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강화유리 케이스 터졌던 놈이다. KBS 뉴스 떴다.

늅늅(125.129) 2021.03.18 15:19:53
조회 321 추천 16 댓글 4
														







KBS에서는 강화유리 파손으로 통칭했네. 아무래도 불량과 자파현상 등이 혼재해있다보니, 속 편하게 파손으로 말한 모양임.


인터뷰 내용의 경우에는 약간 과장이 섞여있는데(특히 저절로란 부분), 이 부분에 대해서는 나도 여러 가지로 욱한 게 꽤 많아서 그냥 기자분 함정질문에 넘어가줬던 것이기 때문에, 걍 그러려니했으면 함.



이전 글에서도 말했지만, 내가 이렇게 주장하는게 아니꼬우면 기업들이 알아서 안전기준 마련하고 검수하면서 경고하면서 안내문 제작해야 할 문제지, 소비자가 감내해야 할 문제가 아님.




viewimage.php?id=3dafd922e0c23b9960bac1e1&no=24b0d769e1d32ca73dec80fa11d028316f56ba15eaa5e1d2899cddb8d9ad3ba9936c4d73523f3021c792a5be933fbb0190e0126df8e66658a7d9938cbd3a7d51e1c8a114d329a8




이 뉴스의 핵심은 역시 이 부분이라 생각함.


신소재공학부 교수님의 말씀이니만큼 현재 해당분야 최고 전문가의 의견이고, 이 부분은 이전에 제가 제시했던 국가공식보고서, 강화유리제품안전성실태조사결과(https://www.ciss.go.kr/www/downloadBbsFile.do?atchmnflNo=3341) 에서도 동일하게 지적하고 있음.





viewimage.php?id=3dafd922e0c23b9960bac1e1&no=24b0d769e1d32ca73dec80fa11d028316f56ba15eaa5e1d2899cddb8d9ad3ba9936c4d73523f3021c792a5be933fbb0190e0126df8e66658a7d993d6e63d7d011258e6a820723f

(한국소비자원 소비자안전국생활안전팀, <강화유리제품안전성실태조사결과>, 한국소비자원. 2012년. 34p.)






해당 보고서에 따르면, 2012년 기준, 강화유리 관련하여 열처리 검수를 할 수 있는 기구를 보유한 기업은 고작 13개 업체에 불과함.


아마도 상황상 이 기구들은 현재 자동차 유리, 혹은 책상 유리 등에 투입되어있을 것이라 생각함.. 왜냐하면 우리나라 KS인증을 받은 강화유리들은 대부분 자동차 회사에 납품하는 유리들이거든.



아마도 2021년인 지금이라고 해도 크게 달라지진 않았을 거임.


현재도 강화유리 관련해서 안전기준 등이 제대로 확립되어있지 않고, 수입 강화유리의 경우에는 해당사항이 아예 아니니까.


제품안전정보센터(https://www.safetykorea.kr/)에 가도 강화유리 관련해서 검색하면 나오는 것은 대부분 자동차, 혹은 책상 유리임.





viewimage.php?id=3dafd922e0c23b9960bac1e1&no=24b0d769e1d32ca73dec80fa11d028316f56ba15eaa5e1d2899cddb8d9ad3ba9936c4d73523f3021c792a5be933fbb0190e0126df8e66658a7d9938be03d7c56fc7c4c79940500

(한국소비자원 소비자안전국생활안전팀, <강화유리제품안전성실태조사결과>, 한국소비자원. 2012년. 11~12p.)




결론적으로, 현재 문제는




1. 국내 강화유리의 경우, 열처리 등을 통한 검수작업을 제대로 할 수 있는 업체가 고작 13개에 불과할 정도로 제대로 된 검수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검수받은 강화유리들은 자동차 유리, 책상 유리 등 값비싼 물품에 들어가는 유리들이다.


2. 현재 컴퓨터 케이스 등에 쓰이는 수입 강화 유리의 경우는 더 심각하여, 제조공정이 문제가 있든 없든 간에 어떠한 안전기준도 검수도 이루어지지 않고 있기 때문에, 소비자에게 피해를 입힐 수 있는 불량품이 어떠한 규제나 검사 없이 유통되고 있다.


3. 결국 국내 유통되는 강화유리, 특히 수입 강화 유리를 사용하는 케이스 등의 경우, 소비자의 안전을 보장할 제도나 업체의 보장 또한 없다





이 세 가지가 될 거임.


물론, 안전기준과 제도가 마련되기까지는 시간이 어느 정도 걸릴 수밖에 없음.


그렇기 때문에 오히려 소비자들이 나서서 '아니, 님들 그래서 검수 안 함? 하는 시늉은 하셔야죠? 필름이라도 붙이셔야죠?' 하고 요구해야한다고 생각함.




물론 '난 강화유리 절대 포기 못해. 난 쓸 거임' 해도 제가 뭐라고 할 수 있는게 아님. 내가 뭐라고 간섭하겠음? 본인이 원하면 질러야지.


강화유리가 가지는 장점에 대해서도 내가 부정하는 게 아님.


이왕 쓸거면 확실하고 안전하게 쓰자는 거지. 나는 안 쓸테지만, 니들은 강화유리 쓸 거잖아?





개인적으론 정말로, 이걸로 이번 일이 마무리됐으면 좋겠음.


이제 남은 언론도 없고, 다시 연락이 와도 내가 응할 지는 모르겠음.


사실 응하고 싶지도 않음. 스트레스 개쩔었거든. 수십 명한테 물어뜯기는 건 결코 유쾌한 경험은 아니더라.




나한테 돈 한 푼 떨어지는 것도 아닌데 왜 이렇게 열심히 했냐고 물으면...... 이전 글에도 말했지만, 누군가 다치는 거 걱정해서 그래.


그게 내 주변 사람이 될 수도 있으니까.


일이 크게 터지고 나면 너무 늦잖아?




나야 운이 좋았지. 약간 심하게 베인 정도로 끝났으니까.


근데 다른 사람은 크게 다칠 수도 있잖아. 눈 같은 데 다치면 어떻게 돌이켜?


다시 한 번 말하지만, 일 크게 터지고 나면 늦어. 그 이전에 최소한의 방비책은 해둬야지.





이제 정말로 마무리임.


다들 어차피 강화유리 쓸 거 같은데, 이왕 쓰는 거 안전하게 썼으면 좋겠음. 




이왕 뉴스 나온거 이제 관련 안전기준이나 제도도 좀 정비되고 기업들도 눈치를 좀 봤으면 좋겠네.





지금까지 도와줘서 고마움.




다들 좋은 하루 보내라.








추천 비추천

16

고정닉 3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술 마시면 실수가 많을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5/04/14 - -
1005059 행성아 아이피 질문 [6] topre(220.92) 21.06.26 83 0
1005058 나도 윈도우 11로 업그레이드 해야지 ㅋㅋ ㅇㅇ(223.39) 21.06.26 63 0
1005057 9월에 그래픽카드 떡상하는 이유.fact [2] ㅇㅇ(183.105) 21.06.26 130 0
1005056 인천에 선정리 잘하는 동팔이 업자 있냐 [3] 통양닭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6.26 57 0
1005055 레드스톤 업뎃때 생각해보면 윈11 미심쩍음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6.26 39 0
1005054 원래대로라면 윈도우에서 보여야할 폰트 모양들.jpg [6] ㅇㅇ(121.136) 21.06.26 99 0
1005051 형들 글카 추쳔점요 [4] 33332(115.140) 21.06.26 78 0
1005049 긱바 b550 어로즈 가성비 좋네 ㅇㅇ(223.33) 21.06.26 55 0
1005048 11400f 중고 얼마에팔면됨? [1]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6.26 89 0
1005047 대체 1060이 15만이 적정이라는애들은 뭘본거임? [5] ㅇㅇ(211.36) 21.06.26 161 0
1005046 트럼프는 사탄의 하수인이다 ㅇㅇ(106.102) 21.06.26 45 0
1005045 글카랑 cpu만 오면된다... [10] 컴쟁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6.26 134 0
1005044 지금부터 윈도우11 깔건데 뭐 안되면 느그들 머리 으스러짐 [4] 세느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6.26 115 0
1005043 머기업 일반 모니터 vs 중소 게이밍 [9] ㅇㅇ(223.39) 21.06.26 65 0
1005042 혹시 알뜰폰 쓰는 사람있음? [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6.26 58 0
1005041 조용한성격은 공장가는게 젤 나음? [1] ㅇㅇ(121.177) 21.06.26 55 0
1005040 게임용인데 5600x vs i7- 11700K 둘중에 뭐가 좋음? [1] 오롤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6.26 135 0
1005039 i5 2500, gtx1050인데 컴업글 하기 vs 플스5 사기 [2] ㅇㅇ(211.36) 21.06.26 50 0
1005038 3080ti ftw3 vs 3080ti 슈프림 ㅇㅇ(223.62) 21.06.26 66 0
1005037 할머니 카운터스트라크 [1] ㅇㅇ(112.172) 21.06.26 68 0
1005035 내 사양에서 씨퓨 업글vs글카 업글중 추천좀 해주라 [1] ㅇㅇ(58.231) 21.06.26 47 0
1005033 윈도우11 병신이란 애들 특) [1] ㅇㅇ(175.201) 21.06.26 84 0
1005032 이정도면 날아올라도 되냐? [5] ㅇㅇ(182.211) 21.06.26 61 0
1005031 에휴 저능아새끼 딜안박힌다 ㅇㅇ(223.39) 21.06.26 23 0
1005030 근데 진짜 윈11 문제업고 존나 좋음? 나도 올라가볼까? [3] 세느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6.26 98 0
1005028 나는 지금 클리어타입에 만족하는데 ㅇㅇ(61.102) 21.06.26 25 0
1005027 5600x 최저점 어디까지 생각? ㅇㅇ(211.41) 21.06.26 34 0
1005026 갈락스 갈락스 갈락스 갈락스 [2] 갈락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06.26 39 0
1005025 MS는 진짜 쳐맞아야돼 윈도우 11까지 와놓고 폰트가 그따구인게 참 ㅋㅋ [4] ㅇㅇ(121.136) 21.06.26 231 0
1005023 그냥 사무용 겜안하는 컴퓨터살건데 시퓨 머박음? ㅇㅇ(210.216) 21.06.26 21 0
1005022 쿨러 cnps10x 괜찮음? [1] ㅇㅇ(61.254) 21.06.26 85 0
1005021 윈도우 11 안쓸꺼임 [1] ㅇㅇ(118.35) 21.06.26 85 0
1005020 조공) 그래픽카드 질문좀 [1] ㅇㅇ(124.63) 21.06.26 158 0
1005019 토착왜구새끼야 자살추천 ㅋㅋ [1] ㅇㅇ(223.39) 21.06.26 31 1
1005018 토착왜구 새끼야 자살 추천 [1] ㅇㅇ(223.39) 21.06.26 34 0
1005016 11 올라가면 게임프레임 올라가냐 [2] ㅇㅇ(112.172) 21.06.26 34 0
1005015 글카시세 딱 한번만더 폭등해줌좋겠다 [2] 3070KO(59.7) 21.06.26 66 0
1005013 진짜 아틱 수랭 존나 조용하네 [8] ㅇㅇ(221.140) 21.06.26 86 0
1005012 오싹오싹 절때 하면 안되는 단축키 [1] ㅇㅇ(58.143) 21.06.26 55 0
1005010 컴퓨터 없는 거지새끼야 그만좀 이 민족 차별해 [1] 역사(223.39) 21.06.26 38 0
1005009 토착왜구들이 떠받드는 유일신.jpg [1] ㅇㅇ(121.136) 21.06.26 50 0
1005008 3070샤 사려고했는데 3080 질러야겠더라 ㅇㅇ(122.32) 21.06.26 86 0
1005007 케이스에 CNDZ 케이블 이건 어디다 꽂아?? ㅇㅇ(106.101) 21.06.26 175 0
1005004 3070 ftw vs 3070어마 vs 3070트리오z vs 3070터프 [2] ㅇㅇ(124.63) 21.06.26 113 0
1005002 내 프로필사진 일본애니메이션이다 [1] 역사(223.39) 21.06.26 57 0
1005000 시퓨 쿨러 공랭 라인업 RC400 라인업 뭐 갈아 엎어졌냐? ㅇㅇ(112.172) 21.06.26 50 0
1004999 토착왜구들이 맞아야할 백신.jpg [1] ㅇㅇ(121.136) 21.06.26 63 1
1004998 이치고 케릭터가 일본인인데 왜 나한테 짱개라고 말함? [3] 역사(223.39) 21.06.26 44 0
1004997 요즘 그래서 파워 뭐 씀 ㅇㅇ(112.172) 21.06.26 26 0
1004996 3080ti 괜히 일찍 산듯 ㅠㅠ [2] G7유저(110.8) 21.06.26 139 0
뉴스 마동석 할리우드 프로젝트 ‘피그 빌리지’ 시동…“100% 영어 대사, 전 세계 개봉 목표” 디시트렌드 04.18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