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연관 갤러리
판타지 갤러리 타 갤러리(0)
이 갤러리가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타 갤러리 판타지 갤러리(0)
이 갤러리를 연관 갤러리로 추가한 갤러리
0/0
개념글 리스트
1/3
- "이웃 때려죽인 중3, 태연히 고교 입학"…분노한 유족.jpg ㅇㅇ
- 훌쩍훌쩍 스스럼없던 시절 ㅇㅇ
- 분노주의)국민연금은 존재해야 한다는 유튜버 조선인의안락사
- 일본 고졸 구인배수 4.26 최고치 달성 ㄷㄷ ㅇㅇ
- 대정후 2루타 + 3루스틸 + 득점.webp 버오
- 尹 두번째 인사 메시지 ㅇㅇ
- 5년간 역주행만 1,457건..."당황스럽고 억울해" 마스널
- 훌쩍훌쩍 한반도 고대~중세 파괴된 건축물 모음 백과사진첩
- 싱글벙글 인터뷰로 밝혀진 신작 프롬게임 화방녀.jpg sakuri
- 남편과 잠자리를 잡기 위해 야한 속옷도 입어보고 전 남친도 만나봤다는한녀 갓럭키
- 日택시기사, 20대 여성의 돈을 빼앗고 성폭행까지 (도쿄 아다치구) 난징대파티
- ai가 생성해준 로마인들...jpg 수류탄이야
- 싱글벙글 일일 집콕.manhwa 타원형플라톤
- 「내가 다녀온 마츠리」교토 오쿠리비/도월교 등롱나가시 하루카나
- 더 지니어스4 치지직 진출 기념 지니어스 플레이어 순위 ㅇㅇ
'대구 병원 신생아 학대 피해' 父는 MMA 챔피언…"jpg
- 관련게시물 : 대구가톨릭대학교병원 신생아 학대 사건 근황...jpghttps://m.news.nate.com/view/20250406n04870?issue_sq=10812 '대구 병원 신생아 학대 피해' 父는 MMA 챔피언…"왜 그랬는지 묻고싶다" : 네이트 스포츠한눈에 보는 오늘 : 일반 - 뉴스 : [이데일리 스타in 허윤수 기자] 최근 대구가톨릭대병원에서 벌어진 중환자실 신생아 학대가 사회적 지탄을 받는 가운데 해당 신생아의 아버지가 참담한 심경을 밝혔다.대구가톨릭대병원 간호사들이 SNS에 올린 사진. 사진=피해 신생아 아버지 제공대구가톨릭대병m.news.nate.com와... 진짜 악마를 보았다 - 의외의외 신생아 학대 간호사 의외인 점
작성자 : ㅇㅇ고정닉
AI 에너지, 물 사용량 음모론 완전 반박.jpg
대표적인 음모론 1. ChatGPT는 구글 검색보다 10배 더 많은 에너지를 쓴다 2. AI에 대화하는 에너지의 양은 존나 막대하고 미친 수준의 전기를 잡아먹는다 3. AI는 물 먹는 하마다. 물을 증발시킨다(?)에 대해서 AI를 통해 알아보자.선요약) 좆도 아니다1. ChatGPT는 구글 검색보다 10배 더 많은 에너지를 쓴다→ 맞는데 틀림 (뭔 개소리냐 생각이 들면 아래 내용을 읽어보자...)"10배 차이" 주장의 근원 추적:UN, IEA 등의 보고서에서 인용되는 "챗봇 2.9Wh vs 구글 검색 0.3Wh" 주장은 2023년 초 알파벳 회장의 "아마도(likely) 10배 더 들 것"이라는 추측성 발언과, 이를 뒷받침하는 SemiAnalysis의 분석에서 시작됩니다.구글 검색(0.3Wh): 이 수치는 2009년 구글 블로그 자료에 기반한 것으로 매우 오래되었습니다. 최신(2024년) 추정치는 약 0.04Wh로, 10배 가까이 효율이 개선되었습니다.챗봇(2.9Wh): SemiAnalysis의 분석은 평균 응답 토큰 수를 2,000개로 가정했는데, 이는 일반적인 대화형 챗봇 사용 시의 응답 길이(약 200 토큰)보다 10배 가량 깁니다. 에너지 소비는 출력 토큰 수에 비례하므로, 이 추정치 역시 과장되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더 현실적인 챗봇 에너지 추정치 (0.2Wh):2023년 10월 발표된 "From Words to Watts" 논문 등 최신 연구에서는 실제 하드웨어 측정을 통해 토큰당 에너지 소비량을 계산했습니다.LLaMA 65B 모델 기준, 평균적인 챗봇 상호작용(약 200 토큰) 시 약 0.2Wh의 에너지를 소비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앞서 SemiAnalysis 추정치를 현실적인 응답 길이에 맞게 조정한 값과도 일치합니다.결론: "10배 차이"는 맞지만, 숫자는 훨씬 작다!구글 검색(0.3Wh -> 0.04Wh)과 챗봇(2.9Wh -> 0.2Wh) 모두 과거 추정치보다 약 10배 정도 에너지 효율이 개선되었습니다.따라서 비율 자체(약 5~10배 차이)는 여전히 비슷할 수 있지만, 실제 절대적인 에너지 소비량은 훨씬 작습니다. (0.2Wh vs 0.04Wh)절대적인 양: 설령 챗봇을 하루 100번 사용해도(20Wh), 이는 가솔린 자동차로 약 30미터 운전하는 에너지와 비슷합니다. 1년 내내 사용해도 자동차로 가까운 식당 한 번 왕복하는 수준.2. AI에 대화하는 에너지의 양은 존나 막대하고 미친 수준의 전기를 잡아먹는다→ 구라챗봇 연간 에너지 소비량 추정:일반적인 텍스트 기반 챗봇(GPT-4급)과의 상호작용 1회당 약 0.2Wh 소모.하루 100회 상호작용(예: 10번의 대화, 각 10번의 메시지 교환)을 "매일" 한다고 가정하면, 연간 약 7.2kWh 사용.일상 활동과의 비교:🚗 자동차(가솔린) 10km 주행: 약 7.6kWh 소모 (챗봇 1년 사용량보다 많음)🚿 따뜻한 물 샤워 5번 (각 5분): 약 8kWh 소모 (챗봇 1년 사용량보다 많음)🛁 따뜻한 물 목욕 2번: 10kWh 이상 소모 (챗봇 1년 사용량보다 훨씬 많음)결론 및 제언:일반적인 챗봇 사용으로 인한 에너지 소비는 '에너지 재앙' 수준과는 거리가 멀다.챗봇 에너지 사용을 걱정하기보다, 짧은 거리 운전 대신 걷거나, 샤워 시간을 조금 줄이거나, 목욕 대신 샤워를 하는 등 다른 일상 활동에서 에너지를 절약하는 것이 훨씬 효과적이다. 이런 작은 노력으로도 챗봇 연간 사용량을 충분히 상쇄할 수 있다.3. AI는 물먹는 하마다. 물을 증발시킨다(?)→ 구라흔한 오해와 진실:"ChatGPT 50번 질문 = 물 0.5L 소모" 주장의 오류: 이 주장은 원본 연구를 오해한 것입니다.실제로는 질문 1개가 아니라 20~50개 질문당 0.5L라는 의미였습니다.더 중요한 것은, 이 수치에는 데이터센터 냉각수(On-site, 약 15%) 뿐만 아니라, AI 구동에 필요한 전기를 생산하는 데 사용된 물(Off-site, 약 85%)과 모델 훈련에 사용된 물을 분할 계산한 양까지 포함된다는 점입니다.따라서 데이터센터에서 직접 사용하는 냉각수만 따지면 약 300번의 질문당 0.5L 수준으로 훨씬 적습니다.모든 온라인 활동은 물을 사용합니다: AI뿐만 아니라 이메일 전송, 사진 업로드, 온라인 쇼핑, 음악 스트리밍, 화상 통화 등 모든 인터넷 활동은 전기를 필요로 하며, 대부분의 전기 생산 과정(화력, 원자력 등)에서 냉각 등을 위해 막대한 양의 물이 사용됩니다. (이를 '에너지-물 넥서스'라고 합니다.)ChatGPT 물 사용량, 실제 규모는?일관된 기준으로 비교 시: 다른 온라인 활동과 동일한 기준(전기 생산 물 포함)으로 ChatGPT 질문 1회의 물 사용량은 약 30mL입니다.다른 활동과의 비교:온라인: 앱 다운로드(40mL), 전자상거래 구매(170mL), 음악 스트리밍 1시간(250mL), GPS 사용 1시간(260mL), 소셜 미디어 탐색 1시간(430mL), Zoom 통화 1시간(1720mL), 4K 비디오 10분 시청(2580mL) 등 많은 일상적인 온라인 활동보다 적거나 비슷한 수준입니다.오프라인: 햄버거 1개 생산(약 2500L 또는 660갤런)에 비하면 ChatGPT 수십만 번 질문의 물 사용량은 극히 미미합니다. 미국 내 누수되는 파이프에서 하루 동안 낭비되는 물의 양이 전 세계 ChatGPT 하루 사용량보다 훨씬 많습니다.모델 훈련 비용: GPT-4 훈련에 많은 물(약 10억 리터)이 들었지만, 이를 수천억 건의 질문으로 나누면 질문당 추가되는 물 사용량은 약 5mL (기존 대비 +16%) 정도로 크지 않습니다.맥락의 중요성:데이터센터 vs 농업: 데이터센터의 물 사용이 특정 지역의 수자원에 부담을 줄 수는 있지만, 농업(특히 축산업)에 비하면 사용량도 훨씬 적고 수질 오염도 덜 유발합니다. (미국 소고기 생산의 약 20%가 물 부족 지역에서 이루어짐)태양광의 이점: 물 부족 지역의 데이터센터는 물을 거의 사용하지 않는 태양광 발전을 활용할 가능성이 높아, 오히려 전체적인 물 사용량 감소에 기여할 수도 있습니다.과도한 걱정은 본질을 흐린다: 개인의 ChatGPT 물 사용량을 걱정하는 것은, 마치 디지털 시계의 물 사용량(전기 생산 과정 포함 시 상당량)을 걱정하는 것과 비슷합니다. 기후 변화나 물 부족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에너지 전환, 농업 방식 개선 등 훨씬 큰 규모의 시스템 변화에 집중해야 합니다.덤) 일러스트레이터와 AI 이용자 환경오염 비교- 평범한 사용자가 AI 챗봇에게 하루 100번의 질문/답변을 주고받는다 가정하면 20Wh- 일러스트레이터 : 전문가용 4K 모니터(혹은 듀얼 모니터)를 하루 8시간 이상 사용. 여기에 타블렛, 스캐너, 프린터, 작업실 조명 등의 에너지 소모도 더해지면, 모든 기기가 소비하는 전력은 하루에 수백~수천 Wh. + 여기에 수채화 물감 사용, 붓 세척, 종이 생산(종이 1톤 생산에 수만 리터의 물 필요) 등 작업 과정 자체에서 직접 물을 사용 + 추가로 종이, 물감, 잉크 등 각종 미술 재료 소모 및 폐기물 발생하는 것까지 합치면 환경적인 부분에 있어서 훨씬 더 안 좋음
작성자 : ㅇㅇ고정닉
싱글벙글 세상의 절반으로 불리던 도시
도시의 역사를 공부하면 꼭 한번쯤은 등장하는세상 모든 아름다움의 절반을 그곳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라 하여세상의 절반으로 불리던 도시이란 중부에 위치한 이스파한이스파한은 이미 청동기 시대부터 인류가 도시를 형성한 곳으로 고대 메디아에서는 아스판다나중세 페르시아에서는 스파한 (군 병영이라는 뜻)그리고 이슬람 시대에서는 이스파한으로 불려 오늘날까지 그 이름이 전해지는 곳임.이 도시는 이전에도 '군대의 집결지'였거나 '상공업의 중심지'로 크게 번영하였기도 하지만이스파한의 최고 전성기는 단연 사파비 왕조 페르시아 시절로,명군 아바스 1세는 1589년부터 1620년까지자그로스 산맥의 동쪽 구릉지대에 있는 이곳을 개척하여 제국의 수도로 정함.* 아바스 1세는 이란인들에게 '대제'로 불림.샤한샤의 거주지인 동시에 궁과 가로수길, 정원, 사원을 건설하기 위해 계획된 이 도시는 유럽식 도시와는 완전히 다른, 그 어디서도 찾아볼 수 없는 독특함을 자랑하는데이 도시를 방문한 유럽의 외교사절들은 이스파한을 '동양의 천국'에 비유하였음.(고귀함을 과시하기 위해 인위적으로 건설된 이 도시는 현대에도 탁월한 도시계획의 성과물로 인정받음.)* 이 도시에는 100만명의 인구가 거주하였고, 102개의 모스크와 273개의 공중목욕탕이 있었음.자얀데 강가에 자리를 정한 아바스 1세는 북쪽으로 3km 정도 올라간 곳에 너른 광장을 새롭게 만들었는데풀로 뒤덮인 공원과도 같은 곳이었으며 왕궁과 두 개의 아름다운 모스크가 그 광장을 내려다 보게 함.광장은 그 자체로 의식을 거행하거나 퍼레이드나 폴로 게임을 위한 장소가 되었는데(폴로는 고대 페르시아 기원 스포츠임)직사각형 공간은 끝이 뾰족한 2층짜리 아케이드로 둘러싸여 있으며광장 주변에는 맑은 물이 흐르는 운하를 건설하고 대리석으로 장식했음.참고로 이 광장의 본래 이름은 '왕의 광장'이었으나 개슬람 혁명 이후 '이맘(성직자) 광장'으로 바뀜...이 광장을 둘러싸고 둥근 지붕이 반쯤 덮인 시장,그랜드 바자르가 있는데,이탈리아의 비토리오 갤러리아와 흡사하다는 평가를 받음.* 이 '그랜드 바자르'는 프랑스의 파이앙스 도자기 양식으로 장식했다는 특징이 있음.또한 이 지역은 2마일에 달하는 거대한 가로수길로 강과 연결되어 있는데이 가로수길은 분수, 연못, 나무 등으로 화려하게 장식되었고 도로 앞에는 귀족들의 저택이 늘어섰는데이 저택들 또한 대단히 아름답다는 평가를 받음.가로수길의 끝자락에는 최소한 33개의 아치로 엮인우아한 2층 돌다리가 있어서 구시가지와 신시가지를 연결해주었는데 위의 시오세 다리가 세워지고 나서 몇년 후 두 번째 다리인 카주 다리가 하류에 설치되어 댐으로서의 역할까지 담당함* 2층은 샤한샤의 주연을 위한 테라스로 사용됨 알리 카푸 궁전이맘 광장의 맞은 편에 위치하며 샤한샤가 외국 귀빈들을 맞이하는 용도로 지어짐체헬 소툰 궁전알리 카푸 궁전에서 조금 떨어진 곳에 위치한 궁전으로 '40개의 기둥'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는데사실 이 궁전의 기둥은 사실 20개 밖에 없지만 궁전 앞에 있는 기둥들이 연못에 비치면 40개로 보이기 때문에 붙은 이름이라고셰이크 롯폴라 모스크왕실을 위한 모스크로 태양빛에 따라 다양한 색을 반사하는 돔이 매우 아름다운 곳임이맘 모스크(前 샤(王) 모스크)사파비 왕조의 야심찬 건축 프로젝트의 정점으로 평가받으며전체 이슬람 문명에서 가장 아름다운 건축물로 평가되는 경우 또한 있는 모스크위 모스크는 완성하기까지 26년의 세월이 걸렸으며 1천 8백만 개의 벽돌과 150만개의 타일이 사용되었음* 웅장한 입구와 세 개의 기도실, 돔과 미나레트는 소용돌이 치는 아라베스크 문양과 명필이 새겨져 화려한 모자이크 양식으로 장식됨* 더구나 모스크를 지진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장력을 조절하는 정확하고 뛰어난 내진 설계 기술까지 동원됨* 그뿐 아니라 특정 아치의 기둥들은 한 치의 오차도 없이 낮 기도시간에 맞춰 해시계에 그림자를 드리움반크 교회오늘날에도 6만명 정도의 아르메니아 주민들이 이스파한에 거주하지만사파비 왕조 시절에는 기록에 따르면 30만에 달하는 아르메니아 상인들이 이 도시에 있었음.아바스 1세는 그들을 위하여 이 기독교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 시설을 건설하도록 하였지(아르메니아는 최초의 기독교 국가)반크 교회는 화려한 프레스코 성화가 돋보이는 곳으로이슬람-기독교 혼합 양식의 교회 중 가장 아름다운 교회로 꼽혀* 참고로 교회 맞은 편에 있는 박물관에서는 오스만 제국에 의한 아르메니아인 대학살과 관련한 자료들이 전시되어 있음.이스파한에 있는 한 카페한 주택의 내부이스파한은 카페나 일반 주택같은 경우에도 이렇게 아름다운 자태를 뽐내는 곳이 많음.여행객들의 말로는수도 테헤란이 인도의 델리와 비견될 정도로 복잡하고 정신없지만,이스파한은 노숙자와 개똥이 없는 파리로 불릴 정도로 아름다운 도시라고 함.영어가 잘 안 먹히고, 관광업이 발달하지 않은 단점도 있지만살면서 한번은 꼭 가보고 싶은 도시인 듯.- dc official App
작성자 : 보까치고정닉
차단하기
설정을 통해 게시물을 걸러서 볼 수 있습니다.
댓글 영역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