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기블리 하이브리드 출시소식 접한 네티즌들 현실 반응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1.08.05 10:59:20
조회 338 추천 1 댓글 0
														



한동안 잠잠하던 마세라티가 오랜만에 신차 소식으로 근황을 전했다. 새롭게 모습을 드러낸 신차는 기블리의 하이브리드 버전이다. 글을 시작하기에 앞서, 독자 여러분들은 '마세라티'라는 단어를 들었을 때 가장 먼저 어떤 이미지가 떠오르는지를 여쭙고 싶다.


필자는 역시나 이탈리아 기업답게 20세기 F1 그랑프리를 휩쓸었던 과거가 생각난다. 이탈리아 브랜드는 레이싱 DNA를 빼놓고 이야기하기는 너무 섭섭하지 않은가. 그런 레이싱 DNA가 충만한 브랜드 중 하나인 마세라티가 최근 국내 시장에 출시한 신차가 매우 화제다. 그간 마세라티에선 볼 수 없었던 자동차이기도 하며, 어쩌면 마세라티와는 전혀 어울리지 않는 조합이라고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역시나, 네티즌들은 저마다의 의견을 내비치며 갑론을박을 이어가는 상황. 오늘 오토포스트 이슈플러스는 마세라티 기블리 하이브리드 이야기다.



마세라티의 엔트리급

모델을 담당하는 녀석


기블리라는 명칭을 쓰게 되는 건 FCA로 인수합병되면서 쓰이게 된 이름이다. 이 기블리의 역사를 살펴보면 꽤나 먼 과거까지 여행을 해야 하는데, 때는 1967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최초 기블리의 이름은 Tipo AM115로 1967년 처음 세상에 나왔고, 원래는 2인승 쿠페의 개발을 목적으로 만들어졌다. 실제로도 기블리라는 네이밍을 쓰기 전까진 2도어 쿠페의 형태로 출시되었다.


이 AM115는 1966년 토리노 모터쇼에서 공개되었고, 당시 28세였던 젊은 조르제토 주지아로가 디자인을 담당했다. 역시나, 주지아로 디자인답게 직선미를 잃지 않으면서 디테일한 요소를 잃지 않고, 곡선적인 느낌이 적절히 조화로운 게 딱 그의 디자인 폼이 여실 없이 드러나는 부분이다.


여하튼, 초대 기블리인 AM115는 V8 4.7L 엔진을 사용했는데, 살짝 특이점은 엔진오일 유압방식을 드라이 섬프 방식을 적용했단 점이다. 아무래도 무게중심을 위한 선택이지 않았을까 싶다. 여기에 5단 수동 변속기 혹은 3단 자동 변속기를 탑재하여 310마력을 발휘했다.


0-100km/h 가속은 6.8초였고, 최고 시속 250km/h까지 마크한다. 이후 1969년에 더 강력해진 SS 버전을 내놓았다. 이 SS 버전은 동일한 V8 엔진에 보어를 확장한 4.9L 엔진을 탑재했고, 최대 출력 330마력, 최고 속도 280km/h를 마크했다. 1973년에 단종을 맞이했고, 이후로 꽤 긴 시간 동안 공백기를 가졌다.



1992년 2세대 기블리

AM336 탄생


1992년 19년 만에 토리노 모터쇼에서 돌연 등장했다. 새롭게 돌아온 기블리는 완전히 다른 스타일의 차가 돼버렸는데, 유선의 부드러움과 직선의 아름다움을 버리고 돌아왔다. 완전히 각진 차가 돼버렸으며, 란치아 델타와 흡사한 프론트 마스크를 보여준다.


이 새로운 기블리는 2.0L 트윈터보가 탑재된 뱅크각 90도 V6 엔진이 탑재되었고, 최대 출력 302마력, 수출형의 2.8L 엔진은 280마력이 존재했다. 1994년 제네바 모터쇼에서 전자제어 서스펜션과 17인치 알로이 휠의 디자인이 변경된 마이너 체인지 버전이 발표되었다. 1992년부터 1994년까지 ZF 사의 5단 수동변속기가 장착되었으며, 1995년부터 단종되는 1998년까지는 게트락제 6단 수동변속기를 물려서 생산하였다.



전 세대 모델들은 2도어 쿠페 혹은 GT카였다. 현행 나오는 모델로 풀 모델 체인지가 되면서 4도어 준대형 세단으로 변형되었는데, 이는 슬픈 사연이 있다. 대부분의 럭셔리카 브랜드들이 그러하듯이, 마세라티도 1980년대부터 슬슬 하락세를 보여주더니, 21세기 들어서는 바닥에서만 놀아나는 신세가 돼버리고 말았다.


이후, 콰트로 포르테와 그란투리스모 등의 대형 세단과 쿠페로 어떻게든 생명줄을 연장하다가 2013년 마세라티의 운명을 바꿔준 게 바로 기블리다.

당시 엔트리급으로 내놓은 새로운 모델인 기블리는, 그야말로 대박을 터트렸다. 원래의 마세라티 또한 진입장벽이 높은 편에 속하였고, 페라리와 동급으로 생각하는 사람들이 대다수였기에 기블리 또한 출시한다는 이야기가 돌때 당연히 비쌀 것이란 반응이 대다수였다.


하지만, 그 예상을 뒤엎어 버리고 BMW의 5시리즈 혹은 아우디의 A6급 정도의 대안급이 이탈리아 브랜드에서 탄생했으니, 심지어 마세라티에서 탄생했다고 하니 대박이 날 수밖에 없었다.

다시 급격한

하락세


기블리의 한국 출시는 2013년 9월에 출시되었다. 콰트로 포르테와 함께 공유하는 3.0L V6 엔진은 최대 출력 350마력, 최대 토크 51.0kg.m를 내뿜는다. 디젤은 동일한 3.0L V6이며, 최대 출력 275마력, 최대토크 61.2kg.m를 발휘하였으나, 두대다 엔진이 상당히 약하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경고등 점등은 예삿일이며, 보통 엔진 자체의 결함으로 인하여, 브랜드 명성의 오점을 남겼다. 심지어 엔트리급 모델의 포지션을 취하고 나온 차들과 너무도 극명한 차이점을 보여주고 있는데, 기본적으로 차량의 무게가 2톤을 넘긴다.

4륜 모델의 공차중량은 2,070kg이며, 후륜구동 모델 또한 정확하게 2,000kg이다. 당시의 경쟁 차량이던 지금은 단종된 540i의 공차중량이 1,850kg인 걸 생각하면 더더욱 무거운 수치다.


무거운 만큼 공인연비 또한 낮다. 7.4~7.9 km/l가 측정되는데, 7.4km/l의 연비는 4륜 구동, 7.0km/l의 연비는 후륜구동의 연비로 동급 경쟁사 BMW의 540i 공인연비가 10.2km/l인 걸 감안한다면 초라한 수준이었다.

그런 기블리가

하이브리드를 가지고 나왔다


이번 마세라티는 첫 번째 전동화 모델 ‘뉴 기블리 하이브리드’를 국내에 출시한다고 28일 발표했다. 여기서 특이점은 하드 타입의 하이브리드가 아닌 48V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적용하여 나왔다.

이번 마세라티 코리아의 입장은 “디젤보다 빠르고, 가솔린보다 친환경적이면서 브랜드 특유의 배기음을 유지한 마세라티 최초의 하이브리드”라며, 하이브리드에 감성을 더한 것을 강조하였다.


이번 뉴 기블리 하이브리드의 제원은 최대 출력 330마력, 최대 토크 45.9kg.m로 2.0L L4 형식의 터보차저를 얹은 가솔린 엔진이다. 기본형과 그란루소, 그란스포트 세가지 트림으로 출시될 예정이며, 가격은 1억 450만 원 ~ 1억 2150만 원으로 책정되었다. 복합연비는 8.9km/l로 문제는 여기서부터 논란이 시작되었다.


하이브리드인데

8.9km/l?


우리가 주목해야 할 점은 마일드 하이브리드라는 점을 확인해야 한다. 연비와 배출가스를 획기적으로 줄이는 게 원색적인 목표를 가진 하이브리드가 아닌, 이 마일드 하이브리드는 48V의 리튬이온배터리를 이용하여 내연기관의 동력을 기본으로 활용하는 시스템이다.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스템의 이점은 역시나 차량의 구조를 크게 뜯어 고치 않고 바로 응용이 가능하단 점이며, 바로 덧붙여서 쓸 수 있는 시스템이다. 대체로 차가 출발하는 발진 상황에서 부족한 힘을 보태주거나, 저속에서 미리 엔진을 꺼서 불필요한 구동을 줄이는데 역할을 한다. 여기에 48V라는 넉넉한 전력으로 인해 터보차저를 보다 원활히 제어해 반응성을 높이는 이점도 있다.

마일드 하이브리드 자체가

드라마틱 한 효과를 불러오진 않는다


마일드 하이브리드의 간단한 설명을 하였다. 간략하게 말하자면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스템은 어시스트의 역할이라 생각하면 편하다.


그리하여 기존 48V 마일드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갖춘 유수의 차량들을 보면 기존 대비 10~20%가 향상된 효과를 보여주며 요즘 나오는 하드타입의 하이브리드처럼 엄청난 효율의 연비를 기대하긴 힘들다.


여기에 기블리의 공기저항 계수가 0.31cd로 고성능 자동차 치곤 다소 높은 저항 계수를 가지고 있다. 이 0.31cd의 결과물은 대략 10~15년 전 슈퍼카와 비슷한 수준이다. 


위에 표를 보면 알다시피 기블리의 전폭은 1,945mm로 전면 투영 면적을 결정하는 게 전폭인데, 당시 경쟁상대였던 G 바디 540i의 전폭이 1,868mm인 걸 생각한다면, 기블리 또한 8.9km/l라는 수치가 수긍이 간다.




2013년 출시 이후

뚜렷한 변화가 없다


따지고 보면, 논란의 중심인 연비는 크게 문제가 안될 수 있다. 기블리의 첫 출시가 2013년도에 이뤄졌는데, 그 이후로 페이스리프트는커녕 마이너 체인지도 이뤄지지 않았다.


파워 트레인이 변화한 것은 고사하고, 실내 인테리어 디자인마저 2013년의 향기 그대로다. 이건 잘 팔리고 싶어도 좀 있으면 10년을 바라보는 플랫폼 차량을 아직까지 1억을 넘게 주고 사야 한다는 게 일반적인 소비자 입장에선 쉽게 수긍이 가질 않는다.



심지어 2013년 출시 당시에도 실내공간에 대한 지적이 존재했는데, 지금 시선에서 바라본 기블리의 실내공간은 좁아도 너무 좁다.


굳이 마세라티 아니더라도, 1억이 넘는 가격대면 선택지는 차고 넘치는 상황이며, 보다 더 효율적이고, 보다 감가가 덜한 브랜드 밸류가 높은 차들이 많기 때문이다. 마세라티만의 배기 감성을 원해서 선택한다면… 더 이상 할 말이 없다.  



정말 마세라티 매니아가 아니라면

쉽게 손대지 못할 차


오늘은 마세라티 기블리 하이브리드에 대해 알아봤다. 마세라티 브랜드 자체의 역사와 전통은 정말 나무랄 게 없다. 심지어 배기음의 감성은 역시나 페라리만의 사운드를 통해 독보적인 존재를 알리기도 좋고, 드라이버의 오감을 만족시키는데 이만한 게 없다.


그렇지만, 너무 오랫동안 버텨온 바디는 어느덧 10년을 바라보고 있다. 마세라티가 정말 신차효과를 누리면서 대박 나고 싶다면, 최소한 두드러지는 변화라도 가지고 와야 팬들 혹은 소비자들에게 환영받을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 이번 하이브리드의 전망은…마냥 밝지만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오토포스트 이슈플러스였다.

추천 비추천

1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여행 같이 다니면 고난이 예상되는 스타는? 운영자 25/04/28 - -
719 아니 이럴거면 왜 바꿨냐 페이스리프트로 디자인 폭망한 차 총정리 [22]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1 4172 8
718 벌써 사전계약 다 했는데....G90 풀체인지 지금 사면 안되는 이유 [24]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1 3028 1
717 와 저게 1억짜리인가? 국내에서 실제로 포착된 택시의 정체 [16]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0 4073 5
716 디젤 아니었으면 초대박났겠죠, 폭스바겐 역대급 신차 출시됐다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0 394 1
715 전기차만 물어보시는데...내년에 이런 내연기관 차도 나옵니다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0 390 0
714 F150보다 더 멋지다, 쉐보레가 오랜만에 역대급 신차 공개했다 [16]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0 2300 0
713 폭바 비틀인 줄 알았는데 21세기 유일한 일본 경스포츠카 포착 [20]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10 2196 4
712 국내의 한 부자가 가진 하이퍼카 컬렉션 라인업 진짜 놀랍다 [19]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7 4064 5
711 서민들 울린 탐욕의 산물, 국내서 포착된 코닉세그의 비밀 [12]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7 5073 10
710 이정도면 진짜 맛집 인정 올해 출시 예정 신차 예상도 모아보니 [36]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7 3617 4
709 에디슨 모터스는 정말 쌍용차를 인수할 수 있을까? [2]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7 398 1
708 다마스 랩핑녀가 여기로 옮겼네 충격적인 램핑 상태 보니 가관 [9]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6 4249 6
707 솔직히 마니아들이라면 후속모델 나오길 간절히 바라는 일본차 [2]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6 944 1
706 V12 엔진을 고집하던 롤스로이스도 참전해버린 전기차 시장 [12]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6 3011 4
705 사려면 무조건 두 대는 사야 한다던 그 차, 국내 철수할 위기라고? [1]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6 578 0
704 쌍용차 인수한다던 에디슨 모터스가 뒤에서 벌이고 있는 짓 [19]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6 3176 10
703 "이건 처음보는 휠인데? 팰리 테스트카에서 발견한 변화 포인트 [5]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5 1520 1
702 명품 핫해치로 명성이 높은 이 차가 신형으로 돌아올 예정입니다 [1]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5 499 1
701 "법인차 번호판 바꾸자니까" 정말 엄청나게 팔립니다 [42]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5 4142 28
700 삼성 임원진 대거 승진 소식에 현대차가 웃고있는 이유 [9]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5 2302 7
699 "투싼 룩 미는구나" 베뉴 페이스리프트 디자인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5 764 1
698 500만 원에 쌉가능? 짝퉁 마티즈 만들어내던 회사가 벌이는 짓 [16]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4 2060 1
697 "1위, 2위가 소름" 올해 르쌍쉐, 진짜 위기인 이유 [8]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4 1701 1
696 르쌍쉐중 진짜 그나마 희망있네, 올해 쉐보레가 기대되는 이유 [1]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4 411 2
695 "이거 알고보면.." 수입차 풍년이었던 작년, 이유는?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4 196 0
694 미국에서 초대박난 국산차, 쏘울 페이스리프트 위장막 포착됐다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4 339 0
693 이게 결국 나오네, 기아가 준비중인 택시 전용 모델의 실체 [4]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3 2540 2
692 중국 신형 전기차 주행거리가 900km? [5]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3 439 0
691 1년 타고 더 비싸게 팔았다고? 미쳐버린 중고차 시세 살펴보니 [3]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3 1574 0
690 2022년에 바뀌는 자동차 제도들 살펴보고 알게 된 놀라운 사실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3 287 0
689 사회 초년생들이 압도적으로 선호하는 첫차가 셀토스인 이유 [22]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1.03 6125 0
688 "미국차가 다 그렇지 뭐" 테슬라보다 심하다는 지프 [5]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31 755 1
687 드디어 부활했다고? 르노삼성 진짜 정신차려야합니다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31 335 0
686 현대기아 노조의 끝은 어디일까? 내년에도 험난한 일정 예고됐다 [1]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31 253 0
685 무단횡단하는 사람 치었는데 운전자가 잘못한거라고요? [2]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31 355 4
684 500만 원짜리 중국 전기차가 국내에 들어오면 벌어지는 일 [2]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31 401 0
679 진짜 답없는 한국...내년 전기차 보조금 정책 한숨만 나오는 이유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30 403 0
678 진짜....현대기아차 나오자마자 사면 호구되는 이유 알려드립니다 [7]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30 2062 11
677 10년째 한국에도 출시해 달라지만 막상 나오면 아무도 안살 차 [11]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30 2501 1
676 아우디 2천여대 떨이 나온다, 이거 진짜 사도 괜찮을까요? [10]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30 2405 8
675 대기만 6개월 걸린다는 카니발, 바로 출고하는 방법이 있다고?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30 210 0
674 현조하는 전기차 끝판왕 타이칸 VS E트론 GT 비교해보니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29 1312 0
673 결국 참던 대기업들 폭발, 중고차 시장 진출 진짜 한다 [13]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29 2392 21
672 결국 단종될까? 좌핸들 포착된 베뉴 페이스리프트 테스트카 [2]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29 328 0
671 디자인 실화냐? 모두가 입을 모아 걱정된다며 한탄한 수입차 [15]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29 2231 5
670 결국 회장님 큰 결단 내렸다. 현대차 이제 엔진 개발 안합니다 [18]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29 2397 8
669 끝판왕 먹을 생각인가? 아우디가 공개한 전기차의 놀라운 스펙 [4]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28 1206 6
668 자꾸 망했다고 놀리는데... K9은 정말 망한 세단일까? [12]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28 3024 4
667 앞으로 중국에서만 생산된다는 일본차, 이렇게 변합니다 [3]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28 465 2
666 완전 양아치들 아닌가? 테슬라 가격 1,000만 원이나 올렸다 [15] autopost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28 1754 2
뉴스 “즐겁고 상큼한 작품 되길”…‘바이러스’ 배두나·김윤석의 ‘톡소’는 로맨스 [종합] 디시트렌드 10:0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