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흥선대원군은 과연 전통건축의 구세주인가?앱에서 작성

BABO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4.06.14 07:50:02
조회 13938 추천 58 댓글 304

요즘 글을 거의 안쓰고 있는데, 경복궁 관련해서 말들이 많길래 경복궁을 중건한 인물인 흥선대원군에 대해 말해보려 함.

들어가기에 앞서 나는 흥선대원군에 대해 별 악감정이 없으며 오히려 그가 시행한 여러 개혁정책들은 꽤나 효과적이었다고 생각함. 하지만 그는 경복궁 중건이라는 큰 실수를 했고, 결과적으로 이것으로 인해 고종에게 권력을 넘겨주게 되었음.

7fed8275b4836bf651ee87e141847673ec0b566712db831af5b6f6c412608dd6

[광화문과 북악산]

다만 내가 이 글에서 말하고자 하는 부분은 오로지 문화재와 건축에 국한된 부분이지 이것으로 흥선대원군에 대한 비판을 하려고 하는 것은 아님. 역사에 가정은 없기에 그가 집권하지 않았다 하더라도 그 문화재들이 지금 남아 있었을지 여부는 알 수 없음. 다만, 흥선대원군에 대해 경복궁을 중건했다는 사실만으로 치켜세우는 것은 전체를 보지 못한 부분이라고 생각함.

7fed8272b58469f551ee86e64f857173e17fdd45860321d060e42aadad0a181e

a15f00aa371fb34b9b3304499a35d8b152fcf212c092bc926cc32bdfcd5c9fba83d5

7fed8272b58469f551ee86e145857473dae9d06afe4ef40949b66b84991392af

a16410ab0636b44292332d4558db343aad016bdae40250d9f82892ca

[안동 호계서원, 산청 덕천서원, 안동 묵계서원, 밀양 칠탄서원. 사진 : 문화재청]

흥선대원군이 실시한 가장 대표적인 정책은 서원철폐령이었음. 서원은 조선시대에 지방권력을 틀어쥐고 갖은 횡포를 부리고 있어 지방 관아에서도 어쩔 수 없이 놔두고 있었음. 특히나 세도정치기 삼정의 문란 등으로 백성들의 삶이 극도로 궁핍해져 가고 있던 상황에, 서원의 악행은 묵과할 수 없던 부분이었음. 따라서 흥선대원군은 47개소의 서원을 제외한 모든 서원을 훼철시킴.

정책적 측면을 떠나 문화재적 가치로만 접근하자면, 성리학을 이데올로기로 삼았던 조선에서 서원은 궁궐 다음으로 권위 있는 건축물이었고, 또한 그 수도 많았기에 당시에 1000개소가 넘던 서원을 극소수만 남기고 모조리 없앴다는 것은 조선 건축의 한 뿌리가 사라진 것과도 같음. 훼철 이후 여러 서원들이 재건되었는데, 그 면모를 살펴보면 입지나 배치가 훌륭한 곳들이 많아 대원군에 정책에는 수긍하면서도 50년만 더 버티지 하는 생각도 들긴 함. 특히나 한국전쟁 중 서울 근교의 우저서원, 파산서원, 사충서원 등 남아있던 47곳 중에서도 소실된 것이 많은 점은 더욱 안타까움.

7fed8274b58569f351ee80e4478375739b7941b034dfda8d24370ba2b137721f

[경복궁 흥례문]

가장 중요한 부분은 경복궁임. 경복궁은 1592년 소실된 이후 몇몇 왕들이 찾기는 했으나 270년간 출입이 통제되어 있었음. 반대로 말하자면 조선 초기 궁궐의 형태가 온전히 남아있었음을 뜻함. 조선 초기는 경복궁-창덕궁 양궁 체제로 운영되었는데, 태종의 경우에는 창덕궁에서 주로 머물렀으나 세종 등의 경우에는 경복궁을 선호하였음.

따라서 경복궁에는 조선 초기, 특히 세종의 흔적이 많이 남아있었음. 세종조 집현전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많은 과학적 성과들의 흔적이 1865년까지 경복궁에 남아 있었는데, 옥루, 앙부일구 등이 설치되어 있던 흠경각과 일영대, 천문관측을 하는 장소였던 간의대 등이 남아 있었음.

그러나 경복궁 공사가 시작되며 이것들은 모조리 헐리고 말았음. 이를테면 간의대 옥석의 경우에는 근정전 뜰의 품계석으로 쓰였음.

또한 정조실록에 따르면 정조가 "(전략) 우리 나라에서 제일 웅장한 건축인데 지금껏 우뚝 솟아 있어 마치 영광전과 흡사하다."고 하였으며 같은 기록에서 경복궁 터를 다녀온 호조판서 심이지가 보루각 터를 둘러보았으며 흠경각은 들보와 서까래가 썩었다고 했는데, 이는 1794년의 기록임. 이 흠경각은 광해군 때인 1613년 재건한 것인데, 당시까지 남아있었던 것으로 보임. 다만 효종조 잠시 언급되었다가 이후 기록이 없는 것으로 보아 광해군이 폐위된 이후 전혀 관리가 되지 않았던 것 같음. 물론 정조 때에도 이미 상태가 그리 좋진 않았던 것 같지만, 중건 시점이 이로부터 70년 뒤이니 남아 있었을 가능성도 있음.

7fed8274b58569f351ee80e64182737311e8ff6e3c9f5b56e197250e3beb52ac

[경복궁 경회루]

흔히 조선 초기 경회루에 대해서는 돌기둥에 용 조각이 있었음에 주목함. 성종조에 조각된 이 돌기둥은 임진왜란 이후 방치되다가, 중건 시점에는 48개 중 3개만 서 있고 나머지는 무너져 있었다고 함.

중건 시점에서 용 조각에 대한 언급은 없지만, 돌기둥들이 화재로 상해 사용할 수 없는 상태라서 계체석으로 썼다고 적혀 있음. 아마도 경회루 기단의 돌들이 검게 변한 흔적이 있는 것으로 보아 옛 돌기둥들을 깎아 재사용한 것으로 보임.

물론 불에 탔다고 하더라도 조각은 분명 남아 있었을 것임. 그러나 이것들은 모두 다른 용도로 재사용되었기에 그 모습을 알 길이 없음. 현재의 돌기둥들은 삼청동과 송계별업 등지에서 새로 떼어 와 제작한 것들임. 가끔 가다 용 조각은 오래되서 지워진 것이라는 말을 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이것은 잘못된 정보임.

한편, 경복궁을 재건하던 당시 근정전과 경회루의 기단과 월대는 다시 제작되었음. 당시 기록을 보면 외형은 약간 손상이 있었으나 돌을 뜯어내니 안쪽은 물이 스민 흔적이 없이 완벽했다고 함. 기단 안쪽을 채우던 돌들은 그대로 사용했다고는 하나 월대와 기단은 새롭게 조성한 것으로, 조선 전기의 흔적이 아님.

a65614aa1f06b367923425499b3dc8b1fb3acfba698046f1ca6882e6b423bb3477246eac265d413467e6935bbbecc82d31f905

a65614aa1f06b367923425499b3dc8b1fb3acfba698046f1ca6882e6b423bb3471206eac265d413467e6935bbaefc42cd17a1d

a65614aa1f06b367923425499b3dc8b1fb3acfba698046f1ca6882e6b423bb354e695c55714bbaf863cc3010428edf07596997

[경희궁 흥화문과 숭정전. 사진 : e뮤지엄]

하지만 무엇보다도 큰 손실은 바로 경희궁임. 경희궁은 비록 직전 왕들인 헌종-철종조(1834-1864)에는 거의 사용하지 않았으나, 헌종 이전의 순조를 비롯하여 인조, 숙종, 영조 등 많은 임금들이 애용하던 궁궐이었음. 지금은 터조차 남아있지 않지만, 조선 후기에는 창덕궁과 경희궁 두 궁궐을 중심으로 운영되었으며, 남아있었다면 큰 역사적 가치를 가졌을 것임.

그러나, 경복궁을 중건하며 부재를 충당하기 위해 경희궁이 헐리게 되었음. 따라서 경희궁은 위 사진과 같이 5개 전각을 제외한 모든 건물들이 사라졌음. 막상 헐고 나니 상한 목재가 많아 대부분 사용하지 못했다고 함.

경희궁은 이후 망국 이전까지 이따금 군사를 사열하는 등의 장소로 쓰이다가 망국 이후 남은 건물들은 모조리 팔려나가고 그 터에는 서울고등학교가 들어섰음. 숭정전은 일본 사찰에 팔렸다가 지금은 동국대학교 정각원으로 쓰이고 있고, 정문인 흥화문은 이등박문(이토 히로부미)의 신사인 박문사의 정문으로 쓰이다가 해방 이후 그 자리에 들어선 신라호텔의 정문으로도 오래 서 있었음. 흥화문은 1988년이 되어서야 경희궁으로 되돌아왔으나, 옛 터에 구세군 건물이 들어서 있어 원래 자리는 되찾지 못했음.

참고로 박석 갖고도 시끄러운 거 같은데, 내 추정으로는 임란 이전까지는 박석이 없었을 것으로 보임. 현재 경복궁 내에서 박석이 사용된 장소는 근정전 앞마당뿐임. 그런데 영건일기에 따르면 경희궁과 안현(안국동고개. 현재 광화문에서 안국역으로 넘어가는 길)에 깔려 있던 박석들을 싸그리 철거해서 들고 왔고, 그것도 모자라 강화에서 새로 떼어 왔다고 함. 애초에 박석은 바닥에 까는 돌이니 조선 초기부터 있었다 한들 굳이 철거한 후 다시 깔 필요는 없어 보임.

7fed8274b58569f351ee81e5468476732ffb3fb40f557a8c3d872f0923e52233

중건 이후 고종은 30년도 안되는 경복궁 생활 동안 멀쩡한 침전 놔두고 구석에 들어가서 살다가 아관파천으로 경복궁은 이후 또 다시 폐허가 되었음. 군주의 위상을 세우겠다고 엄포한 고종은 또 다시 궁궐 공사를 시작했고, 여기에 더불어 평양의 풍경궁이나 안동별궁을 비롯해 각종 토목공사를 벌였음. 경운궁은 완공된 지 1년만에 전소되어 중층 중화전 건물을 단층으로 재건하는 촌극을 벌였고, 풍경궁은 완공도 못 한 상태에서 일본군이 러일전쟁 중 점거하여 돈낭비로 그쳤음. 언젠가 고종의 토목공사 욕심에 대하여 제대로 다루게 된다면 좀 더 자세하게 설명할 수 있을 것 같음.



어쨌든 이번 글에서는 경복궁 중건이라는 대역사를 벌인 흥선대원군에 대해 알아보았음. 물론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관광지가 된 경복궁이 없는 서울을 상상하기 어려움. 그러나 그것만으로 대원군을 찬양하는 것은 동전의 한쪽 면만을 바라보는 편협한 시각이 아닐 수 없음. 더군다나 그 역사적 맥락으로 살펴봤을 때, 경복궁 중건은 결과적으로 조선을 망국의 길로 이끈 시발점임. 21세기 대한민국에서 경복궁이 갖는 의미가 큰 것은 사실이지만, 그것을 19세기 조선에 그대로 대입하여 흥선대원군을 평가하는 것은 크나큰 잘못임.

- dc official App


출처: 도시 미관 갤러리 [원본 보기]

추천 비추천

58

고정닉 15

25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외모와 달리 술 일절 못 마셔 가장 의외인 스타는? 운영자 24/07/01 - -
240633
썸네일
[야갤] "병원 수액 좋아하는거 한심함".jpg
[1005]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9 42702 258
240631
썸네일
[이갤] 이대호가 현역시절 다시는 만나고 싶지 않았다는 투수.jpg
[255]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9 22367 188
240630
썸네일
[해갤] 제주 길거리서 아이 대변을…"중국인 엄마, 지적에도 무시"
[527]
해갤러(146.70) 06.19 19181 270
240629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한국의 핵무장 여론에 뜨끔한 중국 환구시보.jpg
[577]
ㅇㅇ(106.101) 06.19 31072 380
240627
썸네일
[러갤] 뇌과학자 - "대화가 힘들 정도로 숨이 찰 때까지 뛰어라"
[385]
태릉왕종아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9 27141 181
240626
썸네일
[무갤] "존잘남"이라는 신흥계급의 부상
[1419]
ㅇㅇ(183.100) 06.19 43967 610
240625
썸네일
[기갤] "1억 주면 조용히 있고"…점주들 백종원 압박.jp
[449]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9 27968 212
240622
썸네일
[디갤] 웃돈 씨게 주고 산 x100vi 들고 다녀온 첫 해외여행
[44]
봉디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9 6184 19
240621
썸네일
[퓨갤] "전설은 이게 전설" 류현진 8이닝 8K 무실점 위엄.gif
[120]
유동이미래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9 15041 169
240619
썸네일
[야갤] '20만이 죽는다해도 20년의 안정을 중국에서 5월 35일이 금지어가된이
[215]
나스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9 16697 183
240618
썸네일
[의갤] 뭐? 의대 증원하면 교육을 못한다고?? ㅋㅋㅋㅋㅋ
[508]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9 22087 561
240617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모닝지구촌 0619
[56]
모닝지구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9 13390 57
240615
썸네일
[갤갤] 잇섭 갤럭시 북4 엣지 영상 올라옴 ㅋㅋ(스왑)
[217]
정보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9 23302 104
240614
썸네일
[이갤] 영국 왕가에 대한 흥미로운 사실들...JPG
[317]
설윤아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9 18107 115
240613
썸네일
[1갤] 사망한 훈련병 어머니편지
[985]
쭈사랑(211.234) 06.19 25490 613
240611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인터넷 시대의 생활상을 예언한 26년전 애니
[230]
ㅇㅇ(112.161) 06.19 24980 207
240610
썸네일
[중갤] 일본 게임 업계는 어째서 몰락했는가?
[910]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9 26138 117
240609
썸네일
[중갤] 이재명 위증교사 녹음 공개 기념 대법판례&법리
[277]
찢죄명(114.207) 06.19 13791 270
240606
썸네일
[스갤] 보홀 다녀왔어요~ :)
[55]
갑오징어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9 7180 15
240605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신축 아파트 근황
[445]
이리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9 33240 260
240604
썸네일
[주갤] 요즘 육각형 남자 기준과 존재 확률.jpg
[895]
ㅇㅇ(223.38) 06.19 38309 373
240601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차량 뒤 혈액형 스티커가 쓸모없는 이유...jpg
[346]
빠요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9 21721 225
240600
썸네일
[이갤] 반민초단이 민초단으로 되는 과정...jpg
[308]
설윤아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9 19296 167
240598
썸네일
[인갤] 얼리엑세스 JOAT
[119]
HighFlyingBird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9 16943 110
240597
썸네일
[만갤] 복어조리사 자격없어도......복어손질 가능한 곳........jpg
[432]
pondic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9 24212 207
240596
썸네일
[싱갤] 레전드실화..아내의 내연남의 또다른 내연녀의 자백으로 발각된 살인
[67]
ㅁㅇㄹ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9 18595 88
240594
썸네일
[해갤] 오늘자 야구의신 이승엽 요약...jpgif
[236]
ㅇㅇ(220.65) 06.19 23759 487
240592
썸네일
[싱갤] 오싹오싹 군발두통의 아픔
[184]
뷰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9 25866 181
240590
썸네일
[코갤] 엔비디아 시총 1위 등극
[29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9 23446 160
240589
썸네일
[이갤] 삼계탕 비싸다고 저격했는데 한국인들에게 공감받지 못한 외국인.jpg
[349]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9 27301 146
240588
썸네일
[야갤] "7개월 아기가 있고 이혼 생각중입니다".jpg
[335]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9 28271 61
240586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청담동 미용실 근황
[429]
이게뭐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9 33306 617
240585
썸네일
[야갤] 소속사 대표...아이돌 멤버 폭행 ㄹㅇ...jpg
[319/1]
Adida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9 45621 337
240584
썸네일
[디갤] 어그로 없으면 개같이 묻힐 사진 12장
[26/1]
Look_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9 8870 29
240582
썸네일
[대갤] 日도쿄, 스시녀가 골프채로 남편을 때려 죽이고 체포당해 화제
[364]
난징대파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9 18483 174
240581
썸네일
[리갤] 뱅가드(Vanguard) 롤 도입 = 중국의 합법적 해킹
[586]
롤갤러(183.96) 06.19 45916 612
240579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일탈하는 수도자들
[156]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9 17739 121
240574
썸네일
[패갤] 패러독스의 게임 퍼블리셔 전환은 ㄹㅇ 실패란 증거...jpg
[99]
ㅇㅇ(125.131) 06.19 14102 111
240571
썸네일
[낚갤] 서헬단 낚게이 좌대동출 조행기
[32]
반격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9 5936 22
240568
썸네일
[일갤] (9) 오다이바를 여행하는 핑프를 위한 안내서
[39]
평범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9 8909 26
240565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미국에서 먹어볼수있는 다양한 튀김요리
[206]
그로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9 23528 50
240562
썸네일
[카연] 결정된 인류의 하소연에 대해
[64]
셋하나둘은둘셋하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9 13518 115
240559
썸네일
[디갤] RX100M4와 함께한 자전거 여행…webp
[15]
폐관수련파계승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9 3923 16
240556
썸네일
[이갤] AV 여배우가 말하는 한국 & 일본 차이 jpg
[508]
설윤아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9 48943 386
240553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미국 사우스다코타주 싱크홀.jpg
[92]
Secretpi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9 15889 77
240550
썸네일
[이갤] 대한민국 군인들 전투력 최고점 시절..JPG
[546]
leeloo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9 31773 193
240547
썸네일
[야갤] 실전에 강하지만 실전에 약한 유튜버
[189]
야갤러(45.12) 06.19 32656 65
240541
썸네일
[포갤] 싱글벙글 산울림 커버의 탄생
[55]
DDII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9 13177 117
240538
썸네일
[싱갤] 서양 옛날 사진 모음 ㄷㄷㄷ
[75]
ㅇㅇ(125.133) 06.19 16870 74
240535
썸네일
[디갤] 제주 나들이.webp
[15]
고바삭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9 6484 11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