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연관 갤러리
FC 온라인 갤러리 타 갤러리(0)
이 갤러리가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타 갤러리 FC 온라인 갤러리(0)
이 갤러리를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개념글 리스트
1/3
- 유튜버가 분석한 이강인이 psg후보로 밀린 이유 ㅇㅇ
- 사람들이 코로나때 입맛이 없던 이유 ㅇㅇ
- 어매이징 필리핀에서 모유 사먹는 틀팔육 ㅇㅇ
- 민주파출소는 검열이라던 이준석 근황.. ㅇㅇ
- 싱글벙글 챗GPT에게 속은 AI 박제계정 ㅇㅇ
- 훌쩍훌쩍... 인서울대생의 중견기업 인턴 후기 ㅇㅇ
- 대흥민의 펠리스전 58분 교체투입 하이라이트.gif scarIet
- 음바페 해트트릭 팀은 패배 엘클라시코 골 모음...gif 메호대전종결2
- 상이군인 나타샤 만화 (13) 리호
- 황당한 시험지 모음 톰황
- 아들을 키워봤자 소용없는 이유 ㅇㅇ
- 동덕여대 : 왜 여대에서 자꾸 군대 이야기 꺼내는거임?;; 휴민트솜솜이
- 요즘 포켓몬 디자인이 신기한 이유 ㅇㅇ
- 슬픔은 나누면 반이 된다.manhwa 웅쿤
- 유튜버의 연돈 후기.jpg ㅇㅇ
싱글벙글 올해 수입차 브랜드 판매량 순위
25위 롤스로이스 약 38대 판매 24위 벤틀리 약 50대 판매 23위 GMC 약 61대 판매 22위 마세라티 약 67대 판매 21위 캐딜락 약 99대 판매 20위 페라리 약 104대 판매 19위 람보르기니 약 113대 판매 18위 푸조 약 154대 판매 17위 지프 약 405대 판매 16위 폴스타 약 481대 판매 15위 BYD 약 567대 판매 14위 혼다 약 704대 판매 13위 폭스바겐 약 1212대 판매 11위 랜드로버 약 1294대 판매 10위 포드 약 1324대 판매 9위 미니 약 1392대 판매 8위 아우디 약 2029대 판매 7위 도요타 약 2086대 판매 6위 포르쉐 약 2438대 판매 5위 볼보 약 3503대 판매 4위 렉서스 약 3877대 판매 3위 테슬라 약 4818대 판매 2위 메르세데스 벤츠 약 15215대 판매 1위 BMW 약 18612대 판매 - dc official App
작성자 : 크리미널고정닉
싱글벙글 한국에선 ㅈ도 모르는 일본 국민만화
사자에상 일본 국민애니 그 자체 짱구, 도라에몽을 씹어먹는 현지 인지도 1969년부터 지금까지 1700화가량 방영중 일본에서는 모르는 국민이 없음 '사자에상 시공' '사자에상 증후군' 같은 고유명사도 존재 근데 한국에선 수입 안 해서 아무도 모름 '마루코는 9살'도 수입은 했는데 이건 안 했음... 여기는 잘나가는 파출소 1976년부터 2016년까지 연재한 점프 장수 만화 단행본만 무려 201권 ㄷㄷ 역대 일본만화 판매량 10위 안에 들어감 일본 미디어 예술 100선에 뽑힘 근데 한국에선 이것만 유명함... 게게게의 기타로 1965~1997년가량 연재한 일본 요괴만화 미즈키 시게루라는 작가가 그렸다 요괴 문화 자체가 사라질 뻔했는데 이 만화로 부활함 현대 일본인들이 생각하는 요괴 이미지는 다 여기서 나옴 지금까지도 계속 애니메이션화 되고 있으며 작가 고향에는 이 만화를 토대로 관광지를 만들어서 한해 300만명이 찾아옴 2025년 아직도 애니메이션 제작되고 있음 근데 한국에선 인지도 크게 없음... 더빙 애니 방영까지 해줬는데 시원찮음... 인터넷 한정으로는 작가의 옥쇄만화가 더 유명한듯... 닌자보이 란타로 1993년부터 지금까지 계속 방영중인 국민애니 올해는 33기 방영 예정이고 거의 2550화 나옴.. 일본 젊은이들은 어릴때 다 한번 보고 자랐다고 함 특히 성인여성팬들이 굉장히 많이 붙은 애니임 7~9기부터 미소년이 늘어나기 시작하더니 16기부터 미소년 천국 되어서 여성향 그 자체가 됨 17기부터는 굿즈도 존나 팔고 작화도 존나 올라감 원래 아동용이였는데 이제 여성향으로 바뀐 추억의 애니 2008~2010년이 최전성기였고 그 이후로도 인기 유지중 이거 보고 자란 여자애들이 애니메이터가 되어서 이 작품 참여하기도 함.. 물론 한국은 그딴거 없고 이 못생긴 새끼들만 기억중 투니버스에서 하도 틀어대서 그거 보고 자란 사람들한테는 나름 인지도 있음.. 디지캐럿 1999년 세기말에 방영된 TV 애니메이션 이건 오타쿠 한정으로 국민애니임 씹덕여캐를 팔아먹는 캐빨문화의 최초선구자 '에반게리온'은 진지한 스토리라도 있었지 이건 걍 코미디.. 2000년대 초반 미연시에 많은 영향을 끼치고 아키하바라에 메이드카페를 유행시키는둥 일본 서브컬처 문화의 대표 그 자체가 됨... 지금도 일본에선 틀딱 오타쿠 = 디지캐럿 ㅇㅇ https://www.youtube.com/watch?v=JQVU6ct-Rkc 하지만 한국에서는 2006년 챔프랑 애니박스에서 방영했는데 투니버스가 아니라서 대부분 존재를 모름... 목격자들 증언으로는 새벽에 늘 틀어줬는데 오프닝 노래가 나른하고 몽환적이라 이상했다고 함 정반대 케이스도 있음 '달빛천사'는 한국에선 추억의 노래로 가득한 국민애니지만 일본에선 방영 당시 인기가 크게 없었다고 함 물론 원작이 유명해서 망한건 아닌데 한국만큼 흥하진 못함 한국은 이용신 성우가 캐리해서 그런듯... 일본 20대 여자들한테 물어보면 대부분 모른다고 한다 (원제: 만월을 찾아서) 꼬마마법사 레미 쾌걸근육맨 2세 꾸러기 수비대 다!다!다! 마법진 쿠루쿠루 미소의 세상 아따맘마 아즈망가대왕 은하철도999 침략! 오징어소녀 행복한 세상의 족제비 고고! 다섯쌍둥이 .....이 애니메이션들은 일본보다 한국에서 더 인기가 많았다고 함... 일본에서는 평타만 치거나 폭망했음... (원작 인지도랑 별개)
작성자 : ㅇㅇ고정닉
메트로배니아 게임 몇 개 장문 리뷰
1. Ladybug社 시리즈<Return of Egypt: Two Stories> (리턴 오브 이집트)평가: C (불호)출시 연도: 03년플레이 시기: 24년 5월플랫폼/조작/언어: 프리웨어/키보드/일본어 (영어X)난이도 옵션: 캐릭터 선택(청년)플레이 타임: 약 4시간파라오 리버스의 전작. Ladybug사 메트로배니아 시리즈의 시초 격인 것 같아서 해봤다. 캐릭터 모션, 아트 스타일, 적 등등 배경만 이집트로 바뀐 캐슬바니아 라이크.두 명의 플레이어블 캐릭터가 있고, 선택에 따라 공격 기술 뿐만 아니라 게임 스토리도 꽤 많이 바뀌는 것 같다. Mort가 안 먹어서 이해는 못했지만.개똥겜임. 난이도와 세이브 위치가 양심 없음. 똥 먹고 싶으면 추천.<Pharaoh Rebirth+> (파라오 리버스+)평가: A (호)출시 연도: 16년플레이 시기: 24년 5월플랫폼/조작/언어: Steam/키보드/유저한패난이도 옵션: HARD (3/3), 소비템 x플레이 타임: 17.1시간도전과제: 25/30이집트 유적 탐험을 테마로 하는 스테이지형 메트로배니아.동방 루나 나이츠 등 여러 메트로배니아 게임을 개발한 Team Ladybug의 첫 작품.큰 기대 없이 플레이했는데 생각보다 되게 재밌었다.도트 그래픽에서도, 유치한 왕도물 스토리에서도 레트로 게임의 향이 진하게 난다. 레벨 디자인에서도 그러한데, 모든 맵이 서로 연결된 정통 메트로배니아가 아니고 스테이지 식으로 맵이 나뉘어 있음.하지만 각각의 스테이지가 괜찮은 미니 메트로배니아로 디자인되어 있고, 다른 스테이지와 연관된 어빌리티 게이트와 수집 요소도 잘 배치되어 있어서 장르의 재미는 충분히 느낄 수 있었다. 필요한 위치에 딱 딱 배치된 세이브 포인트에서도 개발자의 레벨 디자인 짬이 엿보였음.조작감이 좋고 캐릭터의 상하 움직임이 가벼워서 액션의 재미가 있었다. 어빌리티를 활용한 플랫포밍도 썩 괜찮고, 수집 요소로 강해지는 정도와 필드 난이도의 균형이 좋아서 전투가 유달리 지루한 구간은 없었다. 무기 디자인과 적 디자인이 잘 되어 있어서 다양한 서브무기를 사용하게 되는 점도 좋았고.특히, 패턴을 차근차근 익히고 파훼하는 보스전 특유의 성취감을 오랜만에 느낄 수 있어서 좋았다. 다만 최후반 스테이지들은 난이도 곡선이 치솟아서 일정 수준 이상의 수집 요소 파밍이 요구되는 난이도였음. 의도한 것이든 아니든 호불호가 다소 갈릴 만한 요소.엔딩을 보기 위한 일반적인 플레이에서는 크게 문제되지 않겠지만, 100% 수집 기준으로는 수집 요소가 지나치게 느껴졌다. 개수도 너무 많을 뿐더러, 도저히 공략 없이는 찾기 힘든 위치에 있는 경우가 제법 많았음. 영구적으로 놓칠 수 있는 템도 있고. 게다가 다 모으려면 스테이지 별로 보스 노히트 클리어 해야함...그리고 다른 게임 장르로 진행되는 파트가 있는데 많이 별로였다. 더 메신저 DLC도 그렇고, 다른 장르를 오마주할 거면 적당히 맛만 볼 정도로 넣으면 좋을 텐데 왜 뇌절을 하는지 모르겠음... 본편 진행하면서도 지나치다 싶었지만 수집 요소 먹으면서는 더 심했다. 올도과는 더더욱 비추천.기술적인 문제로는 세이브 로드가 너무 느리고, 랙이 너무 자주 걸리더라. 똥컴이긴 하지만 게임 출시연도와 그래픽 퀄리티 치고는 최적화가 너무 구리지 않았나 싶음.단점들 감안하더라도 개인적으로는 메트로배니아 장르 특유의 재미를 느낄 수 있는 수작이었다. 특히 레트로 감성을 좋아한다면 추천함.참고:• 미번역 텍스트 디폴트가 일본어인데, 일본어 못하면 한패 파일명 바꿔서 영어로 하자. 중요 액션 커맨드 설명 놓칠 수 있음.• 수집요소 다 모으면 히든 보스 있음.<真・女神転生 SYNCHRONICITY PROLOGUE> (진 여신전생 SYNCHRONICITY PROLOGUE)평가: C (불호)출시 연도: 17년플레이 시기: 24년 5월플랫폼/조작/언어: 프리웨어/키보드/유저한패난이도 옵션: HARD MODE (3/4)플레이 타임: 약 4~5시간진행도: 맵, 수집 100%캐릭터 전환 기믹을 활용한 런앤건 메트로배니아.진 여신전생 외전 타이틀의 홍보용 게임으로 개발된 Team Ladybug의 두 번째 메트로배니아.여신전생 시리즈 1도 모르는데 게임을 플레이하는 데 큰 문제는 없었다. 빙결 속성인 캐릭터와 화염 속성인 부유 캐릭터를 전환하며 싸우는 게 주된 기믹. 적마다 반감/약점으로 받는 속성이 있고, 주인공인 두 캐릭터도 마찬가지. 속성을 전환해 적의 공격을 무효화하거나 회피하는 게 전투의 주된 기술로 활용된다.런앤건 스타일의 게임을 많이 해보진 않아서 그런지 꽤 어렵게 느껴졌음. VERY HARD는 10분 정도 해보고 빠르게 뱉었고, HARD로 했는데 막보에서 벽 느껴서 수집요소 다 채우고 나서 깼다. 그런데 수집요소보다도 레벨링 차이가 컸던 듯. 포션 적극적으로 쓰면 할만 했을 거 같긴 하다.게임은 전체적으로 아쉬웠음. 세이브 포인트와 포탈이 너무 드물고, 어빌리티 게이트와 맵간 유기성도 부족한 등 레벨 디자인이 만족스럽지 못했다. 액션 면에서도 캐릭터의 공격 방향이 제한적이라서 전투가 답답했음. 보스 러시를 두 번이나 우려먹어서 같은 보스를 세 번 반복하게 하는 것도 별로였고.여신전생 팬이거나, 귀여운 도트 화풍이나 런앤건 게임을 좋아한다면 추천.<Touhou Luna Nights> (동방 루나 나이츠)평가: B (쏘쏘)출시 연도: 19년플레이 시기: 24년 5월플랫폼/조작/언어: 스팀/키보드/한국어난이도 옵션: 없음, 소비템 x플레이 타임: 6.0시간도전과제: 14/22시간정지 기믹을 활용한 플랫포밍&탄막 메트로배니아.동방 프로젝트의 2차 창작 게임. 동방 모르는 입장에서 스토리는 그뭔씹이었는데 그냥 눈치껏 플레이할 정도는 됐다.도트 그래픽이 지금껏 한 도트 게임들 중 손에 꼽을 정도로 수준급이었다. 배경 묘사와 색감도 고퀄이고 무엇보다 캐릭터 움직임 표현이 좋았음. 개인적으로 씹덕 알러지가 있는데 알러지 반응 오는 아트도 아니라서 좋았다.시간정지 기믹 활용도 괜찮았다. 어빌리티 게이트로도 간혹 쓰이고, 적 패턴이나 플랫포밍 퍼즐 요소로도 쓰이는 등 다채롭게 활용됨. 다만 대단한 퍼즐을 기대한다면 그런 건 없으니 참고.게임 퀄리티만 보면 수작인데 개인적으로 불호인 요소가 좀 있었다. 우선, Ladybug 게임에서 반복되는 문제인데 맵간 유기성이 부족하고 포탈도 너무 띄엄띄엄 있음. 그렇다고 몹들 쌩까고 활보할 수 있을 정도로 이동이 편리한 것도 아니고. 맵 탐험에 너무 방해요소로 작용함.그리고 전투 피로도가 높았다. 평타도 MP나 TP를 소모하는 시스템이라 시간정지와 그레이즈를 적당히 활용해줘야 하는데 너무 귀찮았음... 계속 쪼들리는 기분이라 스트레스였다.마지막으로 시스템에 대한 학습이 다소 부족했다. 나무위키 피셜 쉬운 겜이라는데 ㅈㄴ게 죽어서 짜증났음. 근데 알고 보니 스킬 무적시간을 이용해서 그레이즈로 회복하는 게 정석이더라. 보스 패턴 자체는 잘 만들었고 공략 보고 나니 재밌는데, 공략 보게 된 거 자체가 좀 별로임.근데 내가 게임력 부족했던 거일 수도 있음. 호불호와 별개로 잘 만든 수작 게임이니 탄막이나 런앤건, 고해상도 도트를 좋아하면 추천.<Record of Lodoss War-Deedlit in Wonder Labyrinth-> (로도스도 전기 - 디드리트 인 원더 라비린스)평가: A (호)출시 연도: 21년플레이 시기: 24년 5월플랫폼/조작/언어: 스팀/키보드/한국어난이도 옵션: 없음, 소비템 x플레이 타임: 6.3시간도전과제: 15/25훌륭한 아트와 레벨 디자인을 지닌 악마성 라이크 메트로배니아.일본 판타지 소설 로도스도 전기의 30주년 기념 2차 창작 게임.캐릭터 모션, 다양한 무기, RPG식 성장요소 등 다양한 면에서 캐슬바니아가 떠올랐다. 특히 백대쉬는 다른 게임에서 처음 봄ㅋㅋㅋ 이걸 대체 어떻게 쓰냐?아무튼 개인적으로 캐슬바니아 시리즈 정말 안 맞는 편인데, 이 게임은 오히려 재밌게 플레이했다. 개인적으로 Ladybug 작품들 중 가장 마음에 들었음.일단 도트와 모션 그래픽, 연출이 너무나 훌륭했다. 개인적으로 아트도 게임성이라고 믿는데, 이 게임은 떼깔이 너무 좋았음. 특히 컷씬 역할을 하는 연출에 공을 많이 들인 게 보였다. 개발진이 로도스도 찐팬인 듯.원작을 조금이라도 알았더라면 게임 연출에 진짜 몰입했을 거 같은데 그러지 못한 게 아쉽다. 서사와 메시지가 중요한 게임인데, 일반적인 팬 게임 마냥 배경 설명이나 인물 소개 없이 무작정 먹이더라. 스토리텔링에 조금 더 신경 써줬으면 정말 좋았을 거 같음.한편 Ladybug 게임에서는 매번 분절적인 레벨 디자인이 아쉬웠는데, 이 게임은 꽤나 만족스러웠다. 맵간 유기성이 한껏 개선됐고, 덕분에 포털 개수가 크게 늘지 않았음에도 탐험 편의성이 크게 올라갔다. 플랫포밍 관련 어빌리티가 많아서 백트래킹이 비교적 시원시원한 것도 좋았음. 수집요소도 딱 적절했고.전투는 오랜만에 근접 전투를 채용했는데 개인적으로 취향에 맞았다. 전투 시스템은 정령 원소와 정령 3레벨 회복이 특징적이었는데, 각각 SYNCHRONICITY PROLOGUE의 속성과 동방 루나 나이츠의 그레이즈 회복과 유사했음. 하지만 SYNCHRONICITY PROLOGUE보다 부유 컨트롤이 편리하고, 루나 나이츠 보다 회복이 자유로운 등 편의성 면에선 훨씬 발전된 게 눈에 띄었다.다만 보스 전투는 여전히 아쉬웠음. 보스 패턴을 파훼하기에는 너무 까다롭고, 평타보다 마법이 너무 세서 굳이 평타로 무리해서 딜하느니 적당히 정령으로 MP 흡수하고 HP 회복하면서 마법 난사하는 게 만능이었음. 기믹 보스에 가깝게 느껴질 정도. 이쯤되면 게임사에서 추구하는 전투 방향성이 이런 건가 싶기도 하고... 개인적으로는 머리 박는 보스전을 더 좋아하는 편이라 아쉬웠다.그럼에도 전체적으로 정말 만족스러운 메트로배니아였다. 로도스도 팬이거나, 캐슬바니아, 고해상도 도트를 좋아하는 사람에게 특히 추천.원작 요약 유튜브 같은 거부터 보고 게임 하면 더 즐길 수 있을 듯.최근에 BLADECHIMERA라고 게임사 신작 나왔던데 할인하면 해봐야겠음.2. 그 외<KUNAI> (쿠나이)평가: B (쏘쏘)출시 연도: 20년플레이 시기: 24년 4~5월플랫폼/조작/언어: Steam/키보드/한국어난이도 옵션: 없음플레이 타임: 8.1시간도전과제: 18/22로프 액션이 특징인 플랫포밍 액션 메트로배니아.다소 조잡해보이는 첫인상에 비해서는 인게임 그래픽이 꽤나 깔끔하고, 주인공 로봇의 표정도 다양하고 귀엽다.맵마커가 무한인 점이나, 사망 패널티가 없는 점도 잡다한 스트레스 요소를 싫어하는 사람들에게는 호감일 듯.하지만 속도감 있는 로프 액션을 기대한다면 실망할 가능성이 크다. 맵이 널찍널찍하지 않아 빠르게 스윙할 기회가 흔치 않고, 컨트롤도 까다롭다. 오히려 위쪽으로 등반하는 용도로 쓰는 경우가 훨씬 많았음.빈약한 이동 기술에 비해 뺑뺑이를 너무 많이 시키는 게 가장 큰 문제. 새로 얻은 능력, 달라진 환경 등으로 같은 장소에서 낯섬과 쾌감을 느껴야 기분 좋은 백트래킹이 될 텐데, 이 게임에서는 그런 거 없다.굳이 수집품을 찾지 않더라도 정루트 자체가 많이 꼬여있고 포탈도 없어서 계속 의미 없이 맵을 돌아야 함. 다음 목적지 안내도 부실하고 일방통행 길도 많은 데다가, 특히 초반엔 지도도 없어서 길을 자주 헤매게 된다.전투도 아쉬웠다. 공격의 선후딜이 거의 없고 패링을 요구하는 적들이 많아서 공격 연타가 정석인 느낌이었는데 좀 짜쳤다. 전투는 재미 없는데 몹 리젠은 너무 빨라서 이동할 때 귀찮은 것도 컸고.그 외에, 원문과 번역 중 어느 쪽 문제인지는 모르겠지만 스토리가 잘 이해가 안 됐고, 대사에 뭔가 유머가 많은 거 같은데 캐치가 잘 안 됐음. 개인적으로 게임 속 소소한 유머를 좋아하는 편이라 아쉬웠다.막 치명적으로 못 해먹을 게임이라고 얘기할 만한 요소는 없는데, 그렇다고 정이 가지는 않는 스타일의 게임이었음...딱 꽂혔는데 할인 중이라면 한 번 해볼 만할 듯.3. 티어리스트호불호 기준으로 정리하는 중. 티어에 불만 있으면 너네도 해봐!https://tiermaker.com/create/metroidvania-games-18158890 Create a Metroidvania Games (300 ) Tier ListOrder of Entries: Classic Series → Popular Series → Other Series → Popular Titles → Other Titles
(in alphabetical order within each group)tiermaker.com
작성자 : ㅇㅇ고정닉
차단하기
설정을 통해 게시물을 걸러서 볼 수 있습니다.
댓글 영역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