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중국 경제는 일본의 버블경제 시대 이후 ‘잃어버린 10년’ 직전의 상황과 비슷하다. 국제 경제계에서 중국이 일본처럼 장기 불황에 빠질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는 것. 중국이 제2의 일본이 되지않기 위해서는 한국을 벤치마크할 필요가 있다고 블룸버그통신이 12일 보도했다.
최근 중국에서는 부동산 위기가 지속되고 있다. 일본이 버블 경제 이후 잃어버린 10년을 맞았을 때와 비슷하다.
또 중국의 디플레이션이 심상치 않다. 중국의 물가지수는 5분기 연속 하락하고 있다. 이는 1990년대 이후 가장 긴 디플레이션이다. 중국에 장기 디플레이션의 그림자가 드리우고 있는 것.
이 같은 상황이 지속될 경우, 중국도 일본처럼 ‘잃어버린 10년’을 맞이할 가능성이 크다.
중국이 이를 피하기 위해서는 한국을 본받을 필요가 있다.
한국은 1997년 국제통화기금(IMF) 위기를 맞아 경제 체질을 완전히 개선하는 데 성공했다.
당시 김대중 정부는 정보기술(IT)에 막대한 투자를 하며 한국의 경제 체질을 변화하는 데 성공했다.
중국의 정책 입안자들에게 현재 가장 시급한 과제는 부동산 시장의 어려움으로 인한 경제적 타격을 상쇄할 새로운 성장 동력을 찾는 것이다. 한국은 IT를 새 성장 동력으로 삼아 위기를 탈출했다.
금융위기 이후 한국의 지도자들은 태도를 바꿨다. 재무적 측면에서는 부실기업을 구조조정하고, 기업 지배구조를 개선했다. 뼈 아픈 구조조정을 한 것이다.
이에 비해 일본은 좀비 기업들을 방치했고, 좀비 기업들은 일본의 생산성을 갉아먹었다.
한국은 체질 개선에 성공했고, 일본은 실패한 것이다. 일본은 장기 침체에 빠졌지만, 한국은 지금도 성장을 지속하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 한국의 1인당 국민소득이 일본을 앞지르기 시작했다.
중국은 한국을 타산지석으로 삼을 필요가 있다고
블룸버그는 지적했다.
"중국은 한국의 성공한 역사를 연구하고 배웠지만,
개발도상국만 50년을 했던 한국은 자신들을 선진국으로 이끈
성공한 1998년의 역사를 제대로 연구하지도 배우지도 않았다."
한국 초고속인터넷 1천만 돌파..세계 1위
2002-11-06
우리나라의 초고속인터넷 가입자가 1000만을 돌파했다. 1998년 6월 두루넷이 국내 최초로 케이블모뎀 서비스를 개시한후 4년4개월만에 1000만가입자를 돌파한 것이다.
정통부는 6일 오전 대회의실에서 김대중 대통령, 이상철 정통부장관과 관계자 등 400명이 참석한 가운데 `초고속 인터넷 1000만 돌파 기념식`을 갖고 초고속인터넷 세계 1위 국가로서의 위상을 자축하고 KT 김동훈 단장 등 관련유공자에게 훈·포장을 수여한다.
국내 초고속인터넷은 두루넷의 케이블모뎀 서비스 개시후 1999년 4월 하나로 통신이 세계 최초로 ADSL 서비스를 시작하고, 이어 2개월후인 6월에는 한국통신이 ADSL 서비스에 나서면서 본격적으로 보급되기 시작했다. 초고속 인터넷 가입자는 1999년 37만에 불과했지만 2000년 402만, 2001년 781만으로 급증했고 지난 10월 1000만을 돌파했다.
현재 우리나라의 초고속 인터넷은 전국 200여 모든 읍지역과 1200여 면지역의 98%에 보급돼 있으며 이같은 보급률은 캐나다의 약 2배, 미국의 약 4배, 일본의 약 8배 등 해외 선진국에 비해서도 월등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지난 4년간 초고속 인터넷망에 투자된 금액은 약 11조원으로 IT 등 관련산업에 생산유발액 17조원, 부가가치 유발액 5.8조원, 고용유발 59만명 등의 파급효과를 발생한 것으로 정통부는 추정하고 있다.
또 우리나라 2500만명이 넘는 인구가 인터넷을 이용, 온라인 주식거래 비중이 67%(일본 3.8%, 대만 7.6%), 온라인 쇼핑몰 이용이 31%(미국 32%, 독일 26%)에 이르는 등 디지털상품과 서비스의 개발 및 활용도 가속화되고 있다고 정통부는 설명했다.
또 2005년까지 전국 모든 가구에서 최소 1Mbps급 초고속 인터넷에 접근할 수 있는 보편적 이용환경 구축을 위해, 전국 모든 읍면단위 이하 지역까지 단계적으로 초고속 정보통신망 구축을 확대해 나가기로 했다. 정통부는 이를 위해 향후 4년간(2002∼2005년) 초고속 인터넷망에 약 13.3조원의 투자가 소요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IT 강국 한국 ... AI 강국 중국에 뒤처지면
디지털 IT에서 한국에 뒤처지면서 모든 걸
잃었던 아날로그 선진국 일본처럼 될 것이다."
1868년 일본의 메이지 유신 근대화에 밀린 조선
1998년 김대중 정부 디지털 IT 3차산업혁명에 밀린 일본
2025년 시진핑 정부 인공지능 AI 4차산업혁명에 밀리는 한국
김대중 '콘텐츠 육성'
20년 만에 결실...한류 수출 日 넘었다
2022.01.04
"韓 방송 수출, 2019년 日 앞질러"
음반도 韓 매출보다 해외 비중이 더 커
"K팝이 끌고 K드라마가 미는 한류"
日 주특기 만화 플랫폼시장도 네이버 · 카카오
댓글 영역
획득법
① NFT 발행
작성한 게시물을 NFT로 발행하면 일주일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최초 1회)
② NFT 구매
다른 이용자의 NFT를 구매하면 한 달 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매 시마다 갱신)
사용법
디시콘에서지갑연결시 바로 사용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