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내가 가진 컴퓨터로 바둑의 정답을 찾는데 대략 얼마나 걸릴까?

(112.154) 2012.11.09 23:41:09
조회 187 추천 5 댓글 3

제 컴퓨터 사양은 AMD Phenom(tm) II X4 960T 3.65GHz, 4G 램, 64비트 윈도우 7 입니다.

쿼드코어 3.65GHz입니다.

쿼드코어... 쉽게 말해 4개의 cpu가 있는데

각각의 cpu는 1초에 대략 3.65 X 2^10 번 연산을 할 수 있다... 뭐 이런 뜻입죠.

이런게 4개가 있으니 AMD Phenom(tm) II X4 960T 3.65GHz 는

1초에... 4 X 3.65 X 1024 X 1024 X 1024 번의 연산을 합니다.

1초에 15,676,630,630 번 연산을 하네요.

바둑에서 경우의 수라는게... 계산의 편의상 각종 패, 착수금지 등을 제외하고 계산해보면

361! 입니다.

361 X 360 X 359 X ... X 3 X 2 X 1

인터넷에 디비보니 이 수는 1.4379232588848906548323625114999e+768 이라고 합니다.

1.4379... 뒤에 0이 768개 붙는 숫자네요.

계산의 편의상 361!는 1.4e+768 이라고 하고요.

제 컴의 cpu의 연산속도는 초당 14,000,000,000번 (= 1.4e+10) 연산을 한다 보면

제 컴으로 바둑에서 경우의 수를 찾는데 걸리는 시간은 (1.4e+768)/(1.4e+10) 초 걸리는겁니다.

그러니까... 1.0e+758 초 네요 ^.,^;

1시간은 60분이고 3600초입니다.

하루는 24시간이고 86400초 입니다.

일년은 365일이고 31536000초입니다.

자...

그럼 바둑에서 경우의 수를 찾는데는 (1.0e+758)/31536000 년이 걸리는 셈입니다.

계산해보니 3.1709791983764586e+750 년 이렇게 나오네요.

대충 3.0e+750 년이 걸리는 셈이네요.

3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년 입니다. ^.,^;;;

숫자가 너무 커서 아직도 감이 안오는데요.

우주의 나이는 약 150억년 이라고 합니다.

1.5e+10 년 요렇게 쓸 수 있겠습니다~






자... 그러면 제 컴퓨터로 바둑에서 경우의 수를 대략 계산해보면...

3.0e+750년 이 걸리는거고요.

우주의 나이로 따지면 우주가 생기고 지금까지 걸린 시간이 150억년이라 했을 때

2.0e+740번 우주가 생겼다가 지금까지를 반복해야

제 컴퓨터가 바둑에서 정답에 어느정도 가깝게 갈 수 있지 않나... 생각 되네요.

그러니까

2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번 우주가 태어나서 지금까지... 또 우주가 태어나서 지금까지... 또 우주가 태어나서 지금까지... 입니다. ^.,^;;;

단, 계산의 편의상 각종 패, 착수금지 등을 제외하고 계산했고요.

바둑 두는데 대칭성 이런거 다 생략...

이런걸 감안해도

현재로선 순수하게 컴퓨터의 능력으론 바둑의 정답을 찾는건 불가능하네요.








그래서 바둑을 컴퓨터로 두게 하는 데에 있어서

단순히 이런 식의 접근은 불가능함을 깨닫고

몇 년 전부터 컴퓨터 바둑에 도입한게 바로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 이죵...

저도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을 자세하겐 모르지만

아는대로 말씀드리면

19 X 19의 바둑판의 경우의 수를 찾는건 컴퓨터로 불가능하지만

범위를 좁혀 5 X 5 정도라든지 7 X 7 정도는 컴퓨터의 능력으로 어느정도 가능하거든요.

그러니까 포석은 미리 프로그래밍을 통해서 프로그램에 입력해두고요.

포석이 끝난 후 중반 이후부터 돌이 부딪히는 전투는

거의 모두

흑돌이 놓인 다음 백돌

또는

백돌이 놓인 다음 흑돌은 프로의 실전에서 통계적으로 다음의 수가 위치상 그렇게 멀리 떨어져있지 않는다는 걸 이용합니다.

그래서 직전에 놓인 수를 기준으로

7 X 7 정도의 범위에서 자주 나타난 모양이면 확률상으로 많이 두었던 위치를 기반으로 무작위로 흑과 백을 두게하여

시뮬레이션 해서 결과도출 계속하여 그 중에서 가장 나은 결과 - 수상전 또는 전투의 결과에서 상대 돌을 잡든지 해서 계가가 많이 나오는 등 - 가 나오는 수를 두는게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이라고 알고 있네요.

여기에다가 자주 나타나는 모양이나 포석이나 돌의 분포는 프로의 실전이라든지 프로의 감수를 통해서 프로그램에 입력해두고...

이런 방법으로 컴퓨터 바둑 프로그램을 몇 년 전부터 진화시켜 왔습니다. 그래서 최근에는 컴퓨터 바둑 프로그램이 엄청 강하게 느껴지고요...

사실 바둑프로그램 만드는 사람의 일종의 꼼수라고도 볼 수 있죠.

워낙 바둑판이 크니까... 이전 수에서 일정범위 내에서만 최선의 수를 찾는 프로그래밍...

그래서 제 생각인데 몬테카를로 기반의 바둑프로그램은 아무리 발전하더라도 약점이 있을 수가 있겠더군요.

아주 먼 곳에 축머리 활용이라든지 진행을 결정짓지않고 반면운영을 여기저기 좀 어지럽게 한다든지...

(아마추어의 수준에선 쉽지 않겠지만 ㅡㅡ;)





야심한 밤에 심심하고 잠도 안와서 넋두리글 싸고 갑니다.







추천 비추천

5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연예인 안됐으면 어쩔 뻔, 누가 봐도 천상 연예인은? 운영자 24/06/17 - -
15174 여러분들 미녀기사분들한테 쪽지가 왔습니다 ㅎㅎㅎ [8] 나눔과배려(211.210) 13.02.06 592 1
15173 이야마 유타가 기성전 우승할거 [2] 랄리랄리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02.06 137 3
15172 코코넛아 [2] 슈호(211.44) 13.02.05 192 1
15171 연구생 3조가 어느정도 수준인지 알려드림. [7] 코코넛(59.18) 13.02.05 780 1
15170 제가 일본 중세바둑의 고수의 실력을 낮게 잡는 이유 [2] 도라지로(58.148) 13.02.05 482 2
15169 간단히 핵심만 말하자면 이겁니다. 슈사쿠의 실력 = 프로기사와 정선. [1] 도라지로(58.148) 13.02.05 217 0
15168 현대의 정상급 기사들이 슈샤쿠보단 강하다고 봅니다 [14] 진돗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02.05 600 2
15167 내가 오로 7단별 한번 달아봤는데 e(112.214) 13.02.05 228 0
15166 중세 명인의 수준이 오로왕별, 연구생 3~4조 수준이라는 것에 대한 반박 [4] octopus(221.163) 13.02.05 1741 42
15165 슈사쿠의 실력? [24] 도라지로(58.148) 13.02.05 1005 1
15164 오랜만에 글쓰기. 먼저, 도라지로님에게. [5] octopus(221.163) 13.02.05 503 14
15162 죠와, 슈사쿠 모두 아마 고수에게도 질 게 뻔함. [29] 코코넛(59.18) 13.02.05 508 0
15161 형들 이 사활문제 좀 봐줘 [6] 수퍼초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02.05 220 0
15159 바둑기사 초성 맞추기 [5] 초성(119.199) 13.02.05 197 0
15158 사실, 바둑의 전설을 꼽자면 이 분을 빼서는 안됩니다. [4] 도라지로(58.148) 13.02.05 867 2
15157 이젠 의심의 여지가 없습니다... 프로기사 진행자분들이 바갤을 응원해주고 나눔과배려(211.210) 13.02.05 177 1
15156 여러분 기뻐해주십쇼 여류 프로기사분들께서 바로 응답해주셨습니다 ㅠㅠ [3] 나눔과배려(211.210) 13.02.05 355 2
15155 아 세돌엉아 사랑해요 ㅠㅠ 이런 감격적인순간이 ㅠㅠ [2] 나눔과배려(211.210) 13.02.05 257 1
15154 제가 여류 캐스터 프로분들한테 쪽지를 보냈습니다... [2] 나눔과배려(117.111) 13.02.05 237 0
15153 이세돌이 혼인보 슈우사쿠 못 이기나요? [36] 천재가되고싶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02.05 25121 2
15150 바둑두는 김태희 [2] ㅠㅠ(58.236) 13.02.04 479 0
15149 바둑 김태희 [1] ㅠㅠ(58.236) 13.02.04 319 0
15148 초급 행마책 추천좀해주세요~ [5] 잇힝(180.229) 13.02.04 411 0
15146 수상전 [1] 맛스타(218.48) 13.02.04 178 0
15145 아들 바둑을 가르치고 싶습니다. [8] 호갱은나의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02.04 280 0
15144 솔직이 이소용 캐스터? 너무 이쁜거 아닌지요... ㅠㅠ [11] 사나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02.04 2580 0
15143 오늘 논산으로 입대합니다. [6] 아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02.04 170 1
15142 이창호 같은 삶을 살아 봤으면 좋겠다.... [1] 棋.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02.03 237 0
15141 녜웨이핑이 왜 중국내에서 우대 받나요? [2] ㅇㅇ(121.176) 13.02.03 350 0
15140 사활 문제 질문 [4] 질문용(58.236) 13.02.03 156 0
15139 일본기사 상금랭킹.jpg ㅁㄴㅇ(223.62) 13.02.03 240 1
15138 사람들이 제일 많이 좋아하는 기사는 누굴까요. [12] 강만우구단팬(61.102) 13.02.03 371 1
15137 슬프다 ㅠㅠ [2] 잇힝(180.229) 13.02.03 106 1
15136 이세돌 십번기 제2국 [1] 랄리랄리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02.03 269 3
15135 뻘글을 적겠습니다 [4] ㅇㅇ(182.210) 13.02.03 143 1
15134 7단 승단. [5] 털남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02.03 355 2
15133 바둑 고수가 되는 비법 [1] 신고(218.50) 13.02.03 249 2
15132 한국 바둑 넘버3는 누구라고 생각하시는지? [8] 코코넛(59.18) 13.02.03 339 0
15131 최철한vs이창호 생방송 못보나요? [1] 잇힝(180.229) 13.02.02 83 0
15126 신진서 기사 기사를 보다가 질문드립니다. [2] 궁그미(121.135) 13.02.01 272 0
15125 멀티고에서 방금 발견한 사소한 팁 [1] 순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02.01 199 1
15124 장쉬 패기 ㄷㄷ [4] 棋.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02.01 294 0
15118 강동윤.... 아 강동윤 ............ [2] 코코넛(59.18) 13.02.01 275 0
15117 인터넷대국둘때 자꾸 급하게둬요 [9] 잇힝(180.229) 13.01.31 255 0
15116 조훈현 9단 젊은 시절.JPG [3] ㅇㅇ(1.228) 13.01.31 479 0
15114 고스트 바둑왕 히카루 vs 아키라 첫번째 대국의 의문 [4] 도라지로(58.148) 13.01.31 973 4
15111 오로바둑 일본서버 지금 폭주중 [1] 허허(125.133) 13.01.31 257 0
15110 일본기원의 단급증 발급가격 [1] 허허(125.133) 13.01.31 196 0
15109 사이버오로 일본서버에 대한 이런저런 사실들 [1] 허허(125.133) 13.01.31 300 0
15108 인공지능과 두판 [2] 천재가되고싶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01.31 245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