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하다하다 ‘최저임금제 철폐’까지, 헌법에도 어긋나

만남의광장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1.12.02 00:09:38
조회 64 추천 1 댓글 0

하다하다 ‘최저임금제 철폐’까지, 헌법에도 어긋나는 윤석열의 반노동 인식

‘노동자 죽으란 얘기냐’ 비판 직면한 윤석열, 또 “오해”라며 해명

https://www.vop.co.kr/A00001604142.html


소연 기자 nsy@vop.co.kr
발행2021-12-01 17:11:27 수정2021-12-01 17:11:27


01041321_A.jpg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1일 충남 천안 서북구 충남북부상공회의소에서 열린 기업인 간담회에서 참석자들의 애로사항을 듣고 있다. 2021.12.01.ⓒ뉴시스

국민의힘 윤석열 대선 후보의 부적절한 노동관 또다시 도마에 올랐다. 최저임금 인상 속도와 주52시간제 운용 과정을 문제 삼은 데에서 나아가 두 제도 자체의 폐지를 시사하면서다. 최저임금제는 헌법에서도 국민의 기본적인 권리로 명시하고 있는 만큼 윤 후보의 인식이 반헌법적이라는 비판을 피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윤 후보는 지난달 30일 충북 청주 2차 전지 기업인 '클레버'를 방문한 자리에서 "정부의 최저시급제라든지 주 52시간제라고 하는 게 중소기업에서 창의적으로 일을 해야 하는, 단순 기능직이 아닌 경우에는 굉장히 비현실적이고 기업 운영에 지장이 정말 많다(고 한다)"며 "대체적으로 중소기업의 경영 현실을 모르고 탁상공론으로 만든 제도들 때문에 많이 고통스럽다는 말씀으로 받아들였다"며 업계 관계자들의 입장을 전했다.

그러면서 "앞으로 저희가 차기 정부를 맡게 되면 누구한테 물어보지 않고 하는 것, 어떤 정책의 대상이 되는 사람들에게 조금 물어보고 하는데 자기네들 마음대로 하는 것은 확실하게 지양하도록 하겠다"며 "비현실적인 제도 등은 다 철폐해 나가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윤 후보가 최저임금제와 주52시간제에 부정적인 입장을 드러낸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그간 윤 후보는 자영업자, 중소기업인 등을 만난 자리에서 '현장의 목소리'라며 두 제도를 대폭 손질하겠다는 의사를 적극적으로 밝혀왔다.

최저임금에 대해서는 "지역·업종별 차등적용에 대한 전향적인 검토를 시작해야 한다"거나, "중소기업의 경제적 여건과 임금 지불 능력을 고려해 최저임금이 결정되는 여건을 만들겠다"고 공언했으며, 주 52시간제와 관련해서도 "노사 합의를 기반으로 추가 연장근로를 확대하도록 한다"고 예고했다.

하지만 이번 발언은 노동자를 보호하는 가장 기본적인 제도를 '비현실적'이라고 보고, 자신이 집권할 경우 이를 폐지할 수 있다는 점을 드러낸 것이라 더욱 논란이 거셀 것으로 예상된다. 더욱이 검찰총장 출신으로서 법과 원칙을 강조해 왔던 윤 후보의 행보와도 배치되는 것이기도 하다. 우리나라 헌법 32조에서는 "국가는 사회적·경제적 방법으로 근로자의 고용의 증진과 적정임금의 보장에 노력해야 하며 법률이 정하는 바에 의해 최저임금제를 시행해야 한다"며 최저임금을 국가의 의무로 못 박고 있다.

"과로 사회, 저임금 사회 부추기나"
정치권, 시민사회서 한목소리로 비판

윤 후보의 발언이 알려진 뒤 정치권은 물론 노동 관련 전문가를 비롯한 시민사회계 전반에서 비판이 쏟아졌다. 윤 후보가 말하는 노동 정책은 노동자를 죽음으로 몰아넣는 위험한 구상이란 지적은 한목소리로 나왔다.

이승윤 중앙대 교수는 민중의소리와의 통화에서 "노동자의 기본적인 소득 보장과 권리를 지키기 위한 제도를 없애겠다는 것이어서 매우 위험한 발상"이라며 "주52시간제 경우도 완전 경쟁 체제로 가면 소득보장이 제대로 안 되고, 좋은 일자리가 없는 상황에서 죽을 만큼 일하는 노동자만 늘리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특히 범정부 청년 정책 컨트롤 타워인 청년정책조정위원회에서 부위원장으로 활동 중인 이 교수는 윤 후보가 언급한 방안이 청년층에게는 직격탄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청년은 노동시장에서 이행기에 있기 때문에 다양한 일자리를 탐색하고, 시간당 임금이 중요한 일자리에서 많이 일하고 있다"며 "청년 기업가나 스타트업 입장에서는 (최저임금제도가 문제가 될 수 있다고) 판단할 수 있지만, 그건 고용주나 청년 창업가를 지원하는 방식으로 접근해야 한다. 대다수 청년은 임금 노동자라 최저임금이 흔들리면 청년에게 큰 타격이 갈 것"이라고 우려했다.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 모임(민변)' 노동위원회에서 활동 중인 류하경 변호사도 통화에서 "최저임금을 헌법으로 규정하는 이유는 최소한 인간답게 살 권리를 보장하기 위해서"라며 "임금을 일반 상품처럼 수요와 공급의 법칙으로 따르게 하면, 생존할 수 있는 한계 밑으로 내려가기 때문에 대부분의 국가에서 최저임금법을 정해놓고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류 변호사는 또한 "우리나라는 OECD 국가 중에서 노동시간이 제일 길고, 산업재해율도 제일 높고, 산업재해로 인한 사망률도 가장 높다"며 "이런 나라에서 근로시간을 더 연장한다고 하면 노동자들 죽으라는 얘기"라고 비판했다.

민주당 선대위 강선우 대변인은 논평을 내고 "(윤 후보는) '과로 사회', '저임금 사회'를 부추기는 격"이라며 "노동계와 산업계가 뼈를 깎는 노력으로 지금의 주 52시간제를 만들었고 최저임금제가 저임금 노동자를 보호할 수 있는 제도라는 걸 기억하기 바란다"고 비판했다.

진보당 김재연 대선 후보도 논평을 통해 "국민의 인간다운 생활을 보장하기 위해 소득의 기초가 되는 임금을 국가가 보장해야 한다는 것을 똑똑히 알아야 한다"며 "주 52시간제를 전면 적용하고 나아가 주4일제까지 노동시간을 단축하는 논의를 해야 할 시점에 시대착오적 망언을 일삼는 윤석열 후보는 대선 후보로서 자격이 없다"고 비판했다.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은 "윤 후보의 발언은 앞장서 자본의 이익을 지키고 보장하며 극한의 수탈을 보장하겠다는 자본에 대한 충성서약을 공식적으로 표한 것에 다름 아니다"라고 일갈했다.

논란 일자 해명 나선 윤석열
"현장 목소리 잘 반영하겠단 의미"

이러한 논란에 윤 후보는


추천 비추천

1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지금 결혼하면 스타 하객 많이 올 것 같은 '인맥왕' 스타는? 운영자 24/10/28 - -
AD 보험상담은 디시공식설계사에게 받으세요! 운영자 24/08/28 - -
1110598 토기신 숨통 좀 트임 [6] ㅇㅅㅇ(39.7) 22.01.29 632 24
1110596 사주바죠11 ㅇㅇ(175.201) 22.01.29 17 0
1110595 막창시킴 [1] 확률게임(39.7) 22.01.29 37 2
1110593 이하이는 진짜 계수같이 생김 [1] ㅇㅇ(176.160) 22.01.29 214 1
1110592 부모가 자기기분나쁘면 자식비난하는 이유가 뭐임?? [6] ㄷㄷㄷ(121.133) 22.01.29 108 0
1110590 을목 신축년 너무불행했어서 오늘 명절연휴인데 죽고싶네요 [7] .(223.38) 22.01.29 275 2
1110587 사주대로 삶? ㅇㅇ(124.111) 22.01.29 22 0
1110585 경신일주도 홍염살 있는것 같음 [5] ㅇㅇ(121.186) 22.01.29 1175 7
1110579 사주가 마니 안좋지? ㅇㅇ(121.163) 22.01.29 35 0
1110578 내사주 어때? 갑파뉴(124.50) 22.01.29 25 0
1110575 젖탱이 달고다니면 ㄹㅇ 무슨 느낌이냐? [5] ㅇㅇ(49.142) 22.01.29 102 0
1110573 박근혜가 외교 안보 경제 고용 복지 재난-메르스대응 뭐 하나 죽느니앓지(112.214) 22.01.29 35 1
1110569 딴 건 몰라도 고자는 인정필요없어 트리마제(106.102) 22.01.29 18 0
1110566 나 친아빠 진짜 존나 싫어하는데 어떻게 더 싫어하는거 티낼수 (121.160) 22.01.29 29 0
1110564 휘성 태민 이하이 이런애들 착한데 벽세우는 표정 ㅇㅇ(176.160) 22.01.29 166 0
1110562 여자들한테 인정받으면 좋음 하늘구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29 43 0
1110560 도지코인 투자 포인트 찝어준다 [14] 킹리시부엉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29 154 2
1110558 광해군은 폭군이라 그럼 안되지 않노 [1] dorongye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29 63 0
1110557 실력도 없도 멋도 없는데 계속 나대봐ㅋㅋ 한남충OUT프로젝트(218.55) 22.01.29 24 1
1110556 무뇌노? 시발 재앙이처럼 코레일이나 수도공사에 본인 팬클럽 죽느니앓지(112.214) 22.01.29 30 2
1110555 집안마다 액받이가 있다기보단 [1] ㅇㅇ(39.7) 22.01.29 210 7
1110554 위로 올라갈수록 실력없으면 [3] 한남충OUT프로젝트(218.55) 22.01.29 64 1
1110553 올해 저 어떨것같나요 촉좀 ㅇㅇ(223.39) 22.01.29 23 0
1110550 설날 소희소희소희(118.235) 22.01.29 22 0
1110549 한류를 일본애니랑 붙이는건 국뽕이 아니라 국까일뽕이 해야될 짓 ㄷㄷ(112.165) 22.01.29 33 0
1110548 제대로 된 사람이면 최순실같은 사람있으면 이상하다고 [1] 한남충OUT프로젝트(218.55) 22.01.29 44 4
1110547 식상생재야 너사주보러가면 금전운 오지다고함? [1] 요술양탄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29 63 0
1110546 난 결국엔 잘되겠지 ㅇㅇ(223.39) 22.01.29 20 0
1110545 사람들 모두 잘난게 한가지씩은 있구나 [4] ㅇㅇ(175.212) 22.01.29 89 1
1110544 무오일주 ㅂㅅ ㅇㅇ(106.101) 22.01.29 117 3
1110542 내가 가증스럽게 느끼는 너희모습을 따라해보기로 했어,,, 거울.엘리자(116.32) 22.01.29 27 0
1110540 공부 별일 없음 잘되겠지 뭐 ㅇㅇ(223.39) 22.01.29 22 0
1110537 남자는 인정이면 끝난다 [1] ㅇㅇ(182.222) 22.01.29 81 1
1110536 역갤러들아 나좀 힐링하고 위로해주라 ㅜㅜ [11] 곤란더화(119.70) 22.01.29 53 0
1110534 남편복 잇는 여자 질투한다는거 어떻게 생각해? [5] ㅇㅇ(106.101) 22.01.29 317 18
1110532 중국이나 일본에 비해 한국문화가 약한건 사실임 ㄷㄷ(112.165) 22.01.29 71 0
1110531 인조도 세자도 인질로 보냈으니까 아들도 남이라던 HSBG찢과 죽느니앓지(112.214) 22.01.29 37 0
1110529 박근혜는 너무 멍청했어..결혼도 안해서 남편, 자식도 [10] 한남충OUT프로젝트(218.55) 22.01.29 116 9
1110526 젤리 이건데 개쩜 [3] 유하(211.224) 22.01.29 75 3
1110524 올해 공부운있나 촉좀봐줘 ㅇㅇ(223.39) 22.01.29 23 0
1110521 정미일주가 남자든 여자든 정력이 좋대 ㅇㅇ(223.38) 22.01.29 145 2
1110520 내일상에 무슨일이 일어나면 감시생각부터들어 ㅇㅇ(122.42) 22.01.29 22 0
1110519 결혼해서 시댁욕하는 친구들은 안만나게 돼 [2] Honn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29 100 2
1110517 똠양꿍 국물 너무 짜기만하네 유명한 집인데 ㅇㅇ(175.223) 22.01.29 19 0
1110514 누가나감시하니 하루에도수백번역갤보게돼 ㅇㅇ(122.42) 22.01.29 29 0
1110513 난 무토 훈장님이지만 꼰대는 아니야 [4] ㅇㅇ(182.222) 22.01.29 60 0
1110512 각 집안마다 액받이 있다는거 믿음? [11] ㅇㅇ(118.235) 22.01.29 398 13
1110511 나의도한건아닌데사람잘속이거든? ㄷㄷㄷ(121.133) 22.01.29 31 0
1110509 올해 공부운있나 촉좀 ㅇㅇ(223.39) 22.01.29 18 0
1110506 저녁 메뉴 추천해다오 [9] dorongye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29 43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