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패턴 인식 능력과 튜링 테스트

수학의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11.11.04 20:43:09
조회 279 추천 0 댓글 1

 

패턴인식이란 무엇인가?


인식 능력은 살아 움직이는 다른 유기체뿐만 아니라 인간의 기본 속성으로 간주된다. 우리는 깨어 생활하는 매 순간마다 인식 활동을 하고 있다. 주위에 있는 대상물을 인식한 다음, 그와 관련하여 움직이고 행동한다. 우리는 군중 속에서 친구를 찾아낼 수 있고, 그 친구가 말하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아는 사람의 음성을 알아차릴 수 있다. 우리는 필기된 문자나 기호, 그리고 그림 등을 보고 이해할 수 있으며, 지문을 분석할 수도 있다. 화난 몸짓과 미소짓는 표정을 서로 구별할 수 있다. 인간이 매우 복잡한 정보 시스템이라 할 수 있는 부분적인 이유는 월등한 패턴 인식 능력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하나의 패턴은 어떤 대상물을 묘사한 것이다. 우리의 인식 행위는 인식하고자 하는 대상 패턴의 속성에 따라 두 개의 주된 형태로 분류할 수 있는데, 하나는 구체적인 항목에 대한 인식 (recognition of concrete item) 이고, 다른 하나는 추상적인 항목에 대한 인식 (recognition of abstract item) 이다. 우리는 주변의 문자, 그림, 음악, 그리고 여러 종류의 물체를 인식할 수 있는데, 이것을 "감각적 인식 " (sensory recognition) 이라고 부른다. 여기에는 시각 및 청각 패턴을 인식하는 것이 포함된다. 이러한 인식 과정에는 공간적이고 시간적인 패턴에 대한 식별 및 분류가 포함된다. 반면에, 눈을 감고 귀를 막은 상태로 오래된 어떤 논거 또는 문제에 대한 해답을 인식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추상적인 항목을 인식하는 것으로 시각 또는 청각 패턴 인식과 대비하여 "개념적 인식" (conceptual recognition) 이라 부른다 ....... 공간적인 패턴으로는 문자, 지문, 천기도, 물체, 그리고 그림 등을 들 수 있고 시간적인 패턴으로는 음성, 파형, 심전도, 그리고 시계열 등을 들 수 있다.

인간이 구체적인 패턴을 인식하는 것은 인간과 물리적인 자극 간의 관계와 연관된 정신 생리학적인 문제 (psycho-physiological problem) 로 간주될 수 있다. 인간은 감지한 패턴을 귀납적인 추론을 통해 과거의 경험으로부터 유도해 낸 일반적인 개념이나 단서와 연관지운다. 실제로, 인식 문제는 입력 데이터를 알려진 통계적 모집단 중의 하나와 연관시킬 수 있는 상대적 가능성을 추정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 때, 통계적 모집단은 과거의 경험에 의존하며 인식에 필요한 단서와 사전 정보를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패턴 인식 문제는 개개의 패턴 중에서 입력 데이터를 구별하는 것이 아니라, 모집단의 구성원 중에서 특징 또는 변하지 않는 속성을 탐색함으로써 모집단 중에서 입력 데이터를 구별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논리적인 측면에서 볼 때, 패턴 인식 문제에 대한 연구는 두가지의 주요 범주로 나눌 수 있다. 하나는 인간 및 다른 유기체의 패턴 인식 능력에 대하여 연구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특정 응용 분야에서 주어진 인식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장치들을 설계하기 위한 이론과 기법을 개발하는 것이다. 첫 번째 문제 영역은 심리학, 생리학, 생물학과 같은 학문 분야와, 두 번째 문제 영역은 주로 공학, 컴퓨터 그리고 정보 과학과 관련된다.

...... 패턴 인식은 데이터로부터 중요한 특징이나 속성을 추출하여 입력 데이터를 식별할 수 있는 부류로 분류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일기 예보를 패턴 인식 문제로 다룰 수 있는데, 인식 시스템은 입력으로 받아들인 천기도에서 중요한 특징을 추출하여 천기도를 해석한 다음, 추출된 특징을 바탕으로 일기 예보를 하게 된다. 의료 진단 역시 패턴 인식 문제로 다룰 수 있다. 어떤 증상이 인식 시스템의 입력 데이터 역할을 하는데, 이 때 인식 시스템은 입력 데이터인 증상을 분석하여 질병을 구별해 낸다. 문자 인식 시스템은 광학 신호를 입력 데이터로 받아들여 그 문자의 이름을 식별하는 패턴 인식 시스템이다. 음성 인식 시스템에서는 입력 데이터로 받아들인 음향의 파형에 바탕을 두고 발음된 단어의 이름을 식별해 낸다 .......... (패턴인식의 원리 : 서론 : 이성환)

                                                            튜링 테스트

앨런 튜링은 1950년에 철학 저널 Mind에 발표한 Computing Machinery and Intelligence 에서, 기계가 지능적이라고 간주할 수 있는 조건을 언급했다. "기계가 생각할 수 있는가?"라는 질문에 대해 그는 긍정적이라고 답변하면서, "컴퓨터가 생각할 수 있다면 그것을 어떻게 표현해야 하는가?"라는 핵심 질문에 대해 그는 "컴퓨터로부터의 반응을 인간과 구별할 수 없다면 컴퓨터는 생각(사고, thinking)할 수 있는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만일 지성 있는 사람이 관찰하여 기계가 진짜 인간처럼 보이게 하는 데 성공한다면 확실히 그것은 지능적이라고 간주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이 검사는 대부분의 사람들을 만족시키지만 일부 철학자들은 여전히 납득하지 못한다. 튜링 테스트 중 관찰하는 사람과 기계는 텔레타이프로 상호교류하는데, 이때 기계는 아직 사람의 외모와 목소리를 완전히 흉내내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 상황에서 기계는 관찰하는 사람에게 자기가 인간이라고 설득함으로써 인간을 속이려 시도하는 셈이다.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힘들게 성공한 만큼 절대 논란 안 만들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10 - -
이슈 [디시人터뷰] 웃는 모습이 예쁜 누나, 아나운서 김나정 운영자 24/06/11 - -
20931 2월 KGS 컴퓨터 바둑 대회 결과 [4] 돌바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02.03 440 2
20930 많은 보드 게임을 즐겨봤지만 [11] Lipe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02.03 528 0
20929 이세돌 마지막 패착 [4] jusung(175.255) 14.02.03 366 0
20927 젠 4.1 - 9.9 엔진 버전 ㅁㄴㅇ(211.200) 14.02.03 1084 0
20926 젠을 이겼네요 [1] 바둑돌이(220.121) 14.02.03 350 0
20925 일본 전왕전 소개 [1] 돌바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02.03 321 0
20924 아이패드 바둑 어플 추천드립니다 [8] (110.45) 14.02.03 5686 2
20923 2월 KGS 컴퓨터 바둑 대회 중간 결과 [5] 돌바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02.03 285 0
20920 그냥 오늘 알게 되었다, 나의 집착을. [9] aa(1.241) 14.02.03 360 0
20916 2월 KGS 컴퓨터 바둑 대회 [5] 돌바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02.02 261 0
20915 바둑 티비 광고 많이 하는거 같지 않나요? [4] ㅑㅑ(110.45) 14.02.02 251 0
20914 이상황에서 백은 어디에 두는게 좋을까요? [6] 무투님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02.02 265 0
20913 끝내기 책 추천 부탁드립니다 [4] ㅇㅇ(211.217) 14.02.02 367 0
20912 몇달전만 해도 타이젬 6급이었는데 지금 2단까지 바라본다 [2] dd(71.37) 14.02.02 307 0
20911 10번째판 기보 평가좀 부탁드립니다 ㅜㅜ [1] 모또코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02.02 183 0
20910 명절기념 젠까기 [1] 에이(114.205) 14.02.02 276 0
20909 바둑재밋냐? [2] ed(61.79) 14.02.02 218 0
20908 반갑습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2] 노아(218.144) 14.02.02 129 1
20907 젠4 1단~3급이랑 100전 두어서 50승50패에요. 무투님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02.02 143 0
20904 바둑이라... correspondence(110.13) 14.02.02 122 0
20901 바둑두고 싶은데 어디로? [4] 어디로?(118.46) 14.02.01 261 0
20900 바둑접습니다 [6] 성질급한놈(112.187) 14.02.01 413 1
20899 형님들 이게 무슨뜻인지요? [2] 뽀잉뽀잉(180.92) 14.02.01 314 0
20898 현현각 양지에서 나온 기경중묘 번역본인가요? [5] 버들(59.30) 14.02.01 651 1
20897 문용직 기사한테 왜 교수자리가 안주어졌을까요?? [2] 홍홍(219.241) 14.02.01 639 0
20896 다음 백의수는 어디가 좋을까요??.jpg [6] 무투님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02.01 297 0
20895 다시 10급 왔습니다 [1] 보갤짱짱갤(61.97) 14.01.31 141 0
20894 zenith4 바도리(165.229) 14.01.31 771 0
20893 백은 어떻게 살아가야 할까요? [12] 무투님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01.31 269 0
20892 아버지 노트북에 젠 인가 하는 프로그램 깔아서 드리려고 하는데 [8] ㅁㄴㅇ(14.33) 14.01.31 390 0
20891 vs zen 9줄바둑 버들(59.30) 14.01.31 164 0
20889 바둑 정석책 추천해주세요. [1] 즈베즈다-전투대장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01.31 331 0
20888 바둑 입문한지 한달 좀 넘어가는데 ㅇㅇ(112.169) 14.01.31 154 0
20887 카카오바둑 하는 사람 꿀팁.txt ㅇㅇ(112.169) 14.01.31 394 2
20886 바둑 입문하려는데 팁좀... [2] Scrafty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01.30 240 0
20883 날일자 걸침에 입구자로 붙이고 늘고 날일자로 뛰고. [2] 꾸기(121.161) 14.01.30 247 0
20882 질문이 있습니다 [4] 초보돌이(218.238) 14.01.30 216 0
20881 매우 호전적인 바둑기사 좀 알려주세요. [9] 즈베즈다-전투대장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01.30 491 0
20880 에너지 고갈은 없다?! 재밌는 내용니데 함 보세여~ zjq(110.45) 14.01.29 172 0
20879 대국 기보입니다. 입문자에게 조언좀 해주세요ㅠ [4] 입문초보(211.107) 14.01.29 307 0
20878 2차 바갤 흑백전 제 73수 [3] 실수카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4.01.29 199 3
20877 이거 수순 아시는분!! [6] 어라(218.234) 14.01.29 269 0
20875 바둑 경우의 수는 얼마나 될까 ㅎㄷㄷ [16] asdf(119.196) 14.01.29 413 0
20874 흑이 살수 있을까?? [7] 옆길로새(110.13) 14.01.28 327 0
20870 바둑에서 '악수'란 정확히 뭘까요? [11] 보갤짱짱갤(61.97) 14.01.28 533 0
20869 우주류 대작전 요 책 [3] ㅌㅊㅍ(219.241) 14.01.28 752 1
20868 바둑의 패턴 [4] asfes(223.33) 14.01.27 500 0
20867 바둑이나 장기 체스 기타 등등게임도 모든 경우의 수가 있잖아 [6] 아세(175.213) 14.01.27 496 0
20866 대국할수 있는 어플 머가 좋음?? [1] jer(112.140) 14.01.27 259 0
20865 실수만 줄여도 2단갈거같은데 자꾸실수함.. [1] Ragradia(222.108) 14.01.27 227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