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블루프리즘 "RPA 전사적 확산, 표준화 없으면 힘들어"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2.06.09 16:51:48
조회 110 추천 0 댓글 0
[IT동아 정연호 기자] 글로벌 RPA 기업 블루프리즘이 오늘 9일 서울 양재구 L타워에서 RPA의 표준화 전략을 설명하는 기자간담회를 개최했다. 세계 최초로 RPA라는 개념을 만들어 시장에 선보인 블루프리즘은 국내 RPA 시장의 현황을 분석한 뒤, 기자간담회를 통해 국내 기업의 RPA 전사적 확산이 쉽지 않은 이유를 설명했다. 이 자리에서 나온 해결책은 RPA(로봇프로세스자동화) 표준화였다. RPA가 레고 블록처럼 제작돼 프로세스별로 재활용(재조립)이 가능해야, 전사적 확장도 수월하게 된다는 뜻이다.


블루프리즘코리아 이준원 지사장, 출처=블루프리즘



블루프리즘코리아 이준원 지사장은 “국내 RPA 시장은 충분히 성숙했다고 보기엔 어렵다. 단기적인 관점에서 RPA가 도입되고 있으며, 지금도 회사의 잡무를 대체하는 정도에 그치고 있다. 해외 사례처럼 가치를 지속적으로 창출하기 위해서 국내에서도 RPA가 전사적인 프로세스를 담당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블루프리즘코리아 김병섭 전무는 “RPA의 핵심은 디지털워크포스다. 디지털워크포스를 잘 활용하는 기업이 장기적인 관점에서 추가적인 가치를 생산하고 수익성을 끌어올릴 수 있다”고 강조했다. 디지털워크포스는 비즈니스 과정에서 사람과 표준화된 RPA가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작업 흐름을 뜻한다.


블루프리즘코리아 김병섭 전무, 출처=블루프리즘



김 전무는 국내 RPA 시장의 진척이 더딘 이유를 설명하면서 RPA를 도입했던 한 기업의 담당자에게 받았던 질문 하나를 소개했다. “(RPA) 운영인력 및 비용이 증가하면서 RPA가 오히려 업무를 증가시키는 문제가 발생했다. 어떻게 하면 좋은가?” RPA는 3~4년 전부터 국내 대기업을 중심으로 도입되기 시작했지만, 성장 및 전사적 확대 과정에서 비용 증가와 관리의 어려움으로 단순 도입을 넘어서지 못하는 문제가 곳곳에서 발생하고 있다.

기업들이 도입 단계부터 추후에 RPA의 프로세스를 변경하는 것이 용이한지, 표준화가 가능할지 등을 함께 고려하지 못했기 때문이란 게 블루프리즘의 진단이다. 국내 기업들은 주로 RPA로 단기간 성과를 낼 수 있는 개별 업무에 집중하고, 자동화 툴의 개발이 쉽고 편해야 한다는 점에만 집중해왔다고 한다.

하지만, 비즈니스 상황이나 담당자가 변하면 기존에 만들었던 자동화 프로세스를 수정하는 작업이 요구된다. RPA를 개발한 개발자가 떠나면 시민개발자가 그 일을 맡더라도 IT 로직을 이해하기란 쉽지 않다. 때문에, 에러가 발생했을 때 원인을 파악하지 못하며, RPA 프로세스 변경 및 보수에 나서는 것도 불가능하다. 현업자가 관련된 책을 잠깐 공부해서 해결하긴 어려울 정도의 전문성이 필요해서다.

블루프리즘은 2012년 RPA라는 개념을 처음으로 제시한 기업이지만, 국내를 비롯한 아시아태평양 지역 진출이 경쟁사 대비 상대적으로 늦은 편이다. 국내 진출은 2021년에 시작됐다. 그 기간 블루프리즘도 손을 놓고 있진 않았다. 기업들의 도입 사례를 분석하면서 RPA의 진화를 위해서 필요한 게 무엇인지 연구해왔다. 블루프리즘이 내린 결론은 “태스크 기반의 자동화로는 기업의 경쟁력을 혁신할 수 없다”는 것이다. 개별 데스크톱 단위로 개인의 업무 중 일부를 자동화하는 것에서 ‘프로세스 오토메이션’이란 새로운 단계로 넘어가야 한다는 뜻이다.


출처=블루프리즘



블루프리즘이 접근하는 프로세스 오토메이션은 방식이 조금 독특하다. 프로세스를 통째로 자동화한다는 개념이 아니라, 프로세스 단계를 하나씩 표준화한다. 표준화란 사물에 합리적인 기준을 설정하고, 다수의 사람들이 이 규격을 맞춰 제품을 만들도록 하는 방식을 말한다. 크기와 모양 별로 규격이 정해진 레고 블록을 생각하면 된다. RPA의 기능들도 레고 블록처럼 표준화가 되면, 서로 다른 기능들을 재조립(재활용)하는 것이 편해진다. 프로세스에 바로 붙여서 조립할 수 있도록 완성된 표준화 RPA 오브젝트를 조립하면, 프로세스 단위의 자동화를 구축할 수 있는 것이다.


출처=블루프리즘



SAP에서 데이터를 갖고 오고, 이를 분석한 뒤 이메일로 리포트를 보내는 전체 프로세스도 단위별로 쪼개서 자동화할 수 있는 것이다. RPA 오브젝트는 표준화가 됐기 때문에 모든 부서에서 재사용이 가능해, 전사적 확장에 용이하다. 필요한 오브젝트를 끌고 와서 프로세스 자동화를 하면 된다. 김 전무에 따르면, 프로세스의 단계를 하나씩 표준화한 것은 경쟁사에서 찾기 어려운 방식이라고 한다.

김 전무는 블루프리즘의 또 다른 강점을 ‘형상관리’로 꼽았다. 형상관리는 ‘버전 컨트롤’, 즉 RPA의 버전을 중앙에서 관리하는 것을 뜻한다. 개별 PC에서 RPA를 관리한다면 전체 RPA의 버전을 통일할 수 없게 된다. 블루프리즘은 로봇 버전1, 2, 3 등의 내용을 전부 중앙에서 관리하는 시스템을 구축한다. 이를 통해 누가 버전을 수정했는지 확인이 가능하고, 전체 RPA의 버전을 중앙에서 관리할 수 있게 된다. 중앙에서 RPA를 관리하기 때문에 각각의 RPA가 특정 PC에서 어떤 일을 했는지도 기록이 투명하게 남고, 오류가 발생했을 때 이러한 로그를 추적해 빠른 문제 해결도 가능하다.


여러 PC에서 스케줄대로 사용하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쓸 수 있는 동시 접속 기반 방식, 출처=블루프리즘



이어, 그는 RPA의 라이선스 비용과 관련해선 “블루프리즘은 설치 기반 방식이 아니라 동시 접속 기반의 라이선스다. 블루프리즘의 동시 접속 기반 방식은 비용을 효율적으로 쓸 수 있어 전사 확장에 유리하다”고 답했다. 설치 기반은 개별 PC마다 RPA를 설치하기 위해 라이선스를 PC 수에 맞춰 구매하는 방식이다. 전체 단위로 라이선스를 구매하고 이를 PC에서 나눠서 쓴다면, 라이선스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RPA를 통한 업무자동화는 대체적으로 예측이 가능하기 때문에, 업무별로 스케줄을 설정할 수 있다. 스케줄에 맞춰서 RPA를 사용한다면 단말기가 4대여도 1개의 라이선스로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김병섭 전무는 “처음 RPA를 도입하기 전 POC(기술검증)를 3일 정도 하는 게 일반적이다. RPA를 도입하기 위해 회사의 업무를 분석하고 기술을 테스트하는 데는 턱없이 부족한 시간이다”라면서 “차를 테스트할 때 바다도 가보고 산으로도 가는 것처럼 많은 상황에서 오랫동안 확인을 해봐야 한다. 적어도 2달 정도는 테스트하는 게 좋다”고 조언했다.

글 / IT동아 정연호 (hoho@itdonga.com)

사용자 중심의 IT 저널 - IT동아 (it.donga.com)



▶ 금융 AI 시장 연평균 38.2% 성장한다…2026년 시장규모 17.4조원 형성 전망▶ 유아이패스 "RPA 업무자동화, 점점 더 지능화되고 편리해질 것"▶ [IT운영관리] 8. AI와 디지털전환.. 왜 생각만큼 발전이 없을까?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본업은 완벽해 보이지만 일상은 허당일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5/02/17 - -
1358 [앱으리띵] 잡지, 오디오북이 무료로? 도서관매거진, 오디언도서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22 1409 1
1357 [홍기훈의 ESG 금융] RE100을 알아보자 (1) 왜 우리는 RE100을 진지하게 바라보는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22 112 0
1356 누리호 2차 발사 성공…배경은 12년 인고의 세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21 215 2
1355 가천대 게임·영상학과 윤준희 교수 “입학과 동시에 취업? 빈말 아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21 490 0
1354 10대부터 70대까지, 나이/직업 다양한 일상의 발명가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21 1587 1
1353 [IT운영관리] 10. "IT시스템 도입보단 운영관리가 더 중요하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21 149 0
1352 [IT신상공개] 드라이하며 잔머리 잡는다, 다이슨 에어랩 멀티 스타일러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21 162 0
1351 [리뷰] 자동 축 잠금에 1.8인치 OLED가 핵심, DJI 로닌 RS 3 프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21 111 0
1350 [IT하는법] 아이폰 메모 앱, 윈도에서 이용하는 방법은?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21 449 0
1349 광주정보문화산업진흥원 탁용석 원장, “사람이 중심인 허브를 꿈꿉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21 155 1
1348 센서, 드론에 자동차까지…소니, 모빌리티 사업 전개에 속도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21 1483 4
1347 스마트팜 기술 1세대에 머물러 있는데...R&D 예산은 오히려 줄어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20 124 0
1346 [IT애정남] 지원 끝난 IE 11, 실행되는데 그냥 써도 되나요? [5]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20 2286 4
1345 부품 공급난·러 침공 직격, 유럽 스마트폰 출하량 10년만에 최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20 1552 1
1344 동국대 캠퍼스사업단 전병훈 단장, “지역을 넘어 지방, 세계로 확대할 수 있는 허브를 생각합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20 128 0
1343 [주간투자동향] 한화, UAM 기술 기업 오버에어에 1,500억 원 규모 투자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20 108 0
1342 서울랜드 “홈페이지 서버 가비아 클라우드로 전환, 온라인 서비스 강화에 큰 힘”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7 158 0
1341 [농업이 IT(잇)다] 농산물 주문 통합처리 플랫폼 개발 기업 ‘에이임팩트’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7 110 0
1340 아는 만큼 보이는 협업 툴··· 업무 효율은 물론 조직 문화 개선에도 '특효'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7 168 0
1339 [스타트업人] 손 닿는 곳 모두 푸르게, 퍼밋 스마트팜 유지 보수 관리자 이야기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7 103 0
1338 휘발윳값 2100원대 돌파…경제성에 방점 찍은 '초소형전기차' 주목 [8]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7 2032 1
1337 인텔, 첫 데스크톱 그래픽 카드 공개··· 'GPU 시장 달굴까' [19]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7 3829 7
1336 [리뷰] 에코백스 vs 로보락, 최고사양 로봇청소기, 얼마나 좋길래?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6 119 0
1335 "다정함은 사람을 건강하게 한다"... AI챗봇은 코로나 블루를 치유할 수 있을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6 154 0
1334 [리뷰] '호라이즌' 시리즈 팬을 위한 게임 저장고, 씨게이트 게임 드라이브 호라이즌 에디션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6 110 0
1333 [IT신상공개] VR게임은 움직이면서 즐겨야 한다, 피코의 네오3 링크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6 130 0
1332 [모빌리티 인사이트] 자동차 회사가 인공위성을 쏘고 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6 104 0
1331 렌털 서비스에 정부 지원까지 시작··· 확산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6 153 1
1330 스마트 상점 기술, 소상공인 구인·운영난 해결사로 발돋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6 451 1
1329 "디지털플랫폼이 야기하는 갈등 합리적 규제로 풀어야...이 시대에 말이나 마차 탈 수는 없어"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6 137 0
1328 레드햇 “RHEL9로 어디서나 일관된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관리 가능”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5 138 0
1327 "현장근로자 업무에도 디지털전환 필요"... 팀뷰어 산업용 AR로 국내 시장 진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5 150 0
1326 "넷플릭스 하루에 600원"…구독 서비스 '역린' 건드렸다 [43]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5 5490 12
1325 친환경 비즈니스, 정부에서 스타트업까지 ‘공감’ 넘어 ‘공생’의 단계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5 115 0
1324 [혁신스타트업 in 홍릉] 재인알앤피 “한약·의학 장점 모은 천연물 항암제, 효능으로 증명”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5 101 0
1323 [IT강의실] 저시력자, 노안, 색맹을 위한 '윈도우 화면 모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5 170 0
1322 중고급 개발자 품귀현상.. 슈퍼코더 "원격근무하는 해외개발자로 해결하세요" [2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4 3572 1
1321 '5nm 공정으로 주도권 회복한다'··· AMD, 젠4 아키텍처 세부 정보 공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4 164 0
1320 [성공의 키, 인스타그램 마케팅] 3부 - 노출도를 높이는 태그 200% 활용법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4 1268 1
1319 정부 “2025년까지 드론 7대 강국 도약” 선언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4 180 0
1318 [IT애정남] iOS 베타 버전, 설치해도 될까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4 553 0
1317 15일 개막 P&I 2022, 광학 기기 전시에서 사진 문화 행사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4 125 0
1316 [리뷰] 집 전등을 스마트하게 업그레이드, 텐플 스마트 벽부형 스위치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3 155 0
1315 '게임 구독 생태계' 완성한 MS, 무심한 표현 하나에 담긴 의미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3 242 0
1314 前 정부혁신전략추진단 전충훈 과장, “국민의 목소리를 정책으로 만들었습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3 108 0
1313 [주간투자동향] 콘랩컴퍼니, 60억 원 규모의 시리즈A 투자 유치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3 105 0
1312 반도체 품귀에 화물연대 파업…업친 데 덮친 자동차, 가전 업계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3 108 0
1311 구글이 클라우드로 '100조' 자리 원주율 계산한 방법은 [16]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3 2903 10
1310 초고령사회 임박 韓…”시니어 기술창업 지원으로 경제 활력 높여야” [47]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0 3925 1
1309 [스타트업人] “미술품 가치를 ‘데이터’로 분석합니다” 테사 에셋의 아트 애널리스트 이야기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06.10 140 0
뉴스 황재균, 지연과 이혼 후 호주서 근황 포착…“낭만” 행복한 미소, 무슨 일 디시트렌드 02.19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