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리뷰] '디아블로 4' 베타 테스트 해보니.. 혁신은 부족하고 PC 요소는 강화돼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3.03.29 15:40:54
조회 2433 추천 62 댓글 69
블리자드가 지난 2주간 '디아블로 4'의 파이널 테스트를 진행했다. 1주일씩 각 클래스도 순차적으로 오픈시키고 레벨 제한도 풀고 서버도 점검하는 등 정식 서비스를 위한 막바지 담금질에 한창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블리자드의 새로운 모멘텀이 될 '디아블로 4'는 과연 어떤 게임으로 다가오게 될까. 본지에서 플레이해 봤다.


블리자드의 신작


'디아블로 4'의 첫인상


게임을 시작하기 전 '디아블로 4' 시네마틱 영상을 보면, 그래픽적으로 상당히 발전한 것을 알 수 있다. '디아블로 3'과는 다른 고어함이 느껴지고 캐릭터 디자인이나 모델링 등 전반적인 그래픽도 대폭 향상됐다는 것을 체감할 수 있었다.

타이틀 화면은 '디아블로 4' 로고 자체가 굉장히 깔끔했고, 이어진 접속 화면은 '디아블로 3'와 큰 차이점을 못 느낄 정도로 흡사한 느낌을 주었다.


어두컴컴한 캐릭터 선택 화면



다만, 캐릭터 생성 화면으로 오면 블리자드가 PC(정치적 올바름) 요소를 의도적으로 강화했다고 의심할 수 밖에 없었다. 일단 대부분 흑인으로 나와서 어두컴컴하다. 강령술사는 핏기 없는 흰 얼굴이지만 드루이드, 야만용사 등은 흑인 캐릭터가 디폴트로 설정되어 있다.

캐릭터 선택 시에 커스터마이징을 해서 피부색이 변하긴 하는데, 흑인 비중이 너무 높고 여성 캐릭터들은 최악으로 꾸며놔서 일단 기분이 나빴다. 이렇게 인종 차별 없게 굴 거라고 떠들면서 왜 동양인 비중은 없나?라는 의구심도 든다.


역대급 여성 캐릭터가 아닌가 싶다



게다가 드루이드의 여성 캐릭터를 살펴보면 역대급이다. 노골적인 블리자드의 강요가 느껴지는 부분으로, 디즈니의 '인어공주' 생각이 훅 스쳐지나가는 것도 우연이 아니다.

이렇게 PC 요소를 강화한 것을 보니, 정식 서비스부터는 '디아블로 4'를 즐기지 말아야겠다는 생각이 강하게 들었다.

필드 전투는 굿, 새로 구축된 스킬 시스템


초반 테스트로 오픈 베타 때 주는 보상(아기 늑대) 때문에 레벨 20까지 키워 보았다. 퀘스트는 액트 1만 진행이 되었고 마을을 다 돌아다닐 수는 없었다. 개방이 안되어서 접근이 불가능한 곳도 많았다.

필드에서의 전투는 '디아블로 3'과 거의 흡사한 모습이었다. 고어하긴 하지만 그래픽은 확실히 좋아진 느낌.

특히 그래픽이 좋아진 것 외에 발전한 것은 타격감 부분이다. 보통 타격감이라면 칠 때의 타격감과 사운드에서 오는 타격감이 있는데, '디아블로 4'는 사운드에서 오는 타격감이 압도적이다. 그만큼 사운드에 신경을 쓴 티가 역력하다.


그래픽은 확실히 좋아진 모습이다



다만 정식 서비스가 아닌 만큼 사양은 꽤 높은 편이었다. 테스트를 진행한 컴퓨터 사양을 보면, 라이젠 3700x, 32기가 램, RTX2060으로 풀 옵션 플레이 시 중간중간 버벅거림이 발생했다. 특히나 램 사용량이 어마어마했는데, 램 사용량이 최소 14기가 이상 차지하는 것 같다. 중옵일 때에도 일정하게 버벅거림이 있는 걸 보면 최적화는 꼭 필요할 듯.

스킬은 이번 '디아블로 4'에서 싹 바뀌었다. '디아블로 2'와 '디아블로 3'의 시스템을 합쳐놓은 듯한 느낌이다. 다들 알다시피 '디아블로 2'는 스킬트리가 있었고 '3'에는 스킬을 배운 후 스킬에 해당하는 세부 능력치를 레벨에 맞춰 4개 중에 하나를 골라서 쓸 수 있는 시스템이었다.



이번 '디아블로 4'는 내가 선택한 스킬에 중간중간 갈래가 있어서 어떤 식으로 강화를 할 것인지 선택하고 연계가 되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원소술사라고 하면, 벼락불, 강화된 벼락불, 번쩍이는 벼락불, 깜빡이는 벼락불 이렇게 발전하게 되는데, 강화된 벼락불 다음에 번쩍과 깜빡 둘 중에 하나 선택해야 한다. 다음 스킬로 가기 위해서는 기술 포인트를 2개 찍어야 한다.

게임의 목적은 파밍, 물약 변화는 긍정적


게임은 쿼터뷰에, 그래픽은 좋아졌고 전투 콘텐츠도 확실히 타격감이 있어 게임에 몰입할만했다. 하지만 게임을 주욱 즐기면서 느꼈던 이 게임의 궁극적인 목적은?이라고 유추해 보면 결국은 파밍이라는 답이 나왔다. 특히 만렙 이후에 정복자 시스템도 그대로 있는 걸 보니 결국은 파밍의 반복이 될 거라는 생각이 강하게 들었다.


전투는 확실히 재미있다. 다만 파밍 노가다의 미래가 보일 뿐..



블리자드 측에서 엄청나게 많은 전투 콘텐츠가 마련되어 있다고 했고, 실제로 광활한 콘텐츠들이 준비되어 있다고 생각되지만 블리자드의 느린 업데이트 특성상 벌써부터 '디아블로 3'의 그 오랜 파밍 노가다가 떠오를 수밖에 없다.

결국 6개월에서 1년 정도 바짝 재미를 느끼고 나면 '수면제'라고 할만한 그 시절로 돌아가게 될 것 같은 느낌이다.

그래도 필드 전투에 있어 전작에 비해 좋았던 점을 하나 꼽자면 물약 시스템을 들 수 있겠다. 물약 시스템이 보스를 잡을 때 특정 표시(세모)를 깎으면 보스에서 물약이 2-3개씩 떨어지게 되는데, 이 부분이 매우 긍정적으로 바뀐 부분으로 지목하고 싶다.


보스전을 진행하다보면 물약이 나온다



기존에는 보스와 싸우기 전이나 싸울 때에도 별도로 획득할 수 있는 물약을 획득할 방법이 없었는데, 이번 '디아블로 4'에서는 특정치 까지 체력을 깎으면 물약이 떨어진다. 그래서 물약을 얻어서 보다 수월하게 보스전을 치를 수 있었다. 이를 감안하여 전략적인 전투를 진행할 수 있을 것이다.

과금 시스템, 시즌 배틀 패스 판매 체계로


블리자드에서는 '디아블로 4'의 과금 시스템에 대한 질문에 대해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시즌 배틀 패스 판매'가 메인인 것을 알 수 있도록 답변했다. 시즌 배틀 패스가 주요 과금인 셈이다.



다만 패키지 가격이 일반판이 8만 4,500원, 디지털 딜럭스 에디션이 12만 2,900원, 얼티밋 에디션은 13만 6,400원으로 구성되어 원성을 사는 상태에서, 일반판 구입한 경우는 시즌 배틀 패스가 무료로 제공되지 않고 최소 디지털 딜럭스 에디션부터 시즌 배틀 패스가 제공되는 것은 호불호가 갈리는 부분이다.

보통 일반적인 패키지 게임 같은 경우는 시즌 배틀 패스 같은 경우 무료로 제공되는 경우가 많다. '철권' 시리즈는 DLC(추가 다운로드 콘텐츠)처럼 신규 캐릭터를 구입하는 방식이었고, '폴가이즈'만 봐도 유료일 때는 시즌 배틀 패스가 무료였고 게임이 무료가 되어서야 시즌 배틀 패스가 유료로 바뀌었다.


시즌 배틀 패스 적용안



이번 '디아블로 4'는 게임 자체가 예전에 4-5만 원이 아니라 2배 이상의 가격인데, 12만 원을 넘게 주고 사도 시즌 배틀 패스 첫 회만 제공해 준다고 하는 부분에 대해 이용자들의 반감이 상당하다.

특히 일반 버전을 구입한 사람이 아예 이 시즌 배틀 패스에서 배제되는 부분은 블리자드의 가격 정책에 회의감이 드는 부분이다.

테스트 결론, 혁신은 부족하고 PC 요소는 강화돼


'디아블로 4'를 플레이하고 느낀 점은, 그래픽이 좋아지고 스킬트리 좀 바뀐 '디아블로 3' 확장판 정도의 포지션이라는 것이다.

정확히는 '패스 오브 액자일'과 '디아블로 3', 그리고 '로스트아크'를 적당히 섞어놓은 느낌이다. 원래 블리자드가 다른 게임의 장점을 조합해서 밸런스를 잘 맞추기로 유명한 회사니까 새삼 색다른 느낌은 아니다.



다만 이번 '디아블로 4'에서 아직까지는 혁신이라는 것을 제대로 느끼지 못했다. 최적화는 아직 안되었고, 과금은 다소 올린 '디아블로 3'의 강화 버전이라는 느낌.

자유도가 뛰어난 것도 아니고, 그렇다고 특출 난 시스템이 있는 것도 아니고. 만약 이 게임이 '디아블로' 정식 IP(지식 재산) 게임이 아니었다면 이 정도의 관심을 받을 수 있었을지 의문이다.

이런 기준으로 보면, 오히려 블리자드에 대한 우려점이 커진다. '디아블로 3'이 나온 지 몇 년이 지났는데, 이렇게 혁신이 부족한 모습을 보여주는지에 대한 우려다.

그간의 행보를 봐도 '스타크래프트 2'나 '리마스터'도 자신들의 e스포츠 욕심 때문에 말아먹었고,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도 혁신을 찾기 어렵고, 카드 게임인 '하스스톤'은 업데이트 때마다 서버 이상에 시달리고 있다.

거기에 '오버워치 2'까지 '오버워치'의 확장판 수준으로 출시되었으니 이제는 더이상 블리자드의 미래 성장 동력이 무엇인지 궁금해지는 상황이다. 결국 블리자드는 이번 '디아블로 4'를 끝으로 과거 IP들을 거의 다 소진시킨 셈이며, 이제는 마이크로소프트 인수가 마지막 희망인가 싶은 생각 마저 든다.

이런 저런 실망감을 표현해보았으나, 개인적으로는 블리자드가 디아블로 4'를 더욱 발전시켜서, 모쪼록 예전의 영광과 위상을 되찾았으면 하는 바람이다.

사용자 중심의 게임 저널 - 게임동아 (game.donga.com)



▶ 디아블로IV', "최고의 완성도를 위해 2주간 테스트 진행.. 18일부터 시작"▶ 새로운 지옥문이 열린다, '디아블로IV' PC방 베타 18일 시작▶ 블리자드의 '디아블로 IV', 포문을 열다.. 3월 18일 오픈 베타 테스트 시작



추천 비추천

62

고정닉 9

17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힘들게 성공한 만큼 절대 논란 안 만들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10 - -
이슈 [디시人터뷰] 웃는 모습이 예쁜 누나, 아나운서 김나정 운영자 24/06/11 - -
11792 [동영상] ‘아이브’가 중국 게임사 ‘맞짱’ 일으켰다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9:09 14 0
11791 “한눈에 보는 블록체인의 미래”, 대한민국 NFT/블록체인 게임 컨퍼런스 D-1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41 243 0
11790 [동영상] 8번 출구, VR로도 등장!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13 22 0
11789 [동영상] 디아블로4 확장팩 반갑긴 한데, 가격은 선 넘은거 아님?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09 26 0
11788 ‘바이오하자드 7과 ’바이오하자드 RE:2‘ 아이폰과 맥에 온다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7:07 23 0
11787 코그 ‘그랜드체이스 모바일’, 신규 전직 영웅 ‘넬리아’ 온다!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6:23 26 0
11786 구글의 게임 구독 서비스! 월 6500원 '구글플레이 패스' 국내 출시 [1]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6:18 43 0
11785 퍼블리셔 넘어 IP 부자 꿈꾼다. 카카오게임즈 자체 IP 키우기 본격화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5:55 29 0
11784 우리 일상에 숨어 있는 이스터에그 게임들!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5:48 21 0
11783 "스타워즈는 아직 살아있다!" 유비소프트, '유비 포워드 2024'서 신작 정보 공개 [8]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28 2418 0
11782 하이브IM '인더섬 with BTS', 출시 2주년 기념 대규모 업데이트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24 43 0
11781 크래프톤 '다크앤다커 모바일’, 8월에 첫 글로벌 대규모 테스트 예고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19 45 0
11780 "아니 이게 그동안 없었어?" 풋볼 매니저, 프리미어리그 라이선스 '마침내' 획득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0:10 40 0
11779 원유니버스, 액션스퀘어와 AI 콘텐츠 제작 협업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9:26 36 0
11778 [동영상] 24년 6월 2주차 신작 게임 소식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0 77 0
11777 [동영상] 넷마블의 세 번째 무기 레이븐2의 약진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0 74 0
11776 '2024 LCK 서머', 방송진 & 시즌 콘텐츠 공개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0 80 0
11775 [동영상] 서머게임 페스트? 기억도 안 난다 '엑스박스 게임 쇼케이스' 압도적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0 73 0
11774 4일간 열린 14종의 게임쇼…. “어떤 기대작 나왔나?”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0 67 0
11773 [리뷰] ‘8번 승강장’, ‘8번 출구’보다 무서운 만큼 재밌어졌다! [4]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0 1176 13
11772 RTS 전문가들이 만든 언캡드게임즈, 신개념 RTS '배틀 에이스' 공개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0 63 0
11771 하이퍼캐주얼 강자 '슈퍼센트', 4개월 만에 전년 매출 넘어선 500억 달성 [1]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0 114 0
11770 넷마블문화재단, '나, 우리, 세계, 사회' 주제로한 게임콘서트 참가자 모집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0 61 0
11769 넷이즈게임즈 신작 오픈 생존 게임 '원스 휴먼' 어떤 게임?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0 58 0
11768 '검은 신화: 오공' 오는 8월 20일 출시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0 87 0
11767 크래프톤, 스팀 넥스트 페스트에 신작 2종 출격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0 72 0
11766 "다시 돌아오는 시간 탈곡기" 문명7, 2025년 출시 확정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0 75 0
11765 젠지, 발로란트 한국 팀 최초 국제대회 우승 기록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0 65 0
11764 배틀그라운드, 배틀그라운드 모바일, ‘뉴진스’ 컬래버레이션 콘텐츠 공개 [12]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0 2520 4
11763 카카오게임즈, 스타2 개발진의 신작 '스톰게이트' 국내 퍼블리싱 계약 체결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0 74 1
11762 NC문화재단, 카이스트와 'FAIR AI 2024' 컨퍼런스 개최.. 'AI 윤리' 조명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0 60 0
11761 디자드의 다대다 전투 액션 '아수라장', 6월 스팀 넥스트 페스트 출전 [8]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0 2120 2
11760 엔씨(NC) '배틀크러쉬', 글로벌 게임쇼 SGF 2024에서 신규 영상 공개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0 63 0
11759 엔씨(NC) '퍼플 라운지', 깜짝 이벤트 '미니게임: 인피니트 닷지' 진행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10 66 0
11758 "'에픽 던전부터 귀멸의 칼날' 콜라보까지" 메이플, 하반기 업데이트 플랜 공개 [48]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8 9798 7
11757 역대급 업데이트를 발표한 '2024 로아온 썸머', 이것이 '스마일게이트 스타일' [34]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8 7897 21
11756 '여름 방학의 제왕' 메이플, 여름 쇼케이스 ‘MILESTONE’서 신규 콘텐츠 공개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8 179 1
11755 넥슨의 2024년 기대작 ‘퍼스트 디센던트’ 7월 2일 글로벌 정식 줄시 [2]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8 257 1
11754 넥슨, 서머 게임 페스트서 '더 파이널스' 시즌 3 트레일러 공개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8 129 1
11753 카카오게임즈가 마련한 2주년 축하잔치!. 여전히 열정적인 ‘우마무스메’ 트레이너들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8 129 0
11752 한국 디지털 에셋, 블록체인 게임 컨퍼런스서 가상자산 커스터디 중요성 알린다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7 781 1
11751 '수이' 개발사 미스틴 랩스, 블록체인 게임 컨퍼런스서 인사이트 공유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7 166 1
11750 [한주의게임소식] 넷마블의 세 번째 무기 ‘레이븐2’의 약진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7 169 0
11749 다 망한 줄 알았는데.. 글로벌 블록체인 시장, 신작 출시로 '시선 집중'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7 179 0
11748 방치형RPG '도트 공주들 구하기', 홍보 모델 다나카 발탁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7 211 0
11747 쿠로게임즈 '명조', '뇌우의 광란' 이벤트 진행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7 154 0
11746 퍼플레이, 12일 웹3 기반 '퍼플레이' 플랫폼 소개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7 134 0
11745 루미웨이브 박범준, 12일 웹3 게임 '사무라이 쇼다운 R' 특징 소개 나선다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7 128 0
11744 패키지 판매로는 한계다. 라이브 서비스 게임 강화 나선 콘솔 업계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7 131 0
11743 월드 오브 탱크, 노르망디 상륙 작전 기념 모드 공개 게임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6.07 124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