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나는 새만금 절대 반대..

아르아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08.06.12 21:52:16
조회 268 추천 0 댓글 2






20080608121291908898453800.jpg

20080608121291909176210200.jpg

20080608121291909672767700.jpg

20080608121291910101244500.jpg

20080608121291910493053500.jpg

20080608121291910874066700.jpg

20080608121291911206455000.jpg

20080608121291911525724100.jpg

20080608121291911870088400.jpg

20080608121291912123484200.jpg










세계적 보존가치 지닌 서해 갯벌


우리나라 서해 갯벌은 유럽 북해, 캐나다 동부, 남미 아마존, 미국 동부 조지아 연안 등과 함께 세계 5대 갯벌로 평가되고 있다. 갯벌에 대한 일반의 인식도 ‘매립 개발대상지’에서 환경적 보존가치를 지닌 ‘자연보고’로 변화 중이다. 해양수산부와 <국정브리핑>은 국내·외 갯벌 관리현황 등에 대한 4차례 연재 기획기사를 통해 갯벌 관리의 중요성을 새로 인식하는 계기를 마련해본다.

 

특히, 서해안을 따라 광활하게 펼쳐진 갯벌은 밀물과 썰물에 따라 시시각각 변화하는 다양한 갯벌생물상과 굽이굽이 역동적으로 변화하는 물 흐름의 매력이 많은 관광객의 발길을 붙잡고, 갯벌에 살아 숨 쉬는 수많은 생물들은 어린이들에게 자연을 이해하고 체험할 수 있는 자연학습장으로의 역할을 해내고 있다.

 

 

세계 5대 갯벌 중 하나로 평가되는 서해 갯벌. 우리나라 서해갯벌은 유럽 북해연안, 캐나다 동부연안, 아마존 유역(연안), 미국동부 조지아연안과 함께 세계 5대 갯벌 중의 하나로 평가되고 있는데 서해갯벌은 특히 펄갯벌로서 세계에서도 매우 희귀한 갯벌에 해당된다.

 


이렇게 우리나라 특유의 갯벌이 형성될 수 있었던 이유는 갯벌형성에 필수적인 요소인 조수간만의 차가 커 파도보다 조석에너지의 영향을 더 많이 받고, 육상으로부터 퇴적입자의 지속적인 유입이 일어나며, 연안 경사가 완만해 퇴적입자가 지속적으로 퇴적될 수 있는 조건을 갖추었기 때문이다.

 


세계의 대표적인 갯벌들은 그 특성이 서로 다른데, 우리나라 서해 갯벌은 다른 나라의 갯벌과 비교할 때 바다로 열려진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조상대와 염습지의 발달이 미약하고, 갯벌의 퇴적상이 계절적 변화를 가지고 있다. 조개, 낙지등 수산물의 중요한 공급처로 이용되고 있다는 점도 다른 나라의 갯벌과 크게 구별되는 부분이다.

 


우리나라에서 갯벌의 중요성과 가치에 대해 관심을 갖게 된 지는 오래되지 않다. 그 동안 갯벌은 수심이 낮아 비교적 쉽게 매립하여 국토로 만들어 사용할 수 있는 개발의 대상지로만 여겨져 왔으며, 갯벌매립은 해양수산부가 발족된 후인 1990년대 중반 이후부터 갯벌의 효율적 이용을 위한 부차원의 노력이 추진될 수 있게 되었다. 










갯벌을 매립해서 없애는건 엄연히 자연 파괴에 속하고 우리나라의 관광자원을 하나씩 하나씩 없애는 것이다
외국인들도 우리나라 갯벌체험 하려고 놀러오는데..
또 인천 송도,청라 국제도시 개발까지 하면서 새만금까지 밀어붙이니 우리나라 무슨 돈이 넘쳐 나는 것도 아니고
경제 대국도 아니고.. 새만금 개발해서 성공한다는 확신도 없는데... 진짜 새만금 개발보다는 경제부터 살리자
이명박은 정부 예산 새만금에 투자 하지말고 제발 경제나 살려라..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연예인 안됐으면 어쩔 뻔, 누가 봐도 천상 연예인은? 운영자 24/06/17 - -
177285 앞산에서 본 대구야경 [20] 이도검객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1.27 703 0
177284 대구 도심숲 [5] 이도검객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1.27 563 0
177283 호반, 낭만, 겨울연가의 도시 춘천 [11] 소양강총각(219.255) 08.11.27 521 0
177281 대구의 명산 팔공산 [6] 메루치사세요(211.35) 08.11.27 413 0
177270 원주광역시 [11] 곽마에(211.217) 08.11.27 739 0
177261 청주...... [10] 똥장군(115.86) 08.11.27 584 0
177229 100년전 인천과 부산 [5] (58.226) 08.11.26 727 0
177226 이것이바로 부산 해운대^^ [7] (59.22) 08.11.26 824 0
177215 대구문화예술회관 [22] 이도검객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1.26 681 0
177206 송도에 동아시아 최고의 바이오클러스터 조성 外 [9] 송도(203.212) 08.11.26 716 0
177205 해외 언론에 소개된 송도 센트럴파크3 [3] 송도(203.212) 08.11.26 1117 0
177202 서면복개도 철거 동천복원 조감도 [21] 티타임(59.29) 08.11.26 868 0
177200 유니버설 파라마운트 둘 중에 하나는 부산 줘야되는 거 아냐? [10] (211.219) 08.11.26 537 0
177195 부산 시외버스터미널주변2 낙동강을 낀 도시 [2] 미쓰비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1.26 465 0
177192 어제 퇴근길에 걸어가다가...도산대로 직찍... [7] 어머나씨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1.26 449 0
177178 세계의 아름다운 도시들 사진을 감상하자. [16] ¿¿¿(152.99) 08.11.26 765 0
177167 1인당 GDP 3만달러의 거제도.. [17] ㅇㄹ(211.218) 08.11.26 1417 0
177155 [현장사진]부산 서부시외버스터미널옆 오늘저녁 [10] 미쓰비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1.25 572 0
177154 우리나라 시멘트로 한옥을 하든 뭘 하든 말야 단청이쁘게좀 하자 [12] 전기콘센트(61.251) 08.11.25 511 0
177146 원주 기업도시 전망 먹구름 .... 썰렁한 기공식 [7] (221.166) 08.11.25 9184 1
177145 내일 연세대 송도국제화복합단지 착공 [3] ..(58.226) 08.11.25 491 0
177130 [청주] 지웰시티 41층(146m)높이에서 바라본 풍경 [5] 지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1.25 888 0
177122 [청주] 가경동 직찍 [8] 지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1.25 419 0
177121 [청주] 지웰시티 (상공에서 촬영한 모습) [13] 지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1.25 781 0
177119 서울에서 홍콩인이 서울사람한테 서울은 홍콩보다 더 아름답고 큰도시인거같다 [14] 족발시켜먹어(61.251) 08.11.25 752 0
177116 인천공항 북측에 제2여객터미널 신축 [5] 인천늬우스(114.200) 08.11.25 669 0
177108 상주시 [6] 멸치와꼬막(211.35) 08.11.25 416 0
177096 의외로 허세가 심한 랜드마크와 의외로 포스가 막강한 랜드마크 [4] 키키키키(61.251) 08.11.25 630 0
177087 [청주] 지웰시티 [5] 지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1.25 515 0
177086 만약 한국이 독일처럼 지방도시가 발달했다면... [9] 181818(203.249) 08.11.25 772 0
177084 부산의 이곳저곳 부경대앞,식물원앞빌라,온천장역,해운대,감천항 [6] 미쓰비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1.25 562 0
177083 강남역포스 ㅎㄷㄷ [6] 어머나씨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1.25 1060 0
177078 60년대 일본 여러지방들의 역모음 [13] 노노봉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1.25 784 0
177077 과거와 미래를 달리는 첨단도시 쿄토의 역풍경 [6] 노노봉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1.25 427 0
177072 송도 야경 [3] ㅇㅇ(210.117) 08.11.25 441 0
177071 인천대교와 거가대교의 공통점. [14] 휘트니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1.25 701 0
177065 목동의 풍경 두번째 [12] - 水 -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1.25 1373 0
177063 국내 최고 대교(다리)는? [15] 살펴보자(116.39) 08.11.25 751 0
177061 부산의 가장 큰 문제점이랄까 [21] 181818(121.162) 08.11.25 850 0
177048 부산의 이곳저곳..해운대,경성대앞. [12] 미쓰비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1.25 697 0
177038 송도 [1] 꼬맹이(119.197) 08.11.25 342 0
177021 [광주]대우디오빌에서 바라본.. [7] ㉭ㅔ㉭ㅔ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1.24 653 0
177018 예전에는 부산vs대구가 주였는데 [19] 181818(121.162) 08.11.24 922 0
177011 바닷가 아파트에서 사면 바닷냄세 맡을수있나요?? [17] 진공의성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1.24 458 0
177007 옛다. 송도 [19] (124.28) 08.11.24 781 0
177001 세계도시 부산의 5대 조건 [20] 메트로부산(59.22) 08.11.24 819 0
177000 광주광역시 야경~ [17] 광주인(218.157) 08.11.24 854 0
176999 신라1000년 역사의 유흥의 중심 신라최고의 향락지 포석정 [14] 냄비위에계란(61.251) 08.11.24 556 0
176997 동양에서 가장크다는 절 약천사 [7] 강철중(61.251) 08.11.24 668 0
176996 부산의 이모저모,남항앞바다,남항대교,중앙공원,광복로 [1] 미쓰비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8.11.24 290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