhdata.or.kr/data/editor/2208/thumb-af2de814ac19d09e572d79ad1fe82555_1661845736_9114_835x492.png' alt='af2de814ac19d09e572d79ad1fe82555_1661845736_9114.png' class='img-tag '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 0px; padding: 0px; border-style: initial; vertical-align: middle; max-width: 100%; width: auto; height: auto;'>



4. 지난 10년간 사적 간병 수요 1.5배 증가, 간병비 2.2배 증가!

‣ 작년에 발간된 한국보건경제정책학회의 ‘보건경제와 정책연구’ 학술지에 실린 ‘사적 간병비 규모 추계와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정책적 시사점’ 논문을 보면, ‘유급 간병비’와 ‘가족 간병인’의 기회비용을 더한 ‘사적 간병비’ 규모는 2008년 3조 6,550억 원에서 2018년 8조 240억 원으로 10년 사이 2.2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사적 간병 수요도 점점 늘어나 2008년 5,774만 명(입원일 수를 기준으로 한 연 인원)에서 2018년 8,944만 명으로 1.5배 증가했다.

‣ 노후의 가장 큰 리스크로 불리우는 ‘간병 파산’이란 단어는 가족 간병 탓에 직장을 포기하거나 이혼, 심지어는 한계에 이르러 ‘간병 살인’까지 가는 모든 것을 아우른다.

‣ 간병은 경제적 문제로 연결되는데 병원비 외에 ‘유급 간병인’ 비용은 어떻게 될까? 일 평균 간병비는 2008년 52,000원에서 2018년 73,000원으로 뛰었고, 2021년에는 88,000원으로 상승했다.

Mz정신차려라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가족과 완벽하게 손절해야 할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24 - -
AD 보험상담은 디시공식설계사에게 받으세요! 운영자 24/02/28 - -
공지 생산직 갤러리 이용 안내 [10] 운영자 22.05.06 15452 4
217387 3..4. 생갤러(223.38) 17:39 0 0
217386 아줌마들은 다 직영 아내들임? 생갤러(223.39) 17:37 8 0
217384 앰코 메인트 정규직 vs ls 엠트론 계약직 [2] ㅇㅇ(14.37) 17:32 21 0
217383 현촉) 촉린이들 팁 준다 받아적어 [2] 생갤러(118.235) 17:32 35 1
217381 일용직 시급은 언제까지 동결임? 생갤러(223.39) 17:30 9 0
217380 촉촉이들아 이번 성과급 받으면 뭐할거냐? [1] 생갤러(118.235) 17:30 37 0
217379 테스나 인기 왜 많은거냐 [1] ㅇㅇ(223.62) 17:30 17 0
217376 현촉 6개월 후기 [2] 생갤러(118.235) 17:23 76 0
217375 차이나나요? 생갤러(118.217) 17:23 23 0
217374 파리크라상 240일차 퇴근 생갤러(222.233) 17:22 10 0
217373 전문대나와서 대기업생산진가는게빡세냐 [1] 생갤러(210.205) 17:19 43 0
217372 현촉 연장없다 ㅅㅂ [11] ㅇㅇ(106.101) 17:18 107 0
217369 현촉 면접 많이떨어짐? [2] ㅇㅇㅇㅇㅇㅇ(115.22) 17:11 52 0
217368 현기차 생산직 부서 꿀순위가 어찌됨 [4] 생갤러(106.102) 17:09 70 0
217367 촉촉이 기차타다 인명사고 나면 보험처리 됨? [1] 생갤러(223.39) 17:09 25 0
217366 근로장려금 개꿀ㅋㅋㅋ 생갤러(14.35) 17:09 63 0
217364 테크젠 위아애들 도대체 언제빠지냐 생갤러(117.111) 17:06 26 0
217362 촉촉이 실수 하루에 존나 많이 하는데 어카냐 [10] 생갤러(223.39) 17:00 102 0
217360 앰코 세자리수 채용?? 저기 추노 많이함? [3] 생갤러(106.102) 17:00 53 0
217359 7월 타결은 물건너 간듯 [1] ㅇㅇ(211.36) 16:56 105 0
217357 시발 념글 볼만한게 없네 [1] ㅇㅇ(222.236) 16:53 23 0
217356 안성의 샘숭 케이씨텍 현직자느님이시다 [10] 생갤러(106.101) 16:53 48 0
217353 김밥 유리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6:50 12 0
217352 앰코 팡주 오퍼뽑네 남자되냐? 생갤러(118.235) 16:46 19 0
217349 근데 생산직 생각하는 애들한테 말해주자면 [3] ㅇㅇ(1.253) 16:41 76 0
217348 2013년도구미도진이엔지 다닌분 [1] 생갤러(121.183) 16:40 20 0
217347 노텍이는 가성비루트 3-4개월이상다니면 병신이다 [1] 생갤러(110.70) 16:39 50 0
217345 티엘비 재입사 판례 없냐? [1] 생갤러(223.62) 16:35 36 0
217344 아 집도 못가고 머하노 현차뜰딱들 [2] ㅇㅇ(223.39) 16:34 83 1
217343 교섭 결과 [2] 생갤러(223.39) 16:30 169 0
217341 구노텍 약직도 헬스장 이용가능해? [1] 생갤러(223.39) 16:28 51 0
217340 제지공장 힘듬? [3] 생갤러(118.235) 16:24 80 0
217338 안산 새솔..ㅋㅋㅋ 생갤러(59.86) 16:22 37 0
217336 파업ㅈㄴ하자 난 어차피 내년 추석까지 계약이야ㅋ [1] ㅇㅇ(223.39) 16:16 113 0
217334 파노택 지원하면 붙냐 [3] 생갤러(211.118) 16:11 66 0
217333 오늘 교섭 끝났네 생갤러(124.216) 16:11 119 0
217332 현촉 시바 치킨 누가 간장이라했냐 [3] ㅇㅇ(223.39) 16:08 124 0
217331 현촉같은거땜에 앰생새끼들 주제파악이 안됨 [3] 생갤러(223.39) 16:07 78 0
217329 생산 2교대면 월급 얼마가 맞음? [4] 생갤러(106.101) 16:04 66 0
217328 이노텍 재입사 [6] 생갤러(211.235) 16:03 102 1
217327 직영 면상에 가래침 뱉고싶네 [4] 생갤러(223.39) 16:01 89 0
217326 앰코 화상면접봣는데 [3] ㅇㅇ(14.47) 15:59 92 0
217324 촉촉이 여름휴가 얼마나 줌? [4] 생갤러(223.39) 15:58 108 0
217323 코스맥스 면접 가기만하면 합격이냐 [2] ㅇㅇ(118.235) 15:57 31 0
217322 궁금한게 촉탁 휴기때 임금 0원임? [5] ㅇㅇ(211.36) 15:56 111 0
217321 촉탁 인스타 계약 만료일 특 [4] ㅇㅇ(223.39) 15:53 190 2
217320 요즘 현촉 진짜 면접 빡세짐? [3] ㅇㅇ(211.36) 15:52 114 0
217318 현촉 연장 계약 거부잔데 [3] 생갤러(211.229) 15:50 157 0
217317 여친이 갑자기 차단했는데 왜이런건지 알려주세요 [3] 임효준(118.103) 15:49 127 2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