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송대리의 잇(IT)트렌드] 하반기 스마트폰 대전 본격 개막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1.09.24 17:01:09
조회 1466 추천 1 댓글 0
[IT동아] 전국 직장인, 그중에서도 열정 하나만으로 온갖 궂은일을 도맡아 처리하는 대리님들을 위한 IT 상식을 전하고자 합니다. 점심시간 뜬금없는 부장님의 질문에 난감한 적 있잖아요? 그래서 저 송대리가 작게나마 도움을 드리고자 합니다. 부장님, 아니 더 윗분들에게 아는 ‘척’할 수 있도록 정보 포인트만 쏙쏙 정리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테슬라, 클럽하우스, 삼성, 네카라쿠배 등 전 세계 IT 소식을 언제 다 보겠어요? 지금 이 순간에도 피곤한 대리님들이 작게나마 숨 한번 쉴 수 있기를 희망합니다.

1. 요즘 한창 스마트폰 신제품 발표할 시기 아니야?

맞습니다. 지난달 삼성전자를 시작으로 이번 달에는 애플과 샤오미가 연이어 신제품을 발표했습니다. 저도 신제품 발표 행사는 밤을 새워서라도 다 챙겨 봤네요. 올해 하반기는 정말 스마트폰 대전이란 말이 어울릴 거 같아요. 말이 나온 김에 오늘은 스마트폰 시장 얘기를 해볼까요.



2. 스마트폰 대전이라…시장 점유율은 여전히 삼성이 1위지?

1년 전 조사 결과를 보면 삼성전자가 휴대전화 시장 점유율, 판매 대수, 매출로 따지면 1등이었습니다. 그런데 최근 5세대 이동 통신(5G) 단말기 시장으로만 좁혀놓고 보면 삼성이 4위라고 합니다. 물론 여전히 전체 시장으로 따지면 1위이긴 해요. 하지만 2위하고 격차가 크진 않습니다. 삼성 점유율이 19%고, 2위인 샤오미가 17%거든요. 3위 애플은 14%고요. 4위와 5위는 각각 오포, 비보입니다.

그런데 최근 우리나라에서 파는 스마트폰 대부분 5G 스마트폰이고, 전 세계적으로도 5G 스마트폰이 주력이잖아요? 이 5G 스마트폰만 놓고 보면 올해 2분기 글로벌 시장 점유율에서 삼성은 1위가 아니라 4위까지 떨어집니다.



5G 스마트폰 기준으로 보면 1위는 애플이고요. 2020년 하반기 애플 점유율은 40%였고, 2021년 상반기에는 29.8%로 조금 떨어지긴 했지만 여전히 1등입니다. 2, 3위는 중국 회사들에서 차지하고 있습니다. 4위 삼성전자 이후 5위부터도 중국 회사들이고요. 중국 회사라고 하면 샤오미, 비보, 오포, 화웨이 같은 곳들을 말합니다.

지금까지 판매한 5G 스마트폰 개수를 모두 합친 숫자, 그러니깐 누적 출하량을 따지면 삼성전자가 여전히 1위이긴 합니다. 그런데 샤오미를 비롯한 중국 회사들의 추격이 매섭습니다. 2019년 1분기 이후 삼성전자 5G 스마트폰 누적 출하량이 7,650만 대인데, 샤오미가 7,400만 대까지 따라왔어요. 비보와 오포도 각각 6,680만 대, 6,750만 대니까 거의 다 따라왔다고 볼 수 있는 거죠. 삼성이 올해 2분기 중국 회사들에 점유율이 밀려 4위까지 떨어진 게 이상한 일이 아닙니다.



3. 그래도 아직 삼성이 전체 점유율 1위고 5G 누적 출하량도 1위라며? 하반기에는 상황이 달라질 수도 있는 거 아냐?

그럴 수도 있을 것 같긴 합니다. 아시겠지만 전 세계 스마트폰 시장은 애플 iOS와 구글 안드로이드로 나눠어 있잖아요. 그런데 iOS 시장은 애플밖에 없지만, 안드로이드 시장은 여러 회사가 경쟁하는 상황이거든요. 그래서 이 안드로이드 시장 경쟁사 상황을 좀 살펴봐야 합니다.

얼마 전 샤오미가 이런 발표를 했습니다. 자기들이 애플을 뛰어넘은 세계 2위 스마트폰 제조사라고요. 실제로 지난 2분기 전 세계 스마트폰 시장 출하 규모를 보면 샤오미 점유율이 17%로, 14%에 그친 애플보다 앞섰습니다. 샤오미는 내친김에 삼성도 곧 제치고 세계 1위 스마트폰 제조사가 되겠다는 목표까지 공개했습니다.



4. 샤오미는 ‘애플 짝퉁’ 소리 듣던 곳인데 이제는 무시할 상대가 아니게 됐네. 상황이 바뀐 이유가 있을까?

저는 이렇게 생각해요. 스마트폰이란 게 우리에게 어떤 존재인지 생각해봐야 할 듯합니다. 등장한 지 얼마 지나지 않은 2010년, 2011년 즈음에는 신기한 기기 정도였죠. 그런데 이제는 스마트폰은 생활필수품입니다. 우리 생활에 없으면 안 되는 동반자라고까지 할 수 있겠네요.

이 동반자로서의 스마트폰이 어떤 의미일까 다시 생각을 해봤습니다. 예전에는 새 스마트폰이 나오면 성능을 따졌습니다. 칩세트는 무얼 썼고, 화면 해상도는 어떻고 이런 걸 따졌거든요. 그런데 지금 애플이나 샤오미를 보면 그런 게 별로 중요하지 않습니다. 브랜드, 그리고 그 브랜드에 열광하는 팬덤이 중요합니다. 명품과 비슷한 거죠. 내가 항상 몸에 지니고 다니는 명품 시계, 가방 이런 것들과 더 비슷합니다.



애플이란 브랜드, 거기에 열광하는 팬덤이 있는 건 알겠는데 샤오미에도 그런 게 있냐고 반문할 수도 있을 거 같아요. 우리나라에서 잘 알려지진 않았지만, 샤오미도 그런 게 있습니다. 샤오미가 알고 보면 굉장히 특이한 회사입니다. 처음에는 스마트폰이 아니라 안드로이드를 변형한 운영 체제(OS)를 만들었어요. 미유아이(MIUI)라고 중국 사람들이 쓰기 좋은 형태로 변형한 운영 체제가 있거든요. 이걸 공개해서 사람들이 자기 스마트폰에 설치할 수 있게 한 거죠.

5. 스마트폰 제조사가 아니라 소프트웨어 회사로 시작한 거네?

맞습니다. 그런데 이 운영 체제가 처음부터 완벽하지는 않았어요. 그래서 샤오미는 커뮤니티를 만들었습니다. 우리나라로 치면 갤럭시 이용자가 모인 네이버 카페 같은 걸 생각하면 될 거 같습니다. 샤오미는 이걸 회사 차원에서 정책적으로 운영했습니다. 커뮤니티 이용자들이 ‘이거 이상해요’, ‘이거 불편해요’라고 의견을 주면 샤오미는 그걸 빠르게 적용해서 일주일 안에 새 버전을 계속 냈습니다. 이렇게 이용자 의견을 적극적으로, 빠르게 받아들이니 자발적으로 팬들이 생긴 거죠. 이용자들 입장에서는 그 개선 과정에 참여했다는 소속감도 느낄 수 있고요.

6. 샤오미는 팬덤의 힘으로 계속 성장하고 있다는 이야기구나?

최근 상황을 보면 삼성은 점유율이 좀 떨어진 부분이 있고, 애플은 점유율이 오르락내리락하며 기복이 있는 상황이거든요. 그런데 샤오미는 성장세에 기복이 없이 쭉 올라가고 있습니다. 이게 왜 그럴까 생각해보니 팬덤 때문이라는 거죠. 애플도 애플 좋아하는 분들은 계속 그것만 사잖아요. 일종의 팬덤이 형성된 거죠. 샤오미도 마찬가지라는 겁니다.



특히 샤오미는 중국이라는 큰 시장에 기반을 두고 있다는 점이 중요합니다. 전 세계 5G 스마트폰 보급률이 상당히 많이 올랐는데, 그중 중국 시장이 차지하는 비중이 큽니다. 그러니까 중국 시장에서 팬덤을 만들기만 하면 전 세계 점유율에 큰 변화가 생길 수 있는 겁니다.

7. 중국 시장을 누가 더 많이 차지하냐에 따라서 전 세계 점유율이 결정된다는 거지?

맞습니다. 그래서 중국만을 위한 마케팅도 펼쳐지고 있는데요. 애플이 이번에 아이폰 13을 발표했잖아요. 미국이나 국내에서는 아이폰 13 가격이 아이폰 12와 같게 책정됐습니다. 그런데 중국에서는 지난해 나온 아이폰 12보다 15만 원 정도 더 저렴하게 출시한다고 해요. 보통 애플은 신제품이 나올 때마다 가격이 올리거나 동결했거든요. 이런 전례에 비추어 보면 중국에서만 가격을 내린 건 이례적인 일입니다. 중국이 애플 전 세계 판매량의 5분의 1을 차지하는 만큼 중국에서 점유율을 좀 더 늘리기 위한 선택이라고 할 수 있겠네요. 샤오미와 오포, 비보와 같은 중국 회사들의 점유율이 치고 올라오는 상황이니깐 좀 더 공격적으로 마케팅을 하는 거 같습니다.

8. 한국에서도 애플이 LG 빈자리를 노린다고 꽤 공격적이지?

맞습니다. LG전자가 스마트폰 사업을 종료하면서 LG전자의 가전제품 판매점인 베스트샵에서 아이폰을 판매하기 시작했죠. 저도 얼마 전부터 계속 동네 베스트샵에서 홍보 문자를 받고 있습니다. 아이폰, 아이패드 팔고 있으니 와서 구경해보라는 내용으로요. 애플로선 기존 LG 스마트폰 점유율을 가져올 수 있는 절호의 기회입니다.

애플이 이렇게 한국 시장을 신경 쓰는 이유는 또 있습니다. 다른 해외 스마트폰 제조사들도 한국 시장 공략에 적극적으로 나서는 상황이기 때문입니다. 대표적으로 샤오미가 국내 시장 공략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습니다. 지난달 30만 원대 중반 가격으로 5G 스마트폰 ‘레드미 노트 10’을 출시한 데 이어 23일에는 45만 원대 태블릿 ‘미 패드 5’을 출시하면서 “한국 시장을 흔들어 놓고 싶다”는 말까지 했습니다.



샤오미만 있는 게 아닙니다. 2010년대 초반 한국 시장에서 쓴맛을 보고 철수했던 대만의 HTC도 국내 재진출을 예고한 상태입니다. 한때 세계 스마트폰 1위 자리를 다투고 삼성전자와 경쟁했던 모토로라도 국내 시장에 신제품 출시를 계획 중이고요. 모토로라가 국내에 출시한 건 2011년 ‘레이저’가 마지막이었으니, 10년 만에 돌아오는 셈입니다.

해외 스마트폰 제조사들은 모두 LG전자가 차지했던 중저가 스마트폰 시장을 정조준하고 있습니다. 올해 LG전자가 스마트폰 사업에서 철수하면서 국내 스마트폰 시장에서 생긴 공백이 11억 달러(약 1조 3천억 원) 규모라는 분석이 있습니다. 모두가 군침을 흘릴 수밖에 없는 상황이죠. LG 빈자리를 결국 누가 차지하게 될 것인지는 올해가 지나야 알 수 있을 것 같네요.

송태민 / IT전문가

스타트업부터 글로벌 대기업까지 다양한 경험을 지니고 있다. 현재 KBS 라디오 ‘최승돈의 시사본부’에서 IT따라잡기 코너를 담당하고 있으며, '애플워치', '아이패드 미니', '구글 글래스' 등의 국내 1호 구매자이기도 하다. 그는 스스로를 IT 얼리어답터이자 오타쿠라고 칭하기도. 두 딸과 ‘루루체체 TV’ 유튜브 채널, 개그맨 이문재와 ‘우정의 무대’ 유튜브 채널을 운영하고 있다. '어비'라는 닉네임으로 활동 중이며, IT 전문서, 취미 서적 등 30여 권을 집필했고, 음반 40여 장을 발표했다.

정리 / IT동아 권택경 (tk@itdonga.com)

사용자 중심의 IT 저널 - IT동아 (it.donga.com)



▶ '가성비폰' 양대 산맥, 갤럭시 퀀텀2 vs A52s 차이점은?▶ KQ? KU? QNA? 알쏭달쏭 삼성전자 TV 모델명 읽는 법▶ 中 스마트폰 제조사, 옛 카메라 명가에 속속 러브콜



추천 비추천

1

고정닉 0

1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힘들게 성공한 만큼 절대 논란 안 만들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10 - -
이슈 [디시人터뷰] 웃는 모습이 예쁜 누나, 아나운서 김나정 운영자 24/06/11 - -
306 [리뷰] PS5 용량 고민 한 방에 해결, 삼성전자 980 PRO with Heatsink SSD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0.25 86 0
305 [기고] 어린아이, 일본 문화 어울러 사회에 저항한 현대 미술가 '요시토모 나라(Yoshitomo Nara)' [7]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0.25 1376 3
304 구글·애플 독점은 현재 진행 중, "토종 앱 마켓이 나서야 할 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0.24 66 0
303 배달 라이더 파업, "배달 사고의 책임은 누구의 몫인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0.22 100 0
302 [스타트업-ing] 이한크리에이티브 "관광∙교육 콘텐츠의 미래, 메타버스에 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0.22 55 0
301 [송대리의 잇(IT)트렌드] 추억의 싸이월드, 전성기 다시 오나…?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0.22 89 1
300 [S-스타트업] 플라잎 정태영 대표 "산업 현장의 반쪽짜리 자동화, 로봇 AI로 해결합니다"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0.22 71 0
299 라온피플 감명곤 팀장 "AI 데이터 분석, 라벨링 정확도 높이는 노트북이 우선"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0.22 67 0
298 [농업이 IT(잇)다] 허요셉 힘난다 “신바이오틱스, 가맹 점주와 함께 건강 100세 시대 만든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0.22 58 0
297 [IT신상공개] 세계 최초 4축 시네마 카메라, DJI 로닌 4D [3]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0.22 977 0
296 [스케일업] 보라웨어 (2) B2B 솔루션 비즈니스의 고객 유입과 전환 [3]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0.22 699 0
295 [S-스타트업] 페스타 진겸 대표, "이벤트 주최·관리를 편하게 할 수 있도록 혁신이 필요하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0.21 61 0
294 [리뷰] "소규모 화상 회의에 안성맞춤", 로지텍의 밋업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0.21 74 0
293 [칼럼] “왜 엔터프라이즈로 업그레이드를 해야 하나?” 오픈 소스의 딜레마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0.21 58 0
292 HP, 신규 게이밍 노트북 3종 공개··· 연말 게이밍 시장 달군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0.21 70 0
291 [모빌리티 인사이트] 新 대항해시대를 주도할 ‘자율(自律)운항 시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0.21 499 3
290 [하이서울 V.C 탐방] 미림미디어랩 "교육 콘텐츠로 세상을 평등하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0.21 46 0
289 스마트·무인 매장 절도 피해 ‘카드 인증·AI 기술’로 줄인다.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0.21 467 0
288 [한국 AI 1번지] (1) AI 개발자, 되기도 구하기도 어렵다고?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0.20 57 0
287 차별화 절실해진 PC 시장, ‘보안’에 방점 찍은 HP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0.20 59 0
286 [리뷰] 알짜배기 노이즈 캔슬링 TWS, 샤오미 레드미 버즈 3 프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0.20 50 0
285 서울시 임재근 창업정책과장, “서울시도 스타트업 생태계 구성원 중 하나입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0.20 44 0
284 [하이서울 V.C 탐방] 에이앤에스개발 "우산 빗물 제거도 이제 친환경으로"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0.20 502 2
283 [하이서울 V.C 탐방] 씨앤에치아이앤씨 "일상 속 라돈의 위협을 줄입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0.20 40 0
282 [리뷰] 문턱 낮아진 전문가용 메시 공유기, 넷기어 오르비 프로 미니 SXK30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0.19 57 0
281 [하이서울V.C 탐방] 한터글로벌 "빅 데이터로 K-POP 세계화 이끕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0.19 46 0
280 애플·삼성·구글·소니 총출동, 10월 ‘테크토버’ 달굴 신제품은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0.19 683 0
279 M1X 아닌 'M1 프로'와 'M1 맥스'··· 애플, 차세대 맥북 프로 공개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0.19 912 2
278 [BIT 인사이트 저널] 작품 소유권 분할구매 '테사', 중국 미술시장을 잡아라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0.18 51 0
277 아마존닷컴 ‘스마트 홈’ 보면 IoT 사업 기회 보인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0.18 89 0
276 제철 수산물을 저렴하게, 어민들에게 희망을 건네는 '수산대전 돈쭐'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0.18 44 0
275 [뉴스줌인] PC용 파워서플라이 등급, '80 플러스 골드'에 주목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0.18 53 0
274 [하이서울 V.C 탐방] 모인 "불편한 해외 송금에도 혁신이 필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0.18 41 0
273 [리뷰] 카메라 성능에 한 획을 그었다, 애플 아이폰 13 프로 맥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0.18 60 0
272 [스케일업] "나를 위한 '똑똑한'푸드 없을까?" 라이프샐러드의 고민과 도전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0.18 722 0
271 뜨거운 인기 누리는 '핀테크' 업계, 앞으로 남은 과제는?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0.16 1055 0
270 [송대리의 잇(IT)트렌드] '오징어 게임' 돌풍, 경쟁자도 극찬한 넷플릭스의 전략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0.15 65 0
269 비대면 교육의 사각지대 '소통', 협업 툴로 채우는 사례 늘어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0.15 46 0
268 [IT신상공개] 집안으로 들어온 디지털 정원, LG전자 식물생활'신'가전 - 'LG틔운'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0.15 73 0
267 데이원컴퍼니 이강민 대표, "우리에겐 삶을 잘 살기 위한 '교과서'가 필요하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0.15 54 0
266 [농업이 IT(잇)다] 배성훈·윤지현 윌로그 “디지털 전환으로 투명한 물류 업계 만든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0.15 855 0
265 [하이서울 V.C 탐방] 아이엠비디엑스 "혈액만으로 암을 진단합니다"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0.15 751 0
264 [스케일업] 보라웨어 (1) “키워드 검색 광고주와 대행사를 위한 퍼포먼스 마케팅 솔루션”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0.15 46 0
263 [BIT 인사이트 저널] '오늘의집', 일본 부동산 시장에도 안착할 수 있을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0.14 59 0
262 [하이서울 V.C 탐방] 희스토리푸드 "K푸드 열풍 이끄는 종합 식품 기업이 목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0.14 40 0
261 [모빌리티 인사이트] 국방의 의무도 기술이 해결한다, 밀리테크(MiliTECH)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0.14 91 0
260 디즈니+, 베일에 감춰둔 '韓 오리지널 콘텐츠' 대거 공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0.14 78 0
259 디즈니+ 11월 12일 공식 출시··· OTT 무한 경쟁시대 온다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0.14 863 2
258 레드햇 포럼, 오픈 소스 기반 클라우드화 성공 사례로 눈길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0.13 598 0
257 [앱으리띵] 정품감별사가 인정한 한정판 제품, 안심하고 사고 파는 '크림'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0.13 44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