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여러분 같으면 어디에 살겠습니까?

관리자사랑(59.27) 2008.05.22 23:31:15
조회 470 추천 0 댓글 1

나는 대전 유성구, 서구

download.asp?FileID=38801676

 

우리 동네의 생활서비스 수준은 전국 몇 등일까?

 

무심히 지나치기 쉽지만 세인들의 관심사 가운데 하나가 아닐 수 없다.

 

‘주간동아’는 한국지방행정연구원(이하 연구원)이 행정자치부의 의뢰를 받아 지난해 12월 전국 232개 지방자치단체

(시·군·구) 지역별 생활서비스 지수를 조사, 분석한 결과를 입수해 공개한다. 생활서비스 전 분야에 대한 전국적인 조

사는 이번이 처음이다.

 

연구원은 각 지표별 측정 결과를 바탕으로 7개 부문별로 232개 시·군·구의 등급을 ‘++’ ‘+’ ‘-’ ‘--’ 네 등급으로 나눴고,

‘주간동아’는 여기에 각각 4점, 3점, 2점, 1점씩을 부여해 부문별 점수와 전체 합계를 산출해 지도화했다. 그 결과 각

지역별 격차가 뚜렷이 드러났다. GIS분석 작업은 서울대 지리학과 GIS실험실 신휴석 연구원의 도움을 받았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살기 좋은 곳은 어디일까.

 

집값이 가장 비싼 서울 강남일까, 아니면 공기 맑은 제주도일까, 물 깨끗한 강원도 산골짜기일까.

그것도 아니라면 교통 편리한 대도시 한복판 어디일까.

 

한국지방행정연구원(이하 행정연구원)이 전국 232개 지방자치단체(시·군·구, 이하 지자체)를 대상으로 실시한 생활

서비스 종합실태조사 및 진단 결과, 서울 노원구가 우리나라에서 가장 살기 좋은 곳으로 나타났다. 노원구가 강남구

에 비해 집값은 물론 생활수준도 크게 낮은 지역이라는 점에서 의외의 결과다.

 

7개 부문 23개 측정지표 선정 평가

 

대전 유성구와 서구, 부산 북구, 광주 서구 등 4개 지자체가 노원구의 뒤를 이었고,

강남구는 부산 해운대구, 광주 동구, 울산 남구, 전북 전주시 등 11개 지자체와 함께 세 번째 그룹에 포함됐다.

 

우리나라에서 생활서비스 수준이 가장 열악한 지역은

전남 신안군이었다.

 

행정연구원은 지난해 12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보고서를 작성해 올해 초 행정자치부에 제출하는 한편, 최근 전국

지자체에 배포했다. 당초 이 연구의 목적이 생활서비스의 종류별·지역별 격차 분석을 토대로 생활서비스 공급의 전

략적 지침과 여건 개선을 위한 정책대안을 정부 및 지자체에 제시하는 것이었기 때문이다.

 

보고서를 보면 행정연구원의 매우 정교한 분석틀을 파악할 수 있다. 생활서비스를 교육, 의료, 복지, 문화, 주거, 환

경, 기초인프라 등 7개 부문으로 나눠 각 부문별로 적게는 2개, 많게는 7개 등 총 23개 측정지표를 선정한 뒤 각 지역

을 평가했다.

 

예를 들어 교육부문의 경우

△유치원 취원율 △학급당 학생 수 △평생학습관 수 △읍면동당 사설학원 수 등 4개를 측정지표로 삼았다.

 

의료부문은 △인구 1000명당 의사 수 △인구 1000명당 병·의원 수 △인구 1000명당 종합병원 병상 수 등 3개,

 

복지부문은

△읍면동당 보육시설 수 △보육시설 이용률 △읍면동당 노인복지시설 수 △읍면동당 여성복지시설 수 △읍면동당

장애인 복지시설 수 △재가노인 복지서비스율 △기초생활보장 수급자 비율 등 7개 측정지표가 적용됐다.

 

문화부문은 △읍면동당 공공도서관 수 △문화공간 수 △공공문화시설 수 △읍면동당 체육시설 수

△공공체육시설 수 △청소년 수련시설 수 등 6개,

 

주거부문은 △주택보급률 △주택의 노후도 등 2개, 환경부문은 △하수도 보급률 △대기오염물질 배출시설 수

△지역면적 대비 임야 면적 등 3개,

 

기초인프라 부문은 △도로포장율 △도로율 △상수도 보급률 등 3개 측정지표가 쓰였다.

 

행정연구원은 7개 부문별 측정 및 진단 결과를

‘++’ ‘+’ ‘-’ ‘--’ 등 네 등급으로 나눴다. ‘++’는 매우 양호하다, ‘--’는 매우 열악하다는 뜻. ‘+’와 ‘-’는 그 중간 등급이다.

 

download.asp?FileID=38801677
</CAPTION>

서울 등 광역지자체 상위 점수대 포진

행정연구원은 점수로는 평가하지 않았다. 지자체별 서열화를 우려한 것. 하지만 사실상 점수는 나온 것이나 마찬가

지다. 등급과 점수를 같은 값으로 볼 수는 없지만 등급 자체가 어느 정도 점수로 환산되기 때문이다. 본지는 ‘++’를 4

점, ‘+’를 3점, ‘-’를 2점, ‘--’를 1점으로 환산해 7개 부문 전체 평가결과를 들여다봤다. 그 결과 노원구는 전체 28점 만

점에 25점으로 232개 지자체 가운데 가장 높은 점수를 기록했다. 복지, 문화, 주거, 기초인프라 등 4개 부문에서 4점

만점을 받았고 교육, 의료, 환경 등 3개 부문에서 3점을 받은 것.

대전 유성구 등 4개 지자체는 노원구보다 1점이 적은 24점이었고, 강남구 등 11개 지자체는 23점으로 그 뒤를 이었

다. 생활서비스 수준이 가장 낮은 전남 신안군은 8점에 불과했다. 신안군의 경우 2점을 받은 환경부문을 뺀 나머지 6

개 부문에서 모두 최하 1점을 받았다.

점수대별 전국 지역분포를 보면 몇 가지 특기할 만한 사항이 발견된다. 20점 이상 상위 점수대에는 주로 서울 경기

같은 수도권과 부산 대전 광주 인천 광주 울산 등 광역지자체가 몰려 있는 반면, 10점 이하 하위 점수대에는 호남지

역 지자체가 집중돼 있는 것. 또 상위 점수대에는 시와 자치구가 몰려 있으며, 하위 점수대에는 군 지역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를 지도상으로 살펴보면, 태백산에서 전북을 거쳐 전남에 이르는 백두대간 지역과 이곳에 인접한

경남·북 일부 지역이 생활서비스가 가장 취약한 곳으로 분류된다.

부동산 가격과 점수대 사이에 나타나는 상관관계도 흥미롭다. 서울에서는 노원구를 제외한 강북지역보다 강남구 서

초구 송파구 양천구 등 이른바 ‘버블세븐 지역’으로 불리는 4개 지역이 21~23점의 높은 점수대를 형성했다. 반면 서

울에서 최하 15점을 기록한 곳은 성동구 중랑구 마포구 등 모두 강북지역이었다.

호남 포함 군 지자체 대부분 환경 열악

경기도도 크게 다르지 않다. 이 지역에서 가장 높은 23점을 기록한 성남(분당)과 안양(평촌)이 바로 버블세븐 지역인

것. 나머지 한 곳인 용인도 21점으로 높은 평가를 받았다. 경기도에서 상대적으로 열악한 지역으로 분류된 곳은 하

남 여주 연천 포천이다. 부문별로도 지역별 생활서비스 차이를 확인할 수 있다. 교육부문에서 ‘++’ 등급을 받은 43개

지역은 모두 지자체다. 이들을 보면 서울 인천 경기가 16개, 부산 울산 경남·북 등 영남지역이 18개로 서울, 수도권,

영남권에 집중된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전남·북, 강원 휴전선 접경지역의 지자체는 없다. 그만큼 호남과 강원지역의

교육여건이 열악하다는 뜻이다.

의료부문에서 ‘++’ 등급을 받은 18개 지역은 모두 서울 부산 인천 대전 대구 광주 등 6개 광역시의 자치구다. 반면

전남·북, 경남·북, 충북은 ‘--’ 등급으로 매우 열악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복지부문에서는 47개 지자체가 ‘++’ 등급을 받았다. 서울 경기의 수도권을 포함해 대구 광주 울산 제주도는 복지서

비스가 양호한 것으로 보인다. 이 분야에서도 전남·북과 경북은 평균 이하의 열악한 수준에 머물러 있다.

문화부문에서는 ‘++’ 등급을 받은 29개 지자체 가운데 서울 경기가 17개로 절대적이다. 제주도의 2개 지자체도 포함

됐다. 다른 부문에서 평균 이상의 수준을 유지했던 부산 대구 울산 경북 등의 영남권이 이 부문에서는 취약한 것으

로 나타났다.

주거부문에서 ‘++’ 등급을 받은 지역은 61개에 이른다. 그러나 서울에서는 노원구가 유일하다. 그만큼 서울의 주거

환경이 열악하다는 방증이다. 부산 대구도 최고등급을 받은 자치구가 각각 2개에 불과할 만큼 평균 이하 수준이라

는 평가다.

환경 1등급 강원도 17개 지역으로 최다

환경부문에서는 ‘++’ 등급을 받은 53개 지자체 가운데 이례적으로 강원도지역이 17개로 가장 많다. 반면 서울 부산

대전 대구 광주 울산 등의 자치구는 1~2개에 그치고 인천 자치구는 아예 없다. 그만큼 대도시의 환경수준이 열악하

다는 뜻이다.

기초 인프라 부문에서는 서울 25개 자치구가 전부 ‘++’ 등급을 받았으며, 여기에 부산 인천 대구 울산 같은 대도시

자치구 27개와 경기도 6개 등 33개 지역이 포함됐다. 이 등급에 포함되지 않은 지역 가운데 지리산을 중심으로 전남

과 경북 그리고 충남 일부 지역이 가장 열악한 것으로 분석됐다.

이번 조사의 책임을 맡은 행정연구원의 김현호 박사는 “초보적이고 기초적인 조사지만 생활서비스 실태를 전국을

대상으로 파악했다는 데 큰 의미가 있다”면서 “이런 조사 결과들이 축적되고 체계적으로 관리돼야 국가기본계획이

제대로 세워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 박사는 “후속 과제로 지역 거점별 생활서비스 표준을 정하고 이를 기준으로 질적 분석 작업을 해나갈 계획”이라

면서 “중앙부처와 각 지방자치단체가 지역주민을 위한 생활서비스를 제공하고 관련 정책을 세울 때 도움이 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download.asp?FileID=38801678
</CAPTION>

download.asp?FileID=38801679
</CAPTION>

download.asp?FileID=38801680
</CAPTION>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힘들게 성공한 만큼 절대 논란 안 만들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10 - -
170455 대구올림픽이가 보면 질질 쌀만한 곳,, [12] 엘리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9.13 790 0
170452 분당 좋지만 단지 살기 약간 좋다는거 말고 뭐있나? [42] ㅋㅋㅋ(221.164) 08.09.13 748 0
170451 부산이 서울한테 깝치는건 무슨행위인가????? [15] ㅁㅇㅀ(116.93) 08.09.13 555 0
170450 [부산] 해운대 그랜드호텔 [33] 부산초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9.13 873 0
170449 촌이라서 미안해~ [7] 대구올림픽(210.216) 08.09.13 399 0
170447 익산 [8] 모헤비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9.13 468 0
170446 부산 범네골 [8] 천국부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9.13 572 0
170445 후진적인 도갤의 도시평가 기준을 바꾸자 [10] 대구올림픽(210.216) 08.09.13 351 0
170444 부산,대구에 대한 울산의 관점을 알 수 있는 사설 하나 [5] ㄴㅇ(210.92) 08.09.13 592 0
170443 일산 장항습지 ㅎㄷㄷㄷㄷㄷㄷ [39] 캅쵸(210.181) 08.09.13 717 0
170442 역시~세계적인 항구 부산항 [11] ~8~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9.13 489 0
170439 촌이라서 미안해~ [9] 대구올림픽(210.216) 08.09.13 315 0
170438 오륙도 [2] 南韓國의秀都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9.12 280 0
170437 해운대에 병원 운영.한달에 한번쉬고 하루종일 풀가동.바쁘게 사는.. [2] 의사아들(59.28) 08.09.12 358 0
170434 동양최대 쇼핑몰 南韓國의秀都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9.12 387 0
170433 [부산] 해운대구 "마린시티" [2] 부산초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9.12 584 0
170429 대구인들이 까대는 아파트 [9] 南韓國의秀都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9.12 660 0
170425 일빠에게 알리는 충격적인 자료 [10] 휘트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9.12 580 0
170424 아쿠아타임즈는 노노봉보다 더한거같네요 [3] ㅇㅇ(125.139) 08.09.12 167 0
170421 솔직히 일본은 인정한다.. 대단한 나라인건 확실해.. 그치만 [80] ㄴㅇㄹㄴㄹ(122.43) 08.09.12 647 0
170420 강남도 못따라오는 한국최고의 퀄러티 [11] 대구올림픽(210.216) 08.09.12 949 0
170418 해운대의 야경~ [3] 의사아들(59.28) 08.09.12 404 0
170417 일본은 70년대 부터 유럽연합 개처바르고 지금까지 세계2위의 부자나라 [22] 아쿠아타임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9.12 552 0
170416 2005년부터 세계도시 1위 도쿄. 미국 개처발랐음 ㅋㅋ [10] 아쿠아타임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9.12 572 0
170410 80년대 홍콩에 놀라지마 80년대 도쿄는 상상초월 [6] 노노봉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9.12 1083 0
170407 금융허브(중심지) 사실상 서울,인천 연계 대놓고 확정할려는듯... [1] 일산사랑&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9.12 418 0
170406 부산 왜 이러나 [7] 도갤러(61.98) 08.09.12 497 0
170405 도갤엔 실제로 부산사람들은 별로 보이지 않고 부산까는 사람만 있는듯.. [13] 1(118.38) 08.09.12 365 0
170403 비교 [3] (221.157) 08.09.12 152 0
170399 일산에 공원 많아서 부럽더만 [5] 락짜르트(62.85) 08.09.12 429 0
170397 이런 환경에 사는걸 부끄럽게 생각해라ㅉㅉ [7] 밤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9.12 457 0
170396 [부산] 광안리 해수욕장 주변 3S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9.12 317 0
170393 255억 호수공원 그만좀 우려먹어 [3] 썬펀해운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9.12 423 0
170392 사기치는 똥일산놈 망고망고=네츄럴시티=밤비=서초간지남=과거완료 [4] 썬펀해운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9.12 255 0
170390 부산 VS 홍콩 진짜 정당한 스카이라인 비교. (이보다 더 정당할순없다) [11] 아이바이(114.200) 08.09.12 710 0
170388 [부산] 반송선 [14] 부산초딩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9.12 615 0
170387 이맛에 일산 사는거지... [2] 밤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9.12 405 0
170386 대구 세계육상권 대서특필 [2] (61.98) 08.09.12 319 0
170383 상봉동 주상복합건물들 [2] lci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9.12 434 0
170376 [창원LG 세이커스]2012년 세계1위! 혁신 또 혁신 9초당 1대 생산 [2] 창원사나이(59.28) 08.09.12 455 0
170373 추석연휴 잘보내세요. [4] ㅎ ㅔㅎ ㅔ(58.87) 08.09.12 136 0
170371 부산에도 옥녀봉이있네요.. [1] ㅎ ㅔㅎ ㅔ(58.87) 08.09.12 297 0
170364 은평뉴타운의 한가롭고 평화로운 모습 [17] dd(125.139) 08.09.12 1080 0
170360 동남권신공항은 오바인 것 같다.. [57] 대백(114.200) 08.09.12 799 0
170357 우리나라 신도시의 현실 [1] lci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9.12 615 0
170355 부산 대구 인천, 2-4대도시 규모는 [19] 민이빈(116.43) 08.09.12 1320 0
170354 홍콩 진짜 쩌네...얘들은 1980년대부터 ㅎㄷㄷㄷㄷㄷㄷㄷㄷㄷ [7] ㅇㅇ(59.22) 08.09.12 842 0
170350 부산 동부는 울산의 베드타운화, 울산 인구 부산에 유입될 듯 [13] 임초롱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9.12 851 0
170347 일산 상업시설 공급 '넘친다 넘쳐' [7] 과거완료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9.12 582 0
170345 경>세계적인 문화단지가 될 인천아트센터 첫삽 뜨다<축 [8] S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09.12 672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