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비평 쓰기보다 더 재밋고 날로먹는 거

‘파타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4.09.19 19:41:35
조회 57 추천 0 댓글 5
														


24b0d121e09c28a8699fe8b115ef046f5e4b999da8



Here is the translation of the criticism into Korean:


자본주의 리얼리즘의 악몽 영역으로서의 백룸


"백룸"으로 알려진 바이럴 인터넷 현상은 끝없이 단조로운 사무실 공간의 섬뜩한 비전을 제시하며, 이는 후기 자본주의의 심리적 풍경을 완벽하게 포착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바랜 노란 벽지, 윙윙거리는 형광등, 그리고 무한히 뻗어있는 낡은 카펫의 미로 같은 복도로, 백룸은 일종의 연옥적 사무실 공간으로 나타납니다 - 동시에 친숙하면서도 깊이 불안한 경계적 영역입니다. 여러 면에서 백룸은 마크 피셔가 "자본주의 리얼리즘"이라고 명명한 것의 악몽 같은 이면으로 읽을 수 있습니다 - 자본주의가 단순히 지배적인 경제 체제일 뿐만 아니라 상상할 수 있는 유일한 가능한 체제라는 만연한 감각입니다.


피셔는 자본주의 리얼리즘이 "문화의 생산뿐만 아니라 노동과 교육의 규제를 조건 짓고, 사고와 행동을 제한하는 일종의 보이지 않는 장벽 역할을 하는 만연한 분위기"가 되었다고 주장했습니다. 백룸은 이 숨 막히는 분위기를 논리적 극단으로 끌고 가, 모든 현실을 소비해 버린 탈출 불가능한 기업의 평범함의 미로를 제시합니다. 피셔가 주장한 대로 자본주의 리얼리즘이 "세계의 종말을 상상하는 것이 자본주의의 종말을 상상하는 것보다 쉽다"고 상정한다면, 백룸은 자본주의가 실제로 세계의 종말을 넘어 살아남은 세계를 상상합니다 - 인류 문명이 무너진 후에도 일종의 언데드 잔상으로 지속되는 것입니다.


백룸의 미학의 기이한 친숙함은 기업 건축과 디자인이 우리의 집단 무의식을 얼마나 철저히 형성했는지를 말해줍니다. 단조로운 사무실 장식과 형광등은 사무실에서 일하거나 기업 공간을 방문한 사람이라면 누구나 즉시 알아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일반적인 맥락과 기능에서 분리되면, 이러한 평범한 요소들은 기이하고 악몽 같은 특성을 띠게 됩니다. 따라서 백룸은 자본주의 인프라와 미학이 우리의 상상력과 현실 인식을 식민화한 보통 보이지 않는 방식을 가시화합니다.


피셔의 분석에서 자본주의 리얼리즘은 일종의 "반사적 무력감"으로 나타납니다 - 아무것도 정말로 바뀔 수 없으니 왜 노력하느냐는 느낌입니다. 백룸은 이 무익함과 무력감의 감각을 실존적 극단으로 끌고 갑니다. 백룸에 갇힌 사람들은 탈출이나 의미 있는 행동의 희망 없이 끝없이 방황하도록 운명 지어져 있습니다. 동일한 방과 복도의 단조로운 반복은 무목적성과 무익함의 압도적인 감각을 만들어냅니다. 이는 후기 자본주의가 일종의 실존적 권태를 유발할 수 있는 방식을 말해줍니다 - 대안이 보이지 않는 상태에서 충족되지 않는 일상과 무의미한 노동에 갇힌 느낌입니다.


더욱이, 백룸에 다른 사람이나 인간 거주의 흔적이 없다는 것은 현대 자본주의 사회의 원자화와 소외를 반영합니다. 피셔의 관점에서, 자본주의는 사회적 유대와 집단적 정체성을 침식시켜 개인을 고립되고 표류하게 만듭니다. 백룸의 고독한 방랑자는 이 소외된 현대적 주체를 구현합니다 - 타인과 공동체 또는 공유된 목적의 감각으로부터 단절된 채로. 광활하고 빈 공간은 후기 자본주의 사회에서 원자화된 개인의 경험과 공명하는 깊은 외로움을 강조합니다.


흥미롭게도, 백룸 현상은 주로 온라인 공간과 소셜 미디어를 통해 등장하고 퍼졌습니다 - 피셔가 "소통적 자본주의"라고 부른 바로 그 메커니즘을 통해서입니다. 그러나 진정한 연결을 촉진하기보다는, 백룸 콘텐츠의 바이럴한 확산은 자본주의 리얼리즘의 논리를 복제하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 근본적인 구조를 변화시키거나 도전하지 않고 같은 개념의 변형을 끝없이 증식시키는 것입니다. 백룸을 둘러싼 협력적 세계 구축은 자본주의 리얼리즘이 비판과 저항을 자신 안에 포섭하는 능력을 반영합니다.


동시에, 백룸이 불러일으키는 공포와 불안은 일종의 억압된 것의 귀환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 자본주의 리얼리즘의 악몽 같은 이면이 의식으로 솟아오르는 것입니다. 그것의 바이럴한 확산은 우리가 대안을 상상하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동안에도 후기 자본주의의 숨 막히는 본질에 대한 집단적 인식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백룸은 우리의 자본주의 현실 표면 아래에 숨어 있는, 종종 인정되지 않는 공포와 소외를 내장적으로 느끼게 만듭니다.


문화적 기억의 유령이 출몰하는 복도


백룸이 피셔의 자본주의 리얼리즘 개념과 분명히 공명하는 한편, 사이먼 레이놀즈의 "레트로매니아" 개념을 통해서도 생산적으로 분석될 수 있습니다. 같은 이름의 책에서 레이놀즈는 21세기의 문화가 자신의 과거에 집착하게 되어, 새로운 영역으로 나아가기보다는 이전 수십 년의 요소들을 끝없이 재활용하고 재조합한다고 주장합니다. 백룸 현상은 이러한 레트로매니아적 충동을 예시하며, 어렴풋이 친숙하지만 정확히 어디인지 알 수 없는 일종의 복합적 과거를 떠올리게 합니다.


백룸의 미학은 20세기 후반의 기업 디자인과 건축에서 많은 영감을 받았습니다 - 사무실 문화와 큐비클 농장의 전성기 시대입니다. 차분한 색조, 낮은 천장, 형광등 모두 특정 시대의 기업 미학을 떠올리게 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요소들은 추상화되고 맥락에서 벗어나 있어, 과거의 충실한 재현이 아닌 불안한 시뮬라크럼을 만들어냅니다. 이는 레트로매니아가 종종 "기억의 기억"을 포함한다는 레이놀즈의 관찰을 말해줍니다 - 과거와의 직접적인 관여가 아니라, 지나간 시대의 매개된 표현과 재구성과의 관여입니다.


백룸의 기이한 친숙함은 레이놀즈가 "향수의 아픔"이라고 부르는 것을 건드립니다. 그것의 시대에 뒤떨어진 미학에는 불길한 면모를 띠면서도 어떤 위안을 주는 것이 있습니다. 이는 레트로매니아의 양가성을 반영합니다 - 과거에 대한 동시적 갈망과 불편함. 백룸은 우리의 겉보기에 더 단순했던 시절에 대한 향수를 충족시키면서도, 그러한 장밋빛 기억 아래에 숨어 있는 공허함과 공포를 드러냅니다.


중요하게도, 백룸은 특정 시간이나 장소를 재현하지 않고, 오히려 다양한 문화적 기준점에서 조합된 일종의 복합적인 "과거성"을 만들어냅니다. 이는 레트로매니아가 역사를 차별화되지 않은 참조와 영향의 바다로 평평하게 만든다는 레이놀즈의 주장과 일치합니다. 백룸에서는 서로 다른 시대와 미학이 뒤섞여 시간을 초월한 림보 상태가 됩니다. 이는 레이놀즈가 디지털 시대의 "과도한 기록의 위기"라고 본 것을 반영합니다 - 문화의 전체 역사가 손끝에 있어 모든 것이 동시대적이 되고 진정으로 새로운 문화 형태를 만들어내기 어려워집니다.


인터넷 기반 협력 픽션으로서의 백룸의 형식 자체도 레트로매니아의 과거와 현재의 모호함을 말해줍니다. 오래된 미학이 새로운 미디어 형식을 통해 되살아나, 레트로와 최첨단의 기이한 하이브리드를 만들어냅니다. 백룸 콘텐츠에서 인기 있는 입자가 거친 VHS 스타일의 발견 영상은 이 옛것과 새것 사이의 긴장을 완벽하게 구현합니다 - 디지털 도구를 사용해 구식 아날로그 미디어의 모습을 재현하는 것입니다.


더욱이, 백룸의 끝없고 미로 같은 특성은 이제 우리가 이용할 수 있는 압도적인 과거 문화의 아카이브에 대한 은유로 읽을 수 있습니다. 레이놀즈는 인터넷이 앞으로 나아가기보다는 문화적 과거를 끝없이 탐험할 수 있는 "초정체" 상황을 만들었다고 주장합니다. 마찬가지로, 백룸에 갇힌 사람들은 그 무한한 복도를 방황하도록 운명 지어져 있으며, 빠져나갈 길 없이 문화적 기억의 미로에서 길을 잃습니다. 백룸의 공포는 부분적으로 과거에서 벗어날 수 없다는 감각에서 비롯됩니다 - 역사와 향수의 축적된 무게에 짓눌린 채로.


동시에, 백룸의 불안한 특성은 아마도 레트로매니아의 한계에 대한 무의식적 인식을 나타낼 것입니다. 그 기이한 공간들은 과거를 진정으로 재창조하거나 그곳으로 돌아갈 수 없음을 드러냅니다. 대신, 우리는 향수보다는 악몽에 가까운 왜곡된 펀하우스 거울 버전만을 갖게 됩니다. 이런 방식으로, 백룸은 실제로 레트로매니아에 빠져드는 위험성에 대한 일종의 경고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 시뮬레이션과 재구성을 역사와의 진정한 관여로 오해하는 것에 대한 경고입니다.


혼톨로지적 공간으로서의 백룸


자크 데리다가 발전시키고 피셔가 확장한 혼톨로지 개념은 백룸을 분석하는 또 다른 유용한 렌즈를 제공합니다. 혼톨로지는 현재가 잃어버린 미래의 유령적 버전들에 의해 유령처럼 출몰되는 방식을 가리킵니다 - 선택되지 않은 경로와 차단된 가능성의 유령들입니다. 백룸은 잃어버린 미래와 실패한 유토피아에 대한 우울한 감각으로 가득 찬 전형적인 혼톨로지적 공간으로 읽을 수 있습니다.


백룸의 기업 사무실 미학은 결코 완전히 실현되지 않은 특정한 미래의 비전을 떠올리게 합니다 - 20세기 중반 모더니즘의 질서 있고 합리적인 세계입니다. 그러나 이 미학적 이상은 공허하고 악몽 같은 것으로 드러나며, 모더니즘의 유토피아적 야망의 실패를 암시합니다. 동일한 방과 복도의 끝없는 반복은 표준화와 효율성의 실현되지 않은 약속을 말해줍니다. 진보의 빛나는 신전이 되어야 했던 것이 연옥적 미로로 퇴화했습니다.


더욱이, 백룸은 노동 자체의 유령 - 또는 오히려 불안정성과 긱 경제 시대의 안정적인 고용과 경력 궤도의 상실 - 에 의해 유령처럼 출몰됩니다. 빈 사무실들은 대량 해고, 자동화, 그리고 기업 세계의 공동화를 암시합니다. 백룸을 방황하는 사람들은 사라진 경제의 폐허를 유령처럼 떠도는 실직자들의 유령과 같습니다. 이는 자본주의 리얼리즘 하에서의 "미래의 느린 취소"에 대한 피셔의 글과 공명합니다 - 의미 있는 변화나 진보의 가능성이 차단되었다는 감각입니다.


백룸 이미지에 때때로 묘사되는 구식 기술 - 덩치 큰 컴퓨터 모니터, 오래된 전화기, 팩스 기계 - 은 이 잃어버린 미래의 감각을 더욱 강조합니다. 이 구식 장치들은 버려진 기술 발전 경로의 무언의 증거로 서 있습니다. 그들은 피셔가 "변형 없는 일시성"이라고 부른 것을 구현합니다 - 결코 실제 진보나 변화로 이어지지 않는 끊임없는 교체와 구식화의 세계입니다.


중요하게도, 백룸은 정상적인 시간 밖의 공간입니다 - 과거와 미래 모두로부터 단절된 영원한 현재입니다. 이는 피셔가 후기 자본주의의 "시간적 병리"로 식별한 것을 말해줍니다 - 그것이 우리의 역사적 연속성과 미래 지향적 사고의 감각을 부식시키는 방식입니다. 백룸에 갇힌 사람들은 기억과 기대 모두로부터 단절된 일종의 시간을 초월한 림보 상태에 존재합니다. 이는 자본주의 하에서의 불안정성의 경험을 반영합니다. 장기적 계획이 불가능해지고 우리는 영원하고 불안한 현재에 갇히게 됩니다.


수많은 창작자들이 자신만의 방, 레벨, 설정을 추가하는 백룸 신화의 협력적 특성은 그 자체로 일종의 혼톨로지적 실천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이는 실제로는 결코 존재하지 않았던 공유된 문화적 기억을 재구성하거나 시뮬레이션하려는 시도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백룸은 집단적 문화적 트라우마와 혼란을 해소하는 공간이 됩니다 - 공유된 신화 만들기를 통해 후기 자본주의 하의 삶의 방향 감각 상실을 처리하는 방법입니다.


결론: 백룸에서 탈출하기


바이럴 인터넷 현상으로서, 백룸은 우리의 문화적 순간과 후기 자본주의의 정신적 풍경에 대해 많은 것을 드러냅니다. 그것은 자본주의 리얼리즘 하에서의 삶을 특징짓는 종종 모호한 공포, 소외, 방향 감각 상실의 감정에 형태를 부여합니다. 그 기이하게 친숙하면서도 낯선 공간들은 자본주의 인프라와 미학이 우리의 현실 인식을 형성한 보통 보이지 않는 방식을 가시화합니다. 백룸의 끝없는 미로 같은 구조는 자본주의적 생산과 소비의 끊임없는 고된 노동에서 생길 수 있는 무목적성과 무익함의 감각을 구현합니다.


동시에, 백룸은 레이놀즈가 식별한 레트로매니아적 충동을 건드립니다 - 우리 문화의 자신의 과거에 대한 집착과 새로운 미래를 상상하는 데의 어려움입니다. 그것의 복합적인 "과거성"은 디지털 시대의 역사의 평평화를 반영하며, 여기서 모든 문화는 차별화되지 않은 영향과 참조의 바다가 됩니다. 그 공간들의 기이한 친숙함은 향수의 양가성을 말해줍니다 - 동시에 위안을 주면서도 불안하게 만드는.


혼톨로지적 현상으로서, 백룸은 잃어버린 미래와 실패한 유토피아에 대한 우울함으로 가득 차 있습니다. 그것은 선택되지 않은 대안적 경로의 유령들에 형태를 부여하며, 피셔가 자본주의 리얼리즘의 특징으로 본 "미래의 느린 취소"를 구현합니다. 그것의 시간을 초월한 경계적 특성은 후기 자본주의 하에서의 삶의 시간적 왜곡을 반영합니다.


그러나 그 모든 암울함에도 불구하고, 백룸은 아마도 자신의 탈출의 씨앗을 포함하고 있을 것입니다. 보통 보이지 않는 자본주의 리얼리즘의 구조를 가시화함으로써, 그것은 비판과 저항의 가능성을 만들어냅니다. 그것의 바이럴한 확산은 압도적인 평범함에 직면해서도 협력적으로 상상하고 창조하려는 인간의 충동을 보여줍니다. 백룸 신화를 집단적으로 구축하는 행위 자체가 자본주의적 원자화에 맞서는 일종의 공유된 의미 만들기를 나타냅니다.


더욱이, 백룸이 불러일으키는 공포와 불안은 일종의 각성 신호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 자본주의 리얼리즘의 마비 효과에서 우리를 깨워 우리 현실의 악몽 같은 측면들과 마주하게 만듭니다. 친숙한 것을 낯설게 만듦으로써, 백룸은 비판적 성찰과 대안의 상상을 자극할 수 있는 인지 부조화를 만들어냅니다.


궁극적으로, 백룸에서 탈출하는 것 - 신화 내에서 문자 그대로, 그리고 문화로서 은유적으로 - 은 집단적 목적과 가능성의 공유된 지평을 재발견하는 것을 요구합니다. 그것은 우리가 자본주의 리얼리즘의 대안 차단과 레트로매니아의 과거에 대한 집착을 모두 넘어설 것을 요구합니다. 대신, 우리는 급진적 상상력을 재활성화하고 열린 미래로 향하는 새로운 경로를 만들어내기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백룸의 인기는 자본주의 현실의 한계를 넘어선 의미와 초월에 대한 광범위한 갈망을 시사합니다. 아마도 백룸의 공포와 마주함으로써, 우리는 미로에서 빠져나갈 길을 상상하기 시작할 수 있을 것입니다.


*


발상만 던져주면 뭐라도 읽어볼 게 나오네

안녕 샤를로테와 발전도상의 죄의식으로서의 종말론적 역사철학에 대해서도 던져볼까나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원본 첨부파일 1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연예인하면 더 인기 많을 것 같은 스포츠 스타는? 운영자 24/09/16 - -
공지 판타지 갤러리 이용 안내 [211/1] 운영자 21.09.02 45676 35
6517263 마우스 누를때마다 뻥뻥 소리나는데 이건 뭔 고장이지 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21 3 0
6517262 민트시즈닝 아재 껌젖 빠는거 컨셉인듯 [5] (모리어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20 18 0
6517261 아씨 나가야되는데 집에 우산이 없노 [1] 무적칼퇴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20 5 0
6517260 오조오억년만에 매직하는중 [4] ㅇㅇㅇ(223.38) 13:19 13 0
6517259 wjsrhdemfdmftnfhrsodlstodakdgoTekthflaks [2] 나는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19 11 0
6517257 님들아 내 인생을 건 가챠를 하러 왔다... [10] (모리어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18 27 0
6517256 까멜룽십새끼 수줍.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18 9 0
6517255 경주역 이건 어떻게 무궁화 새마을 종점이 동대구역임 [3] 이매량망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18 25 1
6517254 역시 명절준비는 이황 ㅋㅋㅋㅋㅋ [2] 강강수할래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17 30 1
6517253 야 이 기상청 개새끼야 놀러갈 곳에 비온다매 [2] 김정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17 26 0
6517252 이번 문피아 공모전이 진짜 라스트댄스다 [8] 은하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16 26 0
6517251 이런애들은 좀 고소먹을만하네 [9] 남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16 47 0
6517249 아기반룡과 함께 춤을 망아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16 3 0
6517248 오야시로가궁금하면 나노데스를 들어라 [3] 엉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15 16 0
6517247 울집강아지 웰케 귀엽지진짜 [3] 은하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14 23 0
6517246 ㄹㅇ 야구 소설에서 오타니 이기려고 50-50 찍게해서 [4] 현룡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14 40 0
6517245 KT 미친새끼들 생분해성 해저케이블은 뭔데 [6] 엘레베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13 71 0
6517244 짱깨 노래 말고 걍 음악만 들려달라고 ㅅㅂ (모리어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13 9 0
6517243 ㄴ 늘 있는 WWE ㅇㅇ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13 5 0
6517242 티큐 시드 5%만 담았는데 일주일만에 17% 올랐네 ㄷ [4] 형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13 39 0
6517241 아니 갤에 영포티도 아니고 그냥 포티가 있다고??? [5] (모리어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12 32 1
6517240 판갤 유부남 중 가장 부러운 사람 [4] 갈릭소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12 35 1
6517238 근데사실 오야시로사마얘기하면 왜 하우라고하는지모름 [5] 민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12 27 0
6517237 온몸이아프다 [6] 어사일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12 24 0
6517236 "어이! 금요일의 보추 배식이다!" [5] 형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12 30 1
6517235 mlb에선 타율의 시대는 이제 끝났음 [8] ㅇㅇ(121.145) 13:11 49 0
6517234 서브웨이 샌드위치는 먹어도 별로 죄책감 없는데 [3] 망아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11 16 0
6517233 1장 초반에는 버러지가 슈퍼겔만인줄암 [3] (모리어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11 30 0
6517232 요즘 나스닥 급락한 다음날 사면 무조건먹네... [1] 물렁굴루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10 32 0
6517231 우수에 찬 출장콜걸.jpg [3] 김정윤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09 82 0
6517230 나의 라스트댄스가 진짜 시작이구나,,, [21] 민트시즈닝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09 98 2
6517229 10초회귀(쿨타임 10초로) 억만장자가 된 반룡 망아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09 8 0
6517228 벗기면 일단 뭐든 된다는 마인드로 [2] ‘파타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09 22 0
6517227 너네는 공격성 기분전환 어케함 [5] 익숙해져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09 24 0
6517226 훌쩍훌쩍 가난한 판붕이의 아점 학식...jpg [4] 지름코드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08 34 0
6517225 블아에 스타레일급 게임성이 있었다면... 얼마나 좋을까... [6] (모리어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08 31 0
6517224 흠 근데 블스 지금 뽑을까 [3] 버러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08 14 0
6517223 붕스 근데 콘서트 왜 짱깨어로 하냐 [3] (모리어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07 23 0
6517221 킹 ㅈㄴ보비네ㅋㅋㅋㅋ [5] 엉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06 58 0
6517219 p가 "그치만 저 아내가 있어서."라고 말했을때 코토네의 반응 KYOUYAMA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06 30 0
6517218 진짜좃같은썸네일이네 [3] 남고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06 31 0
6517216 회사에 개꼴리는년 있는데 어떡함?? [1] ㅇㅇ(223.39) 13:05 18 0
6517215 ㅅㅂ 백엽상이 뭔가싶어서검색해봣더니 [4] 민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05 40 0
6517214 높은 산봉우리같은 게임 [1] 민트시즈닝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05 19 0
6517213 루잭 부산남자라 그런듯 [1] 익숙해져라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04 28 0
6517212 스타레일 콘서트 틀고 운전하는 중인데 예네 노래 왤케 좋음 [1] (모리어티)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04 16 0
6517211 붕스 3.4에 엘리시아 나온대 [5] 푼제리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03 27 0
6517210 프랑스도 은평구같은 짓 했더라 [9] 재일교4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03 68 0
6517209 10초 회귀 능력이면 지구에서 제일 부유할 수 있지 않나 [8] 모하비배달부갤로그로 이동합니다. 13:02 65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