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연관 갤러리
판타지 갤러리 타 갤러리(0)
이 갤러리가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타 갤러리 판타지 갤러리(0)
이 갤러리를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개념글 리스트
1/3
- 진짜 대단하다고 화제되고 있는 박경림...jpg ㅇㅇ
- 보험사기가 의심되지만 증거불충분으로 검찰에서 기각된 사건 감돌
- 순애순애 영원한 절친 나!히다
- 독서실에서 상탈하다 경찰온 썰.manhwa 보까치
- 창원시설공단 책임 떠넘기기 들통 엔갤러
- 아리아나 드보스, 레이첼 제글러 저격 의혹....jpg ㅇㅇ
- 크보빵, 포켓몬빵 인기 뛰어넘었다 ㅇㅇ
- 한국 관세, 행정명령 부속서엔 25% 아닌 26%.jpg 화난송은이
- 와들와들 IMF를 거쳐 해체당한 재벌과 현재 남은 그들의 유산 싱글벙글참치캔
- 9개월만에 우주에서 돌아온 주인, 반려견들의 대환영 잔치.jpg ㅇㅇ
- 라스) 딘딘이 깐족거리는 거에 비해서 살아남은 비결.jpg ㅇㅇ
- 네이버 라인 영상 올렸다가 저작권협회에서 연락받은 유튜버 ㅇㅇ
- 사람들이 잘 모르는 버튜버 시청연령대 ㅇㅇ
- 와들와들 할머니의 악몽.....manhwa ㅇㅇ
- 40세 여자의 공개구혼.jpg ㅇㅇ
싱글벙글 스타트업으로 알아보는 IT 혁명
오픈AI (미국, 2015년 설립) 기업가치 = 3000억달러 (약 440조원) 챗GPT로 이제는 너무나 잘 알려진 미국의 AI 기업이다. 생성형AI 시장을 절대적으로 주도하고있어 그 가치를 인정받아 창립 10년만에 기업가치가 440조원을 돌파했다. 충격적인건 생긴지 10년밖에 되지않은 기업이 삼성전자와 현대차를 합친것보다도 기업가치가 훨씬 높아졌다는것이다. (이게 말이돼?) 앤스로픽 (미국, 2021년 설립) 기업가치 = 615억달러 (약 88조원) 미국 기업이며, 현재 오픈AI의 챗GPT와 가장 강력하게 경쟁하고 있는 생성형AI 스타트업이다. 이 기업은 2021년에 설립되어 생긴지 4년도 안되었으나 아마존, 구글, 세일즈포스와 같은 빅테크 기업의 전폭적인 지원을 받아 기업가치가 88조원까지 치솟았다. 생긴지 4년도 안된 기업이 국내 시총 2위인 SK하이닉스와 기업가치가 비슷해진것이다. 딥마인드 (영국, 2010년 설립) 기업가치 = 1000억달러 (약 146조원) 영국 기업이며 대표적인 1세대 AI기업이다. 생성형AI 붐이 일어나기 한참전인 2016년 알파고를 출시했고, 세계적인 바둑기사 이세돌을 상대로 승리하여 전세계에 충격을 줬다. 2020년 AI기술을 이용해 신약개발하는 알파폴드를 개발하여 제약,생명공학 산업에까지 진출하였다. 이러한 업적을 인정받아 창립자 데미스 하사비스는 2024년 노벨상을 수상받았고, 딥마인드의 기업가치는 무려 146조원에 달한다.xAI (미국, 2023년 설립) 기업가치 = 800억달러 (약 117조원) 미국 억만장자 일론 머스크가 세운 생성형AI 스타트업으로, 진실을 추구하는 AI 시스템 개발을 목표로 두고있다. xAI는 설립이후 빠르게 성장하여 2025년 3월 소셜미디어 플랫폼인 엑스를 330억달러에 인수하여 기업가치가 117조원까지 치솟았다. xAI의 모델인 그록의 성능 또한 매우 우수한편으로 평가받고있다. 창립 2년만에 117조원이라는 엄청난 기업가치를 달성한사례는 아마 흔치않을것이다. 레볼루트 (영국, 2015년 설립) 기업가치 = 450억달러 (약 65조원) 영국 기업이며 현재 전세계적인 핀테크 기업으로 부상했다. 30개 이상의 통화로 입출금이 가능하며 주식, 암호화폐, ETF 등 투자 기능을 지원할뿐만 아니라 실시간 환율기반 해외송금, 체크카드, 스마트 환전 등 거의 모든 핀테크 기능을 지원하고있어 창립 10년만에 5000만명이 넘는 고객수를 확보했다. 은행없이 시작된 디지털 금융혁신의 상징이자 AI를 잘 활용하여 이러한 기술을 인정받아 65조원의 기업가치를 달성했다. 비슷한 성격의 기업인 토스가 10조원도 채 되지않는것을 생각하면 정말 엄청난속도의 성장인것. 미스트랄AI (프랑스, 2023년 설립) 기업가치 = 90억달러 (약 13조원) 프랑스 기업이며, 유럽을 선도하고있는 생성형AI 스타트업이다. 오픈AI, 앤스로픽, 메타, 구글과 함께 거대 언어모델(LLM) 개발 중심이라 크게 주목받고 있다. 엔비디아, 마이크로소프트, ASML, 세일즈포스 등의 빅테크 기업들과 프랑스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을 받아 기업가치가 13조원을 돌파했다. 태어난지 2년도 채 되지않은 회사의 기업가치가 벌써 국내 최대 IT기업인 카카오나 네이버와 비슷한 수준인것이다. 스테이블 디퓨전 (영국, 2019년 설립) 기업가치 = 55억달러 (약 8조원) 영국 기업 스태빌리티AI가 개발한 플랫폼으로, 대화형AI를 오픈AI가 선도하고 있다면 이미지AI는 스태빌리티AI가 선도하고 있는셈이다. 현재 이미지 생성 분야에서 글로벌 점유율 1위다. 그 가치를 인정받아 창립 6년만에 기업가치 8조원을 달성하였다. 퍼블렉시티 (미국, 2022년 설립) 기업가치 = 200억달러 (약 29조원) 퍼블렉시티는 미국의 AI 스타트업으로, 자연어 처리를 활용한 대화형 검색 엔진을 개발했다. 단순한 검색엔진이 아니라 사용자에게 직접적인 답변과 출처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선보이고있어 차별화와 뛰어난 경쟁력을 가지고 있다. 그 가치를 인정받아 설립 3년만에 현재 기업가치는 거의 30조원에 달한다. 창립 3년만에 네이버와 기업가치가 똑같아진것(..) 헬싱 (독일, 2022년 설립) 기업가치 = 70억달러 (약 10조원) 헬싱은 독일의 국방AI 기업으로, 실시간 전장 데이터분석, 무기 시스템 통제, 드론과 무인기 등을 개발하는 독일의 팔란티어로 부상하고 있다. 라인메탈과 BAE, 롤스로이스와 같은 유럽 대형 방산업체와 주요 기관들의 전폭적인 지원과 계약 확대를 통해 기업가치가 가파르게 상승하고있다. 충격적인건 생긴지 3년도 안된 AI 방산기업이 국내 최대 방산업체인 한화시스템이나 한국항공우주의 시가총액을 훨씬 뛰어넘었다는것.. 거대 기술기업 중심으로 재편된 미국,유럽증시 과거 2000년대 미국증시를 지배했던 엑슨모빌, 월마트, GE같은 기업들은 이제 애플, 엔비디아, 마이크로소프트, 구글과 같은 빅테크 기업들에 상대가 되지않는 수준이고, 실제로 미국은 2010년대 중반에 이미 기술기업들로 순위권을 재편했을정도로 디지털전환이 가장 빨랐다. 반면 유럽은 2010년대 중반까지도 여전히 명품, 금융, 석유기업들이 상위권에 포진하였으나 2020년대부터는 완전히 뒤바뀌기 시작했다. 현재 유럽 시총 3대기업인 SAP, 노보 노디스크, ASML는 모두 IT, 소프트웨어, 생명공학, 반도체 기업들이다. 명품기업인 LVMH는 밀려나고 있다. 그밑으로도 아스트라제네카, 로슈, 노바티스, 에어버스, 스포티파이같은 생명공학, 항공우주, 플랫폼 기업들이 약진하고있다. - dc official App
작성자 : 코닭고정닉
소름소름 미국의 빈부격차
하버드 경영학과와 경제학과의 교수들이 5천명 이상의 미국 시민들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한 적이 있었음주제는 "미국의 부가 어떻게 분배되고 있는지" 였음 사람들이 두려워하는 "사회주의"의 부의 분배임우리 모두가 이것이 불가능하다는걸 알고 있고, 실제로도 불가능함92% 즉, 10명중 9명이 생각하는 이상적인 부의 분배상위계층이 인센티브를 받아야 우리 사회는 경쟁이 촉진되고 더 발전하게 됨실제로 이 그래프는 존나게 좋음빈자들도 실제로 가난하지 않고 중산층도 존나게 탄탄함그리고 저소득층부터 부드럽게 부자까지 곡선이 연결됨아마 민주당원들과 공화당원들 모두 이 그래프에 동의할거임이게 사람들이 생각하는 "이상적인" 부의 분배였음이건 사람들이 생각하는 현실적인 부의 분배임이제 진짜 가난한 사람들이 생겨나기 시작함빈곤선 아래에 있는 사람들은 최저생활수준도 충족하지 못하는 사람들임이상적인 그래프에 비하면 저소득층, 중산층은 더 적게 벌고, 고소득층은 더 많이 버는 구조안타깝게도 이 그래프는 현실에 비하면 매우 좋은 그래프였음이게 실제 미국의 부의 분배임상위 10퍼센트의 부는 화면에 담을 수 조차 없고중산층과 저소득층의 차이는 거의 미미한 수준임하지만 상위 20%~10%도 상위 1%에 비하면 초라한 수준임그럼 상위 1퍼센트는 얼마나 벌까?이게 상위 1퍼센트의 부를 그래프에 나타내면 생기는 일임우리가 매체에서 그렇게 들어왔던 상위 1퍼센트가 바로 이 사람들이 사람들은 국가 전체 부의 약 40퍼센트를 차지하고 있음하위 80%의 인구는 오로지 국가의 부의 약 7%를 차지하고 있을 뿐임상위 20%가 전체 부의 약 93%를 가지고 있음소득으로만 따지자면,상위 1퍼센트의 소득은 1976년에는 국가 전체 소득의 약 9%였는데, 2012년에는 24%로 증가함점점 심해지고 있다는거임상위 1퍼센트는 국가의 주식, 채권, 상호 펀드의 약 50퍼센트를 소유하고 있음반대로 하위 50퍼센트의 사람들은 단 0.5퍼센트를 소유하고 있음그들은 투자를 안한다고 보면 됨. 겨우 먹고사는 수준이건 차례대로 "이상적인 그래프", "생각하는 그래프", "현실의 그래프"를 한 화면으로 보이게 나타낸거임- 이 영상 2012년에 만들어진 영상이라 지금은 어떻게 됐는지 나도 잘 모름.P.S.)위 파란색 그래프) 프랑스 대혁명 직전 부의 분배 그래프아래 빨간색 그래프) 2016년 미국
작성자 : roll고정닉
차단하기
설정을 통해 게시물을 걸러서 볼 수 있습니다.
댓글 영역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