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KMI 연구위원회, 코로나19 7차 대유행 대비 건강 정보 제공

메디먼트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2.10.25 00:20:08
조회 26 추천 1 댓글 0


[메디먼트뉴스 김민정 기자] KMI한국의학연구소 연구위원회는 신상엽 수석상임연구위원이 새로운 변이에 따른 국내 코로나19 7차 대유행 가능성에 주목하고, 이를 대비하기 위한 제언을 담은 건강 정보를 제공한다고 24일 밝혔다.

신상엽 수석상임연구위원(감염내과 전문의)은 "국내 코로나19 유행 경향을 보면, 5개월 주기로 정점을 찍는 대규모 유행이 발생해 왔다"며 "다음 유행은 그 시기가 앞당겨질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이어 "BQ.1(BQ.1.1) 변이에 따른 다음번 대규모 유행이 예측되는 상황에서 적극적인 변이 모니터링을 통한 빠른 대응, BA.5가 포함된 2가 백신 도입을 통한 코로나19 고위험군 보호, 코로나19 바이러스 외 다른 바이러스 위험에 동시에 노출된 영유아를 위한 의료 시스템 정비 등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 국내 코로나19 대유행은 5개월 주기로 정점을 찍는 경향성을 보여

현재 코로나19 대유행에 영향을 주는 요소는 △전파력이 높고 자연 면역을 회피하는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의 등장 △백신 접종 또는 이부실드(Evusheld) 등의 장기 지속형 항체 복합체에 따른 인공 면역 △사회적 거리 두기 수준 △코로나19 감염에 따른자연 면역 등 크게 네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이 가운데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는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으며, 경쟁에서 살아남은 변이가 다음 유행을 주도하고 있다.

백신 접종 등에 따른 인공 면역과 사회적 거리 두기는 현재 코로나19 고위험군 위주로 적용되고 있어 대유행 억제를 위한 영향력이 매우 감소한 상황이다. 결국 최근 유행 억제는 물론 유행 시기와 규모를 결정하는데, 가장 큰 효과를 발휘하는 것은 코로나19 감염에 따른 자연 면역이다.

통상적으로 자연 면역에 따른 감염 예방 효과는 대략 3개월은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이후 기존 면역을 회피하는 새로운 변이가 등장해 확산할 때 대유행이 시작되고 우세종이 교체되는 과정에서 대유행의 정점을 찍게 된다. 이런 패턴이 반복되면서 대략 '5개월' 주기로 정점을 찍는 대규모 유행이 국내에서 반복적으로 관찰되고 있다.

◇ 오미크론 BA.1, BA.2 변이에 따른 코로나19 5차 대유행

코로나19 5차 대유행은 2022년 2월부터 4월까지 진행됐고,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는 이 과정에서 우세종이 오미크론 BA.1에서 BA.2 변이로 교체됐다. 9월 발표된 전 국민 코로나19 항체 양성률 조사 결과를 통해 5차 대유행은 소아·청소년의 3분의 2 이상, 성인의 절반 정도가 감염될 정도의 대규모 유행이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전 국민 3차 코로나19 백신 접종이 진행 중인 상황에서 유행이 이어져 백신 접종에 따른 감염 예방 효과 및 위중증 및 사망 감소 효과를 기대할 수 있었고 사회적 거리 두기도 완화 추세였지만, 어느 정도 유지되고 있었기 때문에 유행의 규모에 비해서는 피해를 최소화했다. 이후 2022년 5월~6월 사이 하루 확진자 수는 1만명 미만으로 5차 대유행 이후 저점이 유지됐다.

◇ 오미크론 BA.2, BA.5 변이에 따른 코로나19 6차 대유행

코로나19 6차 대유행은 2022년 7월부터 9월까지 진행됐고,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는 이 과정에서 우세종이 오미크론 BA.2에서 BA.5 변이로 교체됐다. 5차 대유행이 전 국민 대규모 유행이었다면 6차 대유행은 백신 접종률이 낮은 소아·청소년을 중심으로 시작돼 확산했으며 학생들 방학 전까지 매주 확진자 수가 더블링 하면서 증가하다가 방학과 휴가철을 지나며 확산 속도가 꺾였다.

6차 대유행 기간 백신 접종 및 사회적 거리 두기는 고위험군 위주로 적용됐기 때문에 고위험군 보호 이외에 전체 유행 억제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았다. 5차 유행보다 확진자 수 규모가 훨씬 작았기 때문에 자연 면역에 따른 유행 억제에도 한계가 있었다.

그 결과, 유행이 8월에 정점을 찍은 후 완만하게 감소했고, 2022년 10월 하순 하루 확진자 수가 2만 명대로 6차 대유행 이후 저점을 찍고 이후에는 확진자 수 규모가 계속 증가해 7차 대유행으로 이어질 것으로 예측된다.

현재 유행의 저점이 높은 상태여서 국내 코로나19 7차 대유행이 5개월 주기로 정점이 온다고 가정했을 때 예측했던 올해 12월부터 2월 사이가 아니라 올해 11월부터 시작할 가능성도 있다.

◇ 향후 전 세계 코로나19 대유행, BQ.1(BQ.1.1) 변이가 주도할 것으로 예측

BA.5가 전 세계 대유행을 이끌어가는 동안 소멸하지 않고, 살아남은 변이는 현재 BA.2.75, BA.4.6, BF.7, BQ.1(BQ.1.1), XBB (XBB.1) 등이 있다. 이 중 BA.2.75는 인도를 중심으로, BF.7은 유럽을 중심으로, BA.4.6은 미국을 중심으로 검출되고 있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1-2주 사이 BQ.1(BQ.1.1) 변이 점유율이 미국, 유럽, 아프리카 등 전 세계 대부분 지역에서 급증하고 있다. 미국의 경우 한 달 전 거의 0%였던 BQ.1(BQ.1.1) 변이 점유율이 지난주에는 22%로 급격히 상승했고, 유럽도 마찬가지로 BQ.1(BQ.1.1) 변이 점유율이 급증해 프랑스는 이미 지난주에 BQ.1(BQ.1.1) 변이 점유율이 50%가 넘어 우세종이 됐고, 스페인과 벨기에도 BQ.1(BQ.1.1) 변이 점유율이 30%를 넘었다. 아프리카와 오세아니아에서도 BQ.1(BQ.1.1) 변이가 이미 우세종이 됐거나 곧 우세종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다만, 예외적으로 아시아 지역은 전반적으로 BQ.1(BQ.1.1) 변이 점유율이 아직 낮은 편이며 상대적으로 BA.2.75와 BA.2.10.1의 재조합 변이인 XBB(XBB.1) 변이 점유율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싱가포르의 경우 XBB (XBB.1) 변이가 80% 이상의 점유율로 BA.5를 밀어내고 우세종이 된 상태이며, 인도의 경우도 XBB(XBB.1) 변이의 점유율이 최근 30% 이상으로 증가했다.

과거 패턴을 보면, 미국과 유럽에서 급격히 점유율이 올랐던 변이가 어김없이 전 세계 유행을 주도하는 우세종이 됐기 때문에 다음번 전 세계 코로나19 대유행은 BA5의 하위 변위인 BQ.1(BQ.1.1) 변이가 주도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아시아 지역에서 유행하고 있는 XBB (XBB.1) 변이도 장기적으로 그 영향력이 얼마나 넓어지는지 관찰해 볼 필요가 있다.

BQ.1(BQ.1.1) 및 XBB (XBB.1) 변이의 기존 항체 회피 능력은 기존의 변이들보다 월등히 뛰어난 것으로 알려졌으며 국내에도 BQ.1(BQ.1.1) 및 XBB 변이가 이미 유입된 것으로 확인된다.

◇ 국내 BQ.1(BQ.1.1) 변이 유행 대비를 위한 제언

1.코로나19 변이 모니터링 강화 필요

코로나19 대유행의 주도권은 사람이 아니라 바이러스 변이가 쥐고 있다. 국내 코로나19 7차 대유행은 과거 패턴과 유사하게 BA.5에서 다른 변이로 우세종이 교체되는 과정에서 정점을 찍게 될 것으로 추정된다. 국내는 아직 BA.5가 우세종이고 BA2.75, BF.7 등이 일부 검출되고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우세종이 될 것으로 예측되는 BQ.1(BQ.1.1) 및 XBB(XBB.1) 변이는 아직 드물게 관찰된다.

이런 상황에서 BQ.1(BQ.1.1) 및 XBB(XBB.1) 변이의 국내 유입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다면 좋겠지만, 해외 입국자 PCR 검사가 의무가 아니기 때문에 코로나19 변이 모니터링을 강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 해외 입국자 검역을 철저히 하고 입국 시 증상이 있거나 해외에서 확진자와 접촉한 역학적 연관성이 있는 여행자의 경우 공항에서 바로 PCR 검사를 받도록 적극적으로 유도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 해외 입국자뿐만 아니라 국내 확진자 대상 코로나19 변이 모니터링을 더 포괄적이고, 적극적으로 시행해 코로나19 변이의 국내 유입 및 유행 여부를 최대한 빨리 파악하고 대처해야 한다.

2.BA.5가 포함된 2가 백신의 빠른 도입 필요

현재 국내에서 백신을 맞아도 충분한 항체가 생기지 않는 면역 저하자를 대상으로 항체 복합체 이부실드(Evusheld)를 투여하고 있다. 하지만 BQ.1(BQ.1.1) 및 XBB(XBB.1) 변이는 모두 이부실드의 항체를 회피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유행 시 사용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또 이들 변이는 기존에 개발된 항체 치료제들 대부분을 무력화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행히 BQ.1(BQ.1.1) 변이는 신종변이가 아니라 BA.5의 하위 변이기 때문에 BA.5 자연 감염자가 별로 없는 국내의 상황에서 BA.5가 포함된 2가 백신을 접종하면 위중증 예방 효과뿐 아니라 일정 기간 감염 예방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이부실드의 도움을 받지 못하게 된 면역 저하자를 비롯해 고령, 기저 질환자 등의 코로나19 고위험군을 대상으로 BA.5가 포함된 2가 백신이 빨리 도입돼 BQ.1(BQ.1.1) 변이 유행 전 접종할 수 있다면 큰 도움이 될 것이다. 변이 특성에 맞춰 빠르고 탄력적으로 대응하는 것이 필요한 때다.

3.영유아 멀티데믹에 대한 철저한 대비 필요

가을철에 접어들면서 코로나19, 인플루엔자(독감), 사람메타뉴모바이러스(human metapneumovirus, hMPV), 호흡기융합세포바이러스(Respiratory syncytial virus, RSV) 등이 동시에 유행하는 소위 멀티데믹이 이미 시작됐다. 과거 2년간은 겨울철에 코로나19 이외 다른 바이러스 유행이 없었기 때문에 코로나19 고위험군인 고령 및 기저 질환자에게 초점을 맞춰 대응했다면 이번 겨울에는 영유아에게 더 초점을 맞춰 의료 시스템을 정비해야 할 필요가 있다.

영유아는 현재 코로나19 백신 접종이 불가능하고, 코로나19와 증상은 비슷하지만 영유아 감염율과 치명률이 높은 인플루엔자, 사람메타뉴모바이러스, 호흡기융합세포바이러스 등은 초기 감별 진단 및 치료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 KMI 연구위원회, 코로나19 7차 대유행 대비 건강 정보 제공▶ 코로나19 특별대응단장 "3개월만 참으면 실내 마스크 크게 스트레스 안 받으셔도 될 것"▶ 어린 시절 바다, 강, 호수같은 '파란 공간'에서 많이 보내면 평생 삶의 만족도 향상▶ GC녹십자, 비타민B-마그네슘 함량을 높인 '비맥스 엠지플러스' 출시▶ 유한양행, 재사용 물품 기부로 나눔과 친환경 실천 나서▶ 국경없는의사회 한국, 10주년 기념 사진전서 배우 유해진 목소리 담은 오디오 가이드 선보여▶ 30세 이상 3명 중 1명 이상 당뇨병 혹은 당뇨병 위험군, 합병증이 무섭다▶ "으으으" 30초간 신음소리만…장난전화라 여기지 않았던 소방관이 옳았다▶ 관상동맥 석회화, 만성 콩팥병 진행 위험성 최대 42% 높여▶ 증가하는 편두통 환자, 생선 섭취가 도움



추천 비추천

1

고정닉 0

0

원본 첨부파일 1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힘들게 성공한 만큼 절대 논란 안 만들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10 - -
이슈 [디시人터뷰] 웃는 모습이 예쁜 누나, 아나운서 김나정 운영자 24/06/11 - -
1650 이효리, 카우보이 모자 쓰고 카리스마 넘치는 포즈 ""손들엇! 빵야 빵야" [1] 메디먼트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27 119 0
1649 조세호 "178㎝ 썸녀, 이마에 뽀뽀하고 싶어 계단 올랐지만 내가 작아 실패" 메디먼트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27 237 0
1648 현빈 손예진 부부, 부모 됐다 "오늘 득남. 산모와 아기 모두 건강" 메디먼트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27 167 0
1647 우혜림, 본인의 첫차 인증 "2012년에 면허를 처음 따...10년이 지나 첫 차 장만" 메디먼트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27 90 0
1646 모모랜드 주이, 섹시한 모습으로 근황 공개 "어때 거울 한번 짚어 봤어" [72] 메디먼트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27 8025 10
1645 김세정 안효섭, '사내맞선' 하태커플 'MMA2022'에서 재회 "하태하태" 메디먼트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27 106 0
1644 이승기 VS 권진영 분쟁, 유튜버 이진호가 밝힌 이승기가 사면초가인 3가지 이유? 메디먼트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27 153 0
1643 한가인 유산 고백, "한 해에 자연유산 3번...임신하는 내내 불안하고 허들을 넘는 것 같았다" 메디먼트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27 155 0
1642 김현중, 동갑내기 아내에 대해 "14세 만난 첫사랑...생일이 같아 주민등록번호 앞자리까지 같아" 메디먼트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27 121 0
1641 소지섭, 결혼 후 처음으로 아내 조은정과 투샷 공개 메디먼트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27 184 0
1640 임영웅 5관왕 자축, 식당에서 MMA 트로피 5개 인증 "우히우히" 메디먼트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27 198 3
1639 전현무 품위 실추 사연 공개, "아나운서 시절 예능에서 샤이니 춤추다 상사에게 불려가" 메디먼트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27 102 1
1638 홍현희, "아들 연준범 태어난지 100일 넘어...코는 저를 안 닮았으면 좋겠다고 생각했는데" 메디먼트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26 162 0
1637 한가인, 오은영 만나 "애 낳고 기억력이 단어가 생각 안 날 때가 너무 많다" 고충 토로 메디먼트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26 137 0
1636 이주노 "20세에 시집온 아내 '내 인생 뭐지' 힘들어해…유산 경험도" 메디먼트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26 150 0
1635 '놀면 뭐하니?' 이미주, 대한민국 대 우루과이 경기 응원 중 조규성 보고 "나 사랑에 빠진 것 같다" [1] 메디먼트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26 157 0
1634 재벌집 막내아들 이성민, "자동차 사업은 순양의 엔진" 송중기 말에 신차발표회 무사히 마쳐 메디먼트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26 78 0
1633 '이욱♥' 벤, '예비맘'답게 엄마 미소 가득 지으며 D라인 공개 메디먼트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26 129 0
1632 고은아, 평소 털털한 모습 어디가고 초미니 원피스로 세련미 뿜뿜 메디먼트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26 121 0
1631 김혜수, 청룡영화상 시상식 의상 피팅...잘록한 허리 라인 눈길 메디먼트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26 105 0
1630 '슈룹' 김혜수, '세자듀스' 끝냈더니 이번엔 '사생아 손주' 산 넘어 산 메디먼트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26 66 0
1629 소연, 9살 연하 남편 조유민 만나러 카타르 행 "카타르 , 조유미니 첫 상봉" 메디먼트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26 123 0
1628 "성욕이 제로"라는 김현숙, "그땐 사랑 아닌 욕정" 고백...재혼 안해 메디먼트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26 136 0
1627 한혜진, 강원도 살이 중 시골생활 필수품 '트럭' 구입...1380만원짜리 세컨카' 인증 메디먼트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26 79 0
1626 김구라, 15년 전 2억 7000만원에 매입한 철원땅...현재 가치는? 메디먼트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26 109 0
1625 딘딘 사과, 벤투호 저격하더니 우루과이 전 이후 "경솔함을 진심으로 사과드린다" 메디먼트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26 73 0
1624 남창희 가수 데뷔, 조남지대 활동에 이어 솔로 가수로 `나는 어떠니` 발표 메디먼트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26 52 0
1623 한소희, 흑백 화보 속 시크한 눈빛과 여유로운 제스처 눈길 [40] 메디먼트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26 6889 11
1622 재벌집 막내아들 이성민, "한심한 놈" 무능한 아들 윤제문 뺨 내리쳐 메디먼트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25 96 0
1621 '나 혼자 산다' 박나래, 기안84-김해준 위한 '최후의 만찬'! 영롱한 볏짚 우대 갈비+풀드포크! 감탄 폭발! [1] 메디먼트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25 108 0
1620 한가인, 아들에 분노? 아들의 발길질에 "치열이 다 바뀌었다" 설움 토로 메디먼트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25 166 0
1619 토니안, 모친과 해외여행 인증...오늘은 '미운우리새끼' 아닌 '이쁜우리새끼' 메디먼트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25 80 0
1618 '박시은♥' 진태현, 미국 여행에서 이른 귀국 "다시 나아가자. 아직 꿈꾸고 있으니" 메디먼트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25 85 0
1617 이효리 캐나다 체크인, "강아지들이 날 기억할까?" 입양 보낸 강아지 직접 만나 메디먼트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25 125 0
1616 훤칠한 조규성, 월드컵 통해 월드클래스 외모 등극...인스타그램 팔로워 급증 메디먼트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25 89 0
1615 츄 이달의 소녀 퇴출, 소속사 "츄를 금일부로 이달의 소녀 멤버에서 제명하고 퇴출" 메디먼트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25 126 0
1614 이승기, 여자친구 이다인과 지인 돌잔치 참석...소속사와 분쟁 중에도 애정전선 이상무 메디먼트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25 128 0
1613 '오징어게임' 깐부 할아버지 오영수 추행 혐의 기소, "길 안내 차원에서 손을 잡은 것뿐" 혐의 부인 메디먼트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25 108 0
1612 김연아 고우림 부부, '2022 MAMA AWARDS 시상식 참여...결혼 후 '투샷' 기대 메디먼트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25 104 0
1611 기안84, "나는 진심으로 했나봐" 깜짝 이벤트와 함께 쏘대장에게 고백 [41] 메디먼트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25 6091 7
1610 딘딘, 벤투 감독 저격하더니..."우리 대한민국 정말 최고예요" [62] 메디먼트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25 5026 14
1609 안효섭, 손흥민 유니폼 입고 대한민국 대 우루과이 전 시청 메디먼트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25 162 0
1608 김태균, 월드컵 대한민국 VS 우루과이 전 응원 인증 "영혼을 갈아 카타르로 보냅시다" 메디먼트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25 131 0
1607 이동국, 아들 시안이와 월드컵 우루과이 전 직관 인증 "대한민국, 대박시안" [1] 메디먼트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25 187 0
1606 조혜련, 카타르 월드컵 직관 인증 "이제 경기가 시작합니다, 대한민국! 가즈아!(가자)" 메디먼트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25 164 0
1605 수영, 과감한 의상부터 보이시한 의상까지..."예쁜 옷 많이 입은날" [72] 메디먼트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25 7055 7
1604 오나라, 손흥민 유니폼 입고 월드컵 응원 인증 "난 오늘 천하무적이다" 메디먼트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25 251 0
1603 안혜경, 발리 여행 중 민소매 입고 볼륨 몸매 과시 "너무 행복했던 그날의 기록들!" [2] 메디먼트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25 170 0
1602 조혜련, 붕어빵 아들 우주 전역 소식 전해 "우주야, 진심으로 축하해, 장하다, 내 아들" 메디먼트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25 140 0
1601 정우성 옆 전혜진 그리고 탕웨이, 한중 스타의 만남 메디먼트뉴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1.25 139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