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복합관+서강글로벌 캠퍼스로 서강공대의 새로운 돌풍이 시작된다!

방가워요 2006.10.07 17:20:17
조회 142 추천 0 댓글 3

그동안 열악한 지원환경속에서도

 

한양공대와 비등한 위치를 유지해왔던 서강공대가(06 인풋은 서강>성균>한양이다)

 

완공을 눈앞에 두고 있는 매머드급 복합관과 함께 돌풍을 예고하고 있다!

 

가끔 서강공대 아웃풋 무시당하는데 이건 실상을 모르는 찌질이들의 열등감의 발로라고 할수 있겠다.

 

일단 서강공대의 규모가 얼마나 작은지에 대해 언급할 필요가 있다. 정확히 학년당 420명으로 타 대학공대의 1/3 내지 1/5정도라고 할 수 있겠다. 규모를 감안하면 이번 bk사업도 적게 받는 것이라고 볼수 없다. 서강공대는 신청한 모든 사업단이 선정되는 쾌거를 이루어내었다.

 

졸업생 수준도 매우 출중하다. 벤처기업 창업성공률 전국 1위대학이 서강대다. 국내 1위 펩리스 기업인 엠텍비전 이성민 사장, 우리나라 벤처기업의 신화 터보테크 장흥순 사장, 미국을 대표하는 벤처기업인 스티브 김(김윤종)사장님 모두 서강대 출신이다.

 

서강공대 졸업생은 타학교 공대에 비해 1/10도 되지 않는다. (역대 모든 졸업생 다 합쳐서 3500명정도 밖에 안된다. 한양공대가 1년에 1500명, 인하공대가 1년에 2000명씩 배출하는 거에 비하면 새발의 피다)

 

그럼에도 it경영인 순위에 8위에 랭크되는 기적을 이룩한 공대가 바로 서강공대다.

 

그간 학교지원이 미약했음에도 이정도 아웃풋이면 앞으로 최첨단 환경에서 얼마나 화려한 비상을 시작할지 아무도 모른다!


 

 

게다가 앞으로 가톨릭 의대까지 서강 이공계에 가세하면 그 파워는 가히 막강할 것이다.

 

늬들이 나를 못 믿을 것 같아 객관적인 기사를 첨부한다

 

---------------------------------------------------------------------------------

서강대, 기술과 R&D역량의 질적 수준 탁월


서강대학교 산학협력은 지난 해 연구개발 생산성 조사에서 대학 부분 1위를 차지할 정도로 기술이전 퀄리티의 탁월함을 자랑한다.

지난 해에는 신촌 지역 명문 사학들과 함께 신촌밸리 컨소시엄을 구성, ITㆍBTㆍNT분야의 기술개발 활성화에 매진하고 있으며 내년 마포구 상암 DMC단지내에 창업보육센터를 입주시키는 등 지역경제 발전을 위한 연구개발에도 초석을 닦고 있다.

아울러 지멘스그룹과의 초음파 영상진단기 연구 프로젝트 진행, IMB과 서비스 사이언스 트랙 개설, 삼성ㆍ하이닉스와 정보통신 및 반도체 분야의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 운영 등 기업들과의 긴밀한 협력관계를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가고 있다.

또한 송도신도시에 서강-송도 국제테크노파크를 조성한다는 계획으로 국가 기술경쟁력 향상에 기여하기 위한 미래 대학의 발전모델을 제시하고 있다.



◆연구개발 생산성 대학부문 1위= 서강대는 2005년말 기준 산업자원부에서 조사한 공공기관 연구개발 생산성에서 대학부문 1위를 차지했다. 연구개발 생산성은 투입 연구비 대비 기술이전 수입 등의 산출액을 비교한 수치로서 R&D를 위해 투입된 자원이 산업화에 얼마만큼 효율적으로 기여했는가를 나타내는 지표중의 하나. 연구개발 생산성 1위라는 것은 서강대가 보유한 기술과 R&D 역량이 양보다 질적인 면에서 얼마나 탁월한지를 보여주고 있다.

◆지멘스ㆍIBM, 삼성ㆍ하이닉스와의 협력=서강대는 국내 대기업은 물론 세계적인 다국적 기업들과의 산학협력을 진행하고 있다. 독일 지멘스 그룹과는 1998년부터 국제 인턴쉽 프로그램 등을 함께 운영해 왔으며, 초음파영상진단기 관련 중장기 연구프로젝트의 파트너로서 산학협력을 진행해 왔다. 지난 5월엔 산학협동 연구와 학술지원에 대한 상호협력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한국IBM과는 서비스 사이언스 학문 연구 진흥을 위한 별도 연구센터를 설립, 서비스 사이언스 트랙을 국내에서 처음으로 개설키로했다. 서비스 사이언스(SSME)는 하나의 조직이 다른 조직을 위해 수행하는 수익성 있는 서비스를 위해 과학ㆍ공학ㆍ경영 분야를 복합적으로 응용한 새로운 학문 분야. 이미 미국 노스캐롤라이나대학, UC 버클리, 중국 칭화대학 등을 중심으로 학과 과정 개설 논의가 활발한 고부가가치분야로 서스 산업의 발전과 육성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서강대는 또 삼성, 하이닉스 등과 정보통신, 반도체 트랙 등 미래맞춤형 인재육성을 위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향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신촌밸리 주도= 서강대는 연세대, 이화여대와 함께 기술이전사업을 공동으로 추진해 기술개발 활성화 및 대학의 수익창출에 기여하고자 지난 2005년 5월 '기술이전 활성화를 위한 신촌밸리 컨소시엄'을 선포했다.

특히 서강대는 신촌밸리의 초대 사무국으로서 기술이전 공동 마케팅, 박람회 참가, 기술이전 설명회 개최, 지식재산권 교육, 정부사업 공동참여 등을 지속적으로 개최해 신촌밸리 컨소시엄이 안정적인 정착을 하는데 크게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상암 DMC에 들어설 서강창업보육센터= 서강대는 마포구와 DMC단지내 2007년 6월 창업보육센터 입주를 협의하고 있다. 서강창업보육센터는 전국 230여개 대학 창업보육센터 중 유일하게 각종 평가에서 5년 연속 최우수 등급을 받고 있는 벤처 창업의 요람. 현재 13개 기업이 입주해 있으며 지난 해 70여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창업보육센터를 졸업한 엠텍비젼(주)는 디지털카메라 중심의 영상기술전문 업체로서 코스닥 시장에서도 대표적인 스타기업을 성장했으며 옥서스(주)는 국내 최초로 의료용 산소발생기 및 관련 제품들을 국산화해 코스닥 진입을 눈앞에 두고 있다.

◆탁월한 특허등록ㆍ기술이전 성과= 서강대학교의 특허등록 및 기술이전 성과는 국내 타 대학들에 비해 탁월한 성과를 나타내고 있으며 매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금년 1월엔 국내의 주요 시스템 IC 설계기술 보유업체 중 하나인 (주)아날로그칩스와 2건의 시스템 IC 개발을 위한 핵심 IP 기술협력 및 이전계약을 체결했다. 핵심 IP 기술을 보유한 서강대학교는 요구사양의 기술을 설계해 제공하며, 벤처 등 국내의 각급 기업에서 사용을 원할 경우 협력기관인 (주)아날로그칩스에서 주관해 실비 혹은 아주 낮은 비용으로 사용을 지원하게 된다.

또한 최근에는 2003년부터 개발된 외골격 보조로봇에 대해 의료기기 전문기업인 Y사와 기술이전 계약 체결을 앞두고 있다. 하체의 근력이 저하된 노인 및 환자가 착용할 경우 보행ㆍ앉기ㆍ서기 등 동작을 보조해 주는 로봇으로 노인이나 환자 등 개인 시장은 물론 병원, 실버타운 등지의 대량 수요를 기대하고 있다.

◆서강-송도 국제테크노파크 조성=서강대학교는 송도신도시에 서강-송도 국제테크노파크를 조성하고자 사업계획서를 이미 제출한 상태이다. 산학연 클러스터를 컨셉으로 서강대학교가 국내외적으로 최고 수준의 교육ㆍ연구기관으로 발전하고 그 과정에서 관련 분야의 국가 기술경쟁력 향상에 기여하기 위한 미래 대학의 발
전모델을 제시하기 위한 프로젝트이다. 서강-송도 국제테크노파크 내에는 국제과학기술원을 위시한 국제창업보육센터, 국제융합기술산학협력센터를 설립하는 등 대학-기업-연구소를 유기적으로 결합시킬 예정이다. .

염지은기자senajy7@

<저작권자(c)아시아경제(www.akn.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염지은 기자

---------------------------------------------------------------------------------

 

서강대 이공계에 대해 무지한 인간들이 많은데 앞으론 개념 똑바로 챙기고 다니길 바란다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연예인 안됐으면 어쩔 뻔, 누가 봐도 천상 연예인은? 운영자 24/06/17 - -
AD 로스쿨 합격, 하나로 잇다! 1타 유닛 패키지 운영자 24/05/29 - -
AD 해커스로스쿨 기초인강 전강좌 100% 무료! 운영자 24/02/24 - -
123600 사회탐구 받는 공대는 서열에서 논하지 마라. [3] 건국기항 06.10.20 97 0
123599 삼국대 무시하나요? ㅇㅇ 06.10.20 47 0
123598 솔찍히 경희공이 부산공 까는거 에라다 3류 입시전형 공대 전형 [1] 건대기항 06.10.20 93 0
123597 어디까지 까이냐? [1] 개념글 06.10.20 61 0
123596 노휘들아 왜이렇게 화냥년들이 날뛰는거냐 [2] ^^ 06.10.20 80 0
123595 한공훌 은가이저그야 글지운다고 사라지냐? 니글 캡쳐자료다 [2] ㅋㅋ 06.10.20 92 0
123593 한공의 욕먹는 이유 그리고 이공계 장학금진실 개병신헌터 06.10.20 114 0
123590 한공 까고 앉아있는 녀석들은... [37] 훌퇴치 06.10.20 295 0
123588 부산,경북공대 다 고평가니깐 서열쓸떄 쳐내려 [3] 아씨발 06.10.20 125 0
123587 진짜막장아 이것보고 내용수정해라 [1] ㅇㅇㅇㅇ 06.10.20 63 0
123585 서울대 졸업생의 인생행보 [1] 06.10.20 146 0
123584 저 정말 쪽팔려 죽을거 같아요/!!!!! [4] 한대생 06.10.20 150 0
123583 新 2006 대한민국 名門大學 개념 서열입니다. [4] 진짜막장 06.10.20 186 0
123582 횽아가 대충 봤는데 서강공 성공이 어디서 한공에 들이대냐 [4] 횽아 06.10.20 112 0
123581 꿈꿨는데 오늘 로또 살라고 양사나이 06.10.20 18 0
123580 임용고사보다 합격도 어렵고 대우도 좋은 시험 : [3] ;'ㅣ 06.10.20 335 0
123579 이 기자 머리통 제로냐? [1] 방황 06.10.20 86 0
123577 성홀의 상하이교통대 평가순위 왜곡 [1] 성홀 06.10.20 76 0
123574 여기가 어딜까 [2] 세퐈 06.10.20 56 0
123573 니들 삼국대 무시하냐? 이것보면 생각이 달라진다 [5] ㄱㄱㄱㄱ 06.10.20 177 0
123572 명문대란 소리는 하루아침에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다. [3] ㅇㅇㅇ 06.10.20 127 0
123569 사촌형이 03때 부산대 기계 들어갔는데.. [5] 06.10.20 157 0
123566 중대 화장실 재래식이니? [2] 경건한 외시 06.10.20 137 0
123563 아놔 조선일보 이래도 되는거야???? [1] 열받아 06.10.20 121 0
123562 중앙 = 동국 [1] 경건시외 06.10.20 107 0
123561 삼성의 힘( 10 위 밖의 성대를 단숨에 4위로) SSKY 06.10.20 111 0
123560 이공계는 ㅗㅗㅗ 06.10.20 59 0
123559 여기 개또라이들 많구나 캐논 06.10.20 66 0
123558 [짤방요청] 횽들 부문별 서열표 좀 올리도 [1] 부탁 06.10.20 69 0
123557 수학가형 백분위40점이면 [2] 432 06.10.20 54 0
123555 서강공 = 성균관공 > 한양공 [5] 06.10.20 165 0
123554 CPA질문인대... ㅇㅁㅇ 06.10.20 66 0
123553 나군 서강공 가나다군 한양공 [6] 06.10.20 123 0
123552 스카이 111 06.10.20 34 0
123551 서강대는 가군으로 안옮기냐?ㅋ [6] ㅋㅋㅋㅋㅋㅋㅋㅋ 06.10.20 155 0
123550 부산대 인풋공개. [2] fkdnfms 06.10.20 245 0
123549 서열 완성 서울>연세=건국 [2] 경건시외 06.10.20 68 0
123546 법대서열:서/연고/성한서/이화 부산/ 이하 잡 [3] ㅎㅎㅎㅎㅎㅎ 06.10.20 108 0
123545 이제 경희대공대도 부산대까버리네 ㅋㅋㅋ [2] ㅋㅋㅋㅋㅋㅋㅋㅋ 06.10.20 121 0
123544 세상참 [1] 아놔 06.10.20 35 0
123543 이과 인생과 문과 인생 비교 [2] zz 06.10.20 114 0
123542 편입하면 3학년입학때 전적대 학번 고대로 가지고 가냐? 개탑 06.10.20 62 0
123541 공대는 대충 이런서열? [7] JSSon 06.10.20 251 0
123540 경북대가낳냐 부산대가낳냐? ㅇㅇㅇㅇㅇㅇㅇㅇㅇㅇ 06.10.20 28 0
123539 국내최초 고시대학생긴다 ㅇㅇ 06.10.20 69 0
123538 어디 이하가 듣보잡이냐? [1] ㅋㅋ 06.10.20 70 0
123536 부산대 법대면 어디까지 킬? [2] fkdnfms 06.10.20 132 0
123535 식품계열학과 순위 ㄴㅅㅁ 06.10.20 54 0
123533 공대는 지가 잘하면된다 크하하하 06.10.20 69 0
123531 기술고시 최상위권 서열.. 외무고시만큼 어렵다 [1] ㅇㅇ 06.10.20 214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