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연관 갤러리
걸스플래닛999 갤러리 타 갤러리(0)
이 갤러리가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추가한 갤러리가 없습니다.
0/0
타 갤러리 걸스플래닛999 갤러리(0)
이 갤러리를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개념글 리스트
1/3
- B-747: 대통령의 아들에게 성접대를 제공하면 생기는 일 우희힝
- 주호민 아들 사건 3심…법조계 "항소심 판결 유지 가능성 클 듯" ㅇㅇ
- 트럼프, 멜라니아 여사와 리벤지 포르노·딥페이크 범죄 대응 법안 서명 ㅇㅇ
- 디스패치 손흥민 사건 진실 떴다..jpg 찬밥괴
- 청년백수 120만...댓글로 참교육하는 기성세대들 ㅇㅇ
- 첫토이)넨도가 사람을 망치는과정 타르가
- 싱글벙글 토에이 AI사용 진실 클빈
- 미적감각 개박살나버린 엔씨소프트 근황.jpg ㅇㅇ
- (단편) 그 마음은 지구가 멸망해도 릴피자
- 안싱글벙글 실시간 메이드카페 살인스텝 밟는 트위터 ㅇㅇ
- (사진多) 5월 수원 코믹월드 일요일 후기. Tinman
- 오늘의 니가타 여행 용일
- 게임엔진 개발기 1,2,3 - 왜 또 새로운 엔진을 만드는가? 에렌
- 싱글벙글 조림이 특기인 최강록 셰프의 조림 공식 니지카엘
- “문란한 감귤년들”…복귀 의대생들에 ‘온라인 린치’ ㅇㅇ
親트럼프 매체, 김문수 ‘방위비 인상 가능성’ 언급에 주목
뉴스맥스, 김문수 후보의 방위비 인상 발언 주목• 미국의 친트럼프 매체 뉴스맥스가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의 주한미군 방위비 인상 가능성 언급을 보도하며, 그의 트럼프 대통령과의 조기 정상회담 계획과 방위비 분담금 인상에 대한 긍정적 시각을 부각했다.• 김 후보는 방위비 인상의 필요성을 시사하면서도 주한미군 감축에 대한 우려를 표명했고, 이는 기존 한국 정부의 입장과 상반되는 내용이다.• 미국 내에서는 트럼프 행정부가 한국의 대중 견제 강화를 요구하며 방위비 분담 문제와 한미 군사 협력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으며, 한국 대선 결과에 따라 정책 변화가 예상된다.https://n.news.naver.com/article/009/0005495335- 문수, 한미관계는 신뢰
작성자 : ㅇㅇ고정닉
오싹오싹 원자력을 쓰는 이유.EU
현대 문명에서 전기 에너지는 필수적이다. 우리가 쓰는 모든 전자제품, 기계가 전기에너지로 움직인다. 전기에너지 없이는 현대문명이 존재할 수 없다.따라서 전기 에너지를 어떻게 생산하느냐가 해당 국가의 발전을 책임진다고 볼 수 있다.한 나라의 전기 생산에 있어서 제일 중요한건 "일정한 전력생산" 이다.한 나라의 전력공급이 시시각각 오르락 내리락 하면 안되고 전력공급이 항상 일정해야만 수용가측에서 전력을 안정적으로 일정하게 사용할 수 있다.전력공급은 1년 중 어느 특정한 하루만이 아니라 1년 365일 어느 하루도 빠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져만 한다.[화력발전소], [원자력발전소]는 대표적인 발전소이며 한 나라의 기저전력(Base)을 담당하는 중요한 축이다.연료를 연소하여 열에너지를 만들고 그 열에너지가 터빈을 돌리고 자계 안에서 회전자가 회전하면그때에 우리가 쓰는 교류 전기가 생성된다.화력 발전 및 원자력 발전의 특징은 연료의 투입이 꾸준하다면 발전량도 일정하게 안정적으로 유지가 된다는 점이다.[수력 발전소]는 물의 위치에너지를 이용한 에너지라고 볼 수 있다. 친환경에너지라고 볼 수도 있지만, 댐을 건설해야 하므로 필연적으로 생태계에 영향을 미친다. 또한 수력발전은 대규모의 상류지가 존재하는 지형에 유리하다. 그래서 히말라야 산맥, 티베트 고원이 있는 중국 서부 지역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이 바로 수력 발전소이다.대한민국도 수력발전을 위해 과거에는 댐을 많이 지었지만 최근에는 거의 댐을 건설하고 있지 않는 상황이다.여기까지가 일반적으로 표준적이라 할 수 있는 [화력 발전소] ,[수력발전소], [원자력 발전소]이다.한 국가의 기저전력을 감당하며 가장 많은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소들이다.그렇다면 최근 친환경주의자들에게서 각광받고 있는 태양광&풍력 발전에 대해서도 한번 알아보자.태양광 & 풍력 발전의 가장 큰 특징은 연료가 "자연" 이라는 점이다.우리가 일상적으로 느끼는 바람, 쏟아지는 햇빛이 바로 연료이다.친환경적이며 영구적이고 (지구가 멸망할때까지) 탄소를 배출하지 않는다.그런데 태양광 & 풍력은 연료가 "자연" 인 만큼 "자연의 변덕" 에 의해 발전량이 변한다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다.(1) 풍력 = 바람의 세기에 따라 전력생산량이 달라지며 바람이 멈춰버리면 터빈이 돌아가지 않아 발전이 정지된다. (2) 태양광 = 태양의 일조량에 의존하기에 하루 중에도 구름때문에 발전량이 달라지고 장마철이 되면 발전량이 감소하며 밤에는 발전 자체가 불가능하게 된다.캐나다의 풍력 발전 그래프, 독일의 태양광 발전 그래프에서 볼 수 있듯이풍력 발전은 바람의 세기에 따라 시시각각 발전량이 달라지며, 바람이 안 불면 발전이 아예 안 된다.태양광 발전은 일조량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하루 중 정오에 발전량이 최대치가 되고 아침이나 저녁이 되면 발전량이 극단적으로 낮아지며밤에는 발전 자체가 아예 안 된다. 그리고 흐린 날이나 비가 와도 발전이 제대로 안 된다.그런데 발전량이 이렇게 하루에도 수십번씩 오르락 내리락 하면 전력계통에 엄청난 악영향을 미친다.① 집에서 에어컨을 사용하는데 갑자기 에어컨이 멈춘다고 생각해봐라.② 집에서 컴퓨터를 사용하는데 컴퓨터가 갑자기 꺼진다고 생각해봐라.③ 집에서 설거지를 하고 있는데 조명이 켜졌다가 꺼졌다가 한다고 생각해봐라.전력이 오르락내리락 하면서 에어컨이 켜졌다가 꺼졌다가 켜졌다가 꺼졌다 = 일상생활이 불가능하다.그래서 이러한 사태를 방지하기 위해 풍력 & 태양광 발전에는 ESS(Energy Storage System) 시스템이 추가된다.발전이 충분하게 이루어질때에는 상용부하에 전력을 공급함과 동시에 ESS 배터리에도 전력을 저장했다가 발전량이 감소할때에는 ESS 배터리에서 저장된 전력을 추가적으로 뽑아씀으로서 전력생산을 일정하게 유지시킨다는 개념이다.오? 그러면 태양광 & 풍력으로 모든걸 해결할 수 있는거 아님? 그런데 여기서 한가지 문제가 있다."한 국가의 전력량" 이라는 것이 실로 그 규모가 막대하다는게 문제가 된다.2023년 대한민국에서 1년동안 썼던 전기에너지가 617,490,666 Mwh (메가와트아워) 이다.여기에 365일을 나누면 대한민국 전체가 하루에 쓰는 전력량이 나오는데 계산결과에 따르면대한민국이 하루에 617,490,666 Mwh / 365 = 1,691,755 Mwh (메가와트아워) 의 전기에너지를 쓴다는 결과가 나온다.다들 알다시피 대한민국의 기후는 유럽과 다르게 사계절이 "극단적"이다.여름에 아주 덥고 요즘에는 심지어 동남아의 우기마냥 일주일간 장마철이 오는 때도 있고 겨울에는 아주 춥다. 대한민국에만 사계절이 있다라는 소리를 하고 싶은게 아니라, 계절 변화에 따라 환경이 좀 극단적이라는 이야기다.그래서 태양광 & 풍력으로 대한민국의 전력을 감당하게 된다면 필연적으로 며칠 동안은 태양빛을 제대로 이용하지 못하고 바람도 제대로 이용하지 못하는 상황을 가정해야 한다.유럽/미국 캘리포니아처럼 북해/태평양의 바람이 일정하게 계속 부는 것도 아니며 기후가 평온하게 안정된게 아니다.바람이 365일 항상 부는 것도 아니며 태양빛이 365일 항상 일정하게 땅을 비추는 것도 아니다.따라서 장마도 오고 태풍도 오고 밤이 되고 바람이 없는 날도 있고 이 모든 상황에 대비하기 위해ESS 배터리에 전력을 일시적으로 저장해야 하는 상황을 가정해보자는 것이다.대한민국 1일 발전량 1,691,755 Mwh 의 전기에너지를 100% 풍력+태양광 발전으로 충당한다고 가정한다.그러면 1,691,755 Mwh 라는 에너지를 ESS 배터리에 임시적으로 저장해야 할 상황이 생긴다.① 용량 1Mwh ESS 가격 = 약 5억원 ② 1,691,755 Mwh ESS 가격 = 1,691,755 X 5 억원 = 8,458,775 억원 = 약 800조원 풍력+태양광 발전이 일시적으로 멈출때를 대비해서 대한민국 하루 전력량을"단 하루만" 일시적으로 저장하는데에 쓰이는 ESS 설비의 가격이 800조원이다.여기서 끝이 아니다. 모든 배터리에는 수명이 존재한다. 배터리의 수명이 약 10~20년인데 최대 20년으로 가정해본다.원자재, 물가, 금리, 경제적인 요인같은 것을 고려하지 않고 배터리 가격이 일정하다고 생각한다.20년마다 전국의 배터리를 교체한다고 생각해보면 800조원 / 20년 = 40조원.즉, 매년 40조원을 ESS 를 관리하는데 써야 한다는 말이다. 이것조차 "하루만 버틸때" 쓰이는 비용이다.만약, 이틀 동안 버틸려면 매년마다 80조원을 ESS 에 쏟아부어야 한다는 소리가 된다.이 정도면 "배보다 배꼽이 더 큰 상황" 이라 할 수 있다. 친환경이고 나발이고 돈을 계속 때려박아야 한다는 소리다.전자의 위치가 변함에 따라 발생하는 에너지를 화학에너지(Chemical energy)라고 한다.우리가 평상시에 쓰는 에너지가 바로 화학적 에너지이다.무언가가 연소할때, 무언가가 산화-환원 반응을 일으킬때 방출하는 에너지가 화학에너지다.인류가 예로부터 나무를 떼고 석유와 석탄을 연소시키면서 써왔던 에너지이다.그런데 아인슈타인이 특수상대성 이론을 발견하고 여기에서 질량-에너지 변환이라는 궁극의 에너지원이 발견되었다.이것이 질량 결손에 의해 발생되는 핵분열 - 핵융합 에너지이다.인류가 여태까지 써온 화학에너지와는 비교자체가 불가능한 막대한 에너지이다.이제 왜 세계 각국이 SMR(Small Modular Reactor) 소형 원자로 모듈을 개발한다느니, 원자력을 부활시킨다느니 하는 소리가 나오는지 알 수 있다.그리고 왜 미국, 유럽, 일본, 중국같은 주요 선진국들이 핵융합 개발에 목메는지 알 수 있다.결론 :원자력을 쓰는 이유 = 여타 에너지와 비교불가능한 막대한 에너지 + 365일 24시간 전력공급 가능
작성자 : 너구리고정닉
싱글벙글 이순신에 대한 여러 사실들
1. 충무공 이순신의 부하중에는 동명이인이 있었다. 동시대에 살았던 장수로, 충무공 이순신의 부하이면서 절친한 사이였다고 전해진다. 칠천량때 "그새끼" 때문에 PTSD 생겨서 도망간 배설의 후임으로 들어왔으며 그 이후로 왜적과 싸우며 돈독해졌다고 한다. 2. 화포위주 해전 메타는 이순신이 정립했다? 실제로 이순신의 조선 수군이 구사한 화력으로 원거리에서 상대를 압도하는 전술은 당시 동아시아에서의 주력전술과는 상당히 동떨어져 있었다. 당시는 그냥 배 붙여서 백병전으로 패는게 정석이었기 때문. 그러나, 알다시피 조선의 화포 개발과 판옥선의 화포 장착이 이순신의 작품인 것은 절대 아니고 이미 고려 말에 왜구를 때려잡기위해 화포가 발전되었으며, 이순신은 뉴메타인 화포를 적극 활용한 전술의 실용성을 입증하고 그 교리를 세웠다고 볼 수 있다. 3. 이순신은 정보전에 능했다. 이순신의 전략전술 수립에 가장 도움이 됐던 것중 하나가 압도적인 정보력이다. 이순신은 항상 전투 이전에 적이 언제 어디서 공격할지 알고 있었고, 심지어 그 근방 해역의 물살같은 것도 꿰고 있었기 때문에 그냥 정보 수집 -> 이길 방법 궁리 -> 이김. 이 과정의 반복이라는 기가막힌 능력이 보여주었다. 특히, 그냥 이길거같다고 싸우는게 아니라 이겨도 전술적 가치가 그닥없고 아군 피해만 클 것 같다고 판단되면 전투하지 않았고 심리전에도 능통하여 "적의 습성상 슬슬 기습할때가 됐다 싶어서 대비시켜놨더니 진짜 기습하더라." 라는 일화도 있을 정도다. 이순신 억까 세력들이 가끔 "이순신은 이길 전투만 해서 이긴건데 뭐가 대단하냐?" 라고 하는데 장수가 이길 전투 질 전투를 완벽하게 구분하고 아군의 피해를 최소하하며 남들이 보기에 질 것 같은것도 당당히 승리해 보이는건 그냥 극찬이고 "주식 오르면 팔고 내리면 산다." 와 같은 것이다. 4. 필사즉생 필생즉사 연설은 희생을 강요하는 말이다? 명량해전 직전, 이미 병사들이고 장성들이고 전의를 거의 상실하고 도망칠 궁리나 하고 있을때 죽고자 하면 살고, 살고자 하면 죽는다. 튀는 새끼는 내가 죽인다. 라는 연설을 해서 사기를 북돋은 일화가 유명하다. 언틋 말을 들으면 그냥 "이새끼마냥 우리가 절대적으로 열세한 상황이나 더이상 물러날 곳도 없으니 뒤는 우리에게 맡기고 여기서 나라를 위해 죽어다오." 라는 식으로 알아들을 수도 있다. 근데 사실 그 연설 내용이 "죽더라도 싸우다가 죽자." 가 아니라 "씨발 내가 이길 방법 다 생각해왔는데 튈 생각하고 있냐. 나만 믿고 다같이 훈련한대로 따라오면 이기니까 도망칠 생각하지 마라. 여기까지 와서 나를 못믿나?" 와 같은 뉘앙스라고 보는게 맞다. 5. 명량해전때 처음에는 이순신만 싸웠다 이미 영화 명량으로 인해 널리 알려진 사실이지만 전투 초반에는 적의 규모를 보고 13척 중 이순신의 대장선 단 한 척만 빼고 전부 뒤에서 전투를 관망하는 대참사가 벌어진다. 평소에는 군기를 중요하게 여겨서 매우 엄하게 다스렸는데도 불구하고 13 대 133은 시발 아무리 봐도 아닌거 같다고 생각하여 다같이 이순신 죽는거 구경이나 하려 한 것이다. 그러나 이순신은 이에 굴하지 않고 혼자서 울돌목을 틀어막는 기적의 블로킹을 선보이며 중군영하기와 초호기를 걸어서 도움핑을 존나 찍었고 "아니 이게 되네." 싶었던 장수들은 허겁지겁 도우러 갔다고 한다. 사실 다른 장수가 이딴 전력차로 싸우자고 했으면 이미 다 도망가고 아무도 안남았겠지만 '근데 진짜 이순신이라면?' 이라는 생각으로 뒤에서 지켜보기라도 한게 아닐까 싶기도 하다. 왜 13척이냐 12척 구라냐? 라고 할 수 있는데 이순신이 신에게는 아직 12척의 배가 남아있습니다 한 이후에 새로 들여온 배설의 판옥선 한 척이 추가돼 13척이 된거고 명량해전때 도망갔던 배 중 한 척은 전투끝까지 꾸역꾸역 구경만 했기 때문에 사실 12 대 133이 맞긴 하다. 6. 이순신 최대의 위협은 전염병?조선 최고의 명장도 피해갈 수 없었던게 병사들의 전염병이다. 그 시대 군대가 늘상 그렇듯 비전투손실이 전투손실 이상이었는데, 아군 피해를 최소화하는 이순신의 특성상 그 피해의 비중이 매우 컸다. 당시 충무공 휘하 장병들의 사망 원인 2위가 전염병(약 2500명)일 정도. 실제로 임진왜란 전체에서 이순신이 이끈 조선수군의 전체 전사자 수는 400~500명 정도로 추산되는데 이렇게 보면 전염병이 얼마나 무서웠는지 짐작할 수 있다. 실제로 전염병으로 군의 규모가 크게 줄어들자 새로운 수군을 구하려고 정말 힘들었다는 기록도 있을 정도. 참고로 충무공의 병사 사망원인 1위는 원균이다. (약 17000명)
작성자 : ㅇㅇ고정닉
차단하기
설정을 통해 게시물을 걸러서 볼 수 있습니다.
댓글 영역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