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생글생글 시험 전 나온거 보셈앱에서 작성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4.05.14 02:59:15
조회 214 추천 1 댓글 2

1. 3대 비철금속의 하나로, 경기선행지표 역할을 해서 ‘닥터 코퍼’라는 별명으로 불리는 원자재는?

① 구리 ② 알루미늄
③ 리튬 ④ 아연

2. 강력한 경쟁자가 나타났을 때 기존 기업의 경쟁력이 오히려 높아지는 현상을 ‘OO효과’라고 한다. 빈 칸에 들어갈 말은?

① 문어 ② 황소 ③ 메기 ④ 백조

3. 일시적으로 회복세를 보이는 듯하던 경기가 다시 침체되는 현상을 가리키는 말은?

① 더블딥 ② 소프트랜딩
③ 하드랜딩 ④ 노랜딩

4. 부동산 관련 세금은 크게 ‘거래세’와 ‘보유세’로 분류할 수 있다. 다음 중 부동산 거래세에 포함되는 것은?

① 취득세 ② 재산세
③ 종합부동산세 ④ 부가가치세

5. 다음 중 주가 급등락으로 인한 시장의 혼란을 막기 위해 운영하는 제도는?

① 펀더멘털 ② 팻 핑거
③ 프라이빗뱅커 ④ 사이드카

6. 현재 한국의 법정최고금리는 연 몇 %로 정해져 있을까?

① 20% ② 24% ③ 28% ④ 32%

7. 한국의 ‘1인당 GNI’는 수년째 3만 달러대를 유지하고 있다. 1인당 GNI는 국민의 무엇을 보여주는 지표일까?

① 자산 ② 소득
③ 대출 ④ 저축

8. 다음 중 인도 증시를 대표하는 기업들을 모아 구성한 주가지수는?

① FTSE100
② 니프티50
③ 닛케이225
④ 나스닥100

[문제] 아래 지문에서 나타난 경제 현상과 관련한 <보기>의 설명 중 옳은 것을 고르면?
길거리에서 담배를 피우면 담배 연기 때문에 주변 사람들은 불쾌감을 느끼며 간접흡연의 피해를 본다.

< 보기 >

ㄱ. 사회적 편익이 사적 편익보다 작다.
ㄴ. 소비 측면의 외부경제에 해당한다.
ㄷ. 시장 거래량이 사회적 최적 거래량보다 많다.
ㄹ. 소비자에게 보조금을 지급하면 사회적 최적 거래량이 달성된다.

① ㄱ, ㄴ
② ㄱ, ㄷ
③ ㄴ, ㄷ
④ ㄴ, ㄹ
⑤ ㄷ, ㄹ

[해설] 해당 사례는 담배 소비 과정에서 외부 불경제가 발생한 사례다. 주변 사람들은 담배 연기로 피해를 보게 되므로 사회적 편익은 사적 편익보다 작다. 사적 편익이 사회적 편익보다 크므로 과다 소비의 문제가 나타난다. 즉 시장 거래량이 사회적 최적 거래량보다 많다. 이러한 경우 소비자에게 보조금을 지급하면 오히려 개인의 담배 소비를 더 자극하게 된다. 따라서 소비자에게 세금을 부과해 담배 소비를 줄여야 사회적 최적 거래량으로 유도할 수 있다. 정답 ②

[문제] 아래 상황이 국내 경제에 미치는 영향으로 옳은 것은?(단, 제시된 내용 외에 다른 요인의 영향은 없다고 가정한다)
국제 유가 하락의 영향으로 국내 기름값이 계속 떨어지고 있다.

① 스태그플레이션 발생
② 생산 비용 감소로 기업 경영 개선
③ 가계의 수요 증가로 국내 물가 하락
④ 기업의 상품 판매 감소로 기업 경영 악화
⑤ 기업의 공급 감소로 실질국민소득 감소

[해설] 국제 유가가 하락하면 기업의 생산 비용이 감소하므로 기업 경영 상황은 개선되고, 기업의 공급은 증가한다. 기업의 공급이 증가하면 물가는 하락하고, 실질 국민 소득은 증가한다. 스태그플레이션이란 경기가 침체해 수요가 감소함에도 물가가 오르는 현상이다. 1970년대 오일쇼크로 원유 가격이 상승하면서 나타난 현상이다. 정답 ②

[문제] 소비자물가지수는 실제 물가보다 과대 측정될 가능성이 있다. 그 근거로 볼 수 없는 것은?

① 소비자물가지수는 상품 간 대체성을 무시한다.
② 신제품이 소비자물가지수에 포함되기까지 시간이 걸린다.
③ 소비자물가지수에 포함된 물품의 질적 향상이 무시될 수 있다.
④ 가격이 상승한 재화를 덜 구매하는 소비자의 성향을 간과한다.
⑤ 소비자물가지수는 소비자가 소비하는 재화들만 주로 포함한다.

[해설] 소비자물가지수란 일반 가계가 소비생활을 영위하기 위해 구입하는 재화·서비스의 가격변동을 측정하는 대표적 물가지수다. 소비자물가지수는 소비자가 소비하는 재화만 포함하는 것이 아니다. 통계청 기준에 따르면 2020년 기준 458개의 대표 품목을 선정해 소비자물가지수를 계산한다. 하지만 소비자물가지수는 물가를 과대평가할 가능성이 있다. 그 이유로 소비자의 제품에 대한 대체 가능성 무시, 신제품 등장, 재화의 품질 변화 등이 있다. 품질 변화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재화 가격 상승만 반영하면 소비자물가지수는 과대 평가된다. 정답 ⑤


○오커스(AUKUS, Australia, United Kingdom, United States), 쿼드(Quad), 인도·태평양 경제 프레임워크(Indo-Pacific Economic Framework, IPEF)=오커스는 2021년 9월 15일 발족한 미국, 영국, 호주 간의 인도·태평양 지역 3자 안보 협의체다. 명칭은 호주(Australia), 영국(UK), 미국(US)의 국호 첫 글자를 따서 지은 것이다. 미국의 중국 포위망 강화와 영국의 브렉시트 이후 아·태 지역에서의 역할 확대, 중국 팽창에 대비해 국방력 강화를 추진하고 있는 호주의 이해관계가 맞아떨어져 탄생했다. 최근 한국과 호주가 한국을 오커스의 첨단 군사기술 개발 파트너로 포함하기 위한 방안을 지난 1일 논의(사진)하기도 했다. 쿼드는 4자 안보 대화로 미국·일본·인도·호주의 안보 협의체다. IPEF는 인도·태평양 지역에서 중국의 경제적 영향력 확대를 억제하기 위해 미국 주도로 설립한 경제 안보 동맹이다. 기후환경, 디지털, 노동 등의 분야에서 새 국제규범을 마련하고 공급망 재편 등의 공동 목표를 가지고 있다. 한국도 참여하고 있다.

(오커스, 쿼드, IPEF)


○그린 워싱(Green Washing)=기업이 실제로는 환경에 악영향을 끼치는 활동을 하면서도 마치 친환경을 추구하는 것처럼 홍보하는 것을 말한다. 우리말로는 ‘위장 환경주의’라고도 부른다. 사회적 가치를 중시하는 ESG(환경·사회·지배구조)가 경영 화두로 떠오르면서 친환경 이미지 세탁을 노리는 일부 기업의 행태를 꼬집은 용어다.

○알테쉬=알리익스프레스, 테무, 쉬인 등 중국 이커머스 플랫폼 기업의 앞자리를 따서 지은 이름이다. 이들은 저렴한 가격을 앞세워 전 세계 온라인 시장을 공략하면서 유통업계를 긴장시키고 있다.

○자유무역협정(Free Trade Agreement, FTA)=2개 이상 국가 간에 배타적 무역 특혜(관세 및 비관세 장벽 철폐)를 서로 부여하는 협정으로, 가장 느슨한 형태의 지역 경제통합 형태다. FTA는 자유로운 교역을 위해 시장을 서로 개방하는 협정을 뜻한다. 두 나라 사이에 맺을 수도 있고, 지역 사이에 맺을 수도 있다. 한-미, 한-중 FTA 등이 두 나라 간 협정이라면, 태평양 연안 12개국이 참여하는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은 지역 차원의 FTA다. 한국은 칠레와 2004년 첫 FTA가 발효되면서 올해 20주년을 맞았다.

○기간산업(Key Industry)=원활한 경제활동의 토대가 되는 중요한 산업을 의미한다. 대표적으로 자동차, 철강, 석유, 조선, 화학 등을 포함한다.

○니어쇼어링(Nearshoring)=기업이 생산 및 서비스를 위한 업무를 이전할 때 본국과 가까운 인근 국가로 이전하는 것을 말한다. 니어쇼어링은 생산 시설을 해외로 이전하는 오프쇼어링과 생산 시설을 본국으로 다시 이전하는 리쇼어링의 중간 형태로, 기업이 본국과 가까운 지역에서 생산 및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운송비와 시간을 절약하고, 본국의 노동력과 자원을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미국은 지난해부터 생산 기지를 멕시코, 캐나다 등으로도 옮겨 주변국과 공급망을 재편하려는 움직임도 있다.

추천 비추천

1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시세차익 부러워 부동산 보는 눈 배우고 싶은 스타는? 운영자 24/05/27 - -
AD ★학점은행제 1위 해커스, 과목당 최대 80% 할인 운영자 24/01/02 - -
241462 플래너랑 만나려고 하는데 주의사항 질문이 있습니다 [2] 학갤러(221.139) 05.19 222 5
241461 독학사 3과목 vs. 매경 우수 [9] 학갤러(118.235) 05.19 332 0
241459 가정학 어려웠다고? [1] ㅇㅇ(118.235) 05.19 256 1
241458 아 주거학 안쳤는데 쳐볼걸 그랬네. ㅇㅇ(223.39) 05.19 119 2
241457 아니 진짜 근데 학갤러(115.126) 05.19 167 0
241456 ㅅㅂ 가정학원론 문제복원같은거 없나 ? [3] 학갤러(221.150) 05.19 241 0
241455 전과목 37점일거같으면 개추 ㅇㅇ(117.111) 05.19 198 1
241454 마냥 꿀이라 생각하다 좆댔으면 개추 ㅇㅇ(118.235) 05.19 144 4
241450 운영체제 아이노드 씹중요하다고 책에서 존나 강조하길래 다 외워갔는데 ㅅㅂ [2] 학갤러(14.44) 05.19 130 1
241449 독학사 2단계 8과목(전과목) 본인이 쓴 답. [15] ㅇㅇ(223.39) 05.19 685 0
241448 라운드로빈 ABAC인 이유 [8] ㅇㅇ(121.190) 05.19 157 0
241447 학점은행, 독학사, 편입 잘 모르는 수도권 여자 있어? [4] ㅇㅇ(118.235) 05.19 288 0
241446 c플밍이랑 운영체제는 기대해봐도 될거같네 그런데 자료구조는 좀 불안하노 학갤러(14.44) 05.19 77 0
241444 운영체제 틀린것 LRU 골랐는데 맞음? [2] 학갤러(14.44) 05.19 107 0
241442 컴활이나 텔레마케팅이나 실기 필기 나눠있는 자격증 [25] 학갤러(121.153) 05.19 249 0
241441 조직) 경로목표 이론: 성취지향적 리더십 [1] 멍멍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9 139 0
241440 시간제 다음달부터 시작하면 2학기 학점이지? [1] 학갤러(211.184) 05.19 139 0
241438 제로콜라>> 시장세분화 기준 [6] 멍멍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9 230 1
241437 인적관리를 귀신같이 35분만에 끝내고 바로 2교시 준비했던 나는 [1] 학갤러(121.153) 05.19 190 0
241435 그런데 책을 처음부터 끝까지 똑같이 복붙하면 문제 생기는거아님? (211.197) 05.19 112 0
241434 진짜 좆같다 [1] ㅇㅇ(123.215) 05.19 212 0
241433 경영학 ㅅㄷㅇㄷ 앞 기출문제, 최종모의고사 전부 80 아래로 떨어진적이 [2] 학갤러(115.138) 05.19 182 0
241432 안나온 문제가 뭐있을까 뭐 타당도 문제는 안나왔었나? [2] 학갤러(121.153) 05.19 106 0
241431 신림고 심리학 2단계 후기 학갤러(211.241) 05.19 117 0
241429 독학사 질문 [3] 학갤러(121.153) 05.19 279 0
241428 독학사 3단계는 학갤러(106.101) 05.19 151 0
241426 인자관 이론서 중에 오늘 나온거 제대로 나온책들 있음? [1] 학갤러(49.174) 05.19 98 0
241424 인적자원관리 32문제 같이 기억해보자 [20] ㅇㅇ(61.43) 05.19 336 0
241423 내가볼때 교재뿐만아니라 독학사 시험장도 방통대가 쌉타임 학갤러(1.244) 05.19 166 2
241422 니들 학은제 왜함? [9] ㅇㅇ(115.161) 05.19 335 0
241421 사실 본인 신서중 졸업생임(인증있음) [3] 학갤러(211.36) 05.19 221 0
241420 31문제중 11개 틀린거 같은데 [1] 학갤러(121.153) 05.19 212 3
241419 운영체제 레이드문제 답4번 레이드6했는데 뭐가 정답임? [2] (211.197) 05.19 70 0
241418 인적자원관리 장려금에 해당하는 거 고르기 [6] 학갤러(1.224) 05.19 135 0
241417 운영체제 clook 답 40맞음? [12] (211.197) 05.19 115 0
241415 인적자원관리 목표관리법 지문이 뭐야? [2] 학갤러(115.138) 05.19 112 0
241414 일단 20문제는 확실히 정답이던데 전사성공인듯 ㅇㅇ 학갤러(1.244) 05.19 92 2
241413 보통 독교재라고 나온거 오타 개쩔음 일단 학갤러(1.244) 05.19 55 0
241412 혹시 뭔문제인지 기억이 안나는거면 너무쉬워서 [3] ㅇㅇ(61.43) 05.19 202 0
241411 조직 1번 답뭐냐 [6] 학갤러(58.224) 05.19 121 0
241410 방통대교재 설명도 짱짱맨이고 워크북도 엄청좋음 학갤러(1.244) 05.19 115 0
241409 독학사 준비는 방통대 교재가 답인거같음 [2] 학갤러(1.244) 05.19 297 2
241407 전사 성공유무를 도대체 몇일 기다리라는거지? [2] 학갤러(1.244) 05.19 90 0
241405 이 시험이 문제가 있는 게 [1] 학갤러(211.234) 05.19 149 3
241404 가정학 두과목 2일의 전사 .(220.82) 05.19 167 0
241403 학사편입 하려고 하는데 케이묵 비추인가여?? 내용有 [1] (121.161) 05.19 108 0
241402 오늘 동의고등반했더니 다리 후들거려ㅅㅂ [1] (211.197) 05.19 59 0
241401 16개 틀리면 되는거? [2] 멍멍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5.19 184 0
241400 운영체제 라운드로빈 기억하는사람 답 뭐냐 [9] (211.197) 05.19 124 0
241399 사이에듀 질문 있어 이것도 중요해? 학갤러(115.143) 05.19 73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