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무관심층과 전략적 스윙보터 사이, 2030 정치의 오늘과 내일앱에서 작성

정치마갤용계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4.04.28 19:40:02
조회 19255 추천 63 댓글 373

1ebec223e0dc2bae61abe9e74683706d2ea34483d2dfcbbab3c9c41446088c8b81413f9c0439f1153a9ff88cb3a9f2461d048da959749389a3c2

정치 무관심층, 무당층, 중도층···. 선거를 앞둔 시기마다 정치권과 언론이 2030 세대를 두고 하는 말이다.

이들의 표심 분석은 자주 엇갈린다. ‘스윙 보터’이니 적극 구애해야 한다는 진단 한편에 ​정치권에선 ‘뭘 원하는지 모르겠다’는 토로가 이어진다.​ 청년 정책이니 청년 공천이니 구호는 많지만 2030 투표가 그 때문에 크게 늘었단 증거는 찾기 어렵다. 반대로 “청년 정책 실종” 등 헤드라인이 붙을 때에도 그로 인해 청년층의 정치 무관심이 커지는지, 지지 정당을 바꾸게 되는지 알지 못한다. 경향신문은 4·10 총선이 마무리된 25~26일 정치학자·평론가에게 2030 정치 행태와 정치권의 대응을 물어봤다.

2030 투표율이 타 연령 대비 낮았다는 정황은 간접적이나마 데이터로 확인된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공개한 자료를 보면 20대의 사전투표율은 12.9%, 30대는 11.3%로 50대 22.5%, 60대 22.7% 대비 10%포인트 이상 낮게 나타났다. 2030은 선거 전 선관위가 한국갤럽에 의뢰해 진행한 유권자 2차 의식조사에서도 ‘​반드시 투표하겠다’는 질문에 전 연령대 중 가장 적게 응답한 인구집단이었다​(각각 50.3%와 68.8%).

이들의 무당층 비율이 높다는 분석 역시 확인 가능한 지표가 많다. 총선 1년을 앞두고 각종 여론조사에서는 2030 중 지지 정당이 없다거나 정하지 못했다는 취지의 응답은 한때 54%로 역대 최대치를 보였고, 슬슬 투표할 곳을 정하는 시기인 투표 1개월 전까지도 3분의 1 수준을 오갔다. ​이번 총선 비례대표 정당 지지도 출구조사 결과에서도 2030에선 특정 진영의 압도적 우세가 보이지 않았다.​

2030의 낮은 투표율은 정치 무관심의 결과일까.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그렇다”고 답했다. “​한국만의 현상은 아니고, 2030 세대는 전 세계 어느 나라에서든 정치 무관심도가 높게 나타납니다.​” 그는 특정 정당 충성도가 낮은 데다 이슈마다 개인 입장이 달라 정치적 쏠림 현상이 나타나기 어렵다며 2030의 스윙보터 경향도 무관심이 원인이라고 분석했다.

반면 한국사회여론연구소(KSOI) 소장을 지낸 이강윤 정치평론가는 “​투표를 안 하는 것도 정치적 행위​”라고 말했다. 낮은 투표율이 꼭 정치 무관심의 증거는 아니며, ​기성 정치권이 투표 효능감을 주지 못했다는 ‘적극적 부정 표현​’으로도 볼 수 있다는 취지다. 특히 이 평론가는 지금의 2030을 ‘​세월호 세대​’라고 규정했다. 정치권이 사태 수습을 못할 때 어떤 비극이 발생할 수 있는지부터 제 역할을 못한 대통령이 탄핵되는 장면까지, 정치의 중요성과 ​정치 참여의 효능을 10대·20대 젊은 나이에 보고 듣고 느낀 세대인 만큼 정치적 ‘무관심’ 내지 ‘무지’라는 표현은 타당하지 않다​는 주장이다.

무당층이 높은 2030의 투표 성향은 어땠을까. 4050이나 6070과 달리 쏠림 현상은 상대적으로 약하지만 ​일부 고정된 투표 흐름이 확인된다​는 분석도 나왔다. 2022년 대선 당시 나타난 이른바 ‘이대남·이대녀’ 현상, ​20대 남성의 보수화 경향과 20대 여성의 높은 민주당 지지율은 이번 총선에도 유지됐다​는 것이다. 차이라면 정권심판론 바람의 영향으로 ​남성 중에서도 조국혁신당 또는 개혁신당 지지자가 유의미한 수치로 나타났다​는 정도다. 여성은 민주당 내지 조국혁신당을 더 강하게 지지했다.

이와 관련해 이 평론가는 ‘​이준석 현상​’도 유의미한 변수라고 주장했다. 지난 대선 때 ​2030 남성의 윤석열 대통령 지지도가 높았던 것은 이준석 개혁신당 대표(당시 국민의힘 대표)에 대한 지지가 더해진 결과​였으며, 이번엔 그가 ​탈당 후 신당 창당에 나서면서 지지도가 분산됐다​는 주장이다. 이준한 인천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20대 여성 투표 성향도 “​이준석이 싫어서 똘똘 뭉쳐 (민주당 지지에서) 움직이지 않는 것​”으로 분석이 가능하다고 했다.

2030 투표 성향은 장기적으로 정치권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청년정책단체인 청년정치크루 이동수 대표는 “‘차마 한나라당은 못 뽑겠다’던 20년 전 2030(현 4050)과 달리, 지금의 청년층은 싫으면 반대쪽으로 돌아설 수도 있는, 정치적 유연함이 특징”이라고 말했다. 다만 “​2030 표심을 더 절박하게 잡아야 하는 건 보수 정당​”이라고 말했다. 6070세대는 나이가 들수록 숫자가 줄어드는 반면 전 세대 중 인구 규모가 가장 큰 ​4050 세대는 상대적으로 장기간 민주당의 높은 지지세를 이어갈 수 있다​는 것이다.

정치스타트업 뉴웨이즈 박혜민 대표는 “정치권은 20대 여성, 남성은 어디를 얼마만큼 지지했느냐보다 ‘​왜 20대 유권자 3분의 1은 끝까지 결정하지 못했을까’를 질문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2030의 관심 의제는 젠더만이 아니며 주거안정, 노동불안, 수도권 과밀화 등 문제 해결을 위한 아젠다를 잘 내놓는 정당이 있다면 표심이 얼마든지 이동할 수 있다고 본다. 박 대표는 “​2030이 정치에 무관심하다는 건 공급자 중심의 언어​”라며 “유권자가 듣고 싶은, 들리게 하는 정치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



1ebec223e0dc2bae61abe9e74683706d2ea34483d2dfcab2b7c3c41446088c8b4adcca6c7943e7fa637781efd1a4e86d74258534daaaa3297ee0

‘이대남=보수, 이대녀=진보’라는 공식은 오래되지 않았다. 2020년 4월15일 실시된 제21대 총선의 지상파 3사 출구조사에서 20대 이하 남성 47.7%는 지역구에서 더불어민주당을, 40.5%는 미래통합당(국민의힘 전신)을 지지했다. 30대 남성은 57.8%가 더불어민주당을, 33.0%가 미래통합당을 지지했다. 20대 이하 여성은 63.6%, 30대 여성은 64.3%가 더불어민주당을 지지했다. 당시만 해도 20대 남성 유권자들이 보수 정당으로 결집하는 ‘이대남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나지 않았다.

​2030세대 표심이 남녀에 따라 극명하게 갈린 건 2021년 4월7일 실시된 서울시장 보궐선거다.​ 방송 3사 출구조사를 보면 20대 이하 여성 유권자들의 박영선 더불어민주당 후보 지지율은 44%, 오세훈 국민의힘 서울시장 후보 지지율은 40.9%였다. 연령별·성별 분류에서 박 후보가 오 후보를 앞선 그룹은 20대 이하 여성과 40대 남성(박영선 51.3%, 오세훈 45.8%)뿐이었다. 20대 남성은 72.5%가 오세훈 후보에게 몰표에 가까운 지지를 보냈다.

​특히 주목받은 건 20대 이하 여성 유권자 15.1%가 소수정당·무소속인 ‘기타 후보’에 투표했다는 점이다.​ 20대 이하 남성(5.2%)에 비해 3배가량 높은 수치다. 당시 선거가 박원순 전 서울시장의 성추행 사건에서 비롯됐다는 점과 신지혜(기본소득당), 오태양(미래당), 김진아(여성의당), 송명숙(진보당), 신지예(무소속·팀서울) 등 성평등을 공약 전면에 내세운 ​페미니스트 후보가 다수 출마​한 점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됐다.

7ded8075b78b6bf737ebe9e546831b6fc5888261bc447440c8605d30696a89fb624ba14f04daf8a826a541c44d501b

2022년 제20대 대선에서 20대 남녀의 투표 격차는 최고조에 달했다.​ 여성가족부 폐지 등 젠더 이슈가 부상하며 58% 대 58%로 상반된 후보를 고른 것이다. 방송 3사 출구조사에 따르면 20대 이하 남성에서 윤석열 국민의힘 후보는 58.7%를 지지도를 보였고, 36.3%를 보인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를 큰 차이로 제쳤다. 반대로 20대 이하 여성에서는 이 후보 58.0%, 윤 후보 33.8%의 지지도를 각각 기록했다. 30대 남성은 이 후보 42.6%, 윤 후보 52.8%, 30대 여성은 이 후보 49.7%, 윤 후보 43.8%의 지지도를 보였다. 2030 여성의 결집은 최대 변수가 됐다. ​당시 국민의힘이 20대 남성을 끌어들인 세대포위론을 앞세웠으나,​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발표한 제20대 대통령 선거 투표율 분석 결과에 따르면 ​2030 여성이 2030 남성보다 연령별로 3.4~8.9%포인트 더 많이 투표한 것으로 나타났다.

7ded8075b78b6bf737ebe9e546821b6ffea022f9958200aaff3182dd4a8148fe142041c754d962622cf8f4a5a943dd14

올해 치러진 4·10 총선은 앞선 선거만큼 젠더 이슈가 두드러지지 않았다. ​국민의힘 지지율에서 코어 지지층으로 불리던 20대 남성 표가 빠지며 남녀 지지율 격차도 상대적으로 줄었다.​ 방송 3사 출구조사에 따르면 20대 남성 31.5%가 국민의힘 비례 위성정당인 국민의미래를 지지하며 ​2년 전 대선 당시 윤석열 후보 지지율과 비교해 27.2%포인트가 빠졌다.​ 민주당 비례 위성정당인 더불어민주연합에 투표했다는 20대 이하 남성은 26.6%로 나타났다. ​20대 이하 여성은 51.0%가 더불어민주연합을 지지했다.​ 이동수 청년정치크루 대표는 “​지난 대선 이후 여가부 폐지와 같은 갈라치기 전략에 대한 2030세대의 피로도도 읽힌다​”며 “​청년 여성층은 무당층 성향이지만 다소 진보적, 남성층 역시 무당층이지만 다소 보수적인 경향은 앞으로도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출처: 새로운보수당 갤러리 [원본 보기]

추천 비추천

63

고정닉 17

82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힘들게 성공한 만큼 절대 논란 안 만들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10 - -
이슈 [디시人터뷰] 웃는 모습이 예쁜 누나, 아나운서 김나정 운영자 24/06/11 - -
226206
썸네일
[유갤] <나혼산> 박나래 눈나...근황......jpg
[456]
ㅇㅇ(175.119) 04.25 40901 83
226205
썸네일
[야갤] 올림픽공원 농구장에서 만난 어느 멋진 청년 ㄷㄷ..jpg
[83]
ㅇㅇ(45.90) 04.25 13872 53
226203
썸네일
[부갤] 우리나라 물가는 왜 이렇게 높을까?
[681]
테클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5 25796 369
226202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광기의 국산애니 유부녀월드컵 최신순위
[368]
ㅇㅇ(121.152) 04.25 50102 257
226201
썸네일
[도갤] 현재 ㅈ됐다는 GTX-A 근황
[324]
ㅇㅇ(185.114) 04.25 31788 142
226199
썸네일
[A갤] 흥미] 일본 방송에서 조사한 시대별 애니송 순위 . RANK
[216]
히토미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5 15323 101
226198
썸네일
[중갤] "성인 페스티벌이 금지인 국가에서 의외로 금지하지 않는 것..."
[220]
시마시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5 26706 181
226195
썸네일
[싱갤] 현재 일본에서 논란인 어느 재일한국인의 고백
[51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5 29202 110
226193
썸네일
[미갤] [스압] 영국남자 새 시리즈 근황
[256]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5 23040 230
226191
썸네일
[대갤] 韓연구진 세계 첫 성공! 대기압에서 다이아몬드 만들었다
[401]
난징대파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5 23752 228
226190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동물들 속도를 체감해보자
[390]
ㅇㅅ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5 20655 227
226189
썸네일
[유갤] jm 일본 비자 받았다...jpg
[275]
ㅇㅇ(86.48) 04.25 33053 360
226188
썸네일
[무갤] "수명 다한 한국 경제"...외신이 지적한 뼈 아픈 현실
[509]
ㅇㅇ(118.43) 04.25 25704 194
226186
썸네일
[이갤] 고물가 속 저렴한 3천원 한끼 식품 인기
[22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5 26673 119
226185
썸네일
[케갤] 어도어 탈취 계획ㅋㅋㅋ
[440]
romma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5 32978 391
226182
썸네일
[새갤] 민주 "영수회담 진정성 의심" 대통령실 "소통부터"
[164]
정치마갤용계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5 7353 22
226181
썸네일
[나갤] 작년 중순까지 800% 폭등했던 짐바브웨 증시 근황..
[143]
운송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5 21739 148
226179
썸네일
[A갤] 해피일본뉴스 115
[68]
더Informe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5 7337 59
226178
썸네일
[퓨갤] WPA로 보는 KBO 하이라이트 (04.24)
[11]
홍성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5 6262 21
226177
썸네일
[싱갤] 전직 연구원 "전자담배 발명 보상금 2조8천억 달라"
[341]
초속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5 23576 169
226175
썸네일
[중갤] 로아 또 기모노로 ㅈㄹ났네 ㅋㅋㅋㅋ
[636]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5 40302 276
226174
썸네일
[기갤] 피자가 뭔지 모르는데 손자들 주려고 피자 만든 할머니.jpg
[487]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5 30359 524
226173
썸네일
[주갤] 념요청) 요즘 예비군 교육 내용보고 깜짝 놀란 여시...
[948]
주갤러(119.198) 04.25 33927 1130
226171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모닝지구촌 0425
[84]
모닝지구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5 14045 67
226169
썸네일
[이갤] 버스서 홀로 앉은 남성..."주요 부위 드러내고 음란행위"
[26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5 29972 75
226167
썸네일
[부갤] 시대에 역행하는 임대주택 정책 근황 ㅋㅋㅋ
[517]
시마시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5 21065 230
226166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국밥 평생 무료 이용권 받은 여고생
[496]
권유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5 32283 313
226165
썸네일
[금갤] 오박사님과 겜중독호소맘의 표정 주고받기
[281]
금쪽이(113.190) 04.25 24090 208
226163
썸네일
[코갤] 민주당, '금투세 유예' 가닥ㄷㄷㄷㄷㄷㄷㄷㄷㄷㄷㄷㄷㄷㄷㄷㄷㄷㄷㄷㄷ
[552]
Carmichae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5 20787 486
226162
썸네일
[야갤] '유니폼이 수치'…술 취한 축구팬, 기내 난동.jpg
[5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5 12262 13
226161
썸네일
[새갤] "비가 너무 와" 하소연에도‥"수색 정상 실시"d
[394]
정치마갤용계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5 15874 193
226159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되팔렘 차단한 넥슨행사.png
[349]
ㅇㅇ(183.99) 04.25 44649 403
226158
썸네일
[야갤] 불길 활활 치솟는데... 시내 달린 불타는 열차.jpg
[109]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5 14635 37
226157
썸네일
[새갤] 주최측 “천하람 정치적으로 뜰려고 성인페스티벌 이용한다”
[286]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5 19384 319
226155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냉혹한 유희왕의 세계
[429]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5 31392 348
226153
썸네일
[디갤] 여기 진짜 장비갤 아니고 사진갤 맞음?
[46]
머레이코미디는주관적인거라고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5 6793 19
226151
썸네일
[야갤] 야준석…이번에는 찢재명 25만원 저격 떴다 ㅋㅋㅋㅋㅋ
[1096]
bbb(211.36) 04.25 39914 1938
226150
썸네일
[케갤] 하이브, 민희진 오늘 고발…“대화록 물증 입수했다” + 블라인드 타임라인 정리
[613]
버랜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5 26164 264
226148
썸네일
[싱갤] 전문대생과 동기라 자괴감 든다는 인서울대생.jpg
[525]
ㅇㅇ(1.225) 04.25 33429 136
226146
썸네일
[주갤] 한국 소금공장'초유의 사태' 터짐 ㅋㅋㅋ
[635]
주갤러(203.205) 04.25 34936 299
226145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AI가 찾아낸 플라톤의 무덤 위치
[192]
니지카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5 27047 196
226143
썸네일
[헌갤] 지정 헌혈 첫 경험 - 125회차 아미커스 - 다종 (헌카 미아)
[63]
길콩이(175.125) 04.25 6096 40
226141
썸네일
[디갤] 두근두근 디붕이 첫 업로드, 홍콩 사진 낭낭하게 10장.
[18]
디붕이(59.15) 04.25 4134 31
226140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개원의가 말하는 실제 의사 연봉
[545]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5 53848 437
226138
썸네일
[카연] 유니버셜 조인트. 24화
[19]
마포대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5 4997 16
226135
썸네일
[오갤] 근본을 찾아서 #1 - 다이버의 근본
[57]
모주에서부곡하와이한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5 8474 55
226133
썸네일
[싱갤] 우주 개발과 패러다임의 역사_32.
[14]
대한민국인디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5 6545 22
226131
썸네일
[우갤] 원조 국가대표 명마 당대불패를 알아보자
[18]
ㅇㅇ(58.127) 04.25 8351 34
226130
썸네일
[필갤] [나의 여행지] 두브로브니크
[34]
야루각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5 4252 34
226128
썸네일
[인갤] 게임 '플로렌스'에서의 감정 연출
[88]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4.25 14747 116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