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정성글) 레닌-스탈린 시기 현실사회주의 (2/3)

땅콩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5.01.17 20:35:01
조회 13836 추천 39 댓글 104


a66e30ab1c2a6ce864afd19528d52703bd1d94d217178c


1917년 2월 차르 체제가 무너졌다. 10월에는 레닌에 의해 임시정부가 무너졌다. 12월에는 레닌에 의해 민주적 헌법을 만들려던 제헌의회가 해산되었다. 그 결과, 레닌과 소련 공산당이 권력을 장악했다. 곧이어 적백내전이 벌어졌다. 적군과 백군, 지역의 전제 군주들, 일본군, 미국 원정대, 전쟁 포로 출신의 체코 군대 등 온갖 세력이 참전했고, 전쟁은 3년간 지속되었다. 


적군은 전쟁에서 승리하기 위해 옛 차르 군대의 장교들을 활용해야 했지만, 그들을 신뢰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트로츠키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각 장교에게 정치장교를 배치하였다. 모든 명령은 정치장교의 서명이 필요했고, 정치장교는 군인들에게 사회주의 교육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이중 행정' 체제는 군대에만 국한되지 않고 여러 영역에 도입되었으며, 이는 소련 행정 체제의 기원이 되었다.


a66e30ab1c2a6ee864afd19528d527030534b90ed8ac9c


레닌 정권이 생각했던 최우선의 과제는 소유주를 경영에서 배제하고 사유 재산을 국유화하여 자본주의를 철폐하는 것이었다. 그런데 기업에 소유주가 사라진 상태로 경제가 제대로 작동할 수 있을까? 자신의 소득과 사회적 지위가 회사의 성패와 직결되기에 회사의 이윤을 증대시키려 들 만한 동기와 권력을 가진 이가 있어야 회사가 굴러가는 게 아닌가?

 

레닌이 내놓은 답은, 경제를 군대처럼 조직하는 것이었다. 즉, 경제 통제 기관이 소유주 대신 관리자를 임명하고, 이들이 기관에서 하달한 임무를 얼마나 잘 수행했는지에 따라 승진, 해고, 굴라그행이나 처형이 결정되는, 하향식의 위계적인 조직이었다.


내전이 한창이던 절박한 상황에서 레닌은 '전시 공산주의'를 도입하여 경제를 군사적으로 동원하는 체제를 구축하려 했다. 레닌은 1차 대전 동안 독일이 보여준 경제 통제에 깊은 인상을 받았다. 그는 독일이 단일 중앙기관을 통해 6,600만 명의 경제생활을 지휘한 것처럼, 계급의식을 갖춘 노동자들도 경제를 지휘할 수 있을 것이란 믿음을 가졌다. 그렇다면 1차 대전 당시 독일의 전시 경제는 어떻게 작동했을까? 


a66e30ab1c2a69f620b5c6b236ef203ede7390af42ab8c35


발터 라테나우의 원자재부가 운영했던 독일 전시 경제는 국채를 팔고 화폐를 찍어내어 이를 통해 전쟁 물자를 사들이면서 시작되었다. 이에 물가가 오르자, 정부는 지불하는 돈의 상한선을 정해 가격 통제를 시행했다. 이에 정부가 원하던 물자들이 민간 부문으로 빠져나가기 시작하자, 정부는 배급제를 강제했다. 정부는 상품에 우선순위를 부여하고, 우선순위가 낮은 상품의 생산에 중요 물자가 투입되는 것을 제한했으며, 생산 설비의 용도를 결정하고, 공장 확장과 건설을 지시하는 역할까지 맡았다. 이 과정에서 화폐의 흐름은 단순한 회계 도구가 되었다.


이러한 독일의 전시 경제는 소련 전시 공산주의의 영감이 되었다. 전시 공산주의는 산업을 국유화하고, 원자재를 고정된 가격으로 공급하고, 배급제를 도입하고, 우선순위가 낮은 상품의 생산에 중요 물자가 투입되는 것을 제한하였다. 이렇게 중앙계획경제가 출범했다. 공장 관리자들에겐 중앙으로부터의 요구가 날아들었고, 공장 관리자들은 암시장에서 거래하든, 구걸하든, 훔치든, 어떻게든 부족한 자원을 충당하여 요구된 생산량을 최대한 맞추어야 했다. 지극히 비효율적이고 지극히 부패했다.


a66e30ab1c2a3da36bf1dca511f11a399e0b700f9b24ea0ee8


전시 공산주의는 여러 참사를 낳았는데, 그중 가장 큰 참사는 농업이었다. 볼셰비키는, 초기에는 농민들이 알아서 토지를 재분배하도록 하여 큰 인기를 얻었다. 그러나 도시에 보낼 식량이 필요해졌다. 농민들은 사치품에 그다지 관심이 없었기에 식량을 거래하려 하지 않았다. 결국 정부는 식량을 징발하였고, 농민들은 곡식을 숨기기 시작했다. 수많은 이들이 굶주렸다. 도시 노동자들은 식량 부족으로 인해 시골의 농장으로 돌아갔고, 그 결과 도시의 공장은 제대로 돌아갈 수 없었다. 이처럼 전시 공산주의는 비효율적이고 부패했으며 여러 참사를 낳기도 했으나, 전쟁에 필요한 자원 생산과 통제에 성공하였고, 볼셰비키는 내전에서 승리할 수 있었다.


적백내전의 결과, 약 1,000만 명이 사망했다. 그중 약 100만 명은 적군, 200만 명은 백군이었으며, 나머지 700만 명은 민간인이었다. 러시아의 경제 규모는 3분의 1로 축소되었고, 산업 생산량은 5분의 1로 감소했으며, 기대수명은 20세로 하락했다. 수많은 제정 러시아의 장군과 관료, 자유민주주의자, 사회민주주의자들이 목숨을 잃었다. 러시아의 대부분은 소련으로 재편되었고, 권력은 레닌의 손아귀에 들어왔다.


a66e30ab1c2a69f420b5c6b236ef203eb9a35ec5ff73d3a2


20세기 초 러시아는 그 누구도 사회주의가 처음 등장할 것이라고 예상하지 못한 지역이었다. 하루 4달러가 일반적인 생활 수준이었고, 기대수명은 30세에 불과했다. 부유하고 교육받은 계층의 대부분은 귀족이었으며, 인구의 대다수는 영주제와 봉신제의 봉건적 지배 아래 있었다. 사유 재산, 프롤레타리아나 부르주아의 통치 같은 개념은 그야말로 먼 나라 이야기였다. 무엇보다 러시아는 서유럽의 산업혁명을 거의 공유하지 못했다. 사회주의가 작동하기 위한 산업 발전 단계까지 러시아는 아직 너무 멀리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레닌과 그의 추종자들은 원조에 대한 기대를 품었는데, 그 기대의 근거는 신앙이었다. 마르크스와 엥겔스의 변증법적 유물론과 역사적 유물론에 따르면, 곧 서유럽의 산업 국가에서 공산주의 혁명이 발생할 것이 분명했다. 이 국가들이 공산주의 국가가 되어 가난한 농업국인 러시아에 원조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마르크스가 말한 사회주의가 작동하는 산업 발전의 단계로 러시아를 이끌겠다는 계획이었다. 레닌은 특히 독일에 기대를 품었다.


실제로는 어땠을까? 공산주의 정권은 헝가리에서 잠시 정권을 잡았고, 독일 남부 바이에른에서도 잠깐 등장하긴 했다. 그러나 1차 대전이 끝난 시점에서 현실사회주의 국가는 레닌이 이끄는 러시아 하나뿐이었다.


a66e30ab1c2a69f520b5c6b236ef203e173381155e720a0e


원조는 없었다. 결국 전시 공산주의에서 신경제정책(NEP)으로 후퇴할 수밖에 없었다. 가격이 변동하고, 물건을 사고팔며 부자가 될 수 있으며, 공장 경영자들은 이윤을 창출하고, 상인과 중개인 계급이 성장할 수 있는 경제. 자본주의이지만 국가 통제 아래에 있고, 이윤 기반으로 운영되지만 사회화된 국가 기업들. 그것은 편의적 조치이자 편법이었다. 이러한 편법이 가능했던 이유는 소련 정부의 장악력이 제한적이었기 때문이다. 1930년대 중반 기준으로도 소련의 계획 당국이 자재 잔고를 추적할 수 있었던 품목은 100개 정도에 불과했다.


물론 이러한 상품들의 유통은 계획 당국에 따라 이루어졌다. 계획 당국은 공장 관리자들에게 목표를 할당하고, 달성치 못하면 처벌을 내렸다. 계획을 초과해 만들어진 상품들은 블라트(blat), 즉 권력을 가진 거물과의 연줄에 따라 거래되었다. 그렇기에 인맥이 중요했다. 기업들이 중앙정부, 블라트로도 필요한 원자재를 구하지 못할 때에는 톨카치(tolkachi)라는 비공식 물물교환 중개업자들에게 의존했다. 톨카치는 원재자를 누가 보유하고 있는지, 그 가치는 얼마인지, 얼마나 확보할 수 있는지 등의 정보를 갖고 있었다. 


a66e30ab1c2a69f220b5c6b236ef203ec6088699816ad55f


사실 대부분의 자본주의 기업 내부 조직은 소련 계획 당국의 자재 잔고 관리 방식과 매우 비슷하게 작동한다. 기업은 직원들에게 목표를 할당하고, 달성 여부에 따라 승진부터 해고까지가 결정된다. 직원들은 호의를 주고받으며, 업무 자원을 확보하기 위해 인맥을 활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결정적인 차이는, 자본주의 기업은 훨씬 더 큰 시장경제에 있으므로 '만들 것인가, 살 것인가'의 결정을 내릴 수 있다는 점이다. 즉 어떤 자원을 기업 내에서 인맥을 통해 확보할 것인가, 아니면 예산 부서에 요청하여 외부에서 구입할 것인가를 효율성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이는 자본주의 기업 주위를 수많은 중개상들이 감싸고 있기에 가능한 일이다. 


이러한 결정권의 존재는 기업들을 효율적으로 유지하는 강력한 요인이다. 하지만 소련의 개별 공장들 주위에는 폭넓은 자본주의 시장도, 수많은 중개상들도 존재하지 않았다. 오직 비공식적이고 제한적인 톨카치만이 존재했다. 그 결과 소련의 경제는 매우 비효율적이었다.


자재 잔고 통제는 비효율적이지만, 전시 상황에서는 대부분의 사회가 이를 채택한다. 전시와 같은 총동원의 시간에는 아마도 그것이 최선이다. 하지만 우리가 과연 언제나 총동원의 시간 속에서 살길 바랄까?


-「20세기 경제사: 우리는 유토피아로 가고 있는가」(브래드퍼드 들롱)를 읽고 작성함.


출처: 새로운보수당 갤러리 [원본 보기]

추천 비추천

39

고정닉 15

16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사회생활 대처와 처세술이 '만렙'일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5/03/31 - -
이슈 [디시人터뷰] LPBA의 차세대 스타, 당구선수 정수빈 운영자 25/04/02 - -
313989
썸네일
[이갤] 권성동 “尹 탄핵 심판 결과 승복할 것…당 공식 입장”
[316]
돈카츠와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6 26535 100
313987
썸네일
[컴갤] 중국 로봇의 위엄 ㄷㄷ 진짜임 ㄷㄷ
[397]
공부는머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6 39394 116
313985
썸네일
[싱갤] 오싹오싹 웹툰에서 나온 끔찍한 고문방법
[282]
XIII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6 60164 278
313983
썸네일
[국갤] 민주당, "국민의힘 대선 출마 금지"법 발의
[1105]
ㅇㅇ(124.195) 03.16 38089 1220
313981
썸네일
[헤갤] [망한머리 구조대 미용실형] 6만원 가성비 최고 망한 애즈펌의 정석
[96]
미용실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6 22377 223
313979
썸네일
[기갤] 버스에서 쓰러진 남성, 버스기사와 승객들 도움으로 의식 찾아.jpg
[305]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6 15545 104
313978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스타워즈 북한 콜라보 뮤직비디오
[76]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6 20685 84
313974
썸네일
[디갤] 1월에 홋카이도 혼자 배낭 여행하면서 찍었던 거
[30]
호떡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6 11003 26
313972
썸네일
[싱갤] 훌쩍훌쩍 중증외상센터 현실
[336]
에지오아디토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6 41156 352
313970
썸네일
[무갤] 나거한 미래의 주역들 근황..
[1083]
やったか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6 34946 315
313968
썸네일
[기갤] 핑계고) 이민정에게 매일 커피 내려주는 로망있다는 이병헌.jpg
[14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6 22231 109
313966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여친 살해 의대생 부모 근황
[35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6 38530 334
313964
썸네일
[국갤] 최근 논란중인 장발 경찰.jpg
[988]
ㅇㅇ(1.237) 03.16 50004 878
313962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한국 영화계가 유난히 고전하고 있는 분야
[518]
ㅇㅇ(175.127) 03.16 46490 338
313960
썸네일
[기갤] 김수현 향한 '마녀사냥', 故 김새론 지키지 못한 유족은 무엇했는가?
[69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6 35099 228
313958
썸네일
[카연] 스토리 만화
[61]
만화가좋아♡시즌2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6 12479 17
313956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영화 쉬리와 배우 최민식의 위엄
[229]
ㅇㅇ(115.21) 03.16 37698 106
313952
썸네일
[국갤] 국힘, 美 '민감국가 리스트'에 "野 정략적 탄핵이 원인"
[343]
dyi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6 21148 327
313950
썸네일
[야갤] 백종원의 사과...첫 단추부터 잘못 끼웠다 ㄹㅇ...jpg
[351]
Adida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6 46199 772
313948
썸네일
[배갤] 가장 기억에 남았던 유럽여행지 에든버러
[41]
집에가기싫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6 15226 45
313946
썸네일
[싱갤] 끔찍끔찍 세계 최초.....아동살해 스너프 필름.....JPG
[872]
우하하날사랑해줘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6 67748 900
313944
썸네일
[기갤] 맥도날드, 3월 20일부터 가격 또 올린다...jpg
[37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6 29445 98
313942
썸네일
[유갤] 이제훈이 너무 하기 싫어도 매일 한다는 것
[232]
ㅇㅇ(175.119) 03.16 36901 96
313940
썸네일
[장갤] 박일규 vs 은현장 100억 채널삭제빵 사건 요약
[200]
장갤러(1.230) 03.16 34553 240
313938
썸네일
[야갤] 어제자 그알...살인자가 된 수능만점 의대생 ㄹㅇ...jpg
[575]
Adida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6 42649 590
313936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포커 챔피언과 영재고 카이스트 압살하는 장동민
[241]
ㅇㅇ(210.105) 03.16 36076 134
313932
썸네일
[조갤] 올공다녀온 사진..(31장)
[42]
rrrly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6 11003 33
313931
썸네일
[유갤] [오만추] 다른 여자들이 동주 선택해도 서운하지 않아요?
[77]
ㅇㅇ(175.119) 03.16 17333 19
313929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크보빵 실물.jpg
[267]
ㅇㅇ(218.144) 03.16 36480 40
313927
썸네일
[부갤] 저녁에 돌아다니면 안되는 이유..
[590]
부갤러(223.118) 03.16 41980 574
313926
썸네일
[백갤] 성시경에게 당하는 백대표님
[591]
백갤러(112.148) 03.16 53488 1188
313924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싱가폴&두바이 간접 체험.gif
[206]
수인갤러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6 21650 64
313922
썸네일
[기갤] "그냥 약먹이고 잠만 재워", 더 지옥됐다는 한국 상황.jlg
[504]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6 43158 161
313921
썸네일
[일갤] 일붕이 오키나와 여행사진쓰
[54]
사과쟁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6 12726 42
313919
썸네일
[유갤] 4천만원 시계 플렉스한 래퍼 디스하는 장도연
[287]
ㅇㅇ(175.119) 03.16 32596 341
313917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커뮤니티를 뜨겁게 달군 다양한 상식 논란들
[1024]
코드치기귀찮아서만든계정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6 67003 304
313914
썸네일
[기갤] "그 사람 무서워 그만뒀어요", 대책없어 보이는 40대의 행패.jpg
[228]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6 29735 152
313912
썸네일
[디갤] 날씨가 좋아서 걸어다니며 찍어본 오늘의 강릉
[47]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6 11741 35
313911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무명시절 유재석이 털어놓은 속마음
[349]
정복자캉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6 41706 400
313909
썸네일
[기갤] 서장훈이 방송에서 서울대, 고려대생들하고 투닥거리는 이유.jpg
[167]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6 30187 110
313907
썸네일
[주갤] 최근 논란이 되고있는 30대 중반 여성의 동물유튜브.txt
[441]
ㅇㅇ(134.195) 03.16 57898 668
313906
썸네일
[유갤] 대한항공 새 로고 디자인의 의미
[465]
ㅇㅇ(175.119) 03.16 33808 90
313904
썸네일
[싱갤] 냉혹한 취사병 vs ROTC 후보생의 세계...jpg
[294]
인터네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6 35659 315
313902
썸네일
[리갤] e스포츠 레전드 임요환과 홍진호가 천재라고 부르는 사람
[158]
ㅇㅇ(118.235) 03.16 33035 142
313901
썸네일
[해갤] 오늘자 레알 마드리드 음바페 멀티골...gif
[161]
메호대전종결2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6 23313 265
313899
썸네일
[기갤] 9살인데 걸그룹 데뷔? '언더피프틴' 오디션 비난 폭주.jpg
[560]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6 29229 96
313896
썸네일
[일갤] 스압)친구랑 첫 기타큐슈 여행기
[35]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6 11975 39
313894
썸네일
[기갤] 2029년 유인 착륙 가능? 머스크 "내년 화성 출발".jpg
[157]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6 16070 72
313892
썸네일
[싱갤] 싱글벙글 한반도의 유서깊은 혈통.jpg
[228]
수인갤러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6 48033 233
313891
썸네일
[야갤] 가세연....김수현 엉덩이사진 공개...jpg
[2036]
메좆의야짤타임18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3.16 124816 1169
뉴스 아일릿 ‘Almond Chocolate’ 일본서 인기 급상승 디시트렌드 04.03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