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연관 갤러리
걸스플래닛999 갤러리 타 갤러리(0)
이 갤러리가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추가한 갤러리가 없습니다.
0/0
타 갤러리 걸스플래닛999 갤러리(0)
이 갤러리를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개념글 리스트
1/3
- 새내기 대학생의 서울 적응기 (1) 보오쨩
- 최상목 사의표명 지민트윈스
- “이게 예능감인가”…‘물어보살’, 싱크홀 유족 선 넘은 섭외 ㅇㅇ
- 바베큐 공짜로준다하고 치킨이네ㅡㅡ 뿌가네
- 이재명 유죄에 ‘반대의견’ 41쪽…“법원 개입은 정치중립 해쳐” 아르테타
- (사진 많음) 나의 헤드폰/스피커 여행기 원린이
- 이명박 유즈맵에 대해 알아보자 상금이
- 특정 포지션에서 확 달라진 7팀 (이정후 포함) ㅇㅇ
- 싸가지 없다는 말 이상하네요… 부부끼리 동등한 거 아닌가요? 갈베
- 더본코리아 ‘미인증 조리기구’, 서울·충남 축제에도 사용됐다 ㅎㅎ
- [MBC] 혐오 거짓 궤변을 그대로...이것이 공정한 언론? sssw
- 싱글벙글 꼭 먹어보고 싶은 거 ㅇㅇ
- "문다혜가 월급·체류비 정하자 靑특감반이 이상직에 전달" 물냉면비빔냉면
- 싱글벙글 1조 투어만 두번 연속 뽑아내는 싱어송라이터 ㅇㅇ
- ‘대행의 대행의 대행` 이주호 00
백종원 논란 후 야심찬 첫 축제 춘향제 근황..
- 관련게시물 : 남원시 춘향제 특파원 오늘 찍은 사진 올리고 퇴근- 관련게시물 : 바베큐 공짜로준다하고 치킨이네ㅡㅡ기구 설치 중 담배 농가도 살리는 중.. 현재는 국민신문고 신고된 상태 - 신문고 신고 완) 춘향제 ‘더본코리아’ 부스, 조리공간 내 흡연2025년 남원시 춘향제 현장에서 조리공간(더본코리아 운영 바베큐부스) 내에서 흡연이 이루어진 정황이 확인되었습니다. 이는 다음과 같은 복수의 법령 및 남원시 조례에 위반되는 행위로 판단되므로, 즉각적인 조사 및 행정처분을 요청드립니다.1. 식품위생법 위반식품위생법 시행규칙에 따르면, 조리장 등 식품의 오염 우려가 있는 장소에서 오염행위를 해서는 안 됩니다.흡연은 대표적인 식품오염 행위로, 음식물 및 조리기구에 위생상 위해를 끼칠 수 있는 직접적인 위험요인입니다.해당 행위는 시정명령, 과태료 부과, 경우에 따라 영업정지까지 가능한 사안입니다.2. 국민건강증진법 위반국민건강증진법에 따라 일반 음식점, 조리공간, 조리실 등은 법정 금연구역으로 지정되어야 하며, 이를 알리는 표지 설치와 유지·관리 의무도 존재합니다.조리공간은 실내 여부와 무관하게 금연구역에 해당합니다.위반 시:흡연자 개인: 10만 원 이하 과태료관리 책임자(영업자·주최자 등): 170만 원 이하 과태료3.남원시 금연환경 조성 및 간접흡연 피해방지 조례[시행 2025. 1. 1.] [전북특별자치도남원시조례 제2091호, 2024. 10. 2., 전부개정] 제5조(금연구역의 지정)시장은 「국민건강증진법」 제9조제7항에 따라 흡연으로 인한 피해 방지 및 시민의 건강증진을 위하여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장소의 전부 또는 일부를 금연구역으로 지정할 수 있고, 이를 알리는 표지를 설치할 수 있다.「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 제2조제3호에 따른 도시공원「교육환경 보호에 관한 법률」 제8조제1항제1호에 따른 교육환경보호구역 중 절대보호구역「박물관 및 미술관 진흥법」 제2조제1호 및 제2호에 따른 박물관 및 미술관「여객자동차 운수사업법 시행규칙」 제2조제2호 및 제3호에 따른 정류소 및 택시 승차대가스충전소 및 주유소그 밖에 다수인이 모이거나 오고 가는 장소 중 시장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장소요청사항:춘향제 조리공간 내 흡연행위 관련 현장 조사 및 위반 여부 확인관련 법령 및 조례에 따라 흡연자 및 조리공간 운영자에 대한 과태료 및 행정처분추후 모든 지자체 행사 조리공간에 대해 금연구역 지정, 표지 설치, 관리책임자 지정 등 재발 방지 조치 마련- 뿌까를 ㅈ됐다 춘향제 칭찬 리스트 (feat. 위생)1.스근한 멀티탭 위험노출2.스근한 방염매트 미설치3.춘향제 상디 ㄷㄷㄷ아오 뿌슬람 새끼들 ㅋㅋ- 남원시 춘향제 특파원] 초대형 바베큐 그릴 입갤요 ㅋㅋㅋ생닭 저거 실온에플라스틱 박스에 보관 하는거 맞냐????지금 존나 더운데????
작성자 : ㅇㅇ고정닉
최초의 전차가 "탱크"가 아니라면 용어가 어떻게 바뀔까?
엣날부터 마차에 장갑을 두르고 적에게 돌격하면 엄청난 무기가 될꺼라는 생각자체는 마차가 생겼을때부터 있었다.알랙산더대왕의 헬리오 폴리스, 조선의 변이중 우거와 신경준의 화차, 후술할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탱크에 이르기까지 아이디어 자체는 많았지만, 대부분 동력부족으로 이동형 토치카에 그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증기기관이 발명되자 일부 괴짜 발명가들은 증기기관을 장착한 장갑차를 군용으로 쓰자고 제안했지만, 대부분 무시당하고 반려되었다.우리가 아는 전차는 영국의 처칠이 주도한 영국 육상전함위원회에서 최초로 만들었다.처음 전차를 개발한 영국 육상전함위원회에서는 육상전함을 개발중 독일군에게 들키지 않기위해 "물을 공급하기위한 거대한 물탱크를 만드는 중이다"라고 암호명을 탱크라고 붙이다가 그래도 이름이 되었다가 거의 정설이다.처음에는 water carrie-물운반차라고 했다가 줄임말인 W.C가 화장실로 읽혀질 수 있어서 탱크로 바뀌었다고.참고로 탱크라는 단어자체도 포르투칼어라고 저수지란 뜻의 tanque에서 왔다.그렇다면 전차를 만든 국가가 다른 국가였다면, 전차는 탱크가 아닌 다른 명칭으로 불렸을까?정답은 국제적 용어나 일부국가에서는 전차를 최초로 만든국가가 붙인 명칭을 그대로 따랐겠지만, 대부분 국가는 자기가 부르고 싶은데로 부르는 명칭이 따로 있다.실제 다른 나라들이 탱크/전차를 어떻게 부르는지 알아보자.1. 영미권 : Tank, Modern Armor, Tank, Armor탱크라는 명칭을 가장 먼저 쓴 국가답게 탱크라고 부르지만, 갑옷/장갑을 뜻하는 Armor 역시 사용하며, 중세갑옷과 구분하기 위해 Modern Armor라고도 쓴다.2. 한국어권 : 전차, 탱크, 땅크(북한)고대 전차에서 따온 전차와 영어식 표현인 탱크가 공존한다.북한에서는 러시아어 땅크를 그대로 가져왔으며, 전차란 말은 거의사용하지 않는다. (k-2 중땅크라고 부른다던가.)참고로 북한은 물탱크는 탕크라고 부른다고 한다.3.일본어 : 戦車(せんしゃ/센샤), タンク(탱크)한국처럼 고대 전차에서 따온 전차와 영어식 표현인 탱크가 공존한다.4. 베트남어 Xe tăng(세탕) / Chiến xa(젠사)간단하게 탱크, 전차의 베트남식 음차어. 한자문화권과 다를게 없다5. 중화권 : 戰車(전차) 坦克(탄커)일본에 영향을 받은 대만의 경우 전차를 그대로 전차라고 부르고, 러시아의 영향을 받은 중공은 땅크를 음차한 탄커라고 부른다.6.프랑스 : Char(샤흐) / Char d'assaut(샤흐 다쏘)고대전차인 체리엇 (chariot)에서 유래했다. Char d'assaut(샤흐 다쏘)는 현대전차만을 칭하는 전문용어다.7 스페인어권 .Tanque(탕케) / Carro de combate(까로데 콤바테)영어식 표현인 탕케도 있지만, Carro(마차, 프랑스처럼 체리엇 (chariot)에서 유래했다) de combate(전투)를 좀더 많이 쓴다.즉 전투마차라는 표현을 주로쓴다.8. 포르투칼어권 : Carro de combate (까후 드 꽁바뜨/까후 지 꽁바치(브라질))탱크라는 단어 자체가 스페인어로 저수지란 뜻의 tanque에서 온것치고는 포르투칼은 그냥 전투마차라고 부른다.9. 이탈리아 : Carro armato(까로 아르마토)남유럽권 답게 Carro를 사용하고, 장갑을 뜻하는 armato를 붙였다.이러면 장갑차, 내지는 장갑차량이 아닌가? 할수 도 있겠지만 이탈리아어로 장갑차는 autoblindo(오토 블라인도)즉 가림막(blindo-블라인도/블라인드) 차량이라고 따로 부른다.참고로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전차도 레오나르도 까로 아르마토라고 불린다.10. 독일어 Panzerkampfwagen(판처캄프바겐), Kampfpanzer(캄프판처), Panzer(판처)독일어 'Panzer'는 '장갑'을 의미하고, 'Kampfwagen'은 '전투용 차량'을 의미하며, 이를 조합해서 사용한다.Kampfpanzer(캄프판처)는 주력전차를 칭하는데 사용된다.Panzer(판처)란 명칭은 타국에서서 유명해서 독일 전차를 뜻하는 명사로도 쓰인다.11.스웨덴 : Stridsvagn(스트리드스방)/Pansarvagn (판사르방)전투를 뜻하는 Strids와 마차를 뜻하는 vagn의 합성어. 즉 독일어랑 비슷하다. 둘다 게르만이고, 스웨덴전차가 독일전차와 연관이 깊은걸 생각하면 당연한 귀결.Pansarvagn (판사르방) 역시 장갑차량으로, 이거는 장갑차를 포함한다.스웨덴의 해당용어들은 한때 스웨덴과 같은 나라였던 북유럽 국가들에게도 그대로 통용된다.12. 핀란드; panssarivaunu (판사르리바우누)장갑차량, Pansarvagn (판사르방) 과 동일한 의미. Stridsvagn(스트리드스방)/Pansarvagn (판사르방)이라고 말해도 알아먹는다고 한다.13. 노르웨이: Stridsvogn(스트리스보인)전투차량, Stridsvagn(스트리드스방)과 동일함.14. 덴마크 ; Kampfvogn(캄프보인)전투차량, 독일어 kampfwagen과 동일함.15. 아이슬란드 Skriðdreki(스끄리드뜨레키)역시나 Stridsvagn(스트리드스방)에서 따온 명칭이... 아니다! skrið (기어다니다/기어가다/미끄러져가다 ) + dreki ( 용/드래곤 ) 에서 유래한 합성.즉 아이슬란드 어로는 "기어다니는 용"이다. 참고로 아이슬란드는 탱크를 가져본적이 없다. 장갑차는 있는데 그것도 공원장식이라고 한다.아이슬란드에서 돌아다니는 장갑차량은 전부 주둔중인 미군의 것이다. 짤은 미국이 아이슬란드에 팔려고 했던 전차.16.폴란드 Czołg(초어그)아이슬란드와 비슷하게 기어다니는 것이라는 뜻이다.사실 이쪽이 원조인데 브와디스와프 코후트니츠키 라는 폴란드 장교가 프랑스 르노 FT전차를 보고 기어다니는 용(czołgającym smokiem)이군! 하고 제안한 명칭이 그대로 해당 명칭이 굳어졌다. 그래서 폴란드 최초의 기갑연대 상징도 용이라고한다. 아마 아이슬란드어도 여기서 따오지 않았을까?17. 러시아 Танк(땅크)심플하게 영단어 그대로 따왔다. 다른 명칭이 있는가 찾아봤는데 그냥 Танк다. 차르탱크도 Царь-танк.18.이스라엘 טנק(탱크/탕크)그냥 영문명칭 탱크를 그대로 쓴다. 흔히 알려진 메르카바(מרכבה)는 그냥 말이끄는 전차를 의미하거나, 사진속의 메르카바 전차만을 의미한다.이렇게 착아보면 탱크라는 명칭을 그대로 쓰는 국가도 많지만 전투마차/전투차량/장갑차량등 생긴것 그대로 부르는 국가들이나 "기어다니는 용" 같은 고유의 명칭을 쓰는 국가들이 많다는 걸 알 수 있다.아마 대체역사에서 누군가 전차를 영국인들보다 먼저 만든다고 해도, 아마 해당 명칭은 러시아 같은 일부국가나 국제적 용어로 통용되겠지만, 각자 자국 사정에 따라 다르게 부를 확률이 높다. 특히 발음하기 힘들다면
작성자 : 초마록마고정닉
차단하기
설정을 통해 게시물을 걸러서 볼 수 있습니다.
댓글 영역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