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쾌적한 신도시,계획도시 창원]자전거도시 창원을 벤치마킹하는 전국 지자체

ambition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09.01.27 20:31:47
조회 623 추천 0 댓글 11






수원을 창원같은 자전거 도시로"
수원시의회 녹색교통 연구단체, 창원 방문
수원시민신문 icon_mail.gif<U> </U>
<U></U>
<U></U>
 
수원시의회 녹색교통 연구단체(회장 김효수의원)는 수원시의 청정교통을 위하여 16일 자전거특별시를 만들기에 여념이 없는 경남 창원시를 방문했다. 

자전거 정비, 전시, 홍보, 교육, 보험 등의 소프트웨어와 자전거도로의 설치, 운영 등의 하드웨어가 조화를 이루는 창원시의 시책이 눈에 띄었으며, 특히 시민들이 친환경적이고, 안전하면서 건강하게 자전거를 이용할 수 있도록 전국 최초로 자전거 사고에 대비한 ‘자전거 종합보험’가입과, 무인 대여 공영자전거 시스템인 ‘누비자’의 운영에 많은 관심을 두고 배웠다. 

이와 관련하여 벤치마킹에 참여한 김효수의원, 이희정의원, 이윤필의원, 김진관의원은 녹색교통 연구단체 연구과제로  ▶ 공영자전거 도입 ▶ 수원시 자전거 도로 설치 및 시설을 위한 기준안 마련 ▶ 자전거 이용활성화를 위한 방안 마련 ▶ 민간단체 육성 및 협조방안 등을 강구할 것을 채택하여 더불어 사는 행복한 도시 수원이 될 수 있도록 보다 적극적으로 많은 노력을 할 것을 밝혔다. 






수원일보
\'자전거 이용 문화\' 확산에 자전거族 는다
기사입력 2009-01-21 07:00 기사원문보기

33903_21499_3823.jpg
지낸해 9월 문을 연 경남 창원시 창원경륜경기장 내 자전거 문화센터의 전경. 자전거 이용 생활화를 위한 이론교육에서 부터 정비, 전시, 홍보에 이르기까지 이곳에서 한번에 할 수 있다. 시민공영자전거 \'누비자\' 운영본부에 이곳에 있다. © 창원시

[수원일보]

‘지구를 살리는 7가지 불가사의한 물건들’을 펴낸 저자 노스웨스트 환경기구 수석연구원 존 라이언 씨는 지구를 살리는 첫 번째 물건으로 ‘자전거’를 꼽았다. 지구를 파괴하지 않으면서도 교통수단으로 유용한 무공해 ‘자전거’가 대안이라는 것이다.

개발의 시대 자동차가 도로 환경을 주름잡았다면 저탄소 녹색성장을 추구하는 미래는 자전거가 새로운 도로환경을 만들어 낼 것이다. 자전거 타기 문화(생활화)가 정착된다면 도로환경도 자전거 중심으로 재편될 수밖에 없다.

(사)자전거사랑전국연합회 최경규 사무국장은 “단순히 미비한 자전거 관련 인프라를 구축하고, 제도적 문제점을 보완한다고 해서 ‘자전거족’이 늘어나는 것은 아니다”면서 “자전거 이용 문화(생활화)가 형성돼야 한다”고 말했다.

지자체가 정책적으로 시설과 제도를 개선해 나가고, 범시민적인 자전거 이용 문화 운동을 함께 추진한다면 그 시기를 앞당길 수 있다는 것이다. 창원시가 그 모범적인 답안을 제시하고 있다. 창원은 30여 년 전부터 자전거 관련 인프라가 잘 구축된 도시지만 최근에서야 이용률이 상승했다.

33903_21500_381.jpg
문환센터 내에는 자전거를 정비와 수리를 할 수 있도록 별도의 정비공간을 마련해 놓고 있다. © 이정하 기자

창원시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15일 출근 시간대인 오전 7시부터 8시까지 시내 4곳을 대상으로 산업단지로 향하는 교통수단을 조사한 결과, 자전거가 전체 7천481대 중 7.3%(849대)로 조사됐다. 이는 2007년보다 수단분담률이 1.1% 늘어난 수치며, 2006년보다는 2.5% 증가한 것이다.

창원시가 이런 결과를 이끌어 낸 데는 박완수 시장을 비롯해 공직자들의 역할이 컸다. 박 시장은 지난 2007년부터 직접 자전거를 타고 출퇴근하기 시작하면서 자전거 인프라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하기 시작했다.

또 창원시 자체적으로 ‘자전거 타는 날’을 지정, 매달 ‘둘둘데이(22일)’에는 공무원은 물론 일반 시민들도 참여하면서 자전거 타기 물결이 일고 있다. 자전거를 레포츠로 즐기는 지역 내 자전거 동호회와 단체들의 참여도 한몫했다.

이 밖에도 자전거 타기 우수기관 및 기업체를 선정해 격려하고, 시설지원금을 보조해 주는 등 독려를 아끼지 않고 있다. 특히 문화센터를 활용한 각종 교육 및 홍보, 전시 활동은 숱한 초보 ‘자전거족’을 생산해 내고 있다.

자전거문화센터 신재상 팀장은 “시민들이 자동차와 철도로 대표되는 교통문화에 익숙해져 있지만, 센터를 통해 자신의 건강과 지구를 지키는 일이라고 인식하면서부터 자전거족도 늘고 있다”고 했다.

시민들 사이에 자전거 이용 문화가 확산 되고 있음이다. 이에 반해 수원시에서 진행되는 자전거 이용 활성화는 심히 우려스러운 수준이다. 자전거 이용 문화가 아닌 자전거 타기 운동에 그치고 있기 때문이다.

33903_21501_4419.jpg
지난해 11월 열린 람사르 총회 대 경남 창원시를 방문한 아나다 티에가 람사르 사무총장과 박완수 창원시장이 공영자전거 \'누비자(NUBIJA)\'를 함께 시승하고 있다. © 창원시
창원시와 달리 아직도 “저런 XX! 자전거가 도로로 달리고 난리야!”라며 욕설을 퍼붓는 수원지역의 자동차 운전자를 어렵지 않게 접할 수 있는 것도 바로 이런 이유에서다. 자전거 이용자뿐만 아니라 이용하지 않는 사람도 기본적으로 자전거와 관련된 상식과 배려의 시민의식이 잠재해 있는가의 차이다. 창원 시민들 사이에는 자전거 이용과 관련된 ‘무언의 약속’인 문화가 뿌리를 내리고 있지만, 수원시민들은 아직 이런 문화를 만들어 내지 못하고 있다.

‘바람난 자전거(자전거 동호회)’ 이상목 씨는 “도로를 주행하다 보면 운전자와 갈등을 빚을 때가 한두 번이 아니다”면서 “일상생활 속에서 자전거 이용이 활성화되려면 시민의식과 홍보부터 선행돼야 한다”고 조언했다.

또 범지구적인 차원에서 화석연료 사용으로 인한 지구환경 파괴의 심각성과 환경의 문제를 제대로 알릴 필요성도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자전거도로 건설 및 운영과 함께 시민 교육을 담당할 자전거 관련 전담부서 설치가 필수적이다. 시는 기본계획에 전담반 설치를 제안하고 있지만, 행정인력을 축소하고 있어 이마저도 어려운 상황이다.

무엇보다 자전거 관련 각종 사업을 진행할 예산도 확보하지 못하고 있다. 올해 수원시의회 업무보고에서 도로교통과 이성락 과장은 “추경에 예산을 확보하도록 노력 하겠다”고 했을 뿐이다.

수원시의회 녹색교통 연구단체 소속 이윤필 의원은 “자전거도로 등의 인프라가 잘 구축돼 있어도 이용을 하지 않으면 무슨 소용이 있겠느냐”면서 “공직자부터 솔선하는 것이 자전거 이용 문화를 확산하는 지름길”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경기남부 중심언론 - 수원일보사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이정하 기자









수원일보
“수원시, 창원 아닌 도쿄 자전거 정책 배워라”
기사입력 2009-01-22 07:15 기사원문보기


33930_21515_346.jpg
자전거 이용 활성화를 추진하고 있는 수원시 김용서 수원시장(왼쪽)과 박완수(오른쪽·맨 앞) 창원시장이 직접 자전거를 타고 있는 모습. © 수원시·창원시
[수원일보]

자전거와 관련해 앞서 진단한 것처럼 창원과 수원시는 자전거 관련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모든 측면에서 동떨어져 있다. 계획도시인 창원은 애초 자전거도로 여건이 월등히 좋은데다, 젊은 시장의 ‘자전거 특별시’에 대한 의지가 대단하다. 따라서 예산지원 및 정책 개발의 최우선 순위도 자전거에 집중되고 있다.

창원시 자전거 정책과 이종철 씨는 “앞으로 ‘자전거족’을 위한 편의시설(정비소 및 휴식처 등) 도입도 검토하고 있다”면서 “점차 여건이 개선되면서 자전거가 안전하고 편리하다는 시민의식이 확산되고 있다”고 말했다.

수원시도 지난해 5월 자전거 정책과 관련된 ‘자전거 이용시설 정비사업 기본 및 실시설계’를 통해 중장기적인 활성화 방안을 마련했다. 하지만, 창원시와는 괴리감이 든다.

우선 도시공간적 구조부터 다르다. 기존도로를 전용도로로 대체하거나 자동차 겸용도로를 만들 만큼 대로도 많지 않다. 때문에 (광교·호매실)신도시를 포함한 수원지역 모든 자전거도로는 기존 보도 겸용으로 조성된다. 더욱이 시 교통정책의 우선순위도 자동차 중심의 도로건설에 머물고 있다. 올해 세운 자전거 관련 예산도 거의 없을 정도로 의지가 박약해 보인다.

그렇다고 희망이 없는 것도 아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녹색도시’를 만들겠다고 공언한 수원시장이 자전거정책에 적극성을 띈다면 도시공간적 한계는 극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교통정책 전문가와 자전거동호인들은 수원시가 벤치마킹해야 할 자전거도시는 하드웨어적인 면에서 큰 차이를 보이는 창원시보다는 여건이 비슷한 일본 도쿄 등 대도심 지역의 자전거 정책을 본받아야 한다는 공통된 의견을 내놓고 있다.

최철규 건설국장도 “대도심의 도로환경이나 도시계획 여건을 고려했을 때, 자전거전용도로 개설은 불가능하다”면서 일본 도쿄를 벤치마킹해야 한다”고 했다. 일본 도쿄는 그야말로 자전거 천국이다. 하지만, 애초 일본 도쿄도 자전거 이용이 많지는 않았다. 수원처럼 구도심에 속해 전용도로를 만들기도 어려웠고, ‘도로 다이어트’도 사실상 힘들었다.

땅값도 비싼데다, 교통량도 상당히 많아 도로를 확장하거나 줄일 엄두도 내지 못했다. 이에 따라 기존 보행자 겸용도로를 활용했다. 고령자와 자전거족 등 교통 약자를 위한 교통환경을 체계적으로 마련해 보행자와 자전거가 동행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한 것이다.

일본은 도로에 턱이 없고, 전신주 및 각종 보행에 지장을 주는 장애물을 지하화하는 등 배리어프리(장애물 없는 환경구역) 사업을 오래전부터 추진해 왔다. 또 건널목은 보행자와 겹치지 않도록 별도의 자전거 건널목을 설치하고 있으며, 육교마다 자전거나 유모차를 끌고 올라갈 수 있도록 완만한 경사로를 만들었다.

전철이나 버스 등 환승 구간마다 자전거 보관대를 설치하고, 도심 곳곳에 보관대를 만들어 언제 어디서나 주차에 불편이 없도록 했다. 특히 도난 등의 위험도 자전거 등록제를 시행해 줄여나가고 있다.



33930_21516_3558.jpg
창원시 주요 버스정류장마다 설치된 자전거 보관대(왼쪽)와 잘 정비된 보행자·자전거 겸용도로(오른쪽). © 이정하 기자



수원도 일본 도쿄와 사정이 비슷한 실정이다. 도로 여건상 기존 도로 차선을 줄이거나 확장한다는 자체가 사실상 불가능한데다, 어마어마한 보상비와 교통량도 무시할 수 없다. 따라서 수원시도 자전거 전용도로 개설이나 ‘도로 다이어트’가 어렵다면 일본처럼 보행구간에 대한 환경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수원지역 주요 도로에 전신주와 도로 턱만 없어도 보행자 겸용 자전거도로 이용이 훨씬 수월할 것이다. 또 시가 구상한 대로 2010년까지 수원지역 4대 하천변과 세계문화유산 수원화성 주변, 역세권과 주요 관공서, 백화점 등 대형주민편의시설에 보관대를 설치하면 5천343대(총 96개소)를 한꺼번에 보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 지난해 \'수원시 교통약자 이동편의 증진 조례’가 신설돼 중장기적으로 보행환경도 정비할 계획이다. 이 조례에는 전신주 지하화 등 교통 약자의 이동에 불편을 끼치는 장애물을 제거하도록 하고 있다.

그럼에도, 수원시의 공간적 한계를 극복하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 수원교통발전포럼 김숙희 책임연구원이 “수원은 자전거 인프라를 구축하기 상당히 어려운 도시공간구조를 지니고 있다”며 혀를 내두를 정도다.

돌려 말하면 수원시가 실효성 있는 자전거 정책을 시행하려면 공간적 문제부터 해결해야 한다는 것이다. 수원시도 보행자 겸용 자전거도로의 제도적 문제점과 한계, 보행환경 개선의 필요성을 잘 알고 있지만, 섣불리 추진할 수 없는 상황이다.

일본처럼 보행환경을 개선하는데 만도 천문학적인 예산이 소요될 것을 추정되기 때문이다. 결국은 예산 확보가 관건이다. 녹색성장을 표방한 정부가 자전거 관련 지원을 늘리고, 지자체도 자전거를 통한 교통환경 개선 차원에서 다른 예산에 우선해 사업비를 마련해야 한다.

자전거 정책은 20~30년 후 발생할 효과를 내다보고 추진해야 하는 장기적인 프로젝트다. 당장 효과가 드러나지 않는다. 시민단체는 이 문제를 민선시장 체계의 한계라고 지적했다.

한 시민단체 관계자는 “시민들의 선택을 받으려면 눈에 드러나는 사업을 해야 다음에도 뽑아주지 않겠느냐?”라고 반문하고서 “민선시장이 대단한 결단을 내리지 않으면 제대로 된 자전거 정책을 펼치기 어렵다”고 말했다.

현 자전거의 교통 수단분담률 1.2%에서 2012년 5%로 끌어올릴 계획을 발표한 이명박 정부의 지방자치단체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과 함께 먼 미래를 내다보는 지방자치단체장의 혜안이 필요한 때다.

<끝>

<저작권자 ⓒ 경기남부 중심언론 - 수원일보사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이정하 기자


 






 

 

  



환경과 건강을 살리는 ‘자전거도로’
수원시의회, 녹색교통 주거환경개선 연구단체, 창원시 벤치마킹


cnbnews_ico.gif<U> 차영환 기자</U>/ 2009-01-19 13:05:25
 
66067a.jpg
▲ 좌측부터 창원시를 방문한 이희정, 이윤필, 김효수, 김진관 의원, 신동은 과장 ⓒ2009 CNB뉴스
▲ CNB뉴스,CNBNEWS ,씨앤비뉴스

수원시의회 녹색교통 연구단체 회원(김효수 회장, 김진관, 이윤필, 이희정 의원)과 관계공무원들이 지난 16일 자전거특별시를 만들기에 여념이 없는 경상남도 창원시를 방문해 창원시 자전거 문화센타와 자전거전용도로, 자전거보험, 공공임대자전거인 “누비자” 등에 관한 벤치마킹했다.


창원시는 ‘08년 8월 창원시 자체의 자전거도로 설치 기준안을 마련해 도로교통법 제13조 규정의 차마의 운전자는 보도와 차도가 구분된 도로에서는 차도로 통행하게 되어있는 규정에 따라 원칙적으로 모든 자전거 도로를 인도가 아닌 차도에 설치하도록 하여 화단형 분리대로 구분, 자전거전용도로를 설치할 뿐만 아니라 일반도로와 교차로에서도 자전거유도도로를 적색 칼라아스콘으로 설치해 눈에 잘 보이도록 시인성을 높여 운전자들의 주의와 관심을 높여 자전거 통행자의 안전성을 높였으며 특히, 기존의 8차선 도로를 과감하게 양쪽 1차선씩 줄여 자전거 전용도로를 설치하고 있어 자전거특별시를 만들고자하는 창원시의 자전거우선정책 의지를 읽을 수 있었다.







66067b.jpg
▲ 창원시의 교차로의 자전거도로 ⓒ2009 CNB뉴스
또한 창원시는 전국 최초로 ‘08년 9월 LIG손해보험과 계약을 체결해 자전거이용활성화의 최대 걸림돌인 자전거사고에 대한 두려움을 감소시켰다. 창원시가 1년간 1억9천8백만원의 보험금을 납입해 창원시에 주소를 두고 거주하는 시민 50만4천명은 어디서나 자전거 사고로 인한 가해 및 피해시 일정금액을 보장받을 수 있도록 하였으며, 보험가입 후 지금까지 3개월간 52건의 자전거 상해발생으로 약 2,000만원의 보험금을 지급받은 것 외에는 큰 사고가 발생치 않았으며 이는 시민 자전거 보유대수 129,500대를 감안할 때 월 자전거 10,000대중 1.4대가 발생되는 것으로 대부분 넘어져 골절상을 당한 경우였다.



창원시의 또 다른 자랑은 “누비자(NUBIJA)"로서 누구나, 언제, 어디서나 편리하고 손쉽게 이용할 수 있는 무인대여 공영자전거 시스템으로서 창원시내에 설치한 어느 터미널에서나 이용과 반납이 가능하다. 회원가입은 만 15세 이상으로서 1년 2만원, 월 3천원의 가입비를 납입하여야 하며 이용료는 최초 2시간 무료에 초과 30분당 500원으로 반납 후 다시 대여할 수 있어 장시간 무료 이용도 가능한 것으로 현재 공영자전거 430대에 터미널이 20곳에 불과하지만 ‘09년도에 터미널 100개소를 설치할 예정으로 있어 자전거활성화에 도움 되는 좋은 시스템이나 초기 투자금이 1대당 300만 정도로 과다한 것이 문제점이라고 지적하고 수원에서 도입 시에는 운용대수 측면과 시스템 보완으로 해결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외에도 자전거문화센터에 자전거 정비소, 자전거 전시실, 자전거 체험실과 초, 중급 및 특별반으로 구분된 자전거교육교실과 2단계로 분리된 자전거주행교육장이 체계적으로 준비되어 있어 자전거 학생 수송분담율 23%, 출퇴근 수송분담율 7.3%란 좋은 결과를 얻고 있는데 많은 기여를 하고 있다.




창원시는 자전거정비, 전시, 홍보, 교육 등의 소프트웨어는 물론 자전거도로의 설치, 운영 등의 하드웨어는 물론 특히, 전국 최초의 자전거종합보험, 공영자전거 도입 등은 시민이 친환경적이고, 안전하고, 건강하게 자전거를 이용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고 생각되며 왕복 8시간의 차량이동 견학 4시간, 총 12시간의 피로를 날려버리는 상쾌한 느낌을 주었다.








1233054761_200901272001320841245101_0.jpg
 







 
연합뉴스
지자체들 "창원시의 공영자전거 시책 배우자"
기사입력 2008-11-19 10:41 |최종수정2008-11-19 10:45


PYH2008111902340005200_P2.jpg
자전거시설 견학하는 전국 지자체 공무원들 (창원=연합뉴스) 김영만 기자 = 지난 5일 경남 창원 자전거 문화센터와 터미널에서 공영자전거 누비자를 견학하는 전국 지방자치단체 공무원들.<<지방기사 참조, 창원시>> ymkim@yna.co.kr

(창원=연합뉴스) 김영만 기자 = 최근 전국적으로 자전거 타기 붐이 일고 있는 가운데 자전거 문화센터와 터미널을 설치하고 공영자전거를 도입한 경남 창원시가 다른 지방자치단체 자전거 담당 공무원들의 견학이 잇따르는 등 벤치마킹 대상이 되고 있다.

19일 창원시에 따르면 지난 5월 14일 지역의 자전거 정책을 체계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자전거 정책과를 신설한 이래 최근까지 자전거 시책과 관련 시설 등을 견학하기 위해 전국 지자체 등지에서 모두 80여회에 걸쳐 1천여명이 다녀간 것으로 추계됐다.

자전거 정책과는 자전거 정책.시설.문화 등 3개 담당이 있으며 모두 12명의 공무원이 근무하고 있다.

김형국 국가지속가능발전위원회 위원장이 지난달 자전거정책 실태를 분석하기 위해 창원을 방문한데 이어 국가지속가능발전위 위원 등 3명이 지난 18일 정책에 관해 설명을 들은 뒤 자전거 문화센터와 터미널 등을 둘러봤다.

특히 지난 4일과 5일에는 행정안전부와 전국 지자체 자전거 담당 공무원 등 300여명이 한꺼번에 찾아 자전거 정책 설명회와 함께 자전거 교실 등을 갖춘 문화센터와 공영자전거 \'누비자\'를 비치해 전자 시스템을 통해 빌려주는 터미널 등을 견학한 뒤 공영자전거를 직접 타 보기도 했다.

또 지난 5일 서울 도봉구의회와 인천경제자유구역청에서 의원과 공무원 30명이 다녀갔으며, 오는 21일에는 인천과 전남 순천에서 공무원 등 20여명이 방문할 예정이다.

앞서 지난달에도 경기도와 수원.이천시, 강원 강릉시, 부산시 금정구의회 등지에서 자전거 시설을 차례로 견학하는 등 벤치마킹의 행렬이 이어지고 있다.

창원시는 지난 9월 자전거의 교통 법규 이론과 타는 법을 배우고, 자전거를 무료로 수리까지 해 주는 등 자전거의 종합적인 문화공간인 자전거 문화센터를 개소한데 이어 지난달 22일 시내 20곳에 전자 대여 시스템을 부착한 터미널 20곳을 설치하고 공영자전거 430대를 비치, 본격 운영에 들어갔다.

시 관계자는 "직접 방문하는 것 외에도 자료를 요청하는 기관.단체가 너무 많아 일상적인 업무가 마비될 정도"라면서 "창원의 공영자전거인 \'누비자\'가 전국 공용자전거의 표준 모델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ymkim@yna.co.kr




세계일보
창원 ‘자전거 도시’로 씽씽∼
기사입력 2009-01-05 18:43 기사원문보기
광고
<IFRAME id=f240240 border=0 name=f240240 align=center marginWidth=0 marginHeight=0 src="http://ad.news.naver.com/adshow?unit=120A" frameBorder=0 width=240 scrolling=no height=240></IFRAME>
14개 시범기관 12∼21%가 자전거 출·퇴근


경남 창원시가 으뜸 시책으로 채택해 추진하는 ‘자전거 생활화’에 기업체와 공공기관 및 학교들이 적극 참여하고 있다.

창원시는 지난해 한 해 동안 자전거 시범기관으로 지원했던 14개 기관을 대상으로 한 자전거 평가 결과를 5일 공개했다.

시는 지난해 시민들의 자전거 이용 활성화를 위해 지역 내 기업체 5곳, 공공기관 5곳, 학교 4곳 등 모두 14곳을 자전거타기 시범기관으로 선정했다.

평가결과 최우수 기관으로 GM대우가 선정됐고, 우수기관으로는 S&T중공업과 경원중학교가, 장려 기관에는 현대로템과 마창진축협, 창원중학교가 각각 뽑혔다.

최우수 기관인 GM대우는 본부장을 비롯해 임직원 대상의 사내 업무용 차량 13대를 모두 자전거로 대체했으며, 우수기관인 S&T중공업은 사내업무용 자전거 30대를 운영하고 자전거 임대제도를 통해 출퇴근용 자전거 100대를 사원들이 1년간 임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경원중은 자전거 안전교육 등 교내 자전거타기 붐 조성을 위해 자전거반(50명)을 중심으로 활동수업(연간 18시간)을, 창원중은 교내 자전거 동아리 ‘두바퀴 세상’을, 현대로템은 동호회를 중심으로 매주 수·토 정기라이딩을 각각 실시했다.

이번 평가에서 높은 점수를 받은 기관과 학교 등은 전체 직원과 학생의 12∼21%가 자전거를 출퇴근과 등하교용으로 상시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전거 생활화를 ‘으뜸시책’으로 추진하는 창원시는 현재 지속적인 자전거타기 캠페인과 함께 지난해 10월부터 시민공영자전거 ‘누비자’ 430대를 시민 대여용으로 운영하고 있다.

지역 내 도로 전역에 자전거 전용도로망 구축을 추진하는 등의 사업으로 105개 전국 지자체 및 기관에서 벤치마킹하는 등 자전거 정책 전국 모델로 꼽히고 있다.

창원=안원준 기자


ⓒ 세계일보&세계닷컴(www.segye.com),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세계닷컴은 한국온라인신문협회(www.kona.or.kr)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중앙일보
‘자전거 도시’ 창원을 벤치마킹하라

105개 전국 지자체들 창원을 벤치마킹 모델로 삼아, 자전거 정책

기사입력
2008-06-02 01:30 |최종수정2008-06-02 02:03 기사원문보기

[중앙일보 김상진] 지난달 29일 경북도청 공무원 60명이 자전거를 타고 창원시청∼명곡로터리간 반송로 숲속 자전거 전용도로 2㎞를 달렸다. 이들은 창원시청 뒤 용지호수 주변 자전거 보관소도 둘러봤다.

경북도청 공무원들이 이곳을 찾은 것은 \'자전거 도시\'를 선언한 창원시의 자전거 정책을 벤치마킹하기 위해서다.

또 지난달 30일에는 전북 군산시의회 의원 3명이 찾아와 시청내 자전거 거치대를 둘러봤다. 지난달 28, 29일에도 대구 달서구의회 의원와 제주시청 공무원들이 각각 찾아왔다.

창원시에 따르면 5월 한달 동안 전국 6개 자치단체들에서 100여명의 공무원이 찾아왔고 관련자료를 보내준 곳은 10여곳이 넘는다. 하루 서너건의 전화문의도 잇따르고 있다.

최근 경유가격이 ℓ당 2000원대를 기록하는 고유가 시대를 맞아 창원시의 독특한 자전거 정책이 전국적인 관심을 끌고 있다.

자전거 도시를 표방하는 자치단체들이 많이 있지만 창원시가 앞장서서 도입한 시책들은 자전거 이용을 활성화 하는 현실성이 높은 것들이기 때문이다.

◇유럽의 \'자전거 혁명\' 도입=창원시는 \'자전거 천국\'이라는 EU(유럽연합)국가들의 자전거 정책들을 도입하고 있다. 자전거 수당은 덴마크서 수입했다. 자전거를 타고 출·퇴근하는 근로자들에게 매월 3만원의 수당을 주는 것이다. 자전거 출·퇴근 근로자에게 수당을 지급하는 것은 창원시가 처음이다.

한달에 15일 이상 자전거로 출·퇴근하는 근로자는 수당을 받을 수 있다. 기업체가 근로자들의 자전거 이용실적을 관리한 뒤 먼저 3만원의 수당을 지급해야 한다. 시는 기업체가 지급한 금액만큼 수당을 주기 때문에 근로자는 모두 6만원을 받는 셈이다. 창원시는 관련 조례를 개정해 예산 30억원을 확보하기로 했다. 창원시는 1만명 정도의 근로자가 수당을 받게 될 것으로 보고 있다.

프랑스 파리의 무인 공공자전거(벨리브)서비스도 도입한다. 파리에서는 공공자전거를 \'벨로\'(자전거)와 \'리베르테\'(자유)를 합쳐 \'벨리브\' 서비스로 부른다.

발급받은 카드로 무인 자전거 대여소에서 체크한 뒤 자전거를 이용한 뒤 반납하면 된다. 자전거에 위치확인 장치(GPS)가 붙어 있어 자전거 도난을 예방한다. 중앙통제소에서 무선으로 자전거 움직임을 파악한다.

우선 도심 5군데에 22대씩 모두 110대를 배치해 놓고 시민들의 반응을 본뒤 확대할 예정이다. 3억9000만원을 들인 프로그램 개발이 끝나는 8월쯤 등장할 예정이다.

무료대여자전거 260대도 지난해 10월부터 대동백화점과 동사무소 등 13곳에 비치했다. 신분증을 갖고 자전거를 빌린 뒤 이용하면 된다.

창원시는 프랑스 파리수준의 공공자전거 보급을 목표로 삼고 있다.

파리의 경우 무인 자전거 대여소 750곳에 \'공공 자전거\' 1만여 대를 갖춰놓고 시민과 관광객에게 빌려준다. 누구든 자전거를 빌려 타고 목적지에 도착한 뒤 가까운 대여소에 반납하면 된다. 1년 이용권이 29유로(3만6000원)이니 무료나 다름없다.

◇자전거 중심 도로망=지난 4월 북면 감계리에 착공한 \'에코타운\'은 자전거타기는 편하고 차량은 불편한 도시다. 2012년 완공할 예정인 이 도시는 자전거 중심 도로망을 갖췄다.모든 횡단보도는 차도 바닥보다 높여 자전거 전용도로와 높이를 맞춘다. 자전거는 편리하게 지나지만 차량은 요철을 지나느라 덜컹거리게 된다.

길이 10.8㎞로 창원도심을 가로지르는 창원대로에도 너비 3m의 자전거 전용도로를 만든다. 인도쪽 한개 차로를 줄여서 자전거 도로 폭을 확장하는 것으로 자량 이용자에게는 불편을 주게 된다. 사업비 100억원을 들여 9월쯤 착공, 2010년 완공할 예정이다.

박완수 창원시장은 “내 자전거가 없어도 편리하게 공공 자전거를 이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춰 자전거 이용을 활성화 하겠다”고 말했다.

김상진 기자<DAEDAN@JOONGANG.CO.KR>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가족과 완벽하게 손절해야 할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24 - -
AD 아고다 호텔 8% 할인쿠폰 받기 !! 운영자 24/06/19 - -
공지 도시 갤러리 이용 안내 [247] 운영자 09.11.12 179671 154
2324824 대구 까지마라... [1] 대구(106.101) 14:18 1 1
2324822 내일 장마 와서 부산여행이 땡기네 도갤러(223.38) 14:17 19 1
2324821 야이 인간들아!! 대구 욕하지마라!! [1] 대구(106.101) 14:17 4 1
2324820 경상남도 부산 시골사람들은 통신사 ip가 뭔지 모름 ㅇㅇ(118.235) 14:15 20 2
2324819 짱깨와 가장 비슷한 동네 ㅇㅇ(223.38) 14:14 14 1
2324815 서울 강남 신축 건물 ㅇㅇ(110.45) 14:02 25 3
2324813 사람이 근본이 중요한게 바다열차만 타 봐도 [7] 도갤러(223.38) 13:56 62 4
2324811 충남예술의전당 조감도 [2] ㅇㅇ(110.76) 13:54 30 2
2324810 전라주민이 지방에는 저런 카페가 있을 수 없다는데 [1] 도갤러(175.223) 13:53 32 1
2324809 동탄 퐁퐁남들의 미래모습 도갤러(211.234) 13:52 43 0
2324805 왜 다른도들은 주요도시가 [1] 도갤러(223.38) 13:46 34 2
2324804 비폭력주의자 간디도 대구를 보면 [1] 신나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46 24 2
2324803 콘크리트가 아니다 유리다 유성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45 21 1
2324802 경상도의 모든 도로는 가덕도로 통한다 피자2021(211.36) 13:45 11 0
2324800 부산 대구가 경상도 주요도시가 되어서 도갤러(223.38) 13:42 25 1
2324799 도서관 갈까말까 고민된다 피자2021(211.36) 13:40 18 0
2324798 한국 사람들이 생각하는 대구 이미지!!! [1] 대구(106.101) 13:38 24 1
2324797 비안오는 틈을 타 치킨시키묵을까 피자2021(211.36) 13:36 11 0
2324796 대구 신공항 전액 국비로 진행!¡! [1] 대구(106.101) 13:36 25 3
2324795 부산 콘크리트 바다랑 비교하면 [3] 도갤러(223.38) 13:34 34 1
2324794 전라주민 저색힌 컨셉인가 진짜 저능아인건가 [3] 도갤러(39.7) 13:34 27 2
2324793 이불빨래 6개월째 안했다 피자2021(211.36) 13:34 14 0
2324791 아니 ㅅㅂ 내 닉넴이 유성이니까 대전 사람인 줄 아네 [1] 유성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32 34 0
2324790 전세계 30-30클럽 달성한 도시들 목록,txt (ft 부산) [2]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30 40 3
2324789 풍수지리학적으로 봐도 서울과 부산은 [3] 도갤러(223.38) 13:20 58 2
2324787 김해공항은 제주공항보다도 이용객 적네 ㅇㅇ(223.33) 13:18 29 0
2324786 일본 관광으로 연 62조 번다...자동차에 이어 수출 산업 규모 2위 ㅇㅇ(203.232) 13:18 20 2
2324785 흰옷 입고 짬뽕 먹었더니 다 묻었다 유성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16 29 0
2324782 한국 대기업 답이없네 [1] 피자2021(211.36) 13:11 45 1
2324781 부산 콘크리트 바다 뷰 그거 [5] 도갤러(223.38) 13:11 56 3
2324780 칠랴드인이 한국어를 쓰게된 이유 ㅇㅇ 이방카 트럼프(175.121) 13:09 14 0
2324779 서울대 41% vs 도쿄대 21%…日최고명문에 女학생 적은 이유 ㅇㅇ(110.76) 13:03 39 0
2324778 자우림 너무 기만하는거아니냐 도갤러(59.11) 13:01 29 1
2324777 대구시의회, 지역구 국회의원실 방문‘현안 건의’ ㅇㅇ(110.76) 13:00 25 1
2324775 우수한유전자=평지에삼, 열등한유전자=산으로쫒겨남 도갤러(175.205) 12:58 31 0
2324774 칠라할배야 대구 k2 현대엘리베이터 인프라 8000억 이방카 트럼프(175.121) 12:57 23 0
2324773 햄 운동끝 피자2021(211.36) 12:57 22 0
2324772 대구 후적지 국비 5조 지원 결정!! [1] 대구(106.101) 12:56 38 4
2324771 대구가 종합소득세 비율 1위 도시임ㅇㅇ? 이방카 트럼프(175.121) 12:55 19 0
2324769 서울은 산 깍고 평탄화 하고 건물 지은거고 [4] 도갤러(223.38) 12:54 47 1
2324768 대구가 조선시대때부터 왕이 살던곳임 [1] 대구(106.101) 12:53 24 2
2324767 잘사는 순위 전국 시도별 종합소득 순위 ㅇㅇ(223.39) 12:52 24 0
2324765 경축) 대구 신공항 국비로 지원!!!! [1] 대구(106.101) 12:49 36 3
2324764 산동네는 서울 전문 아니냐 도갤러(175.223) 12:48 41 2
2324762 자 니가 정부다 도갤러(168.235) 12:46 34 2
2324761 [이상렬의 시시각각] 부자와 인재가 떠나는 나라 ㅇㅇ(203.232) 12:46 19 1
2324760 국내 호텔 시티뷰 최강자는 여기지 오렌즈네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2:43 41 1
2324759 대구시민들 가덕도신공항 이용 염원하네 [7] 피자2021(211.36) 12:35 140 11
2324758 칠라할배 대구깐다고 하루 10시간씩 소비하는듯 이방카 트럼프(175.121) 12:25 23 1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