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한국 온라인게임의 흥망성쇠를 함께한 리니지의 역사- 1부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1.10.21 16:05:07
조회 53 추천 0 댓글 0
30년이 넘는 한국 게임 시장의 지대한 영향을 끼친 게임 중 엔씨소프트의 리니지를 빼놓을 수 없을 것이다. 디아블로2, 스타크래프트와 함께 한국의 PC방 문화를 안착시킨 게임이자, 한국 온라인게임의 본격적인 대중화를 시도한 작품이기 때문이다.

리니지가 국내 게임 시장에 미친 영향은 엄청나다. 한국 MMORPG(대규모 다중접속 온라인게임)의 핵심인 길드 시스템을 확립시킨 '혈맹' 시스템부터 사냥, 강화 그리고 거래소로 이어지는 한국 온라인 MMORPG(대규모 다중접속 온라인게임)의 경제 시스템의 기틀을 닦은 게임이 리니지다.



특히, 리니지의 '혈맹'은 일반적인 게임의 길드 시스템과 달리 함께 게임을 플레이하며 감정을 공유하는 하나의 집단 공동체의 개념으로 발전했으며, 이 '혈맹' 간의 대결인 대규모 '공성전'의 경우 지금도 회자되는 수많은 이야기를 만들어내기도 했다.

실제로 '린저씨'(리니지를 플레이하는 게이머를 통칭하는 말)에게 혈맹은 지금도 단순한 길드원 이상의 의미를 지니는 것이 사실.

이러한 독특한 게임성을 바탕으로 리니지는 1998년 정식 서비스를 시작한 이후 15개월 만에 국내 최초 온라인게임 100만 회원 시대를 열었고, 단일 게임 최초로 2016년 누적 매출 3조 원을 돌파하는 등 2020년 매출 16조 시장으로 성장한 한국 게임 시장의 교두보를 놓은 작품으로 꼽힌다.



한국 모바일 시장의 성장세를 이끈 게임 역시 리니지였다. 원작 출시 20주년을 맞아 출시된 '리니지M'은 출시 첫날 이용자 210만 명, 매출 107억 원을 기록하며, 이전까지 존재했던 한국 모바일게임의 모든 기록을 갈아치우는 기염을 토했다.

물론, 과금 이슈와 최근 운영에 대한 혹평이 들려오고 있지만, 리니지의 IP(지식재산권)를 활용한 최신작 '리니지W'가 글로벌 사전 예약 직후 1000만 명을 모집한 것에 이어 지난 19일 1300만 명을 돌파하는 등 리니지가 가진 IP 파워는 단순히 매출로 설명할 수 없는 요소가 존재하는 것이 사실이다.

그렇다면 올해로 24주년을 맞은 장수 온라인게임임에도 아직도 국내 게임 시장에서 끊임없이 이슈를 불러일으키고 있는 리니지는 과연 어떤 과정을 거쳐 지금까지 서비스를 이어오고 있는 것일까?



리니지의 시작은 엔씨소프트가 갓 태어난 1997년 3월로 돌아간다. 당시 엔씨소프트는 서버 구축 등 인터넷 기술 관련 외주를 받는 조그만 하청 업체로 시작했지만, 국내 최초의 순수 인터넷 기반의 ’네츠고‘ 서비스의 안정적인 구축에 성공하면서 해당 분야에서 실력 있는 회사로 조금씩 입지를 굳혀가고 있었다.

이는 당시 엔씨소프트의 이사였던 김택진 현 대표가 당시 손꼽히는 서버 & 업무용 소프트웨어 개발자인 것도 크게 한몫했으며, 이로 인해 엔씨는 SK, KCC, 금호 등 유수 기업들로부터 수주를 받는 실력 있는 업체로 점차 이름을 높여갔다.

하지만 김택진 대표는 시장 환경에 의존적인 외주 하청업체의 매출 구조를 탈피하는 방안을 찾았고, 그 대안이 바로 당시 스타크래프트의 등장으로 IT 산업에 큰 열풍을 불러일으키고 있던 게임이었다.

사실 리니지의 개발을 처음 시작한 곳은 엔씨소프트가 아니라 아이네트라는 회사였다. 당시 온라인게임 개발을 진행하던 아이네트는 경영이 어려워지자 리니지 개발팀을 타 회사로 넘기려 했고, 이 소식을 들은 김택진 대표는 끈질긴 설득 끝에 리니지의 개발자들을 인수하는 데 성공한다.

이때 초창기 리니지 개발을 총괄하던 인물이 바로 지금의 XL게임즈의 대표인 송재경이었다. 바람의 나라 등을 개발하며 국내 게임 시장에 온라인게임 장르의 포문을 열었던 송 대표는 당시 개발자 중에서도 손에 꼽히는 역량을 지니고 있었고, 엔씨소프트의 인수와 함께 본격적인 게임 개발에 나서게 된다.



그러나 당시 온라인게임 개발 환경은 녹록지 않았다. 지금이야 다양한 보조 프로그램과 그래픽 엔진이 존재하지만, 1997년 당시에는 서버 구축, 그래픽 구현과 온라인 환경 구축을 일일이 손으로 구현해야 했고, 이 작업은 그야말로 “맨땅에 헤딩”하는 수준의 어려운 일이었다.

여기에 리니지의 개발 도중 추가 투자를 받지 못하면서 회사 상황이 급속도로 어려워지자 김택진 대표가 자신의 집을 담보로 은행 대출을 받아 직원들 상여금을 지급한 것은 유명한 이야기이기도 하다.

이러한 우여곡절 끝에 1998년 9월 처음 공개된 '리니지' 1차 비공개 테스트의 반응은 그야말로 엔씨의 기대를 뛰어넘는 것이었다. 콘솔, PC 게임과 비교해 그래픽을 제대로 구현하기 어려웠던 초창기 온라인게임들과 차별화된 수준급의 그래픽과 다양한 사냥터와 다양한 온라인 콘텐츠를 선보이며 그야말로 폭발적인 인기를 얻게 된 것이다.



특히, ‘리니지'는 당시로써는 흔치 않았던 3D로 그래픽을 선 작업한 이후 2D로 변환하는 기술을 도입했다. 비록 이 과정에서 용량이 커져 서버 문제도 곧잘 일어났지만, 수준급의 서버 기술을 지닌 엔씨의 개발진이 뒷받침되어 안정적으로 여러 방향에 맞추어 동작이나 그래픽 이펙트를 구현할 수 있었다.

과금 선택도 중요한 요소였다. 모뎀에서 ADSL로 전환되기 시작했던 인터넷 과도기 시절에는 하이텔이나 천리안과 같은 PC 통신의 서비스 내에 소속되어 부과 사용료를 받는 것이 일상이었다. 실제로 1997년은 넥슨의 ’바람의 나라‘ 역시 PC 통신 기반으로 서비스됐을 시기였다.

하지만, 김 대표는 통신 수익금의 30%를 내야 하는 당시 PC 통신사들의 정책에 수긍하기보다 스타크래프트의 인기로 빠르게 늘어나던 PC방 시장에 주목하며 과감히 PC 인터넷 기반으로 과금체계를 선회했다.

그 결과 ’리니지‘는 PC방 온라인게임의 유료 모델의 틀을 만들어낸 대표적인 게임이 되었다. 당시 엔씨는 '리니지'를 한 달에 30시간 이상 사용한 개인 사용자에게 ’2만 9천 7백 원‘의 월정액 요금제를, PC방에서는 회선당 ’4만 4천 원‘에서 ’6만 6천 원‘의 월정액을 부과하는 정책을 만들었다.

이는 20년이 가까이 이어져 왔던 온라인게임의 PC방 과금 모델이기도 하며, 리니지의 이러한 유료화 정책은 국내 게임 시장에 새로운 수익 모델을 제시하여 다수의 게임사가 온라인게임 개발에 뛰어드는 나비효과를 낳기도 했다.



이러한 과정 끝에 엔씨는 1998년 11월 ’리니지‘의 정식 서비스를 시작했고, 이내 폭발적인 인기와 함께 ’98년 대한민국 게임 대상‘을 수상한 것을 시작으로, 서비스 1년 만인 1999년에 국내 게임 역사상 최초로 100만 회원을 달성해 국내 게임 시장의 성장에 가속화를 걸었다.

또한, 2000년 밀레니엄 시대의 도래와 함께 미국 현지법인을 설립하여 세계 시장 진출에도 나섰으며, 당시 정부가 추진하고 있던 한국 인터넷 정책의 대표적 상징으로 떠올라, 엔씨소프트는 신 IT 사업의 성공 사례로 불리기도 했다.

하지만 급속도로 성장한 리니지는 의외의 사건을 맞이하게 된다. 당시 아직 정립되지 않았던 게임의 법적 문제와 온라인게임의 장단점이 한꺼번에 발생하면서 엔씨가 의도하지 않았던 새로운 사회문제에 리니지가 언급되기 시작한 것이었다.

해당 기사는 한국 온라인게임의 흥망성쇠를 함께한 리니지의 역사- 2부로 이어집니다.

사용자 중심의 게임 저널 - 게임동아 (game.donga.com)



▶ IP가 힘이다. 미래를 자신하는 국내 IP 부자들▶ "그래도 리니지" '리니지W', 사전 예약 1300만 명 돌파 '질주 중'▶ 엔씨소프트 '리니지W', 사전 예약 1300만 명...MMORPG 장르 기록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힘들게 성공한 만큼 절대 논란 안 만들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10 - -
이슈 [디시人터뷰] 웃는 모습이 예쁜 누나, 아나운서 김나정 운영자 24/06/11 - -
11793 리니지M, 신서버 '말하는 섬' 성원에 '윈다우드' 추가 오픈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1 33 0
11792 [동영상] ‘아이브’가 중국 게임사 ‘맞짱’ 일으켰다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1 45 0
11791 “한눈에 보는 블록체인의 미래”, 대한민국 NFT/블록체인 게임 컨퍼런스 D-1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1 784 0
11790 [동영상] 8번 출구, VR로도 등장!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1 53 0
11789 [동영상] 디아블로4 확장팩 반갑긴 한데, 가격은 선 넘은거 아님?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1 57 0
11788 ‘바이오하자드 7과 ’바이오하자드 RE:2‘ 아이폰과 맥에 온다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1 51 0
11787 코그 ‘그랜드체이스 모바일’, 신규 전직 영웅 ‘넬리아’ 온다!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1 54 0
11786 구글의 게임 구독 서비스! 월 6500원 '구글플레이 패스' 국내 출시 [1]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1 120 0
11785 퍼블리셔 넘어 IP 부자 꿈꾼다. 카카오게임즈 자체 IP 키우기 본격화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1 50 0
11784 우리 일상에 숨어 있는 이스터에그 게임들!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1 41 0
11783 "스타워즈는 아직 살아있다!" 유비소프트, '유비 포워드 2024'서 신작 정보 공개 [8]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1 2456 0
11782 하이브IM '인더섬 with BTS', 출시 2주년 기념 대규모 업데이트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1 56 0
11781 크래프톤 '다크앤다커 모바일’, 8월에 첫 글로벌 대규모 테스트 예고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1 58 0
11780 "아니 이게 그동안 없었어?" 풋볼 매니저, 프리미어리그 라이선스 '마침내' 획득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1 54 0
11779 원유니버스, 액션스퀘어와 AI 콘텐츠 제작 협업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1 48 0
11778 [동영상] 24년 6월 2주차 신작 게임 소식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0 88 0
11777 [동영상] 넷마블의 세 번째 무기 레이븐2의 약진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0 83 0
11776 '2024 LCK 서머', 방송진 & 시즌 콘텐츠 공개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0 89 0
11775 [동영상] 서머게임 페스트? 기억도 안 난다 '엑스박스 게임 쇼케이스' 압도적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0 82 0
11774 4일간 열린 14종의 게임쇼…. “어떤 기대작 나왔나?”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0 76 0
11773 [리뷰] ‘8번 승강장’, ‘8번 출구’보다 무서운 만큼 재밌어졌다! [4]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0 1198 13
11772 RTS 전문가들이 만든 언캡드게임즈, 신개념 RTS '배틀 에이스' 공개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0 72 0
11771 하이퍼캐주얼 강자 '슈퍼센트', 4개월 만에 전년 매출 넘어선 500억 달성 [1]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0 131 0
11770 넷마블문화재단, '나, 우리, 세계, 사회' 주제로한 게임콘서트 참가자 모집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0 70 0
11769 넷이즈게임즈 신작 오픈 생존 게임 '원스 휴먼' 어떤 게임?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0 67 0
11768 '검은 신화: 오공' 오는 8월 20일 출시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0 95 0
11767 크래프톤, 스팀 넥스트 페스트에 신작 2종 출격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0 81 0
11766 "다시 돌아오는 시간 탈곡기" 문명7, 2025년 출시 확정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0 84 0
11765 젠지, 발로란트 한국 팀 최초 국제대회 우승 기록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0 75 0
11764 배틀그라운드, 배틀그라운드 모바일, ‘뉴진스’ 컬래버레이션 콘텐츠 공개 [12]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0 2541 4
11763 카카오게임즈, 스타2 개발진의 신작 '스톰게이트' 국내 퍼블리싱 계약 체결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0 86 1
11762 NC문화재단, 카이스트와 'FAIR AI 2024' 컨퍼런스 개최.. 'AI 윤리' 조명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0 68 0
11761 디자드의 다대다 전투 액션 '아수라장', 6월 스팀 넥스트 페스트 출전 [8]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0 2141 2
11760 엔씨(NC) '배틀크러쉬', 글로벌 게임쇼 SGF 2024에서 신규 영상 공개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0 72 0
11759 엔씨(NC) '퍼플 라운지', 깜짝 이벤트 '미니게임: 인피니트 닷지' 진행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0 74 0
11758 "'에픽 던전부터 귀멸의 칼날' 콜라보까지" 메이플, 하반기 업데이트 플랜 공개 [48]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8 9818 7
11757 역대급 업데이트를 발표한 '2024 로아온 썸머', 이것이 '스마일게이트 스타일' [34]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8 7916 21
11756 '여름 방학의 제왕' 메이플, 여름 쇼케이스 ‘MILESTONE’서 신규 콘텐츠 공개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8 188 1
11755 넥슨의 2024년 기대작 ‘퍼스트 디센던트’ 7월 2일 글로벌 정식 줄시 [2]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8 272 1
11754 넥슨, 서머 게임 페스트서 '더 파이널스' 시즌 3 트레일러 공개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8 137 1
11753 카카오게임즈가 마련한 2주년 축하잔치!. 여전히 열정적인 ‘우마무스메’ 트레이너들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8 137 0
11752 한국 디지털 에셋, 블록체인 게임 컨퍼런스서 가상자산 커스터디 중요성 알린다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7 789 1
11751 '수이' 개발사 미스틴 랩스, 블록체인 게임 컨퍼런스서 인사이트 공유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7 174 1
11750 [한주의게임소식] 넷마블의 세 번째 무기 ‘레이븐2’의 약진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7 177 0
11749 다 망한 줄 알았는데.. 글로벌 블록체인 시장, 신작 출시로 '시선 집중'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7 187 0
11748 방치형RPG '도트 공주들 구하기', 홍보 모델 다나카 발탁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7 219 0
11747 쿠로게임즈 '명조', '뇌우의 광란' 이벤트 진행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7 162 0
11746 퍼플레이, 12일 웹3 기반 '퍼플레이' 플랫폼 소개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7 142 0
11745 루미웨이브 박범준, 12일 웹3 게임 '사무라이 쇼다운 R' 특징 소개 나선다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7 136 0
11744 패키지 판매로는 한계다. 라이브 서비스 게임 강화 나선 콘솔 업계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7 139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