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독립기념관장 선발 심사를 미대 교수가?‥광복회 "현대판 밀정"

정치마갤용계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4.08.14 17:00:02
조회 12181 추천 62 댓글 194

a65235ad230fb27ebe3433459c05c4b137a69efce7c049d9ba5cbfd3e57602abb460e4573eb11595339a7ab81292c5a3ec53de9987733206b2dafe3693583ea4435f97f2397b9038b80d474e59ffeec6c1d1d54a1b3611eb0213ce3801ac6b65417e6688531e198c2e425d1c0ed25f67bd3d94beb00f1a855dc56ec457ad2015a61e10adfe74a751985d63b9565c2d2800df

김형석 신임 독립기념관장 임명을 두고, 논란이 사그라들지 않고 있는데요.

김 관장은 서류심사는 물론, "일제 시대 조선인들의 국적은 일본"이라고 답했던 면접심사에서도 1등을 기록한 걸로 나타났죠.

그러면, 누가 어떻게 독립기념관장을 뽑았을까요.

MBC가 평가 점수표를 입수했습니다.

a65235ad230fb27ebe3433459c05c4b137a69efce7c049d9ba5cbfd3e57602abb460e4573eb11595339a7ab81292c5a3ec53de9987733206b2dafe3693583ea4435f97f2397b9038b80d474e59ffeec6c1d1d54a1b3611eb0213ce3801ac6b65417e6688531e198c2e425d1c0ed25f67bd3d94beb00c1f855dc56ec457ad2015ad352c9ef4f8b3f99c05836f46e3881c5cbd

독립기념관장 임명추천위원회는 지난달 4일, 후보자 10명의 서류심사를 벌였습니다.

김형석 관장은 평균 79점으로, 차점자를 1점 차로 제치고 1위였습니다.

a65235ad230fb27ebe3433459c05c4b137a69efce7c049d9ba5cbfd3e57602abb460e4573eb11595339a7ab81292c5a3ec53de9987733206b2dafe3693583ea4435f97f2397b9038b80d474e59ffeec6c1d1d54a1b3611eb0213ce3801ac6b65417e6688531e198c2e425d1c0ed25f67bd3d94beb00d1d855dc56ec457ad2015cbfd16f11cec0e5043c1ea264ceae592105e

이어 16일, 상위 5명만 면접을 봤습니다.

면접에서는 7명의 추천위원 중 1명이 불참해 6명이 점수를 매겼습니다.

a65235ad230fb27ebe3433459c05c4b137a69efce7c049d9ba5cbfd3e57602abb460e4573eb11595339a7ab81292c5a3ec53de9987733206b2dafe3693583ea4435f97f2397b9038b80d474e59ffeec6c1d1d54a1b3611eb0213ce3801ac6b65417e6688531e198c2e425d1c0ed25f67bd3d94beb00a1a855dc56ec457ad2015ce919a0d03083daa7b05e9b9a3da3fabe90b

김 관장은 주로 8~90점대 점수를 받았는데, 최하점만 52점으로 눈에 띄게 낮습니다.

a65235ad230fb27ebe3433459c05c4b137a69efce7c049d9ba5cbfd3e57602abb460e4573eb11595339a7ab81292c5a3ec53de9987733206b2dafe3693583ea4435f97f2397b9038b80d474e59ffeec6c1d1d54a1b3611eb0213ce3801ac6b65417e6688531e198c2e425d1c0ed25f67bd3d94beb00a1d855dc56ec457ad20159f8663472bb21b5026ed27d09f847913e685

김 관장 임명을 강하게 반대하고 있는 이종찬 광복회장이 준 점수입니다.

a65235ad230fb27ebe3433459c05c4b137a69efce7c049d9ba5cbfd3e57602abb460e4573eb11595339a7ab81292c5a3ec53de9987733206b2dafe3693583ea4435f97f2397b9038b80d474e59ffeec6c1d1d54a1b3611eb0213ce3801ac6b65417e6688531e198c2e425d1c0ed25f67bd3d94beb00b1f855dc56ec457ad20150f0336353e1a11e28374274e3fccf8ba2a06

최고점·최하점을 뺀 4명 점수만 반영됐는데, 김 관장은 평균 82점. 역시 1등이었습니다.

a65235ad230fb27ebe3433459c05c4b137a69efce7c049d9ba5cbfd3e57602abb460e4573eb11595339a7ab81292c5a3ec53de9987733206b2dafe3693583ea4435f97f2397b9038b80d474e59ffeec6c1d1d54a1b3611eb0213ce3801ac6b65417e6688531e198c2e425d1c0ed25f67bd3d94b9b00f0bd64dd479c45cb03b12147efcb6f868b265d83277e7ac8d9cf487

면접에서 김 관장은 "일제 강점기 때 조선 사람들 국적은 일본이었다"고 답했습니다.

a65235ad230fb27ebe3433459c05c4b137a69efce7c049d9ba5cbfd3e57602abb460e4573eb11595339a7ab81292c5a3ec53de9987733206b2dafe3693583ea4435f97f2397b9038b80d474e59ffeec6c1d1d54a1b3611eb0213ce3801ac6b65417e6688531e198c2e425d1c0ed25f67bd3d94b9b00f1a855dc56ec457ad2015f2afafcca43c4929416af63497d838fc1cb0

8~90점을 준 위원들은 누구일까?

a65235ad230fb27ebe3433459c05c4b137a69efce7c049d9ba5cbfd3e57602abb460e4573eb11595339a7ab81292c5a3ec53de9987733206b2dafe3693583ea4435f97f2397b9038b80d474e59ffeec6c1d1d54a1b3611eb0213ce3801ac6b65417e6688531e198c2e425d1c0ed25f67bd3d94b9b00f1c855dc56ec457ad2015ba6e21c1ee8fb23707d57e38fbfc5c0e25e0

광복회장 외에 보훈부 국장과 보훈부 소속인 독립기념관 간부, 보훈부 장관이 임명한 오영섭 전 연세대 이승만연구소 연구교수, 바른미래당 후보 경력의 사회복지학 교수, 독립기념관 이사들이 추천한 경영학과 교수, 미술대학원 교수 등이었습니다.

학자들 전공은 모두 역사와 상관없습니다.

a65235ad230fb27ebe3433459c05c4b137a69efce7c049d9ba5cbfd3e57602abb460e4573eb11595339a7ab81292c5a3ec53de9987733206b2dafe3693583ea4435f97f2397b9038b80d474e59ffeec6c1d1d54a1b3611eb0213ce3801ac6b65417e6688531e198c2e425d1c0ed25f67bd3d94b9b00c12855dc56ec457ad2015d57dd021b7d63ff2966717f18d371507f9b702


a65235ad230fb27ebe3433459c05c4b137a69efce7c049d9ba5cbfd3e57602abb460e4573eb11595339a7ab81292c5a3ec53de9987733206b2dafe3693583ea4435f97f2397b9038b80d474e59ffeec6c1d1d54a1b3611eb0213ce3801ac6b65417e6688531e198c2e425d1c0ed25f67bd3d94b9b00a18855dc56ec457ad20152eab9afbc37ce14cb169224057ac60b19c210b

심사위원 배척 기준도 논란입니다.

후보 중 한 명인 김진 광복회 부회장 심사에선, 이종찬 광복회장을 배제했지만,

a65235ad230fb27ebe3433459c05c4b137a69efce7c049d9ba5cbfd3e57602abb460e4573eb11595339a7ab81292c5a3ec53de9987733206b2dafe3693583ea4435f97f2397b9038b80d474e59ffeec6c1d1d54a1b3611eb0213ce3801ac6b65417e6688531e198c2e425d1c0ed25f67bd3d94b9b00b1a855dc56ec457ad201520dfb1b97fbf873de5d7986bdeff71c87b1e

김형석 관장이 이사장을 맡았던 재단의 부설 연구소장이었던 오영섭 전 교수는, 김 관장 심사에 그대로 참여한 겁니다.

a65235ad230fb27ebe3433459c05c4b137a69efce7c049d9ba5cbfd3e57602abb460e4573eb11595339a7ab81292c5a3ec53de9987733206b2dafe3693583ea4435f97f2397b9038b80d474e59ffeec6c1d1d54a1b3611eb0213ce3801ac6b65417e6688531e198c2e425d1c0ed25f67bd3d94b9b00b1f855dc56ec457ad20159005b3925466d9466eeee21a069675293d43


a65235ad230fb27ebe3433459c05c4b137a69efce7c049d9ba5cbfd3e57602abb460e4573eb11595339a7ab81292c5a3ec53de9987733206b2dafe3693583ea4435f97f2397b9038b80d474e59ffeec6c1d1d54a1b3611eb0213ce3801ac6b65417e6688531e198c2e425d1c0ed25f67bd3d94b8b0090bd64dd479c45cb03b1249c42c3639caa522e2147caba73e5ffc38

오 전 교수는 "과거 연구소를 맡긴 했지만, 김형석 관장과의 불화로 금방 그만뒀다"며 "심사를 피할 이유가 없었다"고 해명했습니다.

a65235ad230fb27ebe3433459c05c4b137a69efce7c049d9ba5cbfd3e57602abb460e4573eb11595339a7ab81292c5a3ec53de9987733206b2dafe3693583ea4435f97f2397b9038b80d474e59ffeec6c1d1d54a1b3611eb0213ce3801ac6b65417e6688531e198c2e425d1c0ed25f67bd3d94b8b00c1a855dc56ec457ad2015e5049a9c20d2798b84debe81292e096e367a

정치권에선, 광복절 경축식 불참을 선언한 야당들에 이어, 여당 내부에서도 우려의 목소리가 나왔습니다.

국민의힘 이상민 전 의원이 "윤석열 대통령이 인사를 잘못했다. 결단을 해야 한다"고 주장한 겁니다.

a65235ad230fb27ebe3433459c05c4b137a69efce7c049d9ba5cbfd3e57602abb460e4573eb11595339a7ab81292c5a3ec53de9987733206b2dafe3693583ea4435f97f2397b9038b80d474e59ffeec6c1d1d54a1b3611eb0213ce3801ac6b65417e6688531e198c2e425d1c0ed25f67bd3d94b8b00d1b855dc56ec457ad20155253dbe24b9d50a3c8222fd29acfbaa8876e

우원식 국회의장도 "쪼개진 경축식으로 남겨서는 안된다"며 "인사권자인 대통령이 결자해지하라"고 요구했습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214/0001367755

1691f910c0ed12924c9c963eff05a8d723a439c0a66be6ae18f38977ce002f5db18064c7f0e50c0957328214022c330415f2a75909d49eaf266920751320214e78cdc43a6c9ebd3933b83cf7098665eaa30a07dd37e0571445fed90cb2636397d7486ec177686ca9987b1cc03bea413f18b90aa72f766865d73fa21ac3d409479e0a0c06323c1e91b5956e3e475a7c728c69447a15d8ded819cd89fd8a5796ddfd503e17613b814d4c33a99fbf6e90bf7f01d56a5fb7472a91dae1ca

통합의 장이 돼야 할 광복절이 반쪽으로 갈라졌다는 논란의 중심에는 김형석 신임 독립기념관장이 있습니다. 김 관장이 자신은 뉴라이트가 아니고 건국절 제정도 반대한다며 해명에 나섰습니다.

1691f910c0ed12924c9c963eff05a8d723a439c0a66be6ae18f38977ce002f5db18064c7f0e50c0957328214022c330415f2a75909d49eaf266920751320214e78cdc43a6c9ebd3933b83cf7098665eaa30a07dd37e0571445fed90cb2636397d7486ec177686ca9987b1cc03bea413f18b90aa72f766865d73fa21ac3d409479e0a0c06323c1e91b5956e3e475a7c728c69447a15d8ded819cd89fd8a5796da31b62b890b2f120918c7195052f82272bf820e5758ed4aa36c17a933

그러나 '1948년 대한민국이 시작됐다'는 학자 시절 발언들은 그대로 남아있는데, 이게 뉴라이트 진영의 '1948년 건국론'과 맞닿은 게 아니냐는 반발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1691f910c0ed12924c9c963eff05a8d723a439c0a66be6ae18f38977ce002f5db18064c7f0e50c0957328214022c330415f2a75909d49eaf266920751320214e78cdc43a6c9ebd3933b83cf7098665eaa30a07dd37e0571445fed90cb2636397d7486ec177686ca9987b1cc03bea413f18b90aa72f766865d73fa21ac3d409479e0a0c06323c1e91b5956e3e475a7c728c69447a15d8ded819cd89fd8a5696ddfa35a8703322efd3bff8156b247e0f7b5866dc794029596c3e9f92b5

김형석 독립기념관장은 그동안 '1948년 건국론'을 주장하는 뉴라이트 역사관을 가졌다는 비판을 받자 독립운동과 해방을 이뤄낸 시기가 더 중요하다며 수습에 나섰습니다.

그러면서 일본 식민지에서 해방된 1945년에 의미를 부여했습니다.

1691f910c0ed12924c9c963eff05a8d723a439c0a66be6ae18f38977ce002f5db18064c7f0e50c0957328214022c330415f2a75909d49eaf266920751320214e78cdc43a6c9ebd3933b83cf7098665eaa30a07dd37e0571445fed90cb2636397d7486ec177686ca9987b1cc03bea413f18b90aa72f766865d73fa21ac3d409479e0a0c06323c1e91b5956e3e475a7c728c69447a15d8ded819cd89fd8a5696dc5d606962c59c7338f5944491ffdc5247400fc385f6811fe95e55e9139e


1691f910c0ed12924c9c963eff05a8d723a439c0a66be6ae18f38977ce002f5db18064c7f0e50c0957328214022c330415f2a75909d49eaf266920751320214e78cdc43a6c9ebd3933b83cf7098665eaa30a07dd37e0571445fed90cb2636397d7486ec177686ca9987b1cc03bea413f18b90aa72f766865d73fa21ac3d409479e0a0c06323c1e91b5956e3e475a7c728c69447a15d8ded819cd89fd8a5696ddea66b8612422e4cea4ff0e317a60065caa0882b12ae27667b6f38ddc75


1691f910c0ed12924c9c963eff05a8d723a439c0a66be6ae18f38977ce002f5db18064c7f0e50c0957328214022c330415f2a75909d49eaf266920751320214e78cdc43a6c9ebd3933b83cf7098665eaa30a07dd37e0571445fed90cb2636397d7486ec177686ca9987b1cc03bea413f18b90aa72f766865d73fa21ac3d409479e0a0c06323c1e91b5956e3e475a7c728c69447a15d8ded819cd89fd8a5696db4fa1ba2cdbbe7d313bd0c177af1fa39021c2554fc5d00c9d741a57544e

오늘(13일) 한 라디오에 나와서도 자신은 건국절 제정을 주장한 세력들을 비판해 왔다고 주장했습니다.

하지만 이런 입장은 그동안 김 관장이 학자로서 해온 발언들과 다릅니다.

지난해 한 강연에선 1945년 8월 15일은 광복절이 아니라고 했습니다.

1691f910c0ed12924c9c963eff05a8d723a439c0a66be6ae18f38977ce002f5db18064c7f0e50c0957328214022c330415f2a75909d49eaf266920751320214e78cdc43a6c9ebd3933b83cf7098665eaa30a07dd37e0571445fed90cb2636397d7486ec177686ca9987b1cc03bea413f18b90aa72f766865d73fa21ac3d409479e0a0c06323c1e91b5956e3e475a7c728c69447a15d8ded819cd89fd895f96dcf6477ee7b90e34b00748f7bc4af252f8c55feb6b02fb596aee7897


1691f910c0ed12924c9c963eff05a8d723a439c0a66be6ae18f38977ce002f5db18064c7f0e50c0957328214022c330415f2a75909d49eaf266920751320214e78cdc43a6c9ebd3933b83cf7098665eaa30a07dd37e0571445fed90cb2636397d7486ec177686ca9987b1cc03bea413f18b90aa72f766865d73fa21ac3d409479e0a0c06323c1e91b5956e3e475a7c728c69447a15d8ded819cd89fd895f96d69b0ff4e317c58a9f72e8ccdd3c331b1bad2a1b207515936639f21b


1691f910c0ed12924c9c963eff05a8d723a439c0a66be6ae18f38977ce002f5db18064c7f0e50c0957328214022c330415f2a75909d49eaf266920751320214e78cdc43a6c9ebd3933b83cf7098665eaa30a07dd37e0571445fed90cb2636397d7486ec177686ca9987b1cc03bea413f18b90aa72f766865d73fa21ac3d409479e0a0c06323c1e91b5956e3e475a7c728c69447a15d8ded819cd89fd895f96dce7146ef6ae0e3fad1c4fece614ec5bdf08e181a07d6bc10cc1021a55


1691f910c0ed12924c9c963eff05a8d723a439c0a66be6ae18f38977ce002f5db18064c7f0e50c0957328214022c330415f2a75909d49eaf266920751320214e78cdc43a6c9ebd3933b83cf7098665eaa30a07dd37e0571445fed90cb2636397d7486ec177686ca9987b1cc03bea413f18b90aa72f766865d73fa21ac3d409479e0a0c06323c1e91b5956e3e475a7c728c69447a15d8ded819cd89fd895f96dcee146ef6ae0e3fad1c4fece614ec5bdfae5e858619d5a132b950d499


1691f910c0ed12924c9c963eff05a8d723a439c0a66be6ae18f38977ce002f5db18064c7f0e50c0957328214022c330415f2a75909d49eaf266920751320214e78cdc43a6c9ebd3933b83cf7098665eaa30a07dd37e0571445fed90cb2636397d7486ec177686ca9987b1cc03bea413f18b90aa72f766865d73fa21ac3d409479e0a0c06323c1e91b5956e3e475a7c728c69447a15d8ded819cd89fd895f96daf77227167b3835ad6f7184b5505168d4280348dcaa145baa51ea24aa78

광복회는 1948년 건국을 주장하는 인사는 독립기념관 정신과 맞지 않다며 오늘 대통령실 인근에서 집회를 갖고 임명 철회를 요구했습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437/0000406028

a65235ad230fb27ebe3433459c05c4b137a69efce7c049d9ba5cbfd3e57602abb460e4573eb11595339a7ab81292c5a3ec53de9987733206b2dafe3693583ea4435f97f2397b9038b80d474e59ffeec6c1d1d54a1b3611eb0213ce3801ac6b65417e6688531e198c2e425d1c0ed25f67bd3d94b8b00a1c855dc56ec457ad2015afda1c10965ab2ed20f927d0cf633924dc648e

김형석 독립기념관장의 사퇴를 촉구하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습니다.

독립운동단체들과 역사단체들은, 김 관장이 편향된 역사관을 갖고 있다며, '현대판 밀정'의 임명을 철회하라고 촉구했습니다.

a65235ad230fb27ebe3433459c05c4b137a69efce7c049d9ba5cbfd3e57602abb460e4573eb11595339a7ab81292c5a3ec53de9987733206b2dafe3693583ea4435f97f2397b9038b80d474e59ffeec6c1d1d54a1b3611eb0213ce3801ac6b65417e6688531e198c2e425d1c0ed25f67bd3d94bbb00a0bd64dd479c45cb03b122a2c2eae6a4c848528bea7574201aed424b2

독립운동가 후손과 유족들로 구성된 광복회는 오늘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집회를 열고 김형석 독립기념관장의 사퇴를 촉구했습니다.

a65235ad230fb27ebe3433459c05c4b137a69efce7c049d9ba5cbfd3e57602abb460e4573eb11595339a7ab81292c5a3ec53de9987733206b2dafe3693583ea4435f97f2397b9038b80d474e59ffeec6c1d1d54a1b3611eb0213ce3801ac6b65417e6688531e198c2e425d1c0ed25f67bd3d94bbb00f1a855dc56ec457ad20152b12bee22e222efe183ba552086f58417df96c


a65235ad230fb27ebe3433459c05c4b137a69efce7c049d9ba5cbfd3e57602abb460e4573eb11595339a7ab81292c5a3ec53de9987733206b2dafe3693583ea4435f97f2397b9038b80d474e59ffeec6c1d1d54a1b3611eb0213ce3801ac6b65417e6688531e198c2e425d1c0ed25f67bd3d94bbb00c19855dc56ec457ad20150a1cdf2de731e739a8090ba8661c694bbc5450


a65235ad230fb27ebe3433459c05c4b137a69efce7c049d9ba5cbfd3e57602abb460e4573eb11595339a7ab81292c5a3ec53de9987733206b2dafe3693583ea4435f97f2397b9038b80d474e59ffeec6c1d1d54a1b3611eb0213ce3801ac6b65417e6688531e198c2e425d1c0ed25f67bd3d94bbb00d1e855dc56ec457ad2015fc3e84eab1164839c108c82376c0656536fd18

광복회는 김 관장의 임명으로, '일본의 역사왜곡을 바로잡고 역사를 올바르게 전달한다'는 독립기념관의 설립목적과 상징성이 심각하게 훼손됐다고 지적했습니다.

a65235ad230fb27ebe3433459c05c4b137a69efce7c049d9ba5cbfd3e57602abb460e4573eb11595339a7ab81292c5a3ec53de9987733206b2dafe3693583ea4435f97f2397b9038b80d474e59ffeec6c1d1d54a1b3611eb0213ce3801ac6b65417e6688531e198c2e425d1c0ed25f67bd3d94bbb00b18855dc56ec457ad2015c4403f89adc49a4d6182d0d523a839512a6e34


a65235ad230fb27ebe3433459c05c4b137a69efce7c049d9ba5cbfd3e57602abb460e4573eb11595339a7ab81292c5a3ec53de9987733206b2dafe3693583ea4435f97f2397b9038b80d474e59ffeec6c1d1d54a1b3611eb0213ce3801ac6b65417e6688531e198c2e425d1c0ed25f67bd3d94bab00c0bd64dd479c45cb03b12438a734ceb7a7b378c6c32c7b9376c3007

김 관장은 지난해 12월 한 행사에서 1945년이 아닌, 정부가 수립된 1948년 8월 15일이 진정한 광복이라고 주장했고, 

a65235ad230fb27ebe3433459c05c4b137a69efce7c049d9ba5cbfd3e57602abb460e4573eb11595339a7ab81292c5a3ec53de9987733206b2dafe3693583ea4435f97f2397b9038b80d474e59ffeec6c1d1d54a1b3611eb0213ce3801ac6b65417e6688531e198c2e425d1c0ed25f67bd3d94bab00f18855dc56ec457ad2015947fc5b3f36fab0aab469605731f82704aee

지난 11일 문화일보와의 인터뷰에서도 같은 주장을 반복했습니다.

a65235ad230fb27ebe3433459c05c4b137a69efce7c049d9ba5cbfd3e57602abb460e4573eb11595339a7ab81292c5a3ec53de9987733206b2dafe3693583ea4435f97f2397b9038b80d474e59ffeec6c1d1d54a1b3611eb0213ce3801ac6b65417e6688531e198c2e425d1c0ed25f67bd3d94bab00f1d855dc56ec457ad201505a22fa2b3533cabe8bbbaa4474e5fb5bea4

독립운동가 단체와 역사학회는 "독립운동의 의의를 축소하는 뉴라이트 논리와 맞닿아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a65235ad230fb27ebe3433459c05c4b137a69efce7c049d9ba5cbfd3e57602abb460e4573eb11595339a7ab81292c5a3ec53de9987733206b2dafe3693583ea4435f97f2397b9038b80d474e59ffeec6c1d1d54a1b3611eb0213ce3801ac6b65417e6688531e198c2e425d1c0ed25f67bd3d94bab00d12855dc56ec457ad2015cb6f28aab2d971e4bcb4be1d849914217e96


a65235ad230fb27ebe3433459c05c4b137a69efce7c049d9ba5cbfd3e57602abb460e4573eb11595339a7ab81292c5a3ec53de9987733206b2dafe3693583ea4435f97f2397b9038b80d474e59ffeec6c1d1d54a1b3611eb0213ce3801ac6b65417e6688531e198c2e425d1c0ed25f67bd3d94bab00a1f855dc56ec457ad201575273b17feb8226156b8e56ac4cc24c43b96

김 관장은 어제 기자회견에선 1945년 해방이 더 중요하다고 말이 바꿨지만, 한국근현대사학회와 한국역사연구회 등 48개 역사학회도 성명을 내고 "김 관장의 그간 행보가 광복의 의미를 퇴색시키고 친일 인사를 옹호하는가 하면 5·18민주화운동의 역사성을 부정했다"며, 임명 철회를 촉구했습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214/0001367756



출처: 새로운보수당 갤러리 [원본 보기]

추천 비추천

62

고정닉 12

83

원본 첨부파일 38본문 이미지 다운로드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지금 결혼하면 스타 하객 많이 올 것 같은 '인맥왕' 스타는? 운영자 24/10/28 - -
269395
썸네일
[부갤] 은행에서 불륜이 많이 일어나는 이유.JPG
[368]
부갤러(172.98) 10.02 63552 161
269393
썸네일
[디갤] 내 생각에 오늘 사진은 확실히 좋음 (24장)
[52]
doe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2 14373 41
269391
썸네일
[주갤] 퐁퐁남을 도축한 한녀가 재혼하지 않는 이유.jpg
[643]
ㅇㅇ(59.6) 10.02 51965 821
269389
썸네일
[야갤] 요즘 교내청소 2주 사유..jpg
[62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2 53383 716
269387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천원 식당.jpg
[490]
수인갤러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2 58626 269
269385
썸네일
[기갤] "새벽배송 한달 1000만원 벌어요"…'태사자' 김형준 근황
[295]
긷갤러(104.254) 10.02 42285 86
269383
썸네일
[야갤] 9월 모의평가 전과목 1등급 비율 4퍼 초과 "물리1 2등급 증발"
[21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2 30601 56
269381
썸네일
[기음] 오사카 돈까스 오마카세.jpg
[384]
dd(182.213) 10.02 46102 232
269377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삼성 뛰어넘었다는 화웨이 트리플폴드폰 근황.jpg
[349]
ㅇㅇ(14.42) 10.02 43669 202
269375
썸네일
[일갤] 나라현 마스코트 근황
[263]
뫩뫍봵쾕왥뙑뚥꽑뾝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2 38217 213
269373
썸네일
[주갤] 여대출신을 걸러야 하는 이유.jpg (feat: 블라인드)
[569]
ㅇㅇ(59.6) 10.02 66846 1346
269372
썸네일
[이갤] 음주운전 징계 공무원, 5년간 253명… 법무부 76명 최다
[143]
고맙슘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2 17931 48
269370
썸네일
[야갤] 불황에 '욜로'대신 '요노'…금융권도 '요노족' 잡아라
[195]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2 28124 42
269369
썸네일
[싱갤] 안싱글벙글 통일교 소유 기업체 모음..
[559]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2 48140 452
269367
썸네일
[기갤] 최동석 "아이들 보호하려 박지윤 상간남 소송 미룬 것..."
[143]
ㅇㅇ(106.101) 10.02 24771 128
269366
썸네일
[군갤] 이란 대통령 마수드 페제시키안의 카타르 회담 참여, 그리고 오만
[69]
도시드워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2 17788 28
269364
썸네일
[디갤] 카메라 산지 5주 됐는데 사진 찍으러 진짜 많이 다닌듯
[45]
테드팍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2 12708 33
269363
썸네일
[이갤] 통일부, 대북전단 옹호단체에 국고보조금 1억5400만원 지원
[307]
고맙슘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2 17562 123
269360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외계인이 지구를 없애버린 이유.JPG
[238]
최강한화이글스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2 35745 458
269358
썸네일
[야갤] "별풍선 때마다 비명" 층간소음 BJ 셀리, 결국 사과
[500]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2 58889 293
269357
썸네일
[파갤] 우리집 개구리 현황
[262]
하지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2 28343 287
269355
썸네일
[멍갤] 유치원 짤려서 다른곳으로 전학간 강아지 브이로그.jpg
[157]
멍갤러(212.103) 10.02 23650 57
269354
썸네일
[이갤] '경찰 수사 기밀 줄줄 샌다'…유출 3년간 137건 달해
[122]
고맙슘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2 15177 74
269352
썸네일
[기갤] 한동훈, '공격 사주 의혹' 尹 전 참모 김대남 감찰 지시
[105]
ㅇㅇ(118.235) 10.02 12586 83
269351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워싱턴이 원했던 나라
[19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2 40080 331
269349
썸네일
[야갤] "이러니 우리가 못 하지"…티켓팅 실패할 수밖에 없는 이유
[279]
마스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2 29869 193
269348
썸네일
[A갤] 해피일본뉴스 189 (소비와 투자 모두 튼튼~)
[77]
더Informe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2 9801 67
269346
썸네일
[군갤] 작년 행사랑 비교해봄
[142]
OO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2 21168 342
269343
썸네일
[건갤] 45만원에 올라온 gbk20에 연락해보았다
[83]
싸우지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2 21068 145
269342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사람들이 착각하는 일본제국 영토
[775]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2 46071 292
269340
썸네일
[야갤] 서울대, 의대생 '집단 휴학' 첫 승인...교육부 "매우 부당한 행위"
[43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2 20199 104
269339
썸네일
[새갤] 대선후보 AI 얼평 결과
[227]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2 27170 333
269337
썸네일
[부갤] 꿈은 없고요, 그냥 쉽니다" 요즘 청년들의 생각은
[569]
마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2 31796 150
269334
썸네일
[주갤] 요즘 한녀들 많이 하는 러닝크루 근황ㅋㅋ
[606]
ㅇㅇ(106.101) 10.02 58768 432
269333
썸네일
[건갤] 프라모델 너무 좋아하면 이혼할 수도 있음
[791]
ㅇㅇ(219.241) 10.02 32034 511
269331
썸네일
[기갤] 주현영, 김건희 풍자했다 'SNL' 하차? "정권에 찍혔다" 확산
[546]
긷갤러(87.249) 10.02 33442 116
269330
썸네일
[의갤] "빵 사려고 3시간 기다리면서 진료 대기는 의사부족 탓이라니"
[490]
의갤러(104.129) 10.02 26925 258
269327
썸네일
[야갤] 이중가격제 논란…"생존 위해 불가피" vs "고객에 떠넘기는 행위"
[29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2 21160 62
269325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맨발 문화가 발달한 호주..jpg
[463]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2 33784 161
269324
썸네일
[이갤] 세종시장: 서울대학교 세종시로 이전해야
[377]
배그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2 21497 67
269322
썸네일
[이갤] 윤두창, 쥴리·채상병 특검법 거부권 행사 '24번째'
[313]
진짜대통령1이재명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2 13203 140
269321
썸네일
[흑갤] 백종원 돌아이 디스 개잘하네 ㅋㅋㅋㅋ
[396]
모카v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2 78390 930
269319
썸네일
[해갤] 운동하는 남자를 좋아한다는 하지원 치어리더.jpg
[287]
해갤러(149.88) 10.02 37851 271
269318
썸네일
[무갤] 남자들, 이제 여자들한테 돈 안써.news
[95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2 43679 910
269316
썸네일
[부갤] 尹 정부 종부세 감세, 3주택 이상 다주택자·법인 86% 독차지
[189]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2 11381 86
269315
썸네일
[야갤] "무시당했다고 착각"…마트직원 수십 차례 찌른 20대 1심 7년
[398]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2 21598 112
269313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환경 운동가 눈나가 몰랐던 것
[393]
니지카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2 52712 665
269310
썸네일
[걸갤] 카카오 모빌리티 근황
[177]
ㅇㅇ(223.38) 10.02 26112 226
269309
썸네일
[중갤] 김건희 디올백 불기소
[366]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2 15817 184
269307
썸네일
[일갤] 후쿠오카 티웨이 사건 정리해준다
[109]
구종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02 26412 94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