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노후의3대 리스크모바일에서 작성

생갤러(223.33) 2023.08.11 02:17:37
조회 538 추천 0 댓글 0


노후의 가족리스크 1 : 자녀리스크

1. 부모와 동거 중인 성인 캥거루족 30%나 돼!
‣ 성인이 되어 자립할 나이가 되었는데도 부모에게 경제적으로 기대어 동거하는 젊은이를 일컬어 ‘캥거루족’이라고 하는데 이들의 비율이 만만치가 않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최근 자료에 따르면 캥거루족이 19~49세 성인의 30%나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혼인상태별로 보면 ‘미혼 성인 자녀’가 캥거루족인 경우가 64%로 기혼 3%에 비해 압도적으로 높았고, ‘비취업’ 성인 자녀의 경우 44%가 캥거루족이었다.
‣ 캥거루족을 연령별로 살펴보면, 30대의 경우 절반 이상이고, 40~44세도 44%로 적지 않음을 알 수 있다. 경제적 요인(eg. 취업, 내 집 마련) 등으로 결혼을 늦추거나, 비혼을 선택하는 청년들이 늘어남에 따라 부모를 떠나는 나이도 점점 늦춰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지표이다.
af2de814ac19d09e572d79ad1fe82555_1661845696_0455.png

◎ 고령층의 대다수, 자녀 돌보고 싶지 않지만 현실은 15%가 자녀를 돌보고 있어!
‣ 라이나전성기재단이 만 55~74세 장노년층을 대상으로 조사한 ‘전성기 웰에이징 보고서’(2021.11)에서 가족 돌봄에 대한 인식이 눈에 띈다.  
‣ 응답자의 92%는 ‘앞으로 자녀를 돌볼 계획이 없다’고 답했지만, 현재 자녀를 돌보고 있는 비율이 15%로 ‘노부모(7%)’나 ‘손주(5%)’를 돌보고 있는 비율보다 2배 이상 높았다. 노년이 되어 이제는 돌봄 의무에서 벗어나고 싶지만 자녀와 노부모, 심지어 손주마저 돌보지 않으면 안되는 현실을 보여주고 있다.



노후의 가족리스크 2 : 부모간병 리스크




3. 한국인의 기대수명 83.5세, 건강수명 73.1세, 인생 마지막 10년은 아픈 상태로 누군가로부터의 돌봄이 필요한 시기!

‣ 통계청(‘국민 삶의 질’ 2021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인의 ‘기대수명(2020년 0세 기준)’은 83.5세로 조사됐다. 유병기간을 제외한 기대수명을 일컫는 ‘건강수명’의 경우 73.1세여서 ‘기대수명’과 10년의 차이를 보이고 있어, 인생의 마지막 10년은 아픈 상태로 살게 된다.





<img src='http://www.mhdata.or.kr/img/m_menu_bar.png' alt='Numbers'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 0px; padding: 0px; border-style: initial; vertical-align: middle; width: 26px;'><img src='http://www.mhdata.or.kr/img/m_logo01.png' alt='Numbers'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 0px; padding: 0px; border-style: initial; vertical-align: middle; width: 145px;'>
<img src='http://www.mhdata.or.kr/img/m_menu_sc.png' alt='검색버튼'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 0px; padding: 0px; border-style: initial; vertical-align: middle; width: 25px;'>





PDF 자료




후원
하기
<img src='http://www.mhdata.or.kr/img/kakao_icon.png' alt='kakao_icon'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 0px; padding: 0px; border-style: initial; vertical-align: middle; width: 50px; height: 50px; border-radius: 50%;'>
<img src='http://www.mhdata.or.kr/img/youtube_icon.png' alt='youtube_icon'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 0px; padding: 0px; border-style: initial; vertical-align: middle; width: 50px; height: 50px; border-radius: 50%;'>

158호-<노후의 3대 가족리스크>


2022-08-30 16:51  714 <img src='http://www.mhdata.or.kr/img/sns/twitter.png' alt='트위터로 보내기'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 0px; padding: 0px; border-style: initial; vertical-align: middle; width: 26px;'> <img src='http://www.mhdata.or.kr/img/sns/facebook.png' alt='페이스북으로 보내기'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 0px; padding: 0px; border-style: initial; vertical-align: middle; width: 26px;'> <img src='http://www.mhdata.or.kr/img/sns/vimeo.png' alt='비메오 링크 바로가기'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 0px; padding: 0px; border-style: initial; vertical-align: middle; width: 26px;'> <img src='http://www.mhdata.or.kr/img/sns/link.png' alt='클립보드 복사' title='클립보드 복사'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 0px; padding: 0px; border-style: initial; vertical-align: middle; width: 26px;'>



꼭 지켜주세요.

1)  본 자료는 무료로 볼 수 있지만, 저작권법에 따라 무단 전재, 복제, 배포를 금합니다.  

2) 본 자료는 저작권법을 준수하여 모든 통계 자료에 출처를 상세히 기록하고 있습니다.  

3) 자료 및 그래프를 인용하실 경우 연구소의 출처를 반드시 밝히시고  원자료 출처(생산자 및 소유자) 역시  밝혀야 합니다.

4) 본 자료의 PDF상의 그래프를 인용하실 경우 반드시 본 연구소 출처를 밝혀주셔야 합니다. (동영상, 서적 등 모든 자료)  




1. 주요내용 : [노후의 3대 가족리스크]

- 노후의 3대 가족리스크 : 자녀리스크, 부모간병, 황혼이혼




연령별로 행복지수를 살펴보면 50대 이후가 되면서 낮아지기 시작한다. 그도 그럴것이 회사에서의 퇴직, 본인의 건강문제, 부모 간병, 자녀 문제, 부부 갈등 등 여러 문제가 동시에 발생 되기 때문이다. 최근 동아일보에서 ‘독립하지 못하는 성인 자녀’, ‘갑자기 닥쳐오는 부모 간병’, ‘황혼이혼’ 리스크 등 ‘노후의 3대 가족 리스크’를 기획기사로 다루었다*. 성인이 되었지만 경제적인 요인 등으로 ‘캥거루족’이 된 자녀와 함께 살면서, 노환으로 병원에 계시는 노부모를 돌봐야 하는 ‘간병’의 길은 녹록지 않다. 또, 결혼한 지 20년 이상 되었지만 노후 30년은 자유롭게 살겠다며 결혼생활을 정리하는 중장년 부부도 부쩍늘어 지난해 이혼한 부부 10쌍 중 4쌍은 ‘황혼이혼’이다. 모두가 ‘가족’과 연결되어 있고, 무엇 하나 쉬운 문제가 없다.이번 <158호>에서는 앞서 언급한 ‘노후의 가족리스크’를 세 가지 주제로 나누어, 각 주제별(자녀리스크, 부모간병, 황혼이혼) 현황과 실태를 살펴보았다. 현재 5060세대가 직면한 주요 가족 문제 리스크를 조명해 보면서 교회의 중심 리더십 그룹인 이들의 삶에 대해 잠시 들여다 보고자 한다.


2. 최근 조사통계 언론보도

   1) 한국인의 중국 인식

<img itemprop='image' content='http://www.mhdata.or.kr/data/editor/2208/af2de814ac19d09e572d79ad1fe82555_1661845086_0425.png' src='http://www.mhdata.or.kr/data/editor/2208/af2de814ac19d09e572d79ad1fe82555_1661845086_0425.png' alt='af2de814ac19d09e572d79ad1fe82555_1661845086_0425.png' class='img-tag '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 0px; padding: 0px; border-style: initial; vertical-align: middle; max-width: 100%; width: auto; height: auto;'>



노후의 가족리스크 1 : 자녀리스크




1. 부모와 동거 중인 성인 캥거루족 30%나 돼!

‣ 성인이 되어 자립할 나이가 되었는데도 부모에게 경제적으로 기대어 동거하는 젊은이를 일컬어 ‘캥거루족’이라고 하는데 이들의 비율이 만만치가 않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최근 자료에 따르면 캥거루족이 19~49세 성인의 30%나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혼인상태별로 보면 ‘미혼 성인 자녀’가 캥거루족인 경우가 64%로 기혼 3%에 비해 압도적으로 높았고, ‘비취업’ 성인 자녀의 경우 44%가 캥거루족이었다.

‣ 캥거루족을 연령별로 살펴보면, 30대의 경우 절반 이상이고, 40~44세도 44%로 적지 않음을 알 수 있다. 경제적 요인(eg. 취업, 내 집 마련) 등으로 결혼을 늦추거나, 비혼을 선택하는 청년들이 늘어남에 따라 부모를 떠나는 나이도 점점 늦춰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지표이다.

<img src='http://www.mhdata.or.kr/data/editor/2208/thumb-af2de814ac19d09e572d79ad1fe82555_1661845696_0455_835x349.png' alt='af2de814ac19d09e572d79ad1fe82555_1661845696_0455.png' class='img-tag '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 0px; padding: 0px; border-style: initial; vertical-align: middle; max-width: 100%; width: auto; height: auto;'>



◎ 고령층의 대다수, 자녀 돌보고 싶지 않지만 현실은 15%가 자녀를 돌보고 있어!

‣ 라이나전성기재단이 만 55~74세 장노년층을 대상으로 조사한 ‘전성기 웰에이징 보고서’(2021.11)에서 가족 돌봄에 대한 인식이 눈에 띈다.  

‣ 응답자의 92%는 ‘앞으로 자녀를 돌볼 계획이 없다’고 답했지만, 현재 자녀를 돌보고 있는 비율이 15%로 ‘노부모(7%)’나 ‘손주(5%)’를 돌보고 있는 비율보다 2배 이상 높았다. 노년이 되어 이제는 돌봄 의무에서 벗어나고 싶지만 자녀와 노부모, 심지어 손주마저 돌보지 않으면 안되는 현실을 보여주고 있다.

<img src='http://www.mhdata.or.kr/data/editor/2208/thumb-af2de814ac19d09e572d79ad1fe82555_1661845704_2319_835x375.png' alt='af2de814ac19d09e572d79ad1fe82555_1661845704_2319.png' class='img-tag '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 0px; padding: 0px; border-style: initial; vertical-align: middle; max-width: 100%; width: auto; height: auto;'>



2. 한국의 부모, ‘노후에 자녀에게 손 벌리고 싶지 않다’ 95%!

‣ 한국인들은 노후에 자녀의 부양에 대해 어떤 생각을 하고 있을까? 이와 관련 5060세대에게 두 가지 질문을 하였다. ‘나는 노후에 내 자식에게 손을 벌리고 싶지 않다’에 대해 전체 응답자의 95%가 동의했고, ‘추후 재산 상속보다 현재 자녀의 부모 부양비를 덜어주는 것이 낫다’에 대해 87%가 동의했다.

‣ 이는 한국의 부모들이 정작 자신들은 노후 대비를 하지 못하고 있지만(노후준비율 31%), 자신들의 노후생활에 있어 자녀들에게 짐이 되지 않기를 원하는 마음이 강함을 보여주는 데이터이다.

<img src='http://www.mhdata.or.kr/data/editor/2208/thumb-af2de814ac19d09e572d79ad1fe82555_1661845712_8455_835x344.png' alt='af2de814ac19d09e572d79ad1fe82555_1661845712_8455.png' class='img-tag '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 0px; padding: 0px; border-style: initial; vertical-align: middle; max-width: 100%; width: auto; height: auto;'>



노후의 가족리스크 2 : 부모간병 리스크




3. 한국인의 기대수명 83.5세, 건강수명 73.1세, 인생 마지막 10년은 아픈 상태로 누군가로부터의 돌봄이 필요한 시기!

‣ 통계청(‘국민 삶의 질’ 2021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인의 ‘기대수명(2020년 0세 기준)’은 83.5세로 조사됐다. 유병기간을 제외한 기대수명을 일컫는 ‘건강수명’의 경우 73.1세여서 ‘기대수명’과 10년의 차이를 보이고 있어, 인생의 마지막 10년은 아픈 상태로 살게 된다.

<img src='http://www.mhdata.or.kr/data/editor/2208/thumb-af2de814ac19d09e572d79ad1fe82555_1661845736_9114_835x492.png' alt='af2de814ac19d09e572d79ad1fe82555_1661845736_9114.png' class='img-tag ' style='box-sizing: border-box; margin: 0px; padding: 0px; border-style: initial; vertical-align: middle; max-width: 100%; width: auto; height: auto;'>



4. 지난 10년간 사적 간병 수요 1.5배 증가, 간병비 2.2배 증가!

‣ 작년에 발간된 한국보건경제정책학회의 ‘보건경제와 정책연구’ 학술지에 실린 ‘사적 간병비 규모 추계와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정책적 시사점’ 논문을 보면, ‘유급 간병비’와 ‘가족 간병인’의 기회비용을 더한 ‘사적 간병비’ 규모는 2008년 3조 6,550억 원에서 2018년 8조 240억 원으로 10년 사이 2.2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사적 간병 수요도 점점 늘어나 2008년 5,774만 명(입원일 수를 기준으로 한 연 인원)에서 2018년 8,944만 명으로 1.5배 증가했다.

‣ 노후의 가장 큰 리스크로 불리우는 ‘간병 파산’이란 단어는 가족 간병 탓에 직장을 포기하거나 이혼, 심지어는 한계에 이르러 ‘간병 살인’까지 가는 모든 것을 아우른다.

‣ 간병은 경제적 문제로 연결되는데 병원비 외에 ‘유급 간병인’ 비용은 어떻게 될까? 일 평균 간병비는 2008년 52,000원에서 2018년 73,000원으로 뛰었고, 2021년에는 88,000원으로 상승했다.

Mz정신차려라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연예인 안됐으면 어쩔 뻔, 누가 봐도 천상 연예인은? 운영자 24/06/17 - -
AD 보험상담은 디시공식설계사에게 받으세요! 운영자 24/02/28 - -
112169 현차님덜 추석에 특근일정이 어케되나요 [3] ㅇㅇ(211.108) 23.09.18 193 0
112163 현촉 오늘도 결과 안뜨네 [11] ㅇㅇ(118.235) 23.09.18 372 0
112161 구미 애들은 왜 안산으로 오는지 잘 모르겠음 [9] ㅇㅇ(118.41) 23.09.18 306 0
112160 이노텍 입사기념 롤 닉 변경했다 [1] 생갤러(39.7) 23.09.18 264 0
112158 같이 일하는 형 러시아 여자 만날거라는데 [9] ㅇㅇ(182.213) 23.09.18 263 2
112157 노텍여자들 이쁘던데 [3] ㅇㅇ(58.239) 23.09.18 415 0
112156 고무백 28살 현철 포스코 가능? [8] 생갤러(220.93) 23.09.18 649 0
112155 월급은 마약이란말 뭔지알거같음 [5] ㅇㅇ(211.36) 23.09.18 264 2
112154 한전 직원들 이직 준비한다네 생갤러(115.23) 23.09.18 132 0
112153 현기 부도기원 ㅇㅇ(117.111) 23.09.18 33 0
112151 윤석열 대통령되고 취직 노무 쉽네 [1] ㅇㅇ(106.102) 23.09.18 212 3
112150 현촉중인대 차랑 [3] ㅇㅇ(117.111) 23.09.18 263 1
112149 오늘 회사 첫출근했다..첫출근해서 지금까지 일들 정리해봄 [3] 생갤러(117.111) 23.09.18 250 0
112148 면접불참하면 재지원할때 탈락시키는게 당연한건가 [2] ㅇㅇ(175.223) 23.09.18 209 0
112146 형들 [1] 생갤러(211.234) 23.09.18 99 0
112145 고무백 경상도 일하기 좋은지역 있냐 [29] 생갤러(223.39) 23.09.18 401 1
112143 요즘 못배운 현장직 갈라해도 대기업갈거면 기본자격증 스펙은 [3] ㅇㅇ(106.102) 23.09.18 246 0
112141 일한지 3주째인데 담탐 이해안감 [1] ㅇㅇ(211.234) 23.09.18 150 0
112140 노텍 와서 일하는 여자들 [5] 생갤러(222.112) 23.09.18 457 3
112139 본능은 대책없이 관두고 다른 곳 찾고싶은데 [3] ㅇㅇ(223.38) 23.09.18 87 0
112138 방진복 좃소 첫출근인데 존나애매하네ㅋㅋㅋㅋㅋㅋㅋ [10] 생갤러(118.235) 23.09.18 467 0
112136 너무 일찍왔네 [3] 생갤러(223.39) 23.09.18 135 0
112135 직업전문학교 교사 빡셈? 면접 가면 춤춰야 함? [1] 생갤러(211.58) 23.09.18 222 0
112134 이노텍 여자랑 일하면 정 ㅈㄴ 떨어짐 [12] ㅇㅇ(223.39) 23.09.18 3296 27
112132 아ㅅㅂ 토일출근임 생갤러(223.62) 23.09.18 41 0
112131 난 42살인데 호가 1억2천짜리 집 하나, 예금 4천, 15년된 중고차가 [3] 생갤러(211.36) 23.09.18 123 0
112130 나이 35살만 넘겨봐라.. 공무원만한 직업 없다 [3] 생갤러(115.23) 23.09.18 301 0
112129 에코프로 운영직 역검 결과 아직 안나왔냐 [2] ㅇㅇ(110.11) 23.09.18 107 0
112128 구노텍 입사관련 질문있습니다 [5] 생갤러(106.102) 23.09.18 255 0
112127 내인생은 어제부터 무너졌다 [1] 생갤러(110.70) 23.09.18 113 0
112126 파주 사는데 구미 이노텍 가기엔 ㅂㅅ임? 생갤러(106.101) 23.09.18 154 0
112125 이노텍 [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9.18 157 0
112124 텃세는 한국이 유독심한거 맞지? [3] ㅇㅇ(106.101) 23.09.18 199 1
112122 공장은 세금얼마나때나요?? [5] 생갤러(223.39) 23.09.18 207 0
112120 동서 안산공장 3조3교 주말쉰다는데 [2] 생갤러(116.41) 23.09.18 268 0
112118 틀딱새기들은 그냥 ㅇㅇ(117.111) 23.09.18 45 2
112117 입사지원넣고있다.. 생갤러(49.172) 23.09.18 63 0
112116 반도체 업무 12시간 내내 서서 일하는거임? [8] 생갤러(211.36) 23.09.18 268 0
112115 오늘 파노텍 입주인데 [2] 상륙작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9.18 267 1
112114 요즘 기본으로 자격증 뭐뭐따나?? [1] ㅇㅇ(223.39) 23.09.18 138 0
112113 진지빨고 cnc도 못할 수준이면 경계선 지능 그건데 [5] 생갤러(221.166) 23.09.18 356 0
112112 생산직 왤케 여미새가 많냐? [3] 생갤러(180.70) 23.09.18 348 0
112111 사출은 걸러라 [1] ㅇㅇ(124.50) 23.09.18 385 0
112110 정유사 교대해서 연봉 뻥튀기되서 그렇치 돈 존나 짬 [2] ㅇㅇ(106.102) 23.09.18 248 0
112108 좆소생산직특징 사람못살게굼 [4] 생갤러(223.39) 23.09.18 649 2
112107 윤통님 당선되고 확실히 사기업채용이 많아진거 체감함? [3] 생갤러(223.39) 23.09.18 94 0
112106 포스코 생산기술직 채용형 인턴이면 월급도 나옴? [3] 생갤러(106.246) 23.09.18 420 0
112105 25살에 전문대 입학하면 늦었음? [11] 생갤러(14.43) 23.09.18 259 0
112104 이노텍 구미든 파주든 계약 평균 몇개월까지.되냐 생갤러(106.101) 23.09.18 250 0
112103 현대제철 철근제강 지원했당.. [5] 생갤러(118.235) 23.09.18 421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