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예술영화처럼 취향 타는 예술게임, 헬블레이드 2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4.05.22 18:26:41
조회 331 추천 0 댓글 4
헬블레이드 2 시작 화면 이미지 (사진: 게임메카 촬영)
🔼 헬블레이드 2 시작 화면 이미지 (사진: 게임메카 촬영)

[게임메카=김형종 기자] ‘헬블레이드: 세누아의 희생(Hellblade: Senua's Sacrifice, 이하 헬블레이드)’는 지난 2017년 처음 출시돼 지금까지 금기처럼 여겨졌던 조현병에 대한 탁월한 묘사로 미디어와 평론가의 좋은 평가를 받았다. 다만 정작 부족한 게임으로서의 재미, 난해한 스토리로 등으로 대중성이 낮다는 지적도 있었다. 특히 전투 부분에서는 호평보다는 혹평이 많았다.

위와 같은 평가에 혹해 헬블레이드를 플레이 했으나, 엔딩은 보지 못했던 경험이 있다. 좁은 시야각과 어두운 배경 때문에 너무 무서웠고, 길치였기 때문에 오딘의 미궁에서 헤매다가 결국 포기했다. 그런 헬블레이드의 후속작 ‘세누아의 전설: 헬블레이드 2(Senua's Saga: Hellblade 2, 이하 헬블레이드 2)’가 21일 출시된다. 본 기자는 출시 전 Xbox로부터 게임을 제공받아, 전작에서도 보지 못했던 결말에 도달할 수 있었다.

아름답고 탁월한 영상미, 영화적인 방식이 강조된 게임

헬블레이드 2를 플레이하며 가장 탁월하다고 느꼈던 요소는 바로 영상미다. 영상미라는 것은 비단 실제와 유사한 좋은 그래픽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화면에 나오는 사물들의 배치, 그림자의 구현, 빛의 밝기 등 영상의 아름다움을 위한 모든 요소를 포괄한다. 헬블레이드 2는 시각적인 아름다움을 위해 게임에서 흔히 활용되는 몇 가지 문법을 과감하게 포기했다.

대표적인 것이 HUD다. 게임은 전작과 동일하게 HUD를 모두 제거해 미니맵, 체력바, 특수능력 게이지 등이 외부에 직접 표시되지 않는다. 대신 체력은 피격시 시야가 붉어지는 방식으로, 특수 능력은 소지한 거울이 빛나는 식으로 표현한다. 심지어 헬블레이드 2는 화면비를 2.39 대 1로 맞춰 일반 디스플레이 화면 상하에 비교적 큰 공간(레터박스)이 남도록 설계되어 영화와 같은 느낌을 준다. HUD의 부재와 레터박스의 존재는 게임을 하면서도 영화의 한 장면을 보는 듯한 감각을 선사했고, 이는 독특한 경험이었다.

🔼 영화같은 구도의 게임, 전투 장면이다 (사진: 게임메카 촬영)

🔼 HUD 없이 진행되는 전투 (사진: 게임메카 촬영)

실제 플레이 화면, 레터박스가 꽤 크다 (사진: 게임메카 촬영)
🔼 모니터 실황, 상하 레터박스가 꽤 크다 (사진: 게임메카 촬영)

이렇게 영화적 문법으로 제작된 헬블레이드 2는 지금까지 플레이했던 게임 중 손에 꼽힐 정도로 탁월한 영상미를 선사했다. 주인공의 표정 연기, 빛과 그림자의 자연스러운 움직임, 상하는 짧은 대신 트인 시야로 선보이는 황야의 풍경, 지하에서 펼쳐지는 빛무리의 향연 등, 시각적 측면에서 매우 뛰어났다. 황량하고 고요하면서도 따뜻한 황야의 묘사나, 지하세계를 탐험하며 어두운 공간에 빛무리들이 흐르는 광경은 오랫동안 기억에 남을 정도다.

다만 이런 영화적인 방식을 채용한 탓인지, 게임으로서의 상호작용성은 부족하다. 모든 게임에서 흔한 튜토리얼, 설명 문구 등도 존재하지 않다. 시네마틱 영상 조차 인게임 엔진으로 구성되어 끊김이나 어색함 없는 대신, 언제부터 캐릭터를 조작할 수 있는지 불분명하게 느껴진다. 게임에는 흔하지만 영화에는 거의 없는 튜토리얼 메시지, 일지 등 외적 설명을 과감하게 배제해 몰입감을 높인 시도로 보인다. 하지만 최소한 ‘흰 곳에서 상호작용 버튼을 누르면 난간을 오를 수 있다’ 정도는 안내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생각도 들었다.

🔼 황량하고 광활한 황야, 영상의 아름다움과 세밀함은 발군 (사진: 게임메카 촬영)

🔼 지하영역, 어둠 속에 보이는 빛무리가 아름답다 (사진: 게임메카 촬영)

🔼 사물 묘사, 캐릭터 움직임 등에 상당한 공이 포함됐다 (사진: 게임메카 촬영)

훌륭한 조현병 묘사와 이로 인해 떨어진 스토리 전달력

헬블레이드 2에는 퍼즐과 전투가 등장하지만, 스토리 중심 게임인 만큼 스토리가 가장 중요하다. 다만 핵심 소재가 ‘조현병’으로, 환각과 환청이 지속적으로 들리기 때문에 이해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이 둘은 전작과 마찬가지로 플레이어로 하여금 지금 일어나는 사건이 어디서부터 현실이고 거짓인지 구분이 어렵게 만든다. 그나마 다행인 점은 전작과 달리 ‘살아있는 캐릭터’가 등장한다는 것이다. 조현병은 전염되지 않으니, 상대와 동일한 것을 봤다면 그것은 환각이 아닐 것이다. 실제로 세누아가 독특한 환각 퍼즐을 해결할 때는 무조건 혼자다.

스토리는 전작에서 이어진다. 세누아는 자신의 부족과 연인을 살해한 이들에게 복수하기 위해 노예선에 오른다. 하지만 갑작스러운 폭풍으로 선박이 난파되고, 간신히 해안가에 도달한 세누아는 고생 끝에 노예 주인 토르게스트르를 생포한다. 이후 토르게스트르의 안내를 따라 섬 내부으로 이동하던 중, ‘드라우가르’라는 괴물에 습격당한 마을을 발견한다. 세누아는 생존자들과 지도자 ‘파르그림르’를 구하고, 드라우가르는 의식을 통해 지진을 일으키는 거인을 소환한다. 마을에서 간신히 도망친 세누아는 그 과정에서 북부가 노예를 필요로 했던 이유, 거인들의 정체 등 비밀을 알아내고, 자신의 독특한 능력을 활용해 맞서게 된다.

🔼 주인공 표정 연기가 캐릭터 속마음까지 대변한다 (사진: 게임메카 촬영)

🔼 조현병으로 인한 목소리가 혼란스럽게 만든다 (사진: 게임메카 촬영)

도입부 서사와 묘사는 좋지만, 조현병 연출에 의해 스토리 이해가 쉽지 않다. 헬블레이드 2에서 스토리를 파악하기 위해선 등장인물과 내레이션 대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수집요소로 로어스톤이 존재하지만 사실상 게르만 전래동화에 가깝고, 여타 게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저널, 책, 글 등이 단 하나도 등장하지 않기 때문이다. 대사를 통해 필요한 정보를 전달하는 만큼 이를 놓치면 스토리 이해가 불가능하며, 기록 기능도 존재하지 않아 빠르게 되짚어볼 방법도 없다.

예를 들어 본 기자는 거인을 처음 조우한 뒤 은신족을 만나러 가는 과정이 이해가 어려웠다. 파르그림르는 왜 죽을 수도 있는 길로 세누아를 보냈으며 은신족을 만나는 이유는 무엇인가? 녹화해둔 내용을 다시 보니 파르그림르가 과거 은신족을 만났고, 그들의 시험을 통과해 원하는 것을 얻었다는 내용을 다시 확인할 수 있었다. 문제는 환청이 중간에 정보의 잡음을 만들어 해당 내용을 놓쳤고, 개연성에 구멍을 느꼈다. 조현병을 훌륭하게 묘사해 오히려 단점이 생겨난 것이다.

🔼 스토리에 한마디 얹어 집중력을 떨어뜨리는 환청들 (사진: 게임메카 촬영)

🔼 로어스통, 북부 전래 신화를 감상할 수 있다 (사진: 게임메카 촬영)

흥미로운 서사에 부족했던 완급조절

전달력과 더불어 스토리가 가진 큰 문제는 바로 완급 조절이다. 게임 초반부 세계관과 분위기를 확립하는 구간이 지나치게 길고, 이후 스토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거인’에 대한 내용이 다소 짧다. 특히 은신족을 찾아 나서는 ‘지하’ 탐험 분량이 긴데, 퍼즐이 많고 전투도 잦은데다가 실제 지역도 넓다. 심지어 영상미가 가장 강조된 부분이기도 해서 엔딩을 본 뒤에도 아름다운 풍경이 기억에 남는다. 하지만 해당 파트 분량을 축소해도, 스토리 전개에는 지장이 없다.

반대로 거인들과 캐릭터 사이 서사가 적게 분배됐고, 플레이적으로 강조되는 부분도 상당히 짧다. 특히 아쉬웠던 부분은 등장 캐릭터들의 혼란과 방황이 묘사되는 챕터였다. 각 캐릭터의 생각과 가치관, 두려움, 서사, 그리고 이것을 해결하는 과정에서 세누아의 지도자로서의 능력 등이 표현될 수 있어 서사적으로는 중요한 위치에 있는 장면이다. 하지만 분량이 지나치게 짧았고 내용도 함축적으로 넘어갔으며, 퍼즐이나 전투도 없어 플레이적인 측면에서도 아쉬웠다.


🔼 아름답지만 길게 느껴졌던 지하세계 (사진: 게임메카 촬영)

전체 플레이타임이 약 8시간으로 짧지만, 중반부 서사를 위해 플레이타임을 더 늘리는 것은 게임 특성상 좋은 선택은 아니다. 스토리도 상당히 어두운 데다가 환청이 반복되는 만큼 스트레스가 상당했기 때문이다. 여기서 플레이타임이 더 늘어난다면, 오히려 피로감만 늘어날 수 있다.

전달력이나 완급조절이 아쉽게 느껴졌던 이유는, 게임 서사가 전반적으로 우수했고 특히 결말이 다소 급하긴 하지만 예술적으로 마무리됐기 때문이다. 초반부 세계관을 확실하게 전달했고, 지하 세계와 은신족에 대한 묘사는 영상미와 잘 어우러졌다. 결말에서는 지금까지의 의문들이 일부 해소됨과 동시에 게임이 진정으로 이야기하고 싶었던 여러 주제가 영상미, 성우 연기와 함께 카타르시스를 일으킨다. 그렇기 때문에 다소 희미한 중반부 서사와 부족한 전달력이 더 아쉽게 느껴졌다.

🔼 연출과 서사가 훌륭하다 (사진: 게임메카 촬영)

🔼 일부 캐릭터 서사는 다소 미흡한 편 (사진: 게임메카 촬영)

전작 대비 개선된 퍼즐과 전투

헬블레이드 2에는 전작과 마찬가지로 스토리 도중 퍼즐과 전투가 적절하게 등장한다. 퍼즐은 크게 두 가지로 분류되는데, 전작에서도 등장한 상징 맞추기에 더해 의식 퍼즐이 더해졌다. 상징 퍼즐은 전작 룬과 유사하되 조금 더 직관적으로 변했다. 또한 퍼즐이 지나치게 자주 등장했다는 평을 의식해서인지 전작 대비 퍼즐 수가 줄었다.

의식 퍼즐의 경우 구형 물체(공물)을 찾아 제단에 놓는 방식으로, 위치를 찾지 못하면 하염없이 돌아다녀야 하는 룬 퍼즐과 달리 답을 몰라도 시행 착오를 거치면 해결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또한 개인차가 있겠지만, 전작보다 퍼즐이 더 시각적으로 아름답게 묘사됐다. 전작에서는 특히 룬 퍼즐에서 밝은 광원에 빛나는 문자들이 더해져 눈의 피로가 심했는데, 이런 요소는 줄었다. 일부 퍼즐 기믹은 더 몽환적으로 표현되어 독특한 별세계처럼 느껴지게 만든다.

🔼 전작과 유사한 상징 찾기 퍼즐 (사진: 게임메카 촬영)


🔼 몽환적인 느낌의 공물 바치기 퍼즐 (사진: 게임메카 촬영)

전투 역시 크게 개선됐다. 전작 헬블레이드는 핵앤슬래시 장르가 아님에도 수많은 적이 등장해 시야를 어지럽히거나, 오랜 시간을 필요로 하는 등 특히 전투에 대한 비판이 많았다. 헬블레이드 2에서는 이제 무조건 1 대 1로 싸워 시점 고정에 대한 문제가 없다. 전투가 등장하는 구간에서는 3명에서 6명까지 연속으로 전투를 치르는 만큼 집중력은 요구되지만, 긴 시간이 필요하진 않다.

등장하는 적 종류는 7종 이상이다. 전작보다 패턴이 다양해졌고, 불을 뿜고 폭탄을 터뜨리는 등 독특한 공격을 하는 적도 나온다. 다만 전작보다는 다채롭지만, 여전히 전투가 밋밋하고 단조로운 편이다. 회피를 중심으로 적의 약한 공격은 패링, 공격 후 딜레이 노리기, 강한 적은 특수능력 활용 등 간단한 전략으로 모든 상대를 쉽게 돌파하는 것이 가능하다. 물론 액션게임의 탈을 쓴 예술게임의 측면으로 보면, 더 화려하고 어려운 전투가 장르에 적합하지 않을 수는 있다.

🔼 타격감과 시각적 완성도는 뛰어난 전투 (사진: 게임메카 촬영)

🔼 적 종류도 전작보다 늘었지만, 단조롭고 단순한 것은 여전 (사진: 게임메카 촬영)

🔼 시각적 완성도가 매우 뛰어난 영화같은 게임 (사진: 게임메카 촬영)

헬블레이드 2는 전작보다 더 시각적인 연출을 강화했고, 전투와 퍼즐에서 비판 받았던 부분을 일부 개선했다. 조현병이라는 소재를 훌륭하게 묘사한 대가로 스토리 전달력이 약간 떨어졌고, 훌륭한 스토리 서사를 통해 결말을 완성한 대신 완급조절이 다소 부족했다. 이런 단점들에도 불구하고 기승전결이 뚜렷한 8시간 분량의 훌륭한 영화를 감상했다는 느낌을 받았다. 전작을 감명 깊게 플레이한 게이머에게 특히 추천한다.

[Copyright © GameMeca All rights reserved.]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잘못하면 바로 인정하고 사과할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5/04/07 - -
15061 칼리스토 프로토콜 세계관 신작 ‘리댁티드’ 출시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10.30 691 0
15060 [겜ㅊㅊ] 스팀 공포게임 축제, 역대 최고 할인율 4선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10.30 1805 0
15059 동숲 포켓 캠프, 11월 섭종 후 '컴플리트'로 돌아온다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10.30 1061 0
15058 LCK, 내년부터 단일 시즌으로 통합된다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10.30 2532 0
15057 몬스터 헌터 와일즈, 콘솔서 ‘키마 조작’ 지원한다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10.30 1405 0
15056 [오늘의 스팀] 동숲 느낌 힐링 낚시게임 ‘웹피싱’ 극찬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10.30 874 0
15055 횟수 제한 없다, 블랙 클로버 신규 PvE 콘텐츠 추가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10.30 130 0
15054 서버 이슈, 패스 오브 엑자일 2 출시 12월 6일로 연기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10.30 1409 0
15053 공포 애호가 모여라, 스팀 '공포게임' 할인 시작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10.30 401 0
15052 두 길드가 마주치면 안 돼! ‘던전 인’ 14일 앞서 해보기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10.30 248 0
15051 인조이·딩컴 투게더 등, 크래프톤 지스타서 신작 시연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10.30 569 0
15050 문수·산도 등장, 리니지W와 신암행어사 컬래버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10.30 178 0
15049 전투 호불호, 드래곤 에이지: 더 베일가드 메타 84점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10.30 1103 0
15048 테일즈런너 서브컬처 모바일 신작, 올해 출시한다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10.30 188 0
15047 'MZ'해진 원조 맛집, 드래곤 에이지: 더 베일가드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10.30 817 0
15046 드래곤 에이지 디렉터 ‘10년 공백 따라잡을 기회’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10.30 524 0
15045 콘코드 개발사 파이어워크 스튜디오, 결국 폐쇄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10.30 1075 0
15044 바람의나라 2 공식 발표, 2.5D 그래픽 채용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10.30 4286 0
15043 이터널 리턴에 에이펙스 더한 느낌, 슈퍼바이브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10.28 808 0
15042 스팀에 있는 모든 게임 사려면 16억 원 필요하다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10.28 1665 0
15041 [숨신소] 캐주얼 크킹? 에이지 오브 히스토리 3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10.28 912 0
15040 새로운 그래픽으로, 슈타인즈 게이트 리부트한다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10.28 1032 0
15039 한국어 지원, 미공개 ‘길드워’ 신작 스팀에 등록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10.28 435 0
15038 [롤짤] 中 LPL의 악몽 T1, 롤드컵 결승 출격 [5]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10.28 37066 0
15037 [오늘의 스팀] 드래곤 에이지: 더 베일가드, 판매 상위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10.28 338 0
15036 공포 마니아 주목, 스팀 ‘스크림 축제’ 할인 연다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10.27 966 0
15035 섀도우 파트 더한 소닉 신작, 스팀 평가 ‘압긍’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10.27 901 0
15034 승리의 여신 니케·리니지2M, 중국 판호 발급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10.27 11158 0
15033 '크래프톤, 추가임금 제대로 주고 있나' 국감서 지적 [5]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10.25 1029 0
15032 반다이남코, 위쳐 3 개발자 모인 '레벨 울브즈'와 계약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10.25 170 0
15031 SWC2024 아시아퍼시픽컵 본선, 호찌민시서 열린다 [5]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10.25 155 0
15030 베일가드 전, 읽어둬야 할 드래곤 에이지 스토리 [5]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10.25 1356 0
15029 지휘관과 맞이한 2주년, 니케 특별 방송 26일 실시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10.25 510 0
15028 국감서 논의된 52시간 유연화, 김창한 대표 입장은? [5]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10.25 608 0
15027 미니게임천국에 디저트 콘셉트 게임 ‘갈랑말랑’ 등장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10.25 137 0
15026 오래 기다렸다, 소녀전선 2 테스트 11월 12일 시작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10.25 816 0
15025 [오늘의 스팀] 블랙 옵스 6 출시, 평가 '대체로 긍정적'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10.25 621 0
15024 [이구동성] 넥슨 늦둥이들의 엇갈린 행보 [5]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10.25 756 0
15023 간편해진 육성, 토치라이트 인피니트 신규 시즌 오픈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10.25 511 0
15022 넷마블 나혼렙, 한류행사 '프랑스 K-박람회' 나간다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10.25 94 0
15021 준자냥냥 대 울산, 서든어택 챔피언십 26일 개막한다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10.25 282 0
15020 달라진 연출, 세나 리버스 스토리 시네마틱 영상 공개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10.25 263 0
15019 블루아카 흥행 잇나, 서브컬처 신작 '프로젝트 RX' 공개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10.25 882 0
15018 스텔라 vs 퍼디 vs 나혼렙 구도, 게임대상 후보 공개 [5]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10.25 1502 0
15017 그라나도 에스파다M, 내년 1분기 싱·말·필 3개국 출시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10.25 145 0
15016 엠블럼 재료 드랍, 메이플M 첫 오리지널 보스 출격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10.25 259 0
15015 협동 이사게임 '무빙 아웃' 에픽서 무료 배포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10.25 486 0
15014 오버워치 2, 다음 시즌서 6 대 6 테스트 한다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10.25 638 0
15013 라이엇, 아케인 시즌 2 기념 신세계백화점과 협업한다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10.25 567 0
15012 '피파 카드팩 위법' 오스트리아, 2심서 판결 뒤집어 [4] 게임메카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4.10.25 374 0
뉴스 “다 내려놓겠다”…‘SNL 코리아7’ 서예지, 이수지와 ‘만트라’ 댄스 배틀 디시트렌드 04.12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