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연관 갤러리
걸스플래닛999 갤러리 타 갤러리(0)
이 갤러리가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추가한 갤러리가 없습니다.
0/0
타 갤러리 걸스플래닛999 갤러리(0)
이 갤러리를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개념글 리스트
1/3
- 싱글벙글 40도 폭염에 상추파는 할매.jpg 수인갤러리
- mbc) 노상원 "여소야대되면 의원 30~40명 구속해야"메모 ㅇㅇ
- 오재나 오늘 영상 핵심 : 유통기한 지난 식자재 유통 백갤러
- 정보) 겜안분을 위한 던붕이들이 파업을 반대하는 이유 ㅇㅇ
- 한국 가수와 일본 가수 노래할 때 어떤 차이가 있나요? ㅇㅇ
- mbc단독)특검 "풍선남-김건희, 영장집행 논의" 증거 확보 ㅇㅇ
- 진지빨고 쓰는 레데리 시리즈167 - 현상금 5,000달러의 의미 편 badassbilly
- 싱글벙글 가장 많은 그래미 상을 받은 힙합 뮤지션들 ㅇㅇ
- 싱글벙글 남성들의 양산 사용 폭증했다는 일본 ㅇㅇ
- 욕쟁이 할머니 최고 업적 ㅇㅇ
- 싱글벙글 요즘 마블에 나오는 짭 슈퍼맨 ㅇㅇ
- 싱글벙글 단군은 스타팅 포인트를 ㅈ같이 잡았을까? 폰즈케잌
- 한강서 7살 딸 질질 끌고 발길질까지…40대男 “스케이트 못타서” 뉴스봇
- 싱글벙글 디제이맥스 신곡 "dj조선"에 신고테러 ㅇㅇ
- 보행자에게 발차기한 배달기사 사건 근황 ㅇㅇ
이번에 참다랑어 1000마리 죄다 폐기한 이유
다랑어 개체수 보존을 위해서 지역별로 최대 팔수있는 수량이 정해져 있음 그게 경북 최대 110톤 영덕 최대 35톤임 왜 이런걸 정해두냐면 쿼터제 없이 그냥 어획 가능하게 할 경우 수천마리 남획해다가 죄다 팔아치워버리고 어족자원 씹창나는 문제가 생길 수 있기 때문 근데 어민 <= 이 씨발 새끼들은 욕심 그득그득 해가지고 그냥 130톤 전부 다 육지로 끌고와서 폐기하는거 보여주면 아깝다는 여론이 우세해질테고 이렇게 쇼 한번 하면 판매 마릿수 제한 올려주겠지?? 이런 개씹창마인드로 무지성 다랑어 130톤 질질끌고 육지로 가져옴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dc official App- 대형 참치 1300마리 잡고도…수 억어치 못 파는 이유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49/0000314224?sid=102 대형 참치 1300마리 잡고도…수 억어치 못 파는 이유동해안에서 대형 참치가 1천 마리 넘게 잡혔습니다. 기후변화로 수온이 오르면서 우리 바다에도 참치가 출몰하고 있지만, 이렇게 무더기로 잡힌 건 처음입니다. '바다의 로또'라 불리는 참치를 잡고도 정작 어민들은 웃지 n.news.naver.com최소 수억 원 넘는 귀한 몸이지만 어민들 표정은 밝지 않습니다. 참다랑어는 어획 한도가 정해져 있기 때문입니다. 국제기구에서 지정한 올해 경북 쿼터는 110톤, 이중 영덕은 35톤에 그칩니다. 오늘 잡힌 참다랑어만 110톤이 넘는데 이미 쿼터를 채운 상태라 판매가 불가능합니다. 결국 폐기할 수 밖에 없는데 어민들로서는 잡을수록 손해입니다. 영덕군은 정부에 쿼터 확대 등 대응책을 건의하기로 했습니다. 아으! 잡아도 팔 수 없다는 게! - dc official App
작성자 : ㅇㅇ고정닉
나방의 살아남기 위한 몸부림을 ARABOZA
6500만년전 박쥐의 등장은 나방 아니, 곤충들에게 있어 재앙이었다..새들이 잠자는 밤시간대, 그것도 날아다니면서 초음파를 통해서정확히 위치를 파악해서 사냥한다고? 그냥 재앙이나 다름없다 교활한 쥐나 몇시만 굶어도 아사하기 때문에 광전사처럼 먹이를 찾아다니는땃쥐 같은 밤의 폭군들은 날아서 피하면 그만이고, 일반적인 큰 올빼미는 간에 기별도 안가는 나방들을 무시하지만, 소쩍새나 소형 올빼미 같은 케이스도 있다물론 이 새들도 위험하지만, 초음파를 쏴대면서 곤충들을 사냥하는 박쥐 만큼은 아니다 어두운 밤의 시간대에, 그것도 공중에서초음파를 이용한 반향정위를 이용해 정확한 위치를 포착해 곤충을 사냥하는 박쥐는 그야말로 재앙 그 자체였다고 봐도 무방하다 그리고 하도 시달린 나방들은 이 박쥐들 때문에 박쥐 저격 진화를 하게 되었는데그 진화들을 Araboza 1. 가장 원초적이면서도 효과적인 방법이다. 바로 박쥐의 초음파를 들을 수 있는 '귀'를 다는 것.원래 곤충에게 '귀'는 흔한 기관이 아니었다. 하지만 박쥐가 등장하자 나방은 진화의 방향을 틀었다. 가슴이나 배에 박쥐의 초음파 주파수만 정확히 감지할 수 있는 고성능 '도청 장치'를 달아버린 거다.박쥐가 사냥을 위해 "나 여기 있다!" 하고 외치는 초음파를 미리 듣고, 그 위치와 거리를 파악한다. 그리고는 미친 듯이 방향을 틀거나, 그대로 추락해 버리는 등 온갖 회피 기동으로 목숨을 부지하는 거다. 레이더에 탐지되기 전에 경보를 듣고 튀는 셈이다.2. 듣는 것만으로는 성에 차지 않았던 일부 나방들은 더욱 공격적인 방법을 택했다. 바로 '박각시나방' 같은 놈들인데, 이들은 아예 박쥐의 레이더를 무력화시키는 '재밍' 기술을 진화시켰다.박쥐가 초음파를 쏘는 순간, 이놈들은 자신의 날개나 발성 기관을 떨어 "딱, 딱, 딱!" 하는 소리를 역으로 발사한다. 이 소리는 박쥐의 초음파와 뒤섞여 레이더를 교란시킨다. 박쥐 입장에선 '지지직' 거리는 노이즈 때문에 나방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할 수 없게 되는 거다.적의 최첨단 무기를 똑같은 방식으로 되받아쳐 무력화시키는, 그야말로 창과 방패의 대결 그 자체다.3. 영국 브리스톨대학교 생명과학부 토마스 닐 교수는 우리 나방의 일종인 ‘캐비지트리황제나방’과 ‘나비’의 초음파 흡수량을 비교했다. 초음파를 확성기로 내보낸 뒤 돌아오는 초음파를 비교한 결과, 나방은 최대 85%, 나비는 20%의 초음파를 흡수했다. 연구진은 나방의 몸에 난 털의 구조가 방음재에 사용되는 섬유의 구조와 비슷하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 나방의 털에는 아주 작은 구멍이 매우 많다. 초음파는 털 속 구멍을 이동하면서 열에너지로 바뀌고 밖으로 반사되는 에너지의 양이 줄어들게 된다. 이를 통해 박쥐에게서 '스텔스'를 시도하는것이다. 4. 또 어떤 나방들은 도마뱀처럼 자신의 날개의 일부를 희생시킨다 영국 브리스틀대학교 연구팀은 일부 산누에나방 종이 기존에 알려진 꼬리 구조 대신, 앞날개를 이용해 박쥐의 공격을 회피한다는 연구 결과를 생물학 저널 '커런트 바이올로지'에 발표했다.연구에 따르면, 이 나방들은 앞날개 끝에 있는 독특한 주름과 접힘 구조를 가지고 있었다. 이 구조가 박쥐의 초음파를 발사 지점으로 강하게 되돌려 보내는 '음향 역반사체'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그 결과, 몸통보다 날개 끝에서 더 강한 음파가 반사되어 박쥐가 상대적으로 덜 중요한 날개 끝을 공격하도록 유도하는 '음향 미끼'가 된다. 이를 통해 나방은 설사 날개가 찢어지더라도 치명적인 몸통 부상을 피하고 생존 확률을 높일 수 있었다.또한 단순히 나방만 이런 대책을 마련하는것은 아니다. 박쥐들 또한 먹이들이 들을수 없는 음역대의 초음파를 사용하는 박쥐도 있는등서로를 저격하기 위해 계속 진화하고 있다 .이러한 형태의 진화를진화적 군비경쟁 (Evolutionary arms race)이라고 부른다. 사자에게 얼룩말이 달아나도록 빨라지고사자또한 얼룩말을 잡기위해 더 빨리 진화하는 등생태계에서 살아남기 위해 서로간에 군비경쟁을 한다고 볼수 있을것이다.6500만년동안 나방은 살아남기 위해 끊임없이 진화했고앞으로도 우리가 살아가는 동안에도 계속 살아남기 위해 끊임없이 새로운 진화를 모색할것이다
작성자 : ㅇㅇ고정닉
차단하기
설정을 통해 게시물을 걸러서 볼 수 있습니다.
댓글 영역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