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공급의 법칙도 알아야 부동산 가격을 예측할 수 있다

ㅇㅇ(121.134) 2025.02.21 03:38:09
조회 163 추천 0 댓글 0
														

수요의 법칙만 알지 말고, 공급의 법칙도 알아야 부동산 가격을 예측할 수 있다.
보통 부동산에 대해 무지한 사람, 특히 세입자들이 예측에 실패하는 이유는 그들이 부동산에 대해서 일반적인 시장경제의 법칙을 그대로 적용하려 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부동산 시장에서는 단순한 수요-공급 법칙이 항상 그대로 적용되지 않는다.
부동산 시장은 일반적인 소비재 시장과 달리 공급의 탄력성이 매우 낮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 다시 말해, 수요가 줄어든다고 해서 곧바로 가격이 감소하는 것이 아니라는 뜻이다.일반적인 경제학상의 시장경제법칙에 따르면, 수요가 줄어들수록 가격도 줄어들어야 한다.

참고: 1-1 우하향 수요-가격 그래프


7eead174bd806ef023bb84b3469c706db087b92538c1c256daca6c05a27396f729765b8876b3e628bb1f003bc29649610834c0




공급의 조절이 어렵다는 점을 고려해야 하며,정부 정책이 개입하여 시장을 변화시킬 수 있고,수요 감소가 즉각적인 가격 하락으로 이어지지 않는 경우가 많다.그렇다면, 극도로 희소성이 극대화된 대도시, 예컨데 서울의 부동산 그래프는 실제 어떻게 움직이는가?

부동산 시장에서의 비대칭성고정 자산이라는 특성, 장기적인 투자 상품으로서의 역할, 정부 개입, 토지의 희소성시장 구조의 비대칭성, 정책적 요인, 장기적인 투자 심리 (얘도 엑박이라 안나옴.)


이제부터 본론이니 중요!
수요가 급감해서 가격이 내려가려면, 공급이 폭증하여 가격 인하 경쟁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경쟁을 통해 가격이 내려가면 다시 수요가 상승하게 된다.


그러나 가격이 내려가면, 집주인들이 집을 아예 시장에 내놓지 않는다.

일반적인 재화를 공급하는 '사기업'과 달리, 주택은 인건비, 원료매입비, 재고감가상각비 등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주택 소유자는 누구나 실거주를 염두에 두어야 하며, 주택을 매각할 경우 거주지 변경이라는 큰 불편도 함께 감수해야 한다. 그런데 이 큰 불편을 치르는 비용으로, 몇억의 손해를 보고 집을 양도할 것인가? 일부 경매 넘어가기 직전으로 재정상확이 악화된 영끌이들을 제외한다면 이런 불편을 손해보고 치르는 멍청한 집주인이 없을 것이다.
따라서 '순매수'한 집주인의 경우, 고정비 부담이 크지 않고, 오히려 자산을 통해 매각 수익과 임대 수익까지도 창출할 수 있기 때문에, 가격이 오르면 공급이 증가하고 집을 매도하지만. 가격이 내려가면, 집을 10년이고, 20년이고 계속 보유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자수성가 성공자의 경우, 주택 소유자는 비소유자보다 높은 소득을 올리는 경우가 많다.집을 물려 받은 경우, 순자산 상위 0.1% ~ 1% 이상의 수십억을 가지고 있는 고액 상속자들인 경우가 많다. 불로소득으로만 월 수천만원씩을 올릴 수 있다.따라서 가격 하락 시에도 오히려 전세 및 월세 세입자들보다 매도 압박을 덜 받으며, 집을 유지하려는 경향이 강하다.

'영끌' 비율과 다주택자 현황


영끌 비율과, 다주택자들의 비율이 생각보다 적다.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405096058Q
2030세대의 '영끌' 비중은 3.8%에 불과하며, 실질적으로 대부분의 주택 매수자는 부모 지원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집을 구매한 사람들의 8~90%가 부모 재산을 활용하였으며, 가족 도움 없이 집을 구매한 사례보다 도움을 받은 사례가 5.1배 많았다. 즉, 이들은 본인보다 자산이 몇 배나 많은 부모들의 도움을 통해 집을 구매하였고. 집 구매 비용을 할부처럼 부모의 소득과 자산에 의지하여 분납하고 있었다.

그렇기 때문에, 최근 대출 만기일 도래로 인한 경매물건 증가율이 급격히 증가할 것으로 전문가들이 예측을 했었고.대출자들의 집이 모두 경매에 나올 경우, 수백만 채 까지도 나타날 수 있을 것이라고 급진적으로 예측하는 유튜버들도 있었다.
하지만 실제 영향은 어떠한가? 그들이 기대했던 양보다 10분의 1도 늘어나지 않았다.
2024년의 전국 부동산 경매 진행건수는, 12만 9703건으로.이는 영끌 현상이 심화되기 전인 2019년과 비교했을 시 고작 23% 밖에 늘어나지 않은 수치다.
즉, 영끌 현상이 떠들어질 때 언론과 유튜버들과 폭락이들은 전국의 집 매수자들은 전부 영끌이이며, 이들 중 수백만 채가 경매로 넘겨지기 때문에, 공급량과 임의경매량이 수천 % 이상 급등할 것이라고 떠들며, 집값이 폭락할 것이라고 기대를 했었다.
그러나, 수백만 채가 아니다. 수백 %도 아니다.


대출규제 영향이 덜했던 (비 서울 지역) 지방 지역에서만 주로, 단 23%만 증가를 했을 뿐이다.


가격 하락이 막히고 상승하는 구조

이와 같이, 가격이 내려가더라도 집주인들이 집을 팔지 않으면, 결국 가격이 계속 상승하는 현상이 발생한다.

부동산 구매 수요는 제한된 소득과 저축에 기반을 두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연봉 4천만 원인 남성과 연봉 3천만 원인 여성이 맞벌이로 가구 소득 7천만 원을 올린다고 가정하자.

이들이 월 2천만 원의 저축을 쌓고, 그중 절반을 부동산 구매에 투자한다면 해당 지역의 집값은 매년 1천만 원씩 상승하는 구조가 형성된다.


https://www.nocutnews.co.kr/news/6296580


이를 통해 일어나는 현상 : 현재 대내외 경제상황도 불확실하고, 환율이 최고치를 달리는데도.

서울 같은 희귀도심지는 집값이 또 미친듯이 폭등하는 말도 안되는 현상.



결론 : 그러므로, 만일 집을 떨어트리고자 한다면 집 보유자들의 매도 심리를 거스르지 않는 선에서, 공급물량 폭탄을 던져야 한다.


그러나 최근 건설원가의 상승으로 인해서, 아파트 시공비가 매년 14.2%씩 상승하고 있다.

아니, 집값 상승을 막고자 공급폭탄을 던지려고 했는데.... 시공비가 매년 14%씩 상승하고 있다라?

분양가도 그만큼 상승하고 있다.

이는 또, 불황임에도 불구하고 집값이 상승하는 요인의 직접 원인으로 지목이 되고 있다.


국민 모두의 월급은 과연, 14%씩 상승하고 있는가?

이것이 바로, 분양가가 매년 14%씩 상승하여, 마이너스 프리미엄 현상까지 최근 대두되고 있고 지방집값이 나날이 폭락하는 가운데, 아무리 지방이라 해도 분양가는 매년 14%씩 올라가는 현상의 원인이 되는 것이다.


즉, 이는 공급폭탄으로 인한 해결책까지 모두 무효화된 원인으로 새롭게 지목이 되고 있다.


그렇다면, 우리는 이제 어떻게 해야 하는가?


정부는 거의 손을 놓고 있다.

해결책이라고 내놓는 게,

외국인 및 사기업에 대해 국내 부동산의 막대한 지분을 다 같이 민영화로 구매해서, 임대사업으로 전국민 월세살이하게 만들테니, 부실 부동산 + 공실 + 가계부채 다 매수해주세요. 라는 식으로, 리츠 사업을 제시했었다.


말하자면, 땅과 건물을 그냥 해외 및 사기업에 통째로 팔겠다는 뜻이다.


내가 감히 해결책을 제시하자면, 그냥 전국민이 빌라 살면 된다 ㅇㅇ

돈 없으면 아파트 꿈꾸지를 말고, 그냥 빌라 살아라 ㅇㅇ

돈 없으면 아파트 못들어오게.

언감생시 꿈도 못꾸게 아예 일정 자산 이하, 일정 소득 이하는 신혼 부부 10년 동안 아파트에 한해서만, 아파트대출을 금지시켜라 ㅇㅇ

빌라 대출은 확대하고 ㅇㅇ

특히 지방처럼 공실률이 급증하는 지역에서는 시행이 매우 요구된다.


왜냐고?


서울 기준으로 아파트의 평균 매매가는 12억 8220만 원인 반면, 빌라는 3억 3149만 원으로 약 3.8배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그냥 빌라 살면 집을 4배 싸게 살 수 있잖아 거지들아.


거지들이 원하는 내집 마련의 꿈 = 아파트 말고, 빌라를 사서 75% 덤핑 세일해서 사라 ㅇㅋ?

평생 아파트에 살겠다는 꿈을 접어라. 이번 생에 아파트는 글렀다.는 인식을 인지하며 살아라. 그럼 아무 문제 없잖아 ㅇㅋ?


외국 애들은 다 그러고 산다.

외국은 돈도 없으면서 대출 받아서 아파트 살려는 애들이 없다.

왜 우리나라만 유독 그러냐?


추신 : 그래프랑 기사랑 다 엑스박스 뜨고 짤려서 안나오네;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13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가수에서 배우로 전향 했지만 기대에 못 미치는 스타는? 운영자 25/02/24 - -
이슈 [디시人터뷰] 모델에서 배우로, 떠오르는 스타 이수현 운영자 25/02/21 - -
AD 이래서 LS증권 LS증권 하는구나? 수수료 할인 개막 운영자 25/01/01 - -
AD [삼성선물] 제로데이옵션 최애 조합, 수수료는 0? 운영자 25/01/09 - -
7782176 의사가 뭐하는 직업인지 모르는 사람들이 있습니다.제가 알켜줄께요!!! 부갤러(116.123) 02.21 52 0
7782175 청주 분양가 4억 9천 [1] 부갤러(106.101) 02.21 87 0
7782173 대한민국의 미래 ㅇㅇ(211.234) 02.21 59 0
7782172 대한민국!!!!!! oo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21 32 0
7782171 gbc 105층 안할거면 뚝섬부지에다 했으면 되는거 아니야? [3] ㅁㅁ(121.157) 02.21 84 0
7782170 부자되기 '바늘구멍' 되고나면 '철옹성'…연간 계층상승 18%뿐 부갤러(126.103) 02.21 59 0
7782168 재명이 존나 머리에든거근본없이 여기저기 찍먹하고 다니네 영규와맹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21 43 0
7782167 등촌vs풍무 추천점 [1] 부갤러(106.101) 02.21 58 0
7782166 과천 슈르 국평도 20억에 도전중 [1] ㅇㅇ(175.223) 02.21 246 21
7782165 청주 vs 평택 어디가 좋은 지역이냐? 어디가 상위지역임? [3] ㅇㅇ(116.120) 02.21 61 0
7782164 윤씨.송씨.한씨들은 하는짓이 이모양이꼬라지니ㅉ 부갤러(116.123) 02.21 39 0
7782163 홍장원 유리할 땐 Ai기억력 자랑, 불리하면 내가 Ai냐 경북애국시민와룡(臥龍)(121.180) 02.21 54 2
7782162 한류는 한국경제 때문에 생긴 문화현상이다 부갤러(112.167) 02.21 52 1
7782160 청주 vs 평택 어디가 좋은 지역이냐? 어디가 상위지역임? ㅇㅇ(59.31) 02.21 30 1
7782159 중국이잖아..경제는 민주주의,정치는 공산주의 부갤러(211.234) 02.21 31 1
7782158 외국인이 3천억넘게 팔아도 들빠지네..누가 받치나보네 [1] 부갤러(211.234) 02.21 68 0
7782157 이재명 “안보·경제는 보수, 사회·문화는 진보 정책 하면 돼” [2] ㅇㅇ(210.126) 02.21 101 0
7782156 내가 스톱 안햇으면 싱겁게 끝날수잇엉는데 부갤러(211.235) 02.21 26 0
7782155 의료대란만해도 탄핵감 아닌가? [1] 부갤러(211.234) 02.21 59 4
7782154 부모님 노후대비 안되어 있으면 자식낳기 부담스러운게 사실 ㅇㅇ(58.75) 02.21 47 2
7782153 소비할돈이 월세,은행이자수익으로 빨리면 보수는 대선졌다 부갤러(211.234) 02.21 37 1
7782152 민주당이 핵무기 사용 대선 공약으로 쓴다는데 ㅋㅋㅋㅋ ㅇㅇ(117.111) 02.21 49 0
7782151 ** 피규어AI, 로봇용 지능 '헬릭스' 공개…"달걀은 냉장고, 밀가루는 ㅇㅇ(1.233) 02.21 38 1
7782150 찢 전과 다시보기 부갤러(211.234) 02.21 62 1
7782149 명태균 측 "오세훈, 계란 반숙 두번 시키더라…중국집 송O프서 만났다" [1] 부갤러(211.234) 02.21 81 0
7782148 10년차 고등학교 교주빈이 받는 실수령액 시발 ㅋㅋㅋㅋ ㅇㅇ(106.102) 02.21 92 0
7782147 근저당 있는 집에도 전세를 많이 들어감? [2] 부갤러(211.253) 02.21 75 0
7782145 실거주가 내가 사서 사는거고 매매는 세끼고 사는거야?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21 37 0
7782144 청주 vs 평택 어디가 좋은 지역이냐? 어디가 상위지역임? ㅇㅇ(59.31) 02.21 33 0
7782143 일론머스크는 공무원 AI 돌리고 해고시켜 확보한거고 ㅇㅇ(211.58) 02.21 36 0
7782142 충격) 중공 바퀴녀들의 신부수업 ㅅㅅ강의 ㅎㄷㄷ [2] ooo(218.235) 02.21 95 0
7782141 다들 독재자가 되고싶어하는거보니 세계대전일어나겠네 [1] 부갤러(211.234) 02.21 51 1
7782140 지금 상황이 리먼사태(서브프라임 모기지)랑 판박이 [1] ㅇㅇ(223.38) 02.21 104 0
7782139 찢 청년들 악마래 ㅇㅇ(211.234) 02.21 43 1
7782138 집 있어도 은행 돈 빌릴 수 있다… 다주택자 수도권 주담대 재개 ㅇㅇ(106.102) 02.21 64 0
7782137 부갤 폭락이 불쌍해ㅠㅠ 부갤러(118.235) 02.21 89 3
7782136 군부대 대령급들이 계엄은 무슨뻘짓거리냐고 생각한게 컸다 부갤러(210.100) 02.21 43 0
7782135 러시아 “젤렌스키 독재자? 트럼프 말 200% 옳다” 맞장구 [1] 부갤러(211.234) 02.21 68 1
7782133 젤렌스키가 되고 싶었던건가? [1] 부갤러(211.234) 02.21 57 0
7782132 전 헌재 연구관 “내달 尹 파면 전원일치 결정할 것” [1] 부갤러(211.234) 02.21 112 0
7782131 울산 광주에 20억짜리 집 있는 사람들은 부갤러(112.156) 02.21 67 0
7782130 아파트 19년식이랑 25년식이랑 차이 큰가? ㅇㅇ(117.123) 02.21 37 0
7782129 한국사람이 책을 안사긴하나보네.. 부갤러(211.234) 02.21 80 1
7782127 대형서점에게 물었다… 몇권 팔아야 올해 베스트셀러 1위? 부갤러(211.234) 02.21 44 0
7782126 얘네들은 서울 아파트를 아예 모름 [2] ㅇㅇ(211.58) 02.21 198 2
7782125 라이언 레이놀즈 인성 쓰레기네 ㄷㄷ [1] ㅇㅇ(39.7) 02.21 154 0
7782124 예약판매 시작하자마자 1위"…한동훈 책, 정식 출간 전부터 베스트셀러 부갤러(211.234) 02.21 69 0
7782122 니들 애 낳지 마라 인생 지옥도 펼쳐진다 oo(222.107) 02.21 83 2
7782121 dsr 3단계 7월시행이면 집,주식 다 팔고 소비줄이는게 맞어 [1] 부갤러(211.234) 02.21 104 1
7782120 지금 태어나는 애들은 그냥 국가부채 때문에 해외 탈출이 정답임 oo(222.107) 02.21 56 0
뉴스 청하, 박재범과 2년째 서먹…서로 너무 바빠 대화 없어 디시트렌드 18:0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