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kt 롤스터 운명 가를 1일차 한중전...관전 포인트는?

데일리e스포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3.10.17 13:11:50
조회 51 추천 0 댓글 0

스위스 스테이지 첫 날 가장 큰 빅매치는 역시 유일한 한중전인 kt 롤스터와 빌리빌리 게이밍(BLG)의 대결이다.

kt는 19일 서울 강서구 KBS 아레나에서 펼쳐질 스위스스테이지 1라운드에서 빌리빌리 게이밍을 상대로 롤드컵 첫 일정을 시작한다. 스위스 스테이지로 바뀌면서 첫 경기의 중요성이 더욱 커진 가운데, 첫 승을 따내지 못하는 팀은 이변의 희생양이 될 가능성이 한 순간에 커지는 중요한 매치다.

◆국가대표 탑솔러 매치...'기인' vs '빈'
양 팀에서 가장 눈길을 끄는 라인은 역시 두 국가대표가 맞붙는 탑 라인이다. '기인' 김기인은 지난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게임에서 시범종목이던 LOL 국가대표로 출전해 은메달을 따낸 바 있다. '빈' 천쩌빈은 최근 열린 2022 항저우 아시안게임에서 중국 국가대표팀으로 출전해 동메달을 따냈다.

국가대표로 나설 만큼 기량이 좋은 두 선수다보니, 탑에 거는 기대도 남다르다. 하지만 두 선수의 플레이스타일은 약간은 다르다. 김기인은 조금 더 육각형에 가까운 선수라면, '빈'은 날카로운 창을 연상하게 한다. 김기인이 서머 시즌 가장 많이 보여준 모습은 먼저 레넥톤을 픽한 뒤 초중반 강력함을 바탕으로 상대 턴을 빼주는 모습이다. 반면 '빈'은 정글러를 본인 쪽으로 부르면서 공격적으로 라인전을 수행하는 것을 더 즐겨하는 선수다. 물론 '빈' 역시 메타에 따라 플레이하기 때문에 서머 시즌은 스프링 시즌에 비해 레넥톤이나 크산테 같은 탱커의 플레이 비중이 크게 늘긴 했지만, 그럼에도 공격적인 성향을 가진 선수라는 것을 부정하기는 어렵다.

물론 김기인 역시 공격적인 플레이를 못 하는 선수는 아니다. 탑솔러 중 후픽을 줬을 때 가장 맛있게 활용할 수 있는 선수 중 하나다. 실제로 김기인이 플레이오프 단계에서 보여준 탑 라이즈는 그야말로 대장군의 포스를 내뿜었고, 퀸이나 피오라로도 2승 씩을 챙기면서 강한 임팩트를 보였다. 캐리 롤을 못하는 것이 아니라, 팀의 요구에 맞춰서 플레이하는 영리한 탑솔러가 김기인이다.

플레이-인 단계에서 보여진 경기들에서 탑의 중요성이 더욱 늘어났기 때문에 두 탑솔러의 대결에 더욱 주목도가 올라간다. 각지의 정규시즌에서 탑이 거의 '자동사냥' 모드에 놓여지면서 1대1 라인전에 치중한 반면, 플레이-인 단계에서는 탑에도 활발한 갱킹이 이뤄지고 라인전 균형이 무너지면서 경기 승패에 큰 영향을 미치는 형국이 자주 드러났다. 등장한 챔피언 역시 오른이나 사이온 같은 퓨어 탱커들은 사라지고 잭스, 크산테, 럼블, 아트록스 등 후반에도 힘을 발휘할 수 있는 챔피언들이 많이 등장했다. 또 밴픽 상으로도 기존 블루 진영 선호도가 몹시 높았던 상황에서, 레드 진영과의 밸런스가 맞는 상황으로 변하면서 레드 진영에서 탑 5픽을 준비하기 좋은 상황이 조성됐다.

결국 두 정상급 탑솔러 간의 매치에서 우위에 서는 팀이 팀적으로도 크게 앞서나갈 가능성이 높다. 특히 BLG의 경우 메인 승리 플랜 중 하나가 '빈'의 성장이기 때문에 더욱 그러하다. 밴픽 진영 선택권이 상위 시드인 BLG에게 있는 상황에서, 어떤 구도로 밴픽이 진행될지 또 그 구도에서 김기인이 '빈'을 봉쇄하고 팀을 승리로 이끌 수 있을지가 하나의 관전포인트가 될 것이다.

◆ kt 총사령관 '리헨즈', 승리 진두지휘 할 수 있을까
2023년 서머 정규 시즌 MVP는 '리헨즈' 손시우다. 손시우는 정규 시즌 내내 kt의 승리 1옵션을 수행했다. 당시 손시우는 노틸러스나 라칸 등 소규모 교전이 능한 챔피언을 활용해 '커즈' 문우찬과 함께 돌아다니면서 교전을 만들고 게임을 굴려냈다. 아무도 손시우의 정규시즌을 보고 MVP에 대해 의문을 품지 않았다.

그러나 플레이오프에선 달랐다. 플레이오프에서 손시우가 노출한 문제점은 크게 두 가지로 요약된다. 첫 번째는 탱커형 챔피언이 사라진 상황에서 팀의 승리 플랜 자체가 함께 봉쇄되는 것이다. 실제로 T1은 kt를 상대하면서 손시우가 선호하는 서포터 챔피언을 집중 견제했고, 이후 룰루 등을 활용하면서 라인전부터 강하게 손시우를 압박했다. 손시우 역시 플레이오프 단계에서 본인의 시그니처 픽 중 하나인 신지드 서포터 등을 활용하면서 이를 돌파하고자 했지만, 잘 풀리지 않았다. 또 챔피언을 넘어서 본인의 폼 역시 정규시즌보다는 떨어진 모습이었다. 의아한 스킬 활용이나 다소 안일한 위치에서 시야장악을 하다가 잘리는 모습 등 경기 흐름을 바꾸는 아쉬운 플레이가 나왔다. 팀의 승리 플랜에서 큰 부분을 도맡는 손시우가 봉쇄되자 kt 역시 정규시즌의 파워를 그대로 내지 못했다.

따라서 13.19 패치로 처음 진행되는 월즈에서도 손시우가 승리의 선봉장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느냐가 중요할 전망이다. 특히 서머 시즌에 비해 월즈에서 지금까지 보여진 메타는 바텀 라인전보다 상체 싸움이 중요한 메타다. 등장하는 챔피언 역시 라칸이나 노틸러스, 알리스타나 블리츠크랭크 등 등장하는 챔피언 역시 손시우가 선호하는 챔피언 풀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다시 말하자면 손시우가 가장 좋은 경기력을 펼칠 수 있는 메타에 가까운 것이 플레이-인에서 지금까지 보여진 메타라는 뜻이다. 과연 손시우가 물 만난 고기처럼 월즈 첫 경기에서 기량을 만개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 현지 적응, 메타 적응...BLG의 폼 의문부호 붙는다?
kt의 맞상대인 BLG는 강력한 상대이긴 하지만 100% 경기력을 장담할 수는 없는 상태다.

BLG의 강력함은 국내 팬들에게도 익히 잘 알려져 있다. LPL 대표로 MSI에 나와 한국 대표 두 팀을 모두 잡아냈으며, 그 다음에 펼쳐진 서머 정규시즌에서도 압도적인 모습으로 1위를 차지했다. 비록 우승은 징동 게이밍에게 내줬지만, 전력 상으로 봤을 때 이번 월즈의 우승 후보 중 한 팀으로 꼽힐 만한 팀이다.

그러나 BLG의 경기력이 정규시즌 때 같지는 않을 가능성이 크다. 가장 큰 이유는 역시 아시안게임이다. 항저우에서 열린 이번 아시안게임에 중국은 사활을 걸었다. 약 한 달 전부터 합숙 훈련을 진행했으며, 롤드컵 패치가 아닌 13.12 패치로 훈련을 진행했다. BLG에는 '빈'과 '쉰' 펑리쉰, '엘크' 자오자하오 등 3명의 국가대표가 포함되어있다. 한 달 전부터 롤드컵을 준비해온 kt에 비해 롤드컵 버전에 적응이 덜 되어 있을 수 밖에 없다. 또 멘탈적으로도 자국에서 열린 아시안게임에서 동메달에 그쳤기 때문에 한국 국가대표보다도 좋지 않은 상황이다.

실제로 BLG는 다른 팀들과 다르게 한국에서 부트캠프를 진행하지 않은 채 메타 적응에 몰두하는 선택을 보여줬다. 당시 BLG 매니저의 입장에 따르면, 아시안 게임과 월즈 공식 촬영을 모두 마치자 의무 출국일인 10월 15일까지 단 9일 밖에 남지 않은 상황이었고 여러 버전을 넘나든데다가 5인이 합을 맞춘 지도 오래 된 상황이라 훈련이 필요한 상황이었다. 이런 상황을 고려해 익숙한 환경인 중국에서 빠르게 연습에 몰두했다는 것이 BLG 측의 입장이다. 다만 국내에서 부트캠프를 진행한 타 팀에 비해 한국 현지 적응 이슈나 컨디션 관리 측면에서는 다소 불리할 수도 있는 상황에 놓인 것 역시 확실해 보인다. 또 관계자들의 스크림 평가를 종합해보면 현재 BLG의 경기력 자체가 높은 상태는 아닌 상황으로 보이기도 한다.

반면 kt는 아시안 게임에 참가한 선수도 없고, 자연스럽게 선발전이 종료된 지난 8월 말 이후로 팀 합을 맞추며 월즈에 대비할 충분한 시간이 있었다. 또 국내에서 펼쳐질 롤드컵인 만큼 현지 적응에 대한 이슈도 전혀 없는 상황이다. 다시 말해 외부적인 조건은 kt에게 호재로 작용할 전망이다.



허탁 기자 (taylor@dailyesports.com)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본업은 완벽해 보이지만 일상은 허당일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5/02/17 - -
3868 최인규 감독, "BO5 치르면서 좋은 데이터와 경험 쌓는 중" 데일리e스포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6 12 0
3867 15일 만의 경기 '룰러' 박재혁, "경기 감각 영향 없었다" 데일리e스포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6 13 0
3866 '딜라이트' 유환중, "끝까지 집중력 잃지 않은 덕분에 승리" 데일리e스포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6 32 0
3865 감동적인 연주로 게임 음악 공연 새 기준 된 '니케' 첫 콘서트 [9] 데일리e스포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6 4063 3
3864 '피셔' 이정태, "반전 있는 결말 보여주겠다" 데일리e스포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5 56 0
3863 [인터뷰] '니케' 주종현 디렉터 "게임 서사의 감동, 오케스트라 콘서트에 담았다" 데일리e스포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5 75 0
3862 [LPL 돋보기] '도인비' 김태상, "선수 복귀...내가 살아있는 이유" 데일리e스포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4 92 0
3861 '제카' 김건우, "다른 조커 픽으로 다음 경기 승리할 것" 데일리e스포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4 84 0
3860 '오너' 문현준, "단두대 매치 패배, 아직도 여운 남아" [28] 데일리e스포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4 7561 9
3859 T1 vs 한화생명 LCK 컵, 최고 동시 시청자 수 190만 돌파 데일리e스포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4 92 0
3858 최인규 감독, "첫 5전제 '피어리스' 승리...얻어가는 거 많았다" 데일리e스포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3 1713 4
3857 '바이퍼' 박도현, "T1과 대결, 상대 페이스 말리지 말아야" [5] 데일리e스포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3 5088 8
3856 kt 잡은 농심 박승진 감독, "밴픽서 승부수...잘 됐다" 데일리e스포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2 78 0
3855 완패한 '비디디' 곽보성, "스크림할 때 허상 같다는 느낌 많이 받아" 데일리e스포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2 124 0
3854 농심, kt 전 11연패 탈출... LCK 컵 PO 2R 진출 데일리e스포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2 1525 3
3853 '엄티' 엄성현, "(최)우범 감독님 그만 우울하세요" [6] 데일리e스포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11 2136 0
3852 T1 김정균 감독, "후회 안 남는 경기 했으면 한다" 데일리e스포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8 234 0
3851 T1, 농심 꺾고 4시드로 LCK 컵 PO 진출 데일리e스포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8 219 0
3850 DRX 김상수 감독, "'강팀 상대로 경험치 얻는 거 값지고 소중" 데일리e스포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7 236 0
3849 '유칼 쿼드라킬' DRX, LCK 컵 플레이-인 2R 진출 데일리e스포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7 236 0
3848 '기드온' 김민성, "공격적으로 주도? 팀원들이 잘해줘서" [1] 데일리e스포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7 5849 1
3847 서든어택, 전국 순회 PC방 투어로 2025년 시동 건다 [14] 데일리e스포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3 6881 2
3846 퍼블리셔 선언 '팔월드' 개발사, 만남 요청 2000건 이상 몰린 이유는 [12] 데일리e스포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3 7756 6
3845 넷마블, 대학생 서포터즈 '마블챌린저' 23기 모집 데일리e스포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3 336 0
3844 컴투스, 'MLB 9이닝스 25' 한국-대만 원스토어 출시 [1] 데일리e스포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3 337 0
3843 2025년 기대감 높은 넷마블...명작 퍼블리셔 자리 되찾을까 [8] 데일리e스포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3 6938 1
3842 넷마블 엠엔비, '쿵야 레스토랑즈' 무드등·블럭 캘린더 등 상품 출시 데일리e스포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3 286 0
3841 몬스터 헌터 나우, '몬스터 헌터 와일즈' 컬래버 이벤트 2탄 진행 [3] 데일리e스포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3 4998 0
3840 WWE 2K25, 3월 중 출시…예약구매 시작 데일리e스포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3 261 0
3839 서머너즈 워: 크로니클, 인기 애니메이션 '오! 나의 여신님'와 컬래버레이션 데일리e스포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3 239 0
3838 웹젠, 2024년 사회공헌 프로그램에 청소년 3740명 참여 데일리e스포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3 224 0
3837 앵커노드, '카드 오브 레전드' 스토브-스팀으로 얼리 액세스 출시 데일리e스포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3 228 0
3836 밸로프, 엔에이케이소프트와 전략적 제휴 체결 데일리e스포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3 217 0
3835 BNK 피어엑스 유상욱 감독, "LCK 컵 전패...많은 책임감 느껴" 데일리e스포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3 221 0
3834 '페이커' 이상혁, "'구마유시', 멋있는 모습으로 돌아올 거로 생각" [11] 데일리e스포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3 2959 8
3833 T1 김정균 감독, "'구마유시'-'스매시' 활용? 당일 로스터 보면 돼" [13] 데일리e스포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2 7928 9
3832 '스매시' 신금재, LCK 컵 젠지 전 선발...3연속 출전 데일리e스포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2.01 295 0
3831 kt로 돌아온 '커즈' 문우찬, "올해 목표는 롤드컵 진출" [3] 데일리e스포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30 5232 5
3830 '제카' 김건우의 다짐, "또 한 번의 LCK 우승이 목표" [15] 데일리e스포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29 6557 3
3829 [설 기획] '쵸비'부터 '캐니언'까지…재미로 보는 '뱀띠' e스포츠 스타 신년 운세 [19] 데일리e스포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28 7245 5
3828 LCK 스타들의 을사년(乙巳年) 설은?…4인 4색 설 계획 [2] 데일리e스포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27 10162 1
3827 OK 저축은행 최우범 감독, "경기 패했지만, 경기력 가능성 보여줘" 데일리e스포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26 380 0
3826 김정균 감독, "'스매시' 전투 시 각을 잘 보는 듯" 데일리e스포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26 418 1
3825 농심 박승진 감독, "2세트 '페이커'의 선픽 예상 못했다" 데일리e스포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26 386 1
3824 T1 '스매시' 신금재, 농심 전 선발...2연속 출전 데일리e스포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26 372 1
3823 DK '베릴' 조건희, "상승세 가장 큰 이유는 '팀원 간 조화'" [9] 데일리e스포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26 8408 20
3822 DN 정민성 감독, "'풍연' 선발 출전 이유는…" 데일리e스포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25 345 0
3821 '제우스' 최우제가 말한 훈련소 생활과 '복면가왕' [1] 데일리e스포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25 612 0
3820 T1 김정균 감독이 밝힌 '스매시' 신금재 선발 출전 이유 [15] 데일리e스포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25 8192 10
3819 kt 고동빈 감독, "스카너를 풀어준 이유는…" 데일리e스포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01.24 346 0
뉴스 '나솔사계' 22기 순자, 눈물 나는 ‘워킹맘’ 일상…두 아들 위해 마련한 보금자리 디시트렌드 02.16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