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바둑 규칙은 이러면 된다...

여울에(211.208) 2008.05.27 09:45:34
조회 267 추천 0 댓글 0

1. [바둑의 정의] :  두 대국자 (p, q)가 순차로 [수행규칙]을 적용하여 밭을 추구하는 것이다.

11. [준거규정] :  (p)와 (q)가 순차로 [수행규칙]을 적용하여, \'\'을 추구한다.

12.
[한계규정] :  (p)와 (q)에게 확장 가능한 \'\'이 없으면, 바둑이 끝난다.


2. [바둑의 구성요소] :  { (p, q), 돌, 판 }이다.
 --- (
굵은 글씨 (p)는 구조, 일반 글씨 (p)는 기능을 이름한 것이다. )
21.
(p, q) :  오직 두 종류의 양립불가능(|)한 구분이다. 
211. (p,q)이음( 돌, 판) :   
    ex) 가능성으로만 존재한다.
22.
돌 :  표시기호이다.
 
221. 돌이음( (p|q), 판) : 
    ex) 자리(p) = { 자리 * (p) }
23.
판 :  충분히 유한한 직교좌표 평면이다.
    ex) 19 x 19, 13 x 13, 5 x 5, ....
 
231. 판이음( (p|q), 돌 ) : 
    ex) 돌(p) = { * (p) }

232. 판의 단위 : { 밭 }이다.
2321. 
[
밭의 구성요소] :  { 자리, 둑, 밭 }이다.
23211. 자리 :  서로 이웃한 이 교차하는 곳인 점이다.
23212. 둑 :  서로 이웃한 이 마주하는 경계인 선이다.
23213. :  서로 이웃한 자리으로 둘러싸인 면이다.

    ☞  포함관계 ;  돌(p) ⊂ 자리(p) ⊂ 둑(p) ⊂ 밭(p)


3. [바둑의 이음] : { 형식1 * 형식2 }을 결합하여 하나로 기능하는 것이다.

31. 판 밖에서 이음 : 

311. 가능성받음과 버림( 자리, 형식 )
3111. 자리에로 받음 :  어떤 형식이 판 안으로 진입하는 것이다.
    ex) 자리(p) = { 자리 * (p)
}
          한울(p) = { { 자리 * (p) } * 한울 }
3112.
자리에서 버림 :  어떤 형식이 판에서 퇴거하는 것이다.
    ex) 자리(p)에서 자리(p)의 분리이다.
312. 수행성의 놓음과 낳음( 자리(p), 돌(p|q) )
3121.
자리에로 놓음 :  어떤 형식을 판 안으로 수용하는 것이다.
    ex) 돌(p) = { 자리(p) * 돌(p) }
3122.
자리에서 낳음 :  어떤 형식을 판에서 분리하는 것이다.
    ex) 돌(p)에서 돌(p)자리(p)의 분리이다.


/

가능성 

수행성

판으로 진입

받  음

놓  음

판에서 퇴거

버  림

낳  음 


32. 판 안에서 이음 :
321. 자리이음( 둑n, 형식 )
    ex) 
자리(p) = { 자리(p) * 둑n }
           돌(p) = { 돌(p) * 둑n }
322.
둑이음( 둑n, 형식1, 형식2 )    ( 단, 형식1 == 형식2 )
    ex) 둑(p) = { 자리(p)m * 둑i * 자리(p)n }
          돌둑(p) = { 돌(p)m * 둑j * 돌(p)n }

3221. 이웃(이음)관계( 둑n, 형식1, 형식2 )  ( 단, 형식1 !== 형식2 )
    ex) 이음(이웃)자리(p) = { 돌둑(p) * 둑n * 자리(r) }
          이웃(이음)돌둑(q) = { 자리(p) * 둑n * 돌둑(q) }
323. 밭이음( 밭n, 형식1, 형식2 ) 
    ex) 빈울, 한울, 두울,연속/단속이음,...

4. 이음의 형식(돌둑과 섬) :
41.
돌둑 :
411.
둑(p) = { 자리(p) or  둑이음인 자리(p)n }
412.
돌둑(p) = { 돌(p) or  둑이음인 돌(p)n }
413.
올둑(p) = { 둑(p)m과 돌둑(p)n이 이웃하는 조합 }

42.
:
421.
섬(q)n = { 올둑(q)n에 포함되는 자리가 없음.} or { 돌둑(q)n에 이웃하는 자리가 없음.}
422.
마주섬(q)n = { 돌둑(p)에 대해서, 돌둑(q)n의 모든 돌(q)이 돌둑(p)과 이웃하고 섬일 때.}
4221.  
맞  섬 = { 돌둑(p)과 돌둑(q)의 모든 돌(p/q)n이 서로 1:1(대응)로 이웃(이음)관계일 때. }
4222.
서로섬 = { 돌둑(p&q)이 서로 맞섬이고 섬일 때.}
423.
안에섬(q)n = { 돌둑(q)n이 돌둑(p)에 포함이고 섬일 때.}
    ex) 돌둑(p)의 안에섬(q) = { 돌둑(p)에 의해서 섬인 돌둑(q).}

    ☞  포함관계 ;  섬(p) ⊃ 맞섬(p) ⊃ 안에섬(p)


5. 여울의
구조 :  < 안섬, 둘러섬 >인 규칙의 순환을 가능하게 하는 구조이다.
51.
맺음자리와 여울자리 :
511.
맺음자리 = { 어떤 형태를 돌둑으로 구체화(결정)할 수 있는 자리.}
    ex) 안섬의 맺음자리(p) = { 안섬쌍(p)이 오직 하나의 자리(p)만을 포함할 때.}

512.
여울자리(p) = { 빈울자리(p) or 한울자리(p) or 두울자리(p).}

52. [여울의 구성요소] :  { 안섬, 둘러섬 }이다.
521. 안  섬 = { 둘러섬에 의해서 결정되는 구조.}
    ex) 안섬(p) = { 돌둑(q)n에 의해서 결정되는 올둑(p).}

522. 둘러섬 = { 어떤 형태를 결정하는 결정된 구조.}
    ex) 둘러섬(q)n = { 안섬(p)를 결정하는 돌둑(p)n.}


6. [여울의 종류] :  { 빈울, 한울, 두울 }이다.
61.
빈울< 안섬 빈둑(p), 둘러섬 돌둑(p)n > :
    ex) 빈둑(p) = { 둑(p)의 모든 자리(p)가 {자리(p) 혹은 돌둑(p)n}에 이웃할 때.}
611.
여울(빈울(p)) = { 빈둑(p)이 숨자리(p)를 포함할 때 발생한다.}
    ex) 숨자리(p) = { 둑(p)이 오직 하나의 자리(p)
만 포함.}
612. 빈울자리(p) = { 빈둑(p)의 숨자리인 맺음자리(p). }

62. 한울< 안섬 올둑(p), 둘러섬 돌둑(q)n > :

    ex) 안섬올둑(p) = { 섬(인)이 가능한 올둑(p)n의 구조.}
621. 여울(한울(p)) = { 올둑(p)이 섬자리(p)를 포함할 때 발생한다.}
    ex) 섬자리(p) = { 올둑(p)에 포함된 자리(p)가 오직 하나일 때. }

622. 한울자리(p) = { 올둑(p)의 섬자리인 맺음자리(p). }

63. 두울< 안섬 쌍(p&q), 둘러섬 쌍(q&p) > :
    ex) 안섬쌍(p)n = { 두울(순환)조건을 만족하는 안섬올둑(p)n.}

631.
여울(두울(p)) = { 두울이음이 첫번째 or 두번째 완료일 때 발생한다.} 

632.
두울자리(p) = { 여울 안에서, 안섬쌍(p)n의 맺음자리(p).}
                        
or { 여울 밖에서, 서로 맞섬인 안섬쌍(p)n의 맺음자리(p). }
 

633.
두울(순환)조건 :
6330.
{ 안섬쌍을 모두 돌둑으로 가정하면, 서로 섬이다. }
6331. { 안으로, 안섬쌍(p)이 여울구조를 포함하지 않는다. }
6332. { 밖으로, 안섬쌍 {마주섬(q)n or 안에섬(q)n}의 합이 하나 이하이다. }


634. 두울이음(p) :  두울조건과 아래의 (1 or 2 )를 만족하는 자리(p)돌(p)을 받아 놓음이다.
 
    1. <U>올둑(p)이 여울구조를 포함하지 않을 경우(연속이음),</U>
        1) { 밖으로, 이웃한 돌둑(q)n의 모든 이음자리가 올둑(p)에 포함인 돌둑(q)n이 있을 때.}
        2)
이미 { 두울이음인 안섬쌍(p)n의 자리(p). }
    2.
<U>올둑(p)이 여울구조를 포함할 경우(단속이음),</U>
 
 

  가정 q.  자리(x)에 대해서 (p)의 올둑(x)에 포함 or 이웃이고, 자리(x)를 포함하지 않는 (q)의 어느 한 올둑(q)을 안섬쌍(Q)으로 가정한다.
  가정 p.  가정한 안섬쌍(Q)에 이웃하고, 자리(x)를 포함하는 (p)의 올둑(P)을 안섬쌍(P)으로 가정한다.
  만족조건.  올둑(P/Q)는 여울구조를 포함하지 않는다.

        1)
{ 우선, 안섬쌍(P)을 돌둑(P)으로 가정하면, 오직 하나의 안섬쌍(Q)이 두울조건을 만족한다. }
            & { 이어서, 안섬쌍(Q)을 돌둑(Q)으로 가정하면, 안섬쌍(P)이 두울조건을 만족한다. }
 
        2) 
이미 { 두울이음인 안섬쌍(p)n의 자리(p). }
6341. 연속인 완료 :  { 두울(연속)이음이고, 그 안섬 쌍(p&q)n이 처음으로 돌둑(p)-맺음-일 때, }
63411.  두울이음이 연속이고 첫번째 완료되면, 그 발생부터 <U>첫뻔째</U> 맺음까지를 두울로 한다.
6342.
단속인 완료 :  { 두울(단속)이음이고, 그 안섬쌍(p)n이 두번째로 낳음-맺음-일 때, }

63421.  두울이음이 두번째 완료되면, 그 발생부터 <U>두번째</U> 맺음까지를 두울로 한다.


7. [수행규칙] :

70.
[ 읽   기  0. ] :  여울을 열어 짓는다.

700. [ 열기-00 ] :  그 둘러섬(q)n이 모두 없으면, 여울자리(p)를 버릴 수 있다.
701. [ 충분-01 ] : { 그 두울에서 안섬쌍이 서로 다르면, 여울자리(p)를 버릴 수 있다. }
702. [ 짓기-02 ] :  그 둘러섬이 모두 여울에 포함이면, 여울자리(p)를 받을 수 없다.

71.
[ 지우기  1. ] :  섬인 돌둑(p)n의 돌(p)n을 모두 낳아 버린다.
711. [따 름] : 여울자리(p)를 버릴 수 있으면, 자리에서 버린다.

72.
[ 쓰   기  2. ] :  오로지 하나의 돌(p)자리(p)에 받아 놓는다.


8. [충분규칙]의 적용...
81.
 
두울이음을 두번째 완료하면; [충분규칙]을 적용하지 않는다.
82. 두울이음을 벗어나면; [충분규칙]을 적용한다.



♤... 완결까지 지속적인 수정을 할 것입니다.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논란을 반복해서 진정성이 의심되는 스타는? 운영자 25/05/12 - -
43027 저런 상황에선 해설자들이 제일 고역이지 dd(114.108) 15.11.03 108 0
43025 형들 세돌이 왜 그러는거야 설명 좀.. [2] ㅇㅇ(125.183) 15.11.03 330 0
43024 KBS 망했네 ㅋㅋㅋ [5] 문도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5.11.03 372 0
43023 커제 저색히 바둑알 바둑통에다 집어던지는건 뭐냐? [1] ,,,(210.2) 15.11.03 252 0
43022 최유진 외모가 좀 달라진거 같은데? [2] ㅇㅇ(39.115) 15.11.03 276 0
43021 커제 정서불안 같은데... [1] ,,,(210.2) 15.11.03 234 0
43020 커제 저새끼 바둑판에 비듬 터는데 저거 반칙패 아니냐? [4] ㅇㅇ(61.98) 15.11.03 308 4
43019 커제 저놈 대국태도가 안좋네... [1] ㅡㅡㅡ(210.2) 15.11.03 321 1
43018 흔들림 슬아랑랑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5.11.03 114 0
43017 커제가 뭔가 표정이 안좋네 ㅇㅇ(175.206) 15.11.03 114 0
43016 커제 저새끼 바둑매너 탕가놈급이네 탕가놈보다 심하면 심했지 덜하진 않는듯 ㅇㅇ(61.98) 15.11.03 194 0
43015 이세돌 패배 유력 맞지? [1] 문도원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5.11.03 180 0
43014 커제 머리랑 손 좀.. ㅇㅇ(59.5) 15.11.03 111 0
43013 대국중에 심심해서 바갤에 잠깐 들어왔습니다 커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5.11.03 81 0
43012 박진영 승 [2] ㅍㅍ(110.70) 15.11.03 177 0
43011 왠지 lg배랑 몽백합배에서 센돌이 연속으로 깨져서 본좌자리를 물려줄듯 1255(121.175) 15.11.03 97 0
43010 탕가놈 장난아니네 ㄷㄷㄷㄷㄷ ㅁㄴㅇㅁ(115.92) 15.11.03 154 0
43009 이세돌이 원사이드로 발리네 [1] ㅇㅇ(223.62) 15.11.03 224 0
43008 이세돌 위기 [5] ㅇㅇ(175.206) 15.11.03 378 0
43007 바둑어디서 보세요? [1] 슬아랑랑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5.11.03 117 0
43006 유투브에서도 중계하네요 [2] jun(121.152) 15.11.03 276 3
43005 갓정상이 해설중에 목소리 가장좋고 바둑 깊고 재밌는듯 [3] ㅇㅇ(223.62) 15.11.03 230 4
43004 지금 이세돌 9단 형세가 어때요? [3] 샤이나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5.11.03 262 0
43003 박정상 사범님이랑 사진 찍었습니다 [10] 대단도전(220.85) 15.11.03 810 14
43002 이세돌 정도면 흑백 상관없는데....아무래도 커제한테는 흑잡는게 나음 ㅇㅇㅇ(202.136) 15.11.03 99 0
뉴스 YG 걸그룹 멤버, 건강 악화로 결국…에스파 윈터도 앓았던 ‘폐질환’ 뭐길래 디시트렌드 05.11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