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한국건축의 이해 - 10부 [탑파건축 각론 上]앱에서 작성

BABO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4.07.01 09:30:01
조회 6019 추천 34 댓글 38

이미 언급한 바 이번 글에서는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탑파건축의 흐름을 알아보려 함.

a14005aa0702072da1675d70c35dc6f13a105e2438c9a824ea0c4624529e16e63277940381e602a7644d8909788f382e296b9ee82f075d2adb5c

[익산 미륵사지 석탑(639), 국보 제11호. 사진 : 문화재청]

최초의 석탑이라고 할 수 있는 미륵사지(彌勒寺址) 석탑은 모든 부재가 목탑과 같이 조립식인 이른바 조립형 석탑이었음.

7fed8272b5846af751ee87e04f837773ee409a7a911dfd1f9dea7c1d0106252c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 국보 제9호. 사진 : 문화재청]

639-660년경 제작된 정림사지(定林寺지) 오층석탑은 여전히 조립형 석탑으로 미륵사지석탑을 계승했지만, 미륵사지석탑에서의 강한 모방성을 탈피하고 석탑으로서의 독창성과 추상성이 나타나기 시작했음.

7fed8272b58068f751ef8ee44e847d73f9f994525b1ad77507c9bd7da2bcf218

[경주 감은사지 동 · 서 삼층석탑(682), 국보 제112호]

통일신라 석탑의 출발점은 감은사지(感恩寺址) 삼층석탑임. 감은사는 신문왕이 자신의 아버지 문무왕을 기리기 위해 세운 사찰로, 문무왕릉이 보이는 언덕 위에 세워졌음. 정림사탑과 최소 22년의 격차가 있는데, '석탑'이라는 개념에 있어 어느 정도 영향을 받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듦. 감은사탑 또한 탱주와 면석 등 여러 부재를 결합한 '조립형 석탑'이었음.

7fed8272b5846af451ed86e5428372733c668bf2d57018ffb07c5a181253e7a9

[감은사지 동 삼층석탑 초층 옥개석. 사진 : 문화재청]

감은사탑은 최초의 신라계 석탑이었기에 목탑의 영향을 많이 받았음. 비록 목탑에 견줄 수는 없으나, 감은사탑은 최초의 석탑임과 동시에 가장 큰 규모의 통일신라계 석탑임. 이렇게 큰 규모는 제작하기도 어렵고 비효율적이기에 점차 작아지는 방향으로 변화하였음.

7fed8272b5846af451ed86e543807073bfb3485e90e48910897b47b35a4e579b

[감은사지 서 삼층석탑 노반. 사진 : 문화재청]

감은사탑은 최초의 석탑으로, 여러 시행착오가 많았을 것으로 생각됨. 동탑과 서탑을 비교하자면 동탑이 서탑보다 먼저 제작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는데, 동탑에서 보인 찰주공의 문제점이 서탑에서 해소되었으며, 이후 제작된 고선사탑도 서탑과 같기 때문임.

7fed8272b5846afe51ef8ee645817473b376cf1a1a47d76cda6ad733ff550c80

[감은사지 서 삼층석탑 기단부. 사진 : 문화재청]

감은사탑의 기단부 탱주 수(양쪽 끝 기둥 사이의 기둥 수)는 하층기단에서 3개(4칸), 상층기단에서 2개(3칸)임. 고선사탑도 마찬가지인데, 탱주의 수는 신라 후대까지 점차 수가 줄어드는 양상으로 변화하였음. 따라서 석탑의 편년에 있어 중요한 자료가 된다고 볼 수 있음. 아래에서도 여러 번 언급되니 잘 살펴보기 바람.

7fed8272b5846af451ed86e544847273e0cd885d80573478aef5e10503b0ebb7

[감은사지 삼층석탑 옥개석. 사진 : 문화재청]

감은사탑은 이후의 석탑들과는 달리 옥개석을 4분할하여 이어붙였음. 이런 4분할 옥개석은 감은사탑 등 초기 석탑들에서만 나타나는 특징임. 현재는 감은사탑과 고선사탑에서만 확인할 수 있지만, 아래의 봉화대곡 탑재를 보면 이런 형태의 탑이 더 있었음을 알 수 있음.

7fed8272b58068f751ee84e44480747383450231b802973dadffaa6dd25cedf7

[경주 남산 봉화곡 제1사지 옥개석 탑재]

이렇게 여러 부재로 이루어진 옥개석은 상단에 나비장을 통해 고정하였음. 나비장이란 나비 모양(▶◀) 금속부재로, 석재를 접합시키는 역할을 함.

a76f0daa260e072cbd7f5a51d65dc6f1ad41ccd3364eb29ef948c2e0c533ad0d1b669275b8202de8e60fa4a820c3fe91

[암곡동 시절 고선사지 석탑. 1975년 이전 촬영. 사진 : 문화재청]

고선사(高仙寺)는 본래 감은사가 있던 감포에서 경주 시내로 들어오던 추령 고갯길을 넘으면 나오는 암곡동에 있던 사찰임. 고선사는 원효대사가 주지로 있었던 사찰인데, 원효는 686년(신문왕 6) 입적하였으며 앞서 말한대로 682년 건립된 감은사탑보다는 연대가 늦으므로 682년부터 686년 사이의 시기 조성되었을 것으로 추정됨. 1975년 덕동댐 건설로 수몰지구에 포함되자 경주박물관으로 이전되었음.

1ebec223e0dc2bae61abe9e74683706d2ca34e83d1d7c8b1b6c6c403550c899be43e1327c5d19c18dbc6223aeeb90a44

[고선사탑과 감은사탑 비교. 표 : 「감은사지 쌍탑과 고선사지 삼층석탑 비교 고찰」 (한정호, 2010)]

고선사지 삼층석탑은 감은사지의 두 탑과 규모나 구조적인 면에서 완전히 동일하여 같은 조각집단에 의하여 제작된 것으로 추정됨. 앞서 말한 바와 같이 감은사 쌍탑이 고선사탑보다는 먼저 제작되었지만, 거의 같은 시기의 작품임.

7fed8272b5846af251ee82e44f837473ce94f6236510fe49888cd3e9ff31d203

[경주 고선사지 삼층석탑 2층 탑신. 사진 : 문화재청]

탑신석을 잘 보면 2층 탑신석이 하나의 돌이 아님을 알 수 있음. 초기 신라 석탑은 2층 탑신까지 내부를 비우고 돌로 채웠는데, 당시 기술로는 어느 크기의 돌까지 들어올릴 수 있었는지 짐작할 수 있음.

a65234ad2c06072cbb725d66c2eeaeefd588ae3b268ae41cac6576aaf4a6f70f20791b9690f512e10f9991699e76d47bcf3f1999a57a447dbbc597a6b55bff68e9104e1ae2c1b234137bb9a7a5d113d8dfe6a9cb2aeb9ab3215571a42fba06630eccffe48f1ca19372ce1b4c52a4cf22be

[감은사지 삼층석탑 종단면도. 도면 : 문화재청]

위 그림과 같이 감은사탑과 고선사탑은 2층 탑신까지 내부가 비어 있어 돌을 채워 넣었음을 알 수 있음.

7fed8272b5846af751ee85e447847173ad6e93164206648acf99b76c00a6ed18

[경주 고선사지 삼층석탑, 국보 제38호. 사진 : 문화재청]

이렇듯 감은사탑과 고선사탑은 신라 최초의 석탑들로 규모가 몹시 커 장중함이 돋보이지만 동시에 경쾌한 반전으로 마냥 무겁게만 보이지는 않음.

7fed8272b58068f451ee85e5428273738fd97b33be01f98b5a1c0a6afe6dbfb4

[경주 구황동 전 황복사지 삼층석탑(692), 국보 제37호]

감은사탑과 고선사탑이 세워진 지 약 15년 이후인 692년(효소왕 1) 세워진 전 황복사지(皇福寺址) 삼층석탑은 시간차는 몹시 작지만 꽤 많은 변화가 있었음을 알 수 있음.

7fed8275b48068f351ee87e54e8276734da25382911c8d4e6582407b6b12d851

[전 황복사지 삼층석탑 금동사리외함 뚜껑 명문]

1942년 조사에서 석탑 내부에서 사리함이 발견되었음. 사리함의 뚜껑에는 명문이 있어 탑의 건립 경위에 대하여 상세하게 알 수 있었음. 명문에 따르면 황복사탑은 692년 32대 효소왕(孝昭王)과 효소왕의 어머니이자 신문왕의 부인인 신목태후(神穆太后)가 신문왕의 명복을 빌기 위해 만들었으며, 700년 신목태후가, 702년 효소왕이 사망하자 그의 동생 33대 성덕왕(聖德王)이 효소왕의 명복을 같이 빌며 706년에 추가로 공양품을 봉양했음이 적혀 있음.

7fed8274b5806af551ee8ee642817d73b9f2f46171b4a548fa424894c5e59b61

7fed8274b5806af551ee8ee6428073737d9d9f3e963e32b2976899adecde7b4e

[구황동 금제여래좌상(上), 금제여래입상(下). 국보 제79, 80호.]

금동사리함 내부에서 발견된 두 구의 불상은 국내에 전하는 몇 안되는 순금불상으로, 조성양식에 차이가 있어 입상이 692년 최초 봉안 시, 좌상은 706년 2차 봉안 시 제작된 것으로 추정됨. 두 불상은 현재 국립중앙박물관 3층에서 볼 수 있음. (금동사리외함은 1층에서 전시중임)

7fed8272b5846af251ee83e446857d73824f11d2ae16e1c0091c14879ad9ff3a

[경주 전 황복사지 삼층석탑 탑신부. 사진 : 문화재청]

황복사탑은 이전의 감은사탑이나 고선사탑에 비해 규모가 크게 축소되었음. 또한 기단이 높아지고, 여러 장의 석재를 붙여 만들던 옥개석은 단일 석재로 제작되는 것으로 변화하였음.

7fed8272b5846af751ee81e140847673c753494c554d1b0b531b129b1091ebaf

[전 황복사지 삼층석탑 기단부. 사진 : 문화재청]

기단부의 탱주 수를 본다면 상층기단은 2개(3칸)이 유지되고 있지만 하층기단은 기존의 3개(4칸)에서 2개(3칸)으로 줄어들었음. 아래의 라원리탑과 창림사탑에서는 아직 하층기단 탱주가 5개로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두 탑을 좀 더 이른 시기의 것으로 보는 견해가 있음.

a76f0daa260e072d8c475a4ee65ae2f1ebcb132330f4ceff938bab7118b9178d1b2c9785a2835ddc2f599ce0cf108fad

[경주 라원리 오층석탑, 국보 제39호. 사진 : 문화재청]

전 황복사지 삼층석탑과 비슷한 시기에 제작된 경주 현곡면의 라원리사지 오층석탑은 황복사탑과 형태가 꽤나 유사한데, 탑신의 부피가 커서 당당함이 묻어남. 전반적으로 사용된 화강암의 재질이 이끼가 잘 끼지 않아 나원백탑이라고도 불림.

7fed8272b5846af251ee81e441807373632028cda23d855e6f9536445583007d

[경주 라원리 오층석탑 초층 탑신. 사진 : 문화재청]

이 탑은 황복사탑과 같이 옥개석을 한 매의 석재로 구성하였지만, 옥개석의 크기가 4×4m로 몹시 커서 감은사탑이나 고선사탑과 같이 옥개석을 상하로 분리하였음. 대규모 석탑들은 이와 같이 옥개석을 상하 2매의 석재로 조립하는 경우가 있음.

28bc8819b5816c9967ed98bf06d60403acef87cb8df94fd733e34e

[라원리 오층석탑 옥개석 해체 모습. 사진 : 한국 미의 재발견 탑]

이렇게 최초 석탑인 감은사탑과 고선사탑에서 초기 석탑인 황복사탑, 라원리탑의 세대로 넘어가면서 탑의 규모는 줄어드는 양상이 나타났음. 한편, 탑신석의 폭에 대한 옥개석의 폭이 이전에 비해 줄어들며 이전에 비해 부피감이 커지며 당당한 인상을 줌.

7fed8272b5846afe51ef8ee7438074739a2caf24d0aa037d2e68140ae83b01c8

[라원리 오층석탑 기단부. 사진 : 문화재청]

라원리탑의 하층기단 탱주 수는 3개인데, 이것을 근거로 황복사탑보다 고식으로 추정되기도 함.

7fed8272b5846afe51ef8ee44e857773ec0adbccdd555664985409ee710fbc4f

[경주 천군동 동 · 서 삼층석탑, 보물 제168호. 사진 : 문화재청]

천군동사지의 쌍탑 또한 감은사탑과 불국사탑 사이의 작품임. 이 시기 작품 중에서는 유일한 쌍탑인데, 전반적인 비례감이 황복사탑과 많이 유사함.

7fed8272b5846afe51ef8ee745807c737b58508a60927807ff4c16b3d8f756e1

[천군동 삼층석탑 기단부. 사진 : 문화재청]

황복사탑과 동일하게 기단부 탱주는 2-2로 유지되고 있음.

7fed8272b5836bf751ee80e547817373cfa7ea7ced73587eb2e2302ac33ab60d

[경주 창림사지 삼층석탑, 보물 제1867호]

감은사탑, 고선사탑부터 불국사 삼층석탑 사이의 기간 동안 제작된 석탑은 나원리탑과 황복사탑만 찾아볼 수 있는데, 이외에도 이 시기의 탑으로 추정되는 것이 있음. 바로 창림사지 삼층석탑인데, 전반적인 비례가 황복사탑과 몹시 유사함. 1824년 추사 김정희가 창림사탑 안에서 발견한 무구정탑원기에 의하면 855년 제작되었다고 적혀 있어 이때 제작된 것으로 보았으나, 창림사지에는 탑이 여러 기 있었기에 이 탑이 반드시 9세기의 작품이라고는 할 수 없음.

7fed8272b5846afe51ef87e14e82747367d846db623f33f3cb2aeb3b2cdd3307

[창림사지 삼층석탑 기단부. 사진 : 문화재청]

창림사탑을 7세기 말의 작품으로 보는 측에서는 하층기단은 탱주가 3개(4칸)인 점을 드는데, 황복사탑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층기단 탱주가 3개로 나타나는 것은 황복사탑 이전의 극초기 양식이기 때문임.

하지만 상층기단 탱주가 1개(2칸)으로 줄어든 것은 불국사탑 이후에나 나타나는 양식이고, 특히나 팔부중상이 새겨지기 시작한 것은 8세기 말부터인데, 이 때문에 반드시 황복사탑 전후의 양식으로 단정할 수는 없음. 아직까지는 조성시기에 대한 연구가 더 필요해 보임.

7fed8272b5846af751ee85e4428572739228118afdf10653b51ceaa0301bc63d

[경주 불국사 삼층석탑(742), 국보 제21호. 사진 : 문화재청]

682년 감은사탑 이후 석탑의 조영은 점차 규모가 합리적으로 축소되고 기존의 '목탑성'에서 탈피해 석탑 고유의 개성을 드러내는 방향으로 변화했는데, 그 변곡점상에 서 있는 탑이 바로 불국사 삼층석탑임.

a65614aa1f06b367923425499b3dc8b1fb3acfba698046f1ca6b85e6b721be3c53a0bfb92aa4a3787f6c3ff750718c69531251

[경주 불국사 삼층석탑. 사진 : e뮤지엄]

불국사 삼층석탑, 일명 석가탑은 742년(경덕왕 1) 옆의 다보탑과 같이 쌍탑으로 제작되었음. 나원리탑이나 황복사탑의 경우에는 초층 탑신석이 가로로 긴 직사각형에서 정사각형에 가깝다면, 불국사 삼층석탑은 상하로 긴 직사각형임. 이런 변화를 통해 더 상승감 있고 날렵해진 인상을 줌.

7fed8272b5846af251ee81e1458071731adc75a222ec9594d9443d30f200cc59

[경주 장항리사지 서 오층석탑, 국보 제236호]

경주의 둘뿐인 오층석탑인 라원리탑과 장항리탑을 비교해본다면 인상이 확연히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음. 라원리탑은 탑신이 비대해 당당하고 무거운 느낌을 준다면, 장항리탑은 상승감 있어진 모습임.

a65614aa1f06b367923425499b3dc8b1fb3acfba698046f1ca6b85e6b425ba394d3b8f19cddcfa385bca3b4ad1d9e2e429f23d

[무너진 장항리 오층석탑. 사진 : e뮤지엄]

참고로 장항리탑은 잘 본다면 유독 여기저기 불규칙적으로 깨진 곳이 많음. 이는 1923년 탑의 사리장치를 노린 도둑들이 다이너마이트를 설치하여 폭파되었기 때문임. 위 사진과 같이 몇 년간 무너져 있다가 1932년 지금의 모습으로 복원되었음.

7fed8272b5846af351ee83e1468572737f2833f4ae17160f748b891088670cc4

[경주 마동 장수곡 삼층석탑, 보물 제912호. 사진 : 문화재청]

불국사 삼층석탑이 제작된 이후 불국사탑을 계승한 탑들이 많이 제작되었음. 8세기 말까지 주류 석탑들은 불국사탑을 충실히 모방하여 상층-하층기단의 탱주가 2개-2개(각 3칸)으로 조성되었음. 불국사 바로 옆 언덕에 있는 마동 삼층석탑은 석가탑을 계승한 좋은 예임.

7fed8272b58068f551ee82e742817c73f822a3dac17c6bf3346ceafd3a697135

[창녕 술정리 동 삼층석탑, 국보 제34호]

이 시기에는 경주지역 밖에서도 많은 석탑들이 지어지기 시작했음. 가장 대표적인 것이 창녕 술정리 동 삼층석탑임. 술정리 삼층석탑은 경주에서 조각공들을 파견해 제작한 것으로 추정되는데, 조각의 수준에 있어 불국사 삼층석탑을 능가할 정도로 뛰어나기 때문임. 지금 보더라도 일부 깨진 부분만 감안한다면 현대의 작품이 아닌가 싶을 정도로 높은 완성도를 보임.

7fed8272b5846af351ee83e0478274734cc3533f5ec3bbeb0b965edf5cebc116

[청도 봉기동 삼층석탑, 보물 제113호. 사진 : 문화재청]

청도 봉기동 삼층석탑 또한 이 시기의 대표적인 탑임. 상층-하층기단 탱주 개수가 4개-4개를 유지하고 있어 전성기 신라석탑을 계승하였음. 술정리와 봉기리의 삼층석탑은 사찰의 내력은 정확히 알 수 없지만, 두 탑이 위치한 지역은 각각 비화가야와 이서국이란 강력한 세력이 존재했던 곳임. 이들은 삼국 통일 이전 시기에 신라에 복속된 지역으로 통일 이후에는 백제, 고구려 지역들보다는 당대에 더 영향력 있는 집단이었을 거임. 이러한 배경이 이 지역에 수준급 석탑들이 제작된 이유가 아닐까 싶음.

7fed81716e37dc2d815be93eda09a9c4fe115a48491c6997376e06c774f5f667f1f786f2ce258a6fde32295e34870ab864bb01b706a7c81cfd67f0

[김천 갈항사지 서 삼층석탑(758), 국보 제99호. 사진 : 문화재청]

갈항사지(葛項寺址) 쌍탑 또한 불국사탑과 14년 차이로 제작된 탑인데, 상층기단 면석에 이두문으로 758년(경덕왕 17) 후일 원성왕이 되는 김경신의 어머니 조문왕후 3남매에 의하여 제작되었음이 쓰여 있음.

7fed81716e37dc2d815be93eda09a9c4fe115a48491c6997376e06c774f5f667f1f786f2ce258a6fde322a066a8a3a8198a84f92a11a0fda2c70ed2b86f3

[김천 갈항사지 삼층석탑 기단부. 사진 : 문화재청]

이렇듯 8세기 중반, 석가탑과 비슷한 시기에 제작된 탑들은 날렵하게 변화한 새로운 신라석탑의 비례를 따랐으며 탱주 수는 상하 2개로 유지되었음.

7fed8276b58a69f451ee83e543827773d36f04d666b12328d6c59e066b025903

[산청 단속사지 동 · 서 삼층석탑, 보물 제82 · 83호]

단속사지(斷俗寺址)의 쌍탑을 보면 상층기단 탱주 수가 변화하였음을 알 수 있음. 후대로 갈수록 표현이 간략화되며 상층기단의 탱주 수는 2개에서 1개(2칸)로 변화하였음. 8세기 후반부터 이런 모습이 나타났고, 9세기부터는 상층기단 탱주가 1개인 것이 정형화되었음.

7fed8272b5846aff51ef8ee44285767334f87f19b46cd9f368ea97d75ebe89df

[단속사지 동 삼층석탑 기단부. 사진 : 문화재청]

이런 변화는 탑 자체 규모의 축소도 수반했는데, 이건 왕실세력이 축소하며 중앙집권력이 떨어진 영향도 컸음. 36대 혜공왕이 폐위된 이후 내물왕계 세력인 원성왕이 집권하여 한동안 중앙집권적 체제가 유지되는 듯했으나, 애장왕, 희강왕, 민애왕 등 그 후손들이 서로 반목하며 시해되는 상황이 지속되었음. 이런 상황에서 호족 세력이 힘을 키우며 사회가 혼란해진 탓에 이전 시기와 같은 완성도 높은 탑들은 제작되지 못했음. 자세한 이야기는 11부에서 설명하겠음.

7fed8272b5846bf651ee86e1408073737d254e8ac8369e9878cd6226ab227c19

[울주 청송사지 삼층석탑, 보물 제382호. 사진 : 문화재청]

청송사지(靑松寺址) 삼층석탑에서도 1개로 줄어든 상층기단 탱주를 확인할 수 있음. 9세기 초 전형적인 석탑의 조성임.

7fed8272b5846bf651ee86e140817c735b2c8e27c94e6e9dc9e01f58e25b5000

[울주 청송사지 삼층석탑 기단부. 사진 : 문화재청]

상층기단과 달리 하층기단은 여전히 2개의 탱주가 유지되고 있음. 또한 하층기단 갑석의 경우에도 앞선 탑들에 비해 정밀도가 한참 떨어진 모습임.

7fed8272b5846bf651ee86e043847073dc4961ec5804ee965ea5c08b9ce9d208

[장흥 보림사 남 · 북 삼층석탑(870), 국보 제44호. 사진 : 문화재청]

옥개석의 비례 또한 이전 불국사탑 시대의 것과는 다른 양상이 나타나기 시작했음. 870년경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보림사 쌍탑은 탱주 수가 상층기단 1개, 하층기단 2개로 9세기의 전형을 따르고 있으나, 각 부분이 단순화되고 특히 옥개석의 반전이 과하여 불국사 삼층석탑의 세련미와는 다른 모습을 보이고 있음.

7fed8272b5846bf651ee86e0408274736b4de3e3dd37c9f04db1500c88975a5b

[장흥 보림사 남 삼층석탑 기단부. 사진 : 문화재청]

기단부 또한 몹시 형식화된 모습인데, 탱주의 표현이 평면화되고 각 부분이 단일 석재로 구성되어 전성기 석탑에서 보이던 명료한 표현은 느끼기 어려움.

7fed8272b5846bf651ee87e7438176736b196ba0b19e8c9bcb48a67d2dc1d2f4

[대구 동화사 비로암 삼층석탑(863), 보물 제247호. 사진 : 문화재청]

863년 조성된 대구 동화사(桐華寺) 비로암(毘盧庵)의 삼층석탑은 하층기단의 탱주도 1개로 변화하였음. 이러한 모습은 9세기 중후반부터 나타나는데, 점점 더 탑의 형태가 간료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음.

a17d34196e3ed82cbb73e93ef928a9c444bcb7b382a4c8cb4ad3827172cfb437b408d3c582c5cb2dd2912d2c5ad88a642cda0a40938f8774bdff97b568491a904b522cbabeff84eaf26317312bd71db965a1e9f8ada11250ccc0cb0646329fe6dffcce04f7f830ccc41fe60eaefc64289b241550240bc074fd16dd4698d67418510c59aaf50122c3

[傳 대구 동화사 비로암 삼층석탑 납석사리호, 보물 제741호. 사진 : 문화재청]

비로암 삼층석탑 내에서는 위 사진과 같은 납석사리호가 발견되어 조성경위를 명확히 알 수 있었음. 사리호의 겉면에는 44대 민애왕을 추모하기 위해 48대 경문왕이 조성하였음이 적혀 있음. 현재 동국대학교박물관에서 전시중.

7fed8272b5846aff51ee80e646847473bf189e258df05b40873ce47ea50b064f

[경주 효현동 삼층석탑, 보물 제67호. 사진 : 문화재청]

이 시기에는 전국적으로 많은 석탑이 제작되었으며, 이를 계승한 고려와 조선시대 석탑에서도 상·하층기단에 탱주가 하나씩 있는 석탑은 많이 찾아볼 수 있음.

7fed8272b5846bf651ee87e141807673b69b0d5f6d02d11a13f97a04bd7cf236b3

[밀양 표충사 삼층석탑 기단부, 보물 제467호. 사진 : 문화재청]

여기에 더욱 단순화 혹은 변형된 예로, 하층기단이 생략된 경우도 있음. 특히 문경 지역에서는 봉암사에 1기, 도천사지에 3기, 내화리에 1기의 단층기단 삼층석탑이 남아 있어 주목할 만함.

7fed8272b5846bf651ee87e142827773609cd6155854e9993930d6e6ff0df5db

[경주 남산 용장사곡 삼층석탑, 보물 제186호. 사진 : 문화재청]

경주 용장사곡 삼층석탑은 자연암반 위에 세워진 특수성 때문에 단층기단을 사용하였음. 이 시기의 탑들 중에는 탑의 위치를 달리한 경우도 찾아볼 수 있음.

7fed8272b5846bf651ee87e744847073c2524d96a36520f7026b90da8257079b

[합천 월광사지 동 · 서 삼층석탑, 보물 제129호. 사진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左), e뮤지엄(右)]

합천 월광사지(月光寺址)의 쌍탑은 조성시기가 서로 다른 것으로 추정되는데, 그 이유는 지금까지 설명한 것으로 추론할 수 있으리라 생각함. 동탑은 상하기단의 탱주가 각각 2개, 서탑은 1개씩임.

7fed8274b5836bf751ee81e643817373ec9da6b26acf4ed1229d83e63089a5af

이렇듯 통일신라 주류석탑은 탱주의 개수, 석재의 수량, 전체적인 비례를 통해 대략적인 편년이 가능함. 그리고 글의 내용 중 언급하지는 않았으나 층급받침의 수도 감소한다는 점 또한 제작연대 추정에 도움이 됨. 간략히 정리해 본 통일신라 주류석탑의 계보는 다음과 같음.

최초기 석탑 - 탱주수 3:2 / 몹시 거대하며 조립형 옥개석을 가짐
- 감은사쌍탑, 고선사탑

초기 석탑 - 탱주수 3:2, 2:2 / 여전히 거대하며 탑신석 부피감 큼
- 라원리탑, 황복사탑, 천군리쌍탑, 창림사탑(?)

전성기 석탑 - 탱주수 2:2 / 날렵하고 상승감 있는 외형 (석가탑계)
- 불국사탑, 술정리탑, 장항리탑, 지산동탑, 갈항사쌍탑, 봉기동탑

후기 석탑 - 탱주수 2:1 / 전성기 비례 유지하지만 완성도 떨어짐
- 보림사쌍탑, 단속사쌍탑, 청송사탑, 청량사탑, 부석사탑, 신천리탑

최후기 석탑 - 탱주수 1:1 / 비례감 떨어지며 완성도도 부족
- 실상사쌍탑, 효현리탑, 오색리탑, 비로암탑, 서동리쌍탑, 불굴사탑

최후기 단층기단탑 - 탱주수 1 / 하층기단 없음, 위와 동일
- 화엄사동탑, 표충사탑, 봉암사탑, 용장사탑

물론 위에서도 나타난 바와 같이 870년의 보림사탑보다 863년의 비로암탑이 탱주 수에 따른 구분으로는 선행하는 등 위 기준으로 무 자르듯 시대를 특정하는 것은 잘못된 방법임. 하지만 이 글을 통해 통일신라 석탑에 있어 거시적인 시대구분은 가능할 것임.

생각보다 글이 길어져서 탑파건축사에 대한 글은 3-4부 가량 더 필요할 것 같음. 다음 글에서는 통일신라 전탑계열 탑의 전개와 이형석탑을 다루게 될 것임.

- dc official App


출처: 도시 미관 갤러리 [원본 보기]

추천 비추천

34

고정닉 8

8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성별이 바뀌어도 인기를 끌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8/12 - -
253264
썸네일
[야갤] 명동? 성수동? 한강 라면 먹으러 한국 온다는 외국인 관광객 근황.png
[305]
야갤러(221.157) 08.04 33408 85
253262
썸네일
[새갤] [A] 적적해 갔던 ‘홍보관’…수백만 원 ‘덜컥’ 결제
[156]
정치마갤용계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4 19528 68
253260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요즘 도심에 너구리가 늘어나는 이유
[485]
수인갤러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4 42817 327
253256
썸네일
[한갤] 신작보이드맨 ai 의혹 정리(수정
[571]
OO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4 29381 211
253254
썸네일
[카연] 여동생이 버튜버인 만화 3
[77]
조바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4 22462 152
253250
썸네일
[싱갤] 오싹오싹 코끼리발
[225]
싱벙갤완장에게사과드립니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4 46634 197
253248
썸네일
[야갤] 국내에 '새로운 편의점' 들어온다.jpg
[696]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4 53677 334
253246
썸네일
[야갤] ㅓㅜㅑ 야붕이들 싱글벙글..다음올림픽 참가 야고생누나..jpg
[383]
티롱씨4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4 51311 379
253244
썸네일
[치갤] G식백과 근황.jpg
[776]
ㅇㅇ(220.70) 08.04 82741 1279
253242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식객 "건빵"편(feat.육군부조리)..manhwa
[146]
ㅇㅇ(121.154) 08.04 22067 87
253241
썸네일
[새갤] [A] 복대 차며 버틴다... 성대모사까지 나온 필리버스터 이모저모
[65]
정치마갤용계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4 16884 19
253239
썸네일
[미갤] 전직 UFC 선수 꼰대질 레전드.jpg
[237]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4 28877 174
253237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레드벨벳 웬디와 눈싸움 하는 차은우
[35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4 52982 474
253236
썸네일
[러갤] 필리핀은 한국전투기 KF-21을 구매할수 있을까?
[306]
배터리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4 26673 133
253234
썸네일
[야갤] 태국 화나게 한 애플 광고… 결국 영상 삭제
[498]
야갤러(221.157) 08.04 41779 173
253232
썸네일
[싱갤] 퍽퍽퍽퍽 알제리 신문 : 알제리 (남)여성 복서는 여성임 ㅋㅋ
[388]
도시드워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4 23937 80
253229
썸네일
[카연] 군인처우 ㅈ박은 건 한반도 전통... 무신정변 만화
[439]
브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4 32894 240
253227
썸네일
[2갤] 신유빈 인스타에 몰려온 중국인들.....jpg
[431]
ㅇㅇ(222.235) 08.04 56344 372
253226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동유럽 여자들게 물어본 한국문화
[655]
ㅇㅇ(220.65) 08.04 50578 441
253224
썸네일
[야갤] 배드민턴 여자 단식...안세영 결승 진출 ㄹㅇ...gif
[202]
Adida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4 28407 380
253222
썸네일
[미갤] 한강에서 헌팅 거절하는 일본 여자.jpg
[103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4 67254 658
253221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한국남자 만나
[122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4 63787 218
253217
썸네일
[이갤] 여자캐릭터가 잘뽑힌 애니 TOP 10..gif
[728]
이시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4 44029 145
253214
썸네일
[싱갤] 안싱글벙글 공포의 비만여성의 삶.jpg
[1374]
ㅇㅇ(175.206) 08.04 71446 330
253212
썸네일
[미갤] “헤즈볼라 이스라엘에 미사일 50발 공격” 보복 끝났데요
[337]
ㅇㅇ(168.126) 08.04 25507 113
253211
썸네일
[새갤] [A] 이재명, 전북서 '더 많은 기본소득' 공약…최고위원 김민석 1위
[651]
정치마갤용계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4 20222 59
253209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1:1 게임이 망하는 이유
[1108]
ㅇㅇ(61.77) 08.04 61955 612
253207
썸네일
[일갤] 인생 제 1회차 일본여행 간사이 지방 여행기(1)
[19]
비아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4 9065 28
253206
썸네일
[야갤] 보닛 위에서 껑충…주차 차량 줄파손한 금쪽이.jpg
[20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4 28679 84
253204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이혼하는 만화.manhwa
[67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4 35059 431
253202
썸네일
[자갤] 또 전기차 화재소식 이번엔 탁송중 화재.Jpg
[451]
ㅇㅇ(118.235) 08.04 28176 278
253199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식객 "기러기아빠"편..manhwa
[360]
ㅇㅇ(121.154) 08.04 23758 215
253197
썸네일
[카연] 미용실만화 21
[24]
엄국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4 11699 25
253196
썸네일
[기갤] 현재 파리올림픽 한국 순위 / 메달리스트 (갯수별, 가나다순)
[714]
ㅇㅇ(106.101) 08.04 27564 100
253194
썸네일
[새갤] [A] 김정은 “서울 것들의 음흉한 목적”…수해 지원 사실상 거절
[277]
정치마갤용계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4 23615 147
253192
썸네일
[미갤] 요즘 1인용 캠핑카.jpg
[55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4 44067 76
253191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연두색 번호판제도 시행 후
[583]
에지오아디토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4 42509 474
253189
썸네일
[야갤] "가난한 남자랑 부잣집 여자는 절대 만나면 안돼요".jpg
[896]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4 64868 219
253187
썸네일
[무갤] 해피조선뉴스52
[110]
해피조선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4 13551 72
253186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딸래미가 너무 귀여운만화
[409]
ㅇㅇ(61.106) 08.04 29016 128
253182
썸네일
[최갤] 오늘자 대통령기 대학야구 소식(단국대 임상우씨)
[31]
5926(211.105) 08.04 18128 91
253181
썸네일
[야갤] 육아 vs 메달 양자택일 거부한다.. 올림픽 엄마 선수들.jpg
[26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4 30250 111
253179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나라 자체가 알콜인 나라
[356]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4 48958 269
253177
썸네일
[일갤] 인생의 한번쯤-타다미(26장)
[57]
건우_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4 9345 41
253176
썸네일
[해갤] 이와중에 큐텐신 먹씨 선언 ㅋㅋㅋ
[460]
ㅇㅇ(211.234) 08.04 35565 296
253174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최근 하락장 혼돈의 미주갤 근황
[37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4 56823 621
253172
썸네일
[새갤] [A] 9중 추돌사고 '급발진' 주장? / 20대女 80m 추락사고 등
[308]
정치마갤용계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4 18066 54
253171
썸네일
[카연] 고아로 낚시하다 보추가 물어버린 만화 3화
[52]
IllIIIlIll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4 21017 64
253167
썸네일
[토갤] 파탈 시대 궁병이야기
[61]
Aru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4 14692 64
253166
썸네일
[유갤] 주딱여행기(후지산-누마즈)
[62]
코리안나데시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4 5544 2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