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연관 갤러리
메이플스토리 갤러리 타 갤러리(0)
이 갤러리가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타 갤러리 메이플스토리 갤러리(0)
이 갤러리를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개념글 리스트
1/3
- 36년 장수한 강아지 ㅇㅇ
- 리사 인권운동가 얼굴 팬티에 박아서 논란ㅋㅋ ㅇㅇ
- 요즘 반응 안좋은 투썸 케이크들 ㅇㅇ
- 5월초 국내바다 혹한기 극기훈련 다이빙 다녀옴 프갤러
- 싱글벙글 그녀들의 이중성 ㅇㅇ
- 따효니가 키우던 버튜버 근황 ㅇㅇ
- 민폐인지 논란인 교회 치킨 주문.jpg 싱갤러
- (ㅇㅎ) 소개팅남한테 파트너 제안 받는 만화 아바방
- (블라)ㅊ녀와 결혼한 퐁퐁이 조선인의안락사
- 싱글벙글 한국 정치인 재산 알아보기 크리미널
- 오랫만에 도쿄가서 5일간 만난 전현직 AV배우 38명 요약정리 ㅇㅇ
- 던파로 이것저것 만들어봣다!! 김갱지
- 中번지점프 중 난간에 쾅... 인플루언서 허리 부러져 논란! 난징대파티
- 수상하게 옵치를 너무 잘 아는 K-pop 아티스트 옵붕이
- 싱글벙글 일본에서 대다수 사람들이 생각하는 정신 타락파워천사
황대인을 위한 변명
프로야구 선수는 덩치가 크다. 최강지찬이나 아씨햄 같은 특이 케이스를 제외하곤. 2022~2024시즌 동안 1군 경기 1번이라도 등판한 쓰로워는 외국인 선수를 제외하고 총 380명. 각 선수가 연도별로 서로 다른 선수라고 치면 781명이다. 이 781명의 평균 키는 184cm, 몸무게는 89.3kg이다. 참고로 국가기술표준원에서 조사한 2020~2023년 2030한남들의 평균은 174.6cm, 76kg이다. 퓨마갤에도 저 정도가 제일 많을 것으로 추정되는데 자기보다 키 10cm 크고 10kg 이상 더 무거운 알파메일들에게 매일 같이 뒤지라고 염불을 외고 있는 모습이 은근 코미디 같기도. 물론 앞서 언급했듯이 모든 선수들의 신체가 184cm, 90kg이지는 않다. 누구는 용근신처럼 키도 크고 몸무게도 많이 나가고, 누구는 묭그이처럼 아담한 포켓남이기 때문이다. 다만 일반적으로 키가 크면, 몸무게도 많이 나가는 편이기에 몸무게를 x축, 키를 y축이라고 친다면 대다수는 위 사진처럼 제1, 3 사분면에 몰린다. BMI를 기준으로 쓰로워들을 분류하면 대충 저렇게 된다. 참고로 덩치형은 용근류, 모델형은 준서류, 아담형은 명근류, 엄지형은 대인류다. 쓰로워 얘기해놓고 황따이런이 왜 나오냐고 태클 거는 귀찮은 퓨대남은 안 튀어나오길 바란다. 그냥 봐라. 어차피 그 새끼도 쓰로워 겸업이었다. (좌) 덩치형 전봇대 (우) 아담형 돼지새끼 체형을 저렇게 나눠봤는데 성적과 체형에 딱히 인과관계가 보이진 않는다. 굳이 하나 집어내자면 아담형이 나머지 세 그룹보다 조금 열등하다는 것 정도다. 키 작은 멸치들이 벌크업하면 도움이 되지만 키만 큰 멸치들은 몸 키워봤자 평속 0.6km 빨라지고 끝이다. 그리고 이것도 캐바캐다. 조사 대상 가운데 1년 사이 몸무게가 늘었다고 등록한 선수는 48명이고 이중 32명이 두 해 모두 속구를 30개 이상 던졌다. 그리고 저들 중 평속 늘어난 건 10명밖에 없다. <2022~2024년 유형별 투수 성적> 대표적인 사례가 찍찍 고나우영이다. 고나우영은 증속 목적으로 85kg에서 90kg으로 벌크업했는데 정작 구속은 매년 보트를 탔다. 2022~2024년 동안 직구 평속이 가장 많이 오른 선수는 쇳물 정성곤이다. 2022년에 135.2km/h였다가 작년에 146.2km/h가 됐다. 같은 기간 몸무게가 6kg 늘었다. 두 번째가 씨발이환인데 이 새끼는 군대에서 인젝 의혹이 있으니 패스. 씨발기훈 선수 나가 뒤지십쇼. 2002~2004년 하위에서 사이영상을 탄 투수 6명의 평균 BMI는 25.9로 상위(26.4)보다 낮다. 준서군을 용근신처럼 장기 레이스를 버틸 수 있는 몸으로 만드는 것도 중요하지만 무조건 살 찌우기 보다는 선수에 맞는 완성된 몸을 바탕으로 투수에게 맞는 메커니즘이나 변화구 등등을 장착하는 게 더 중요한 것이다. 타자는 어떨까 2022~2024년 1군 경기에 한 번이라도 출장한 타자는 외노자 빼면 391명이고 연도에 따라 각자 다른 선수로 구분하면 843명이다. 이들의 평균 신장은 180.1cm, 몸무게는 84.7kg다. 재미있는 건 투수와 달리 타자는 덩치가 성적에 미치는 영향이 꽤 크다. OPS를 살펴보면 지진류가 0.749, 대인형 0.719, 자욱류 0.718, 지찬류 0.687다. 키보다는 몸무게가 OPS를 끌어올리는 요인이었다. 타율과 출루율은 별 차이가 없는데 장타율이 OPS의 차이를 만들었다. 또 키가 큰 그룹이 삼진을 많이 당했고 키가 작으면 볼넷을 많이 얻었는데 그건 똥파워가 있는 덩치형도 마찬가지. 위에 투수처럼 타자도 유형별 스탯을 제시하고 싶지만 책 만든 놈들이 타자 표라면서 쓰로워 스탯을 복붙해놓고 2만 원 넘게 받아처먹어서 제시할 수 없다. 구연아 이따구로 만들어놓고 돈 받냐? 이 기간 이 변화를 가장 잘 보여준 타자가 키스성문이다. 183cm인 섹도어는 2022년까지는 몸무게를 86kg로 등록했는데 2023년부터 2kg가 늘었다. 그리고 작년 시즌을 앞두고 웨이트와 식단을 통해 체지방률을 60% 이상 줄였다. 그 결과는 다들 잘 아는 작년의 커리어하이 시즌. <덩치형에게 희롱당하는 지찬류> 지진류는 전체 선수 중에서 27.7%를 차지하는데 타석 점유율은 29.5%다. 반면 26%인 지찬류는 타석 점유율이 23.3%에 그쳤다. 장타를 못 기대하는 지찬류가 탄압당하는 현실이다. 대신 지진류가 하지 못하는 센터라인 수비(포주 제외)를 독점하고 있다. 2022~2024년 1번이라도 유격수로 출장한 선수는 평균 179.1cm, 78.9kg이고 중견수(179.1cm, 79.8kg), 2루수(178.6cm, 79.5kg)도 마찬가지다. 병신 이러한 점들을 고려해봤을 때 타자들이 야구를 못하는 이유는 단순히 살 때문은 아닌 것이다. 대만비만학회 기준으로 2단계 비만(BMI 30 이상)인 20대 선수 12명은 이 기간 대인류 평균인 OPS 0.741을 기록했다. 그러니까 황대인을 제외하곤 빠따 좀 못친다고 살로 억까하는 건 퓨마갤에서 심심하면 음해당하는 구세대 졸장들과 별 다를 바가 없는 셈이니 다른 걸로 음해하자. 결론 : 병신 쿠키 범바오 지켜 출처 : 프로야구 넘버스북 2025
작성자 : Leessang고정닉
차단하기
설정을 통해 게시물을 걸러서 볼 수 있습니다.
댓글 영역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