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산성에 자라는 식물들...

인똥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13.03.26 14:53:58
조회 849 추천 1 댓글 6


viewGimage.php?no=2abcdc2aead569e96abec2b447827672f3de2c93ef686c1f3b8d68612f7f160f8451b2615f3ba8bdc0a35d4f6817b2070f46ac5e494f99c5629e0ada4a2538d1

보은 회인에 위치하고 있는 호점산성은 숲속 깊이 있어서 잘 알지 못합니다.
저도 지나가는 길에 잠시 들렸다가 주말에 날을 잡고 본격적으로 봄을 느끼러 올랐습니다.
작은 계곡을 따라 올라가는 길로 3.9km 정도 되는 산성입니다.
중간 가파른 부분이 있긴 하지만 사람이 많이 다니지 않은 곳이여서 한적하니 좋습니다.
숲에 소리를 모두 들을 수 있는 이런 곳이 요즘은 더욱 좋아집니다.
계곡을 따라 피어난 괭이눈의 군락이 참 아름답습니다.

viewGimage.php?no=2abcdc2aead569e96abec2b447827672f3de2c93ef686c1f3b8d68612f7f160f8451b2615f3ba8bdc0a35d483d10b5075f2e5d1812c936ae4d530b86440ffd40

들판이든 숲틈이든 어딘지 올라오는 풀이 있습니다.
크기가 작고 꽃도 볼품없어 잡초라는 이름으로 치부당하는 생명입니다.
갈퀴덩쿨로 여름 들판이나 숲에 다니면 다리에 자국을 남겨주는 풀이지요.
층층이 잎이 나며 조금 늦은 봄에 희고 작은 꽃을 피웁니다.
아주 자세히 관찰해야 꽃이 피었는지 알 수 있습니다.

viewGimage.php?no=2abcdc2aead569e96abec2b447827672f3de2c93ef686c1f3b8d68612f7f160f8451b2615f3ba8bdc0a35d4c3540b4537fe91e0807eace40d60d2a7263b62451

볕이 좋은 곳에 아직 가시를 들어내지 않은 어린 엉겅퀴들이 자리를 잡고 있습니다.
어릴 때 손으로 보들보들 문댈 수 있지만 곧 지나면 손도 못댑니다.

viewGimage.php?no=2abcdc2aead569e96abec2b447827672f3de2c93ef686c1f3b8d68612f7f160f8451b2615f3ba8bdc0a35d193d43e3504e1c5ca18af47fb8a78fcc21aa121392

묘지에 잘 자라는 솔나물의 싹이 올라옵니다.
솔나물은 소나무 잎과 닮아서 지어진 이름이지만 소나무향은 나지 않습니다.
여름에 노란 꽃이 가득 피어 고개를 쭉 내밀겠지요.
여름이 기다려 지네요.

viewGimage.php?no=2abcdc2aead569e96abec2b447827672f3de2c93ef686c1f3b8d68612f7f160f8451b2615f3ba8bdc0a35d493817bc05a2441a65ab374dc452bf8c0d093ac305

viewGimage.php?no=2abcdc2aead569e96abec2b447827672f3de2c93ef686c1f3b8d68612f7f160f8451b2615f3ba8bdc0a35d4e6810b0013f41caea1bcee93d1dfce84c41511547

흰털이 가득해서 꼭 솜같아 보입니다.
그래서 솜이라는 단어를 받은 풀이지만, 열매의 모양이 동그란 방망이 같아서 솜방망이로 불립니다.
솔나물도 하얀 솜털을 갖고 있고 가을에 더 동그란 공을 달고 있습니다.
그래서 혼동 되기도 하지만 솜방망이가 훨씬 큽니다.
같은 국화과 식물이라 열매가 많이 닮았습니다.
솜이 들어간 식물은 풀솜대, 솜방망이, 물솜방망이, 민솜대, 솜다리, 솜나물 뭐 이정도 생각나네요.


viewGimage.php?no=2abcdc2aead569e96abec2b447827672f3de2c93ef686c1f3b8d68612f7f160f8451b2615f3ba8bdc0a35d4c3543b6528fb8c9ce69eaaeb627efad341a0a1af9

양지꽃이 피었습니다.
양지를 지향하는 양지꽃은 의외로 소나무 숲이 가득한 어두운 곳에서 잘 피어납니다.

viewGimage.php?no=2abcdc2aead569e96abec2b447827672f3de2c93ef686c1f3b8d68612f7f160f8451b2615f3ba8bdc0a35d4c3a4fe351e1884617c84dcf769e0f69f2581ca38b

viewGimage.php?no=2abcdc2aead569e96abec2b447827672f3de2c93ef686c1f3b8d68612f7f160f8451b2615f3ba8bdc0a35d1f6a13b45430fa82d851abcf6b1df48f4d59c9e9a0

털을 가득 달고 할미꽃이 꽃대를 올렸습니다.
저 붉고 요염한 색의 꽃을 보면 할미꽃이라는 이름이 무색해 보입니다.
수분이 끝나고 꽃이 지면 흰털 가득한 씨앗덩어리를 만날 수 있겠죠.
할미가 되는 시간은 순식간 입니다.


viewGimage.php?no=2abcdc2aead569e96abec2b447827672f3de2c93ef686c1f3b8d68612f7f160f8451b2615f3ba8bdc0a35d4b6f14bc55163f458849524b2ecd811b383c17bf2e

꼭두서니의 여린 잎이 참 곱습니다.
꼭두서니의 이름은 꼭두색(붉은색)을 내는 풀이라고 해서 지어진 이름으로 나옵니다.
실제 꼭두서니 뿌리로 붉은색, 노란색 천연염색을 합니다.
근데 이 꼭두색은 꼭두서니로 낸 색을 말하는 것으로 꼭두색에서 어원이 나왔다는 것은 좀 이상합니다.
어디도 꼭두색이 붉은색으로 어원이 나오지 않습니다.
아마도 꼭두서니에 붉은색이 나오니 꼭두색을 붉은색이라고 부른 듯 합니다.
형태를 보고 꼭두서니라는 이름이 붙은 것 같아 보입니다.
사방으로 잎을 내고 풀에서 꼭두서는 모습에서
그리고 자랄 때 머리(꼭두)가 앞으로 치고 나가는 모습에서 이름이 나오지 않았을까 추측합니다.
꼭두는 정수리, 물체의 맨 위 부분을 말합니다.
그럼 꼭두각시라는 말은 어디서 나왔을까요?
인형은 일본에서 나온 한자 합성어고 실제로는 인형을 각시라고 불렀다고 합니다.
상여의 맨 위에 올려놓는 인형이 꼭두각시라고 불러지게 되었다고 합니다.
내가 니 꼭두각시냐? 라는 말을 생각해보면 맨 위에 앞장서서 나서야하는 그런 뜻인듯 합니다.

viewGimage.php?no=2abcdc2aead569e96abec2b447827672f3de2c93ef686c1f3b8d68612f7f160f8451b2615f3ba8bdc0a35d1f6847e75b3ad76a3e2ab346677c7b49bb3eb47c50

여긴 한쪽 비탈은 모두 굴참나무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아마도 오래전부터 굴참나무 군락이 있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누군가 굴참나무를 죽이려 합니다.
수피 안쪽 물관부, 체관부를 도려내면 사람의 정맥과 동맥을 자른 것과 같습니다.
곧 죽을 듯 보입니다. 이런 나무가 몇 그루 더 있습니다.

viewGimage.php?no=2abcdc2aead569e96abec2b447827672f3de2c93ef686c1f3b8d68612f7f160f8451b2615f3ba8bdc0a35d4e6841bd067e1618ae944d4dc9d0fbd1f5d0596552

달콤한 향이 가득합니다.
가는 길을 멈추고 둘러 보지만 눈에 들어오지 않습니다.
향기를 찾아 더듬더듬 찾다 보면 길마가지나무를 만날 수 있습니다.
숲에 처음 들어왔을 때 향기로 길을 막는 나무다 라고 외웠던 기억이 나네요.
올괴불나무와 혼동되기 쉬운데 올괴불나무는 꽃이 분홍색이고 수술이 붉은 빛을 띱니다.
법주사 올라가는 길에 올괴불나무 한 그루가 있는데 그 꽃이 피면 꼭 별이 달린 것처럼 아름답습니다.


viewGimage.php?no=2abcdc2aead569e96abec2b447827672f3de2c93ef686c1f3b8d68612f7f160f8451b2615f3ba8bdc0a35d443543b553334c66e9305526da74c4ef329d8c9c9f

느티나무 밑에 노루발이 군락으로 자라고 있습니다.
보통 노루귀들은 소나무 군락지에 잘 자란다고 하는데 의외로 느티나무에 딱 붙어서 자라고 있습니다.

viewGimage.php?no=2abcdc2aead569e96abec2b447827672f3de2c93ef686c1f3b8d68612f7f160f8451b2615f3ba8bdc0a35d4c6a45b25538df423628cecaaae16314b599555c94

소나무 숲 밑에 그늘사초들이 꽃을 피웠습니다.
사초는 벼목의 사초과에 속하는 식물입니다.
외떡잎식물의 대표적인 식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꽃의 형태를 다 갖추지 못한 꽃이 애처럽게 느낄 수 있지만 보면 볼 수록 아름답습니다.
보통이렇게 생긴 풀들은 사초과와 벼과로 나눌 수 있습니다.
벼과는 강아지풀, 크렁, 갈대, 억새 들이고 사초과는 그늘사초, 방동사니 종류를 말합니다.
벼과는 줄기가 동그랗고, 사초들은 삼각형 정도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비슷한 풀이 골풀과의 꿩의밥 정도가 있습니다.

viewGimage.php?no=2abcdc2aead569e96abec2b447827672f3de2c93ef686c1f3b8d68612f7f160f8451b2615f3ba8bdc0a35d4a6d43b4500b0e065bf14ea3ef9ef8589e0d3b4185

산괴불주머니의 노란 꽃이 올라옵니다.
괴불주머니는 우리나라 노리개의 이름이라는데 아직 실제로 본 적은 없어서
인터넷으로 사진으로 찾아보았습니다.
삼각형 모양으로 털실이 길게 나아있는 천 장식입니다.
층층이 엮인 굴비같이 엮어있습니다.
좀 닮은 것 같기도 하지만 그럼 올괴불나무도 여기서 괴불은 바로 이 장식을 말하는 것이겠죠.

viewGimage.php?no=2abcdc2aead569e96abec2b447827672f3de2c93ef686c1f3b8d68612f7f160f8451b2615f3ba8bdc0a35d186d4ee607dbc64555bb17ab1e9d6d4a2177bc2c8f

까마귀밥여름나무들의 잎들이 초록으로 아름답습니다.
부르면 참 좋은 단어들이 있지요.
풀, 내음, 초록, 하늘, 푸름, 파랑, 보들 등 입에서 맴도는 좋은 단어들 말이지요.




한 껏 봄을 즐겼더니 한 동안 일에 집중해야지요.
언제 또 나가볼 수 있을지 아쉽기만 합니다.
제가 지금 앉아 있는 시간에도 봄날은 지나가고 있겠지요.

추천 비추천

1

고정닉 0

0

원본 첨부파일 1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힘들게 성공한 만큼 절대 논란 안 만들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10 - -
146901 분리수거장에서 데려온 아이 (사진추가) [4] 제리(39.7) 14.01.26 659 0
146900 안녕하세요? [1] 흥분한고양이(175.194) 14.01.26 202 1
146899 잎을잘라주나요? synghyuck(39.119) 14.01.26 168 0
146898 안녕하세요 오늘 데리고온 아이 이름을 모르겠어요.. [2] 가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01.26 301 0
146897 이거 잎이 까맣게 변해요 [3] 김옥돔(180.71) 14.01.26 1075 0
146896 겨울 바닷가에서... [3] 뚱이엄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01.26 304 0
146895 꽃이름이 궁금합니다 [1] ㅇㅇ(223.33) 14.01.26 918 0
146893 식물이 죽어가면 꽃집 가면 살려주나요? [1] 으앵(121.142) 14.01.26 267 0
146892 느닷없이 고민이 있어서요 선인장같이 따끔한 그런 고민요ㅠㅠ 재밌는시디게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01.26 179 0
146889 어느날 마당에 나와봤는데, 꽃이 핀겁니다. 이거 이름좀 알수 있나요 [4] 돼지아니에요(112.164) 14.01.26 339 1
146888 선인장에 가시는 원래 꽃이었나요? [1] :P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01.26 176 0
146879 저 질문 좀 드릴께요. [2] 안녕하세요(119.201) 14.01.25 779 0
146872 난나나나 텍사스 전기면도기(221.143) 14.01.25 130 0
146867 제발 이 꽃나무 아시는 분이 있길바라며ㅠㅠ [5] ㅇㅇ(1.11) 14.01.25 379 0
146866 야생 칡 병의신K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01.25 170 0
146862 이 선인장이랑 사진에 있는 식물들 이름 좀 알려주세요 [1] 까미언니(61.82) 14.01.25 247 0
146860 이 꽃 이름좀요!! [1] ㅇㅇ(211.36) 14.01.25 309 0
146855 이게 무슨식물인가유? 선물받았는데 어떻게키우는지.. [1] ㄹㅇㅈㅂ(121.156) 14.01.25 359 0
146851 디시한다니까 친구가 식물갤추천해줌 :P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01.25 198 0
146847 이 선인장 이름이나 키우는법이 궁금합니다! [1] 람카이(39.7) 14.01.25 267 0
146845 이 식물 이름과 관리법좀 알려주세요. [2] Vicker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01.25 336 0
146844 도라지 처럼 생긴 식물 뭔가요? [2] 대우인터몰빵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01.25 362 0
146842 자귀풀 토우토우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01.25 194 0
146840 날씨가 풀렸네.....ㅋ [1] tkdlek(49.1) 14.01.25 211 0
146831 식물에 물을 준다음 밑 그릇에 물이 걸러오면 그 물을 줘도 되나요? [2] JKD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01.25 293 0
146814 형님들 묘목구매하려는데 이것좀 도와주세요ㅠㅠㅠ [1] 원세HUN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01.25 261 0
146811 식물을 처음키워볼려고합니다 히무로 타츠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01.25 98 0
146810 안녕하세요 겨울날 꽃이나 풀을 키우고 싶은 대학생입니다. [3] 안녕하세요(118.127) 14.01.25 319 0
146801 백합 종류중에 추천 부탁드립니다 하라쇼(14.63) 14.01.25 163 0
146800 식물이름좀 알려주세요~ [2] ㅎㅎㅎ(121.148) 14.01.24 374 0
146796 오랜만에 설레는 감정인데 고민...왜냐하면 [7] aas(122.36) 14.01.24 230 0
146791 집들이 선물 받은 화분인데. 이름좀 알려 주세요 [1] 라웅 (121.139) 14.01.24 215 0
146787 식갤러 님들 선인장 친구를 분양받아 왔는데 품종이 뭔가요? [1] (182.172) 14.01.24 188 0
146783 꽃을 살려주세요 [1] 에라잉(223.62) 14.01.24 181 0
146780 형님들 이 버섯이름이 뭔가요 [2] Hoya.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01.24 265 0
146771 이식물의이름이뭔가요 ? [2] ㅇㅇ(59.2) 14.01.24 295 0
146768 식물이 자꾸 잎이 떨어지고 누렇게 뜨는 놈도 있고 왜 그럴까요 [1] 으앵(121.142) 14.01.24 288 0
146767 수련과 연꽃의 차이에 대해 알려주세요. [2] ㅇㅇ(124.80) 14.01.24 769 0
146766 마지막 잎새네요... 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01.24 114 0
146765 이거 이름이 뭔가요 제발 알려주세요ㅜㅜ [1] ㅇㅇ(175.197) 14.01.24 267 0
146764 파비안이죽어가요 ㅜㅜ 식갤짱(1.210) 14.01.24 265 0
146762 내 애완식물 산새베리아가 죽어가는데 [1] congorep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01.24 264 1
146752 이 식물 이름과 사육방법? 주의점? 들이 궁금해요 [1] Dude(211.210) 14.01.24 250 0
146719 식물갤 형들 질문이랑 도움요청좀 할께요! ㅠ [4] 드림오피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01.23 295 0
146718 이식물이름좀... [2] ㅈㅅㅈㅅ(203.226) 14.01.23 405 0
146717 진짜 감사합니다 펭귄(115.86) 14.01.23 181 1
146716 비수리를 왜 야관문이라고 부름? [1] Plant(61.105) 14.01.23 232 0
146707 허브를 쿨화이트 led만으로 키울 수 있나요? [1] 아낌없이주는게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01.23 356 0
146705 적무 새싹 키우는 학생인데요.. 좀 이상해요ㅜㅜ봐주세요 식갤분들! [1] 겅소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01.23 309 0
146703 카페에 있는 화촌대 이게 커피나문가요? [2] zazz1e(121.166) 14.01.23 346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