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울나라 바둑규칙이삼~~

어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09.07.03 10:35:06
조회 275 추천 0 댓글 1

◇ 한국기원 바둑규칙 ◇ <HR color=#88bbff noShade SIZE=1>back.gif

국내에서 치러지는 바둑시합은 (재)한국기원이 제정한 (한국기원 바둑규칙)의 적용을 받는다.
현행 한국기원 바둑규칙은 지난 1992년 1월 개정 공표된 것이다.

제1장 총칙
--------------------
제1조 바둑의 정의
바둑은 두 사람이 白과 黑의 바둑돌로 규칙에 따라 바둑판의 교차점에 교대로 착수하여 쌍방이 차지한 집이 많고 적음으로 승패를 가리는 경기이다.

제2조 바둑의 도구
1) 바둑돌
바둑돌은 바둑을 둘 때 바둑판에 올려놓는 용구로서 白과 黑 두가지가 있다. 돌 수는 白 181개, 黑 180개가 표준이다.

2) 바둑판
바둑판은 가로, 세로 각 19개의 평행선을 그린 평면으로 가로 42.5Cm 세로 45.5Cm의 나무판을 사용하는 것이 보통이다.

ch-kr-1.gif

제3조 기사(棋士)
1) 기사란 바둑 두는 사람을 말하며 전문기사와 아마추어 기사로 구분된다.
전문기사는 한국기원에서 자격을 얻은 사람을 말한다. 아마추어 기사는 바둑애호가로서 그 단,급위는 재단법인 한국기원에서 인허한다.

2) 전문기사의 단위(段位)는 初단을 최저로 하고 九단을 최고로 한다.
아마추의 기사의 경우 기력(棋力)의 높낮이에 따라 단과 급으로 구별한다.

제4조 대국(對局)
1) 바둑을 두는 것을 \'대국\'이라고 한다.
2) 한국기원에서 주관하거나 인정하는 시합을 공식대국이라고 한다.
3) 기사는 평등한 조건에서 대국함을 원칙으로 한다. 아마추어는 기력의 높낮이에 따라 치수(置手)를 맞추어 둘 수 있다.

제2장 착수
--------------------
제5조 착수의 정의
ch-kr-2.gif 착수란 바둑돌을 바둑판의 교차점에 놓는 것을 말한다.

제6조 착수의 원칙
착수는 교대로 한수씩 놓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단 종국시에는 착수를 포기할 수 있다.

제7조 돌의 존재
착수된 돌은 그 돌에 인접하여 빈점에 있는 한 존재하며 빈점이 없는 돌은 존재할 수 없으므로 바둑판에서 들어낸다.
ch-kr-3.gif 白돌은 인접한 선상에 빈집이 없기 때문에 바둑판에 존재할 수 없다.

제8조 착수금지
착수함으로써 빈점이 없는 곳은 둘 수 없다. 단, 따낼 수 있는 경우에는 제외한다.
ch-kr-4.gif 白은 b의 곳에 착수할 수 없다. 그러나 a에는 빈집이 있으므로 착수가 가능하다.

ch-kr-5.gif 1~2도는 따낸 시점에서 착수가 완료되어 빈점이 생기기 때문에 黑의 착수가 가능하다.  

제9조 착수의 제한
서로 상대방의 돌 하나를 번갈아 되딸 수 있는 모양을 「패」라고 한다. 패는 무한한 동형반복을 방지하기 위하여 한쪽이 패를 따냈을 때 즉시 패를 되딸 수 없으며 다른 곳에 한번 착수한 후에야 비로소 되딸 수 있다.
ch-kr-6-1.gif 黑1로 白 한점을 따낼 수 있으며 白도 黑1을 따낼 수 있는 모양이다.

ch-kr-6-2.gif 白은 1회 이상 다른 곳에 팻감을 쓰지 않고는 a의 곳에 놓아 黑을 되딸 수 없다.

제10조 따내기
한쪽의 착수로 상대방의 돌이 제7조에 의해 바둑판에 존재할 수 없게 된 경우 상대방의 돌을 모두 따내야 한다.[참고도 6-1] 그러나 종국시 실제로 따낼 수 있음을 증명할 수있는 돌은 빈점이 있다고 하더라도 그 빈점을 메우지 않고 그냥 들어낼 수 있다.
ch-kr-7.gif

1도의 白돌 두점은 종국시 그대로 들어낸다.
ch-kr-8.gif

제3장 사활(死活)
--------------------
제11조(삶)
독립된 집(제8조에 의한 착수금지구역)을 2개 이상 갖고 있거나 교대로 착수해서 2개 이상의 독립된 집을 확보할 수 있는 일련의 돌들이 살아 있다고 한다. 또, 잡혀 있는 모양을 하고는 있으니 상대방이 따낼 수 없는 돌은 살아 있는 돌이다.
[참고도 7] 1도, 2도의 白은 상대방의 착수로 들어낼 수 없으므로 살아 있는 돌이다. 3도, 4도의 白■의 돌은 살아 있다.
ch-kr-9.gif

제12조 (빅)
2곳 이상의 빈점을 사이에 두고 白과 黑이 얽힌 모양으로 어느 쪽에서 착수해도 상대방의 돌을 따낼 수 없는 상태를「빅」이라고 한다.
이런 돌은 권리가 동등하므로 서로 살아 있는 것으로 하며 이와 관계된 빈점은 집이 아니다.
ch-kr-10.gif1도, 2도, 3도는 빅이다.

제13조 (죽음)
삶을 증명할 수 없는 돌을 죽은 돌이라고 한다.
[참고도 9] 白은 黑을 따낼 수 있으나 黑의 다음 착수로 되따냄을 당할 수 밖에 없어 모두 죽은 돌이다.
ch-kr-11-1.gif

제14조 (집)
살아 있는 돌로 에워싼 빈점을 집이라고 하며 점 하나가 한집이 된다.
집 이외의 빈점을 공배라고 한다.
ch-kr-11-2.gif b한 곳은 모두 공배며 a의 곳은 모두 집.

제4장 종국(終局)
--------------------
제15조 (대국종료)
유효착수가 끝난 상태를 대국종료라고 한다.

제16조 (종국)
대국종료 후 쌍방이 가일 수 문제를 해결하면서 공배를 교대로 메운다. 공배는 한수씩 교대로 메우는것을 원칙으로 한다. 단 쌍방이 합의하면 자유로이메일 수 있다. 공배를 다 메운 상태를 종국이라고 한다.

제17조 (계가)
종국 후 집속에 있는 상대방의 죽은 돌을 그대로 들어내어 따낸 돌과 합쳐서 이 돌을 상대방의 집에 메운 후 남아 있는 쌍방의 집의 수를 비교하는 것을 계가(計家)라고 한다.

제18조 (승패의 결정)
계가를 하여 집이 많은 쪽을 승자로 하며 집수가 같을 경우는 빅이라고 한다. 단, 덤이 있는 대국에서는 덤을 내는 쪽이 집의 합계에서 덤을 빼고 집을 계산하는 것으로 한다. 승패에 관하여 한쪽의 이의가 있으면 그 자리에서 제기해야 한다.

제19조 (불계승)
대국도중 한쪽이 패배 의사를 표명하면 대국을 마칠 수 있다. 이와같이 계가까지 가지 않고 이기는 것을 불계승이라고 한다.

제20조 (무승부)
대국도중에 동일한 국면의 반복상태가 생길 경우 어느쪽도 양보할 수 없는 상황이라면 그 시점에서 무승부(판빅)로 한다.

제21조 (반칙)
다음과 같은 경우는 반칙으로 한다.
1. 본 규약 중 제8조,9조,10조를 위반했을 경우.
2. 한번 둔 착수를 들어내 다른 곳에 두는 행위.
단, 바둑돌이 손에서 떨어지지 않은 경우와 실수로 돌이 떨어진 경우는 착수로 인정하지 않는다.
3. 제한시간을 초과했을 경우.
4. 기타의 경우에는 부칙으로 정하는 바에 따른다.

부 칙
--------------------
제1조 부칙의 의의와 원칙
1) 대국시 생기는 문제에 대한 명확한 해결을 위하여 부칙을 둔다.
2) 이 부칙은 기리(棋理)에 입각하여 권리가 강한쪽을 존중하며 실전(반상)에서 해결함을 원칙으로 한다.
3) 이 부칙에 규정되지 않은 경우가 발생한 경우에는 한국기원의 심사위원회의 판정에 따른다.

제2조 가일수
1) 마지막 공배와 가일수
ch-kr-12.gif 1도의 경우 白 3으로 수를 낼 수 있다.
2도의 경우 白2가 마지막 공배이면 白이 착수의사를 표명해야 한다. 이때 착수권은 黑에게 있다. 만약 黑이 착수를 포기하면 白이 수를 낼 수 있다.
2) 3도와 같은 경우 白이 팻감이 많으면 a에 가일수하지 않아도 된다.
ch-kr-13-1.gif4도의 경우 黑1까지만 가일수하면 된다.

ch-kr-13-2.gif
3) 4도의 경우 白이 권리가 강하므로 팻감 유무에 관계없이 黑이 a에 두어야만 한다.
4) 5도의 경우 제11조에 의해 쌍방이 착수할 의사가 없으면 빅으로 한다.

제3조 사활
1) 귀곡사
ch-kr-13-3.gif 6도의 경우 黑이 일방적으로 잡으러 갈 권리가 있으므로 팻감 유무에 관계없이 白의 죽음이다.

2) 수상전 걸린 귀곡사
ch-kr-14.gif 귀곡사를 포위하고 있는 돌이 완생이 아닌 경우(7도,8도) 실전 해설을 못한 채 종국에 이르면 白의 권리를 인정하여 黑이 죽는 것으로 한다.
3) 대궁소궁의 패
9도의 경우 白이 일방적으로 잡으러 갈 권리가 있으므로 黑이 죽는다.
4) 유가무가 3패
10도의 경우 집이 있는 黑의 일방적 권리이므로 白이 죽는다. 단, 다른 곳의 양패등의 형태가 발생하여 쌍방권리가 될 경우에는 실전해결의 원칙에 따른다.
5) 3패, 순환패의 경우 실전해결의 원칙에 따르며 어느 한쪽이 양보하지 않으면 무승부(판빅)으로 한다.
ch-kr-15.gif 11도(3패), 12도(장생), 13도(순환패)

제4조 대국분쟁
1) 돌이 대국도중 밀렸을 경우는 원래의 곳으로 옮기고 두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옮길 수 없는 경우엔 쌍방이 합의하면 대국을 진행한다. 합의하지 않으면 양자패가 된다.
2) 따낼 수 없는 돌을 들어냄은 반칙이다.
3) 상대방이 반칙을 했을 경우 즉시 이의를 제기해야 한다.
심판자격이 없는 제3자는 이의를 제기할 수 없다.
이의를 제기하지 않으면 묵인으로 간주하고 대국을 진행한다.
4) 프로시합과 프로시합에 준하는 아마대회를 제외한 순수아마추어 대국에서는 심판의 재량에 따른다. 

자료출처/천리안 한국기원
<HR color=#88bbff noShade SIZE=1>

korea.gif ⓒ Kim Young il All rights reserved

top.gif


 
< language=>  /* 문서 하단의 태그들은 통계를 위하여 자동으로 삽입된 태그 입니다. */ </>< language=>  /* 페이지 수정시 해당 태그들을 제거 하지 않으면 해당 태그가 두번 표시되어 */ </>< language=>  /* 페이지 통계가 정확하지 않으며 페이지가 늦게 로딩될수 있으니 제거하십시요 */ </>< language=>  /* 통계를 위하여 삽입된 태그의 시작입니다. */ </>< src="http://icons.com.ne.kr/toolbar/statics/"></><>var Long_URL=document.domain; TMPdomain=Long_URL.split(".");if (TMPdomain.length==4) { ID = TMPdomain[0]; } else { ID = TMPdomain[TMPdomain.length - 4]; } document.writeln(\'visitcount.php3?ID=\'+ID+\'\')</>visitcount.php3?ID=gobaduk< src="http://log.inside.daum.net/dwi_log/js/dwi.js" type=text/ charset=euc-kr></><>  _dwiPID="+inside_statics+";  if(typeof(_dwiCatch) == "function") { _dwiCatch();}</>< language=> /* 통계를 위하여 삽입된 태그의 마지막 입니다. */ </>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비난 여론에도 뻔뻔하게 잘 살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03 - -
11534 요즘도 한국이 바둑 최고야? [5] 그날이올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5.13 316 0
11533 [답글] 7090 간략한 검토. [3] 조부장(119.196) 11.05.12 144 0
11531 타이젬 은별이 [9] 으엌(113.131) 11.05.12 450 0
11530 강좌를 봤는데 바둑을 둘 엄두가 안납니다. [9] SC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5.12 433 1
11529 여기가 바로 바둑 갤러리! [4] 코코코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5.12 136 0
11528 요즘 되는일 없는데 봉사나 해야지 복기요청하셈 [2] 구라쩌네(124.216) 11.05.12 114 0
11523 으아아니 강등까지 한판남아따 [3] 알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5.11 187 0
11522 아 속터져서 여기 오래간만에 글싸봄 [6] 불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5.11 200 0
11521 플래시 기보 올리기 테스트 겸 지적좀 ;; [3] 압둘라마바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5.11 175 0
11520 바갤 오랜만에 와보네요.. [2] ASIIWate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5.11 73 0
11519 짱깨새끼들이랑은 바둑두지 마세요. [3] ㄹㄹ(220.117) 11.05.11 280 0
11518 바둑 제대로 해보고 싶네요 [1] 아이러브바둑(110.5) 11.05.11 65 0
11517 에효.. 바둑은 역시 스트레스만 쌓이는 게임이구나 [4] 알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5.10 279 0
11516 행님들 바둑이 안 늡니다 [4] звезда(116.127) 11.05.10 274 0
11514 냥이라는 이상한 인간이 갤을 흐리네. [5] 키억(220.117) 11.05.10 157 0
11511 초읽기 10초는 압박이 심하군요;; [1] wikizero(125.128) 11.05.10 111 0
11503 바둑이야기 - 대국의 심리. [7] 등택(211.108) 11.05.09 501 1
11502 오늘둔 바둑올려봄. 상대가 엷게 둘때 대처법. [3] 등택(211.108) 11.05.09 223 0
11501 오오 ㅋㅋ플래시 기보쩌네요 [3] 알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5.09 177 0
11500 우와 바둑갤러리도 있네 [2] dd(122.44) 11.05.09 110 0
11499 다시 바둑의 세계로 입문 ㅋ [2] 자타콩인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5.09 86 0
11498 오랜만입니다? 우주류 대국? [10] wikizero(125.128) 11.05.08 741 0
11497 플래쉬기보 어떻게올리나요? [3] ㅇㅇ(122.36) 11.05.08 119 0
11496 양상국의 바둑교실 동영상을 우연히 구했는데 [2] SC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5.08 424 0
11495 시부럴 마우스미스 했는데 이겼어; [3] 구라쩌네(124.216) 11.05.07 174 0
11492 [7063 답글] 초반 검토 조금 해봤습니다. [8] 조부장(119.196) 11.05.07 130 0
11491 바둑지고나서 빡칠때의 유형 7가지 골라봐 [8] 구라쩌네(124.216) 11.05.07 322 0
11488 바둑 이제 막 입문하려고 하는 사람입니다. [3] SCR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5.07 203 0
11487 밑에 유동인데 걍 고닉팠음 ㅇㅇ [1] 우상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5.07 53 0
11486 휴재 1년반만에 토가시 '헌터x헌터'연재재개 ㅡㅡ.. [3] 이얍모어낭ㄹ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5.07 148 0
11479 나 밑에 유동닉인데 타이젬 18급의 벽을 느꼈다 ㅋㅋ [20] (61.102) 11.05.07 401 0
11477 바둑게임 올려요 [1] 122(122.43) 11.05.06 106 0
11476 등택수행님 요청 플래시 [1] 조부장(119.196) 11.05.06 394 0
11475 이거 내가 이긴거 맞음? [20] (61.102) 11.05.06 257 0
11474 간만에 와보네용. 요새 시간 엄청많아짐 ㅋㅋ [1] 공실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5.06 73 0
11473 요즘따라 바둑재밌네 [2] Notice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5.06 122 0
11472 바둑사이트에서 알게됐는데..완전 대박이네 [4] 헐ㅋㅋㅋ(221.143) 11.05.05 422 0
11469 바갤망했다 ㅈㅈ [1] 구라쩌네(124.216) 11.05.05 158 0
11467 바둑tv 다시보기는 안 되나요..? [4] 붉은낙엽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5.05 1388 15
11466 9줄 바둑은 정말 어렵다능.. [1] ㅁㅁ(210.205) 11.05.04 160 0
11465 바둑 거의 모르는데 어디서 배워야하나요? [5] 냠냠(114.203) 11.05.04 212 0
11464 질문있어염.. 바둑대회 영상 어떻게 보나요? [4] 붉은낙엽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1.05.04 128 0
11463 난 인터넷 바둑은 진짜 못두겠더라 [3] 낭야(121.183) 11.05.03 289 0
11462 창호형님 멋있다 [1] 122(122.43) 11.05.03 138 0
11461 아옼 바둑 어렵네여. [2] 갓전역(61.43) 11.05.03 110 0
11455 좌상귀의 생사는 ? [6] 공돌이(58.143) 11.05.03 278 0
11453 타이젬 아디 밝히면 바둑 갈쳐드림 [5] 구라쩌네(124.216) 11.05.01 285 0
11450 조치훈 뒷이야기 마지막. [2] 낭야(121.183) 11.05.01 641 0
11449 조치훈 뒷이야기 [3] 낭야(121.183) 11.05.01 564 0
11448 냥야님아 님 성격 좀; [4] 구라쩌네(124.216) 11.04.30 208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