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일본·중국·이스라엘의 최신 스타트업 지원·육성 정책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2.11.02 10:13:47
조회 141 추천 0 댓글 0
[IT동아 차주경 기자] 스타트업이 국가 경쟁력으로 자리매김한 시대다. 이에 세계 각국 정부는 여러 가지 스타트업 지원·육성 정책을 편다. 창업 자금 직간접 지원과 세제·규제 특례, 기술·제품 연구 개발과 네트워킹 공간 및 스타트업 특구 조성, 해외 투자금과 인재 유치 정책 등이 공통 골자다.

세계 각국 정부의 스타트업 지원·육성 정책은 대개 내용이 비슷하지만, 나라별 특성을 반영한 독특한 것도 있다. 수원대학교 글로벌창업대학원 김성민 주임교수, ‘창업정책연구와 자금확보 로드맵 수립’ 과목을 수강하는 대학원생들이 세계 각국의 최신 스타트업 육성·지원 정책을 조사, 정리했다. 이 가운데 우리나라 스타트업에 도움을 줄 만한 정책을 찾아 업계에 제언할 목적이다.

일본 - 경제산업성 주도, 스타트업의 ‘지식재산권’ 강화에 집중

일본 정부 기관 가운데 경제산업성, 그 아래 중소기업청과 산업기술환경국, 특허청 등이 스타트업 지원·육성을 주도한다. 경제산업성은 우리나라의 산업통상자원부, 중소벤처기업부 역할을 하는 기관이다. 문부과학성(교육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역할)은 산학연계와 연구 개발, 기원 지업을 담당한다. 후생노동성(보건복지부와 고용노동부 역할)과 농림수산성(농림축산식품부 역할)도 각각 의료, 식료 부문 스타트업 지원·육성 정책을 운영한다. 자금 조달은 일본정책투자은행, 일본정책금융공고가 맡는다.

일본 경제산업성은 2022년 6월 기준, 스타트업 지원·육성 정책 64개를 운영한다. 예비 창업을 시작으로 초기 창업, 시드 투자와 시리즈 투자, M&A 혹은 IPO에 이르기까지 스타트업 창업과 성장의 모든 단계에 알맞은 지원 정책으로 구성한다. 일본 경제산업성은 64개 지원 정책의 대상과 지원 절차, 담당 기관과 담당자 연락처 등을 홈페이지에 PDF 자료로 공개한다.

자금 지원은 대부분 저금리 대출과 금리 우대다. 그 밖의 지원도 직접 지원보다는 간접 지원이 훨씬 많다. 창업 직후 7년간 최대 7,200만 엔(약 7억 2,000만 원)을 저금리 대출하는 ‘신규개업지원자금’, 뚜렷한 성과를 내거나 성장이 기대되는 딥테크 스타트업의 채무를 50%까지, 최대 25억 엔(약 250억 원) 보증하는 ‘채무보증’ 제도가 눈에 띈다. 대기업이 스타트업과 공동 연구하거나 CV를 구성할 때 일정 비용을 '법인세 공제 혹은 소득공제'하는 제도, 엔젤 투자자에게 '세금우대 혜택'을 주는 제도도 운영한다.


일본 경제산업성 스타트업 지원 정책 홍보 페이지. 출처 = 일본 경제산업성



일본 스타트업 지원·육성 정책의 또 하나의 특징은 ‘지식재산권 강화’다. 먼저 산업 부문별로 연구개발형 스타트업 지원·육성 정책을 따로 운영해 대학교나 기업의 지식재산권 연구를 진작한다. 일본 경제산업성은 연구개발형 스타트업 지원 정책의 성격과 규모에 따라, 500만 엔(약 5,000만 원)~2억 5,000만 엔(약 25억 원)의 자금을 직접 지원한다.

연구 개발로 지식재산권이 만들어지면 특허 출원 기간의 단축, 규제 특례 등 혜택도 준다. 특허청은 이들 지식재산권의 사업화를 지원하면서 산업계 전문가와 대학교, 대기업에 적극 알려 오픈 이노베이션을 유도한다. 지식재산권 연구 개발과 제작, 특허 출원과 등록, 기술 이전 절차와 대상 기업은 물론 결과에 이르기까지 모든 과정을 기록으로 남긴다. 즉, 시작부터 성과를 내기까지 지식재산권의 모든 것을 관리한다.

일본 내각부(행정안정부)는 최근 ‘스타트업 담당상’을 신설, 2027년까지 스타트업의 개수를 10배 늘린다고 밝혔다. 도쿄와 오사카, 나고야와 후쿠오카를 미국의 실리콘 밸리와 같은 스타트업 특구로 만들고 이 곳에서 기업을 육성할 세부 계획도 공개했다. 경제산업성을 포함한 일본 정부 기관은 2021년 스타트업 지원·육성과 투자에 7,801억 엔(약 7조 8,000억 원)을 직접 투자했다. 목표는 2022년 11개인 유니콘 스타트업을 2024년까지 35곳으로 세 배 늘리는 것이다.

조사 : 차주경 IT동아 기자 / 출처 : 일본 정보과학성

중국 - 과학기술 산업화, 산학연관의 풍부한 자금·인프라·교육 지원

중국은 미국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많은 유니콘 스타트업을 가진 강국이다. 1979년 개혁 개방 이후 중국 정부가 마련한 초기 기업 창업 정책은 2000년대 인터넷·온라인 창업으로 이어졌다. 이는 텐센트와 알리바바, 바이두 등 오늘날 세계 주요 정보통신기업을 낳은 요람 역할을 했다. 이어 중국은 2014년부터 대중 창업과 혁신을 통한 경제 활성화, 융합 서비스와 첨단 제조업으로의 창업 고도화를 추진 중이다.

2015년 중국 정부는 ‘대중창업, 만중혁신’ 창업 정책을 공개했다. 스타트업 창업 환경을 만들고 지원·육성 정책을 강화해 개인 창업을 활성화한다. 그러면 자연스레 경제 혁신으로 이어진다는 논리다. 이를 이끌 창업 공간과 자금 지원 정책 등 기반도 튼튼히 구축했다. 이어 이 정책은 2017년 전후 '과학기술 사업화'와 '고부가가치 기회형 창업'으로 발전한다.

중국 정부는 2018년 '대중창업, 만중혁신' 창업 정책을 개선하고 6대 목표를 제시했다. ▲창업 서비스 플랫폼 업그레이드 ▲창업의 고용 창출 효과 확대 ▲과학기술형 창업 촉진 ▲시범기지 효과 제고 ▲대·중·소기업의 혁신 창업 협력 강화 ▲혁신창업을 위한 국제 교류 협력 등이다. 이 목표를 이룰 세부 조치 34개도 함께 공개하고 담당 부처를 지정했다.


텐센트의 오픈 플랫폼. 텐센트의 클라우드와 인공지능 데이터 등 기반을 스타트업과 공유, 상생하려 만든 창업 생태계다. 출처 = 텐센트 오픈 플랫폼



창업 문화와 기반 뿐만 아니라, 중국 정부는 자금 지원 정책도 꾸준히 다듬었다. 1988년 중국 국가과학기술위원회가 만든 ‘횃불계획’이 시초다. 중국 전국에 첨단 기술 혁신 구역을 만들고 자원, 인재를 모아 성장 자금을 투입하는 계획이다. 이 계획은 2007년 창업투자인도기금으로 발전한다. 창업투자기금은 2018년까지 2,041건 투자를 단행했는데, 총 조성 금액은 무려 5조 3,000억 위안(약 1,030조 원)에 달한다. 스타트업의 증권 거래소 ‘커촹반’도 힘을 보탰다. 중소판, 창업판, 신삼판 등 중소기업의 자금 조달을 위한 증권 거래소에 이어, 중국 정부가 마련한 정보통신·첨단 기술·신산업 스타트업의 증권 거래소다. 덕분에 스타트업의 자금 수혈이 한결 원활해졌고, 일반 투자도 이끌었다.

중국 정부는 창업 정책 교육에도 힘을 쏟는다. 1997년부터 2001년까지 대학교의 자발적 창업 교육을, 2002년부터 2008년까지는 창업 교육 시범 기지를 만들어 교육 내용을 다듬었다. 이를 토대로 2009년부터는 중국 교육부 주도로 실질 창업 교육을 전면 추진 중이다.

바이두와 알리바바, 텐센트 등 이른바 ‘BAT’로 불리는 정보통신 대기업이 주도 중인 '스타트업 창업 생태계'도 돋보인다. 이들은 사무 공간과 실험실, 클라우드를 비롯한 기반 서비스와 수백 억 위안 규모의 창업 기금을 내놨다. 이 곳에서 스타트업을 지원하고 협력 관계를 만들어 함께 혁신을 시도, 새로운 스타트업과 인재를 만드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 목적에서다. 최근에는 여기에 중국 주요 대학교도 참가했다. 중국 대기업 일부는 자신들의 자본과 기반을 대학교의 기술과 인재에 더해 상승 효과를 노리는 ‘1사 1대학 창업 지원 캠페인’을 주도 중이다.

조사 : 강희주 수원대학교 창업지원단 / 출처 : 중국의 창업생태계 발전전략과 정책 시사점-대외경제정책연구원

이스라엘 - 엔지니어·기술·과학자, R&D로 하이테크 스타트업 활발

이스라엘의 인구는 921만여 명에 불과하나, 스타트업은 인구 1,400명당 하나씩 있을 정도로 개수가 많다. 덕분에 세계 유수의 기업 400여 곳이 이스라엘에 R&D 센터를 세웠다. 미국 나스닥 상장사 가운데 이스라엘 기업의 수는 미국과 중국에 이어 세 번째로 많다.

2020년 7월 기준으로, 이스라엘에는 스타트업 6,583곳이 활약 중이다. 디지털 헬스케어와 사이버 보안, 핀테크와 전자상거래 기업이 대부분이다. 농업 기술과 제약, 푸드 테크 스타트업도 많다. 이들이 2019년 유치한 투자 금액만 82억 9,600만 달러(약 11조 7,595억 원)에 달한다.

이스라엘의 창업 원동력은 엔지니어와 과학자 등 인재들의 창의적인 사고 방식과 오래 전부터 닦아 온 R&D 역량, 외국 투자 기업의 전폭 지원과 풍부한 VC 기반이다. 여기에 군 복무 시 각종 기술과 기업가 정신을 교육, 전역 후 연구원으로 성장하도록 돕는 독특한 인재 양성 프로그램도 운영한다.

이스라엘은 1969년부터 수석과학관실을 세워 민간의 기술 연구 개발을 촉진했다. 이어 1992년에는 민간이 세운 기업의 살을 찌울 각종 펀드가 등장했다. 이스라엘 정부는 1990년부터 정보통신기술 연구 기반을 만들고 기술 촉진 정책도 운영했다. 이후 2017년 하이테크 숙련 인력을 양성을 위한 국가 프로그램까지 마련한다.


기술 중심 스타트업 지원 육성책을 마련한 이스라엘 혁신청. 출처 = 이스라엘 혁신청



이 가운데 이스라엘 스타트업 지원·육성을 주도하는 혁신청을 주목하자. 이들은 스타트업과 성장, 기술 인프라 부문별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스타트업 지원 프로그램으로는 R&D 초기 기업에게 350만 셰켈(약 14억 원)을 지원하는 인큐베이터, 혁신 기술의 개발과 검증을 20만 셰켈(약 8,000만 원) 범위 안에서 돕는 트누파(Tnufa), 성장 가능성과 혁신 제품 개발 역량을 갖춘 초기 기업에게 500만 셰켈(약 20억 원)을 지원하는 초기 단계 인센티브 등이 마련됐다.

성장 지원 프로그램으로는 제조나 개발 기업, 대기업의 R&D를 돕는 펀드를 마련했다. 교통과 환경 보호, 디지털 의학 등 이스라엘이 강한 산업 부문의 스타트업에 자금을 지원하고 정부 기관과 연계해 시범 사업을 함께 하는 프로그램도 눈에 띈다. 생명공학과 보건 기술을 다루는 다국적 기업의 R&D 센터 설립을 돕는 것도 여기에 포함된다. 첨단 제조 기술의 연구기관 육성, 과학 기술 스타트업과 정부의 공동 연구개발, 여러 기업이 참여하는 R&D를 국가가 돕는 컨소시엄 등 기술 인프라 지원 프로그램도 풍부하다.

여기에 여러 스타트업 지원 기관이 힘을 싣는다. 이들은 비영리 조직으로, 기업가 정신 교육과 협업 공간을 마련하고 액셀러레이팅도 돕는다. 물론, 이스라엘 정부 역시 공인 육성 기관과 액셀러레이터를 운영한다. 히브리, 테크니온, 텔아비브 등 이스라엘 주요 대학교들도 기술지주회사를 세워 기술 사업화와 스타트업 창업을 이끈다.

조사 : 이진한 퀄리티디자인 대표 / 출처 : 이스라엘 혁신청 웹 사이트

다음 기사에서는 유럽(독일·스웨덴·영국·프랑스)의 최신 스타트업 지원·육성 정책을 살펴본다.

글 / IT동아 차주경(racingcar@itdonga.com)

사용자 중심의 IT 저널 - IT동아 (it.donga.com)



▶ 초기 창업자의 동반자, 성북구 1인 창조기업 지원센터 (1)▶ [스케일업] 프롬차일드 [3] 구자근 한양대 에리카 교수 “자사몰 활성화 비법, 데이터 속에”▶ [스타트업-ing] 타고 김수빈 대표 “스피닝을 통해 새로운 운동 문화를 알리고 싶습니다”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본업은 완벽해 보이지만 일상은 허당일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5/02/17 - -
2298 북한 핵무기의 새로운 돈줄은 '사이버공격'.."한국도 국가적 대응 체계 마련해야" [10]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20 1805 7
2297 [스타트업 리뷰] IT운영 전문가가 평가한 인포플라의 ‘AI장비헬스체크’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20 171 0
2296 [리뷰] 라이젠 R9 6900HS로 성능·휴대성 다 잡은 '레노버 요가 슬림 7 프로 X'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20 604 1
2295 불황을 기회로, 농식품 벤처육성지원사업 역대 최대 규모 모집 [4]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20 4192 2
2294 [홍기훈의 ESG 금융] ‘선도그룹연합(FMC)’이 지닌 차별성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19 161 0
2293 스마트홈 중심으로 자리잡은 IP 카메라, 제3세계 시장 확대도 본격화 [5]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19 3298 0
2292 [리뷰] 도킹 스테이션이 결합된 모니터 암, 카멜마운트 PMA2WDS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19 1313 1
2291 "전기차는 내연기관차보다 깨끗한 무공해차", 정말일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19 214 0
2290 [불황 이기는 검색광고 노하우] ② 검색광고 효과·효율 높일 실전 전략 6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19 115 0
2289 [리뷰] 눈 즐거운 휴대용 노트북, 에이수스 젠북 S 13 OLED [6]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18 1735 0
2288 개도국 괴롭히는 물 속 '대장균'... 파이퀀트 "혁신적 장비로 효율적 해결 가능해"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18 216 0
2287 인텔 아크 GPU 세 달간 써보니··· '완성도는 기대 이상, 드라이버는 산으로' [10]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18 2460 1
2286 [가상자산 제대로 알기] 12. CBDC와 스테이블 코인, 일상에 안착할 수 있을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18 118 0
2285 [스케일업] 누비랩 [2] “우리의 조직문화는 성장하기 위한 좋은 습관입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18 150 0
2284 유튜브 쇼츠 수익화, 조건과 주의사항은? [5]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18 1738 2
2283 [뉴스줌인] DBX-TV, ALLM 기능 지원하는 더함의 신형 안드로이드 TV 이모저모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17 179 0
2282 [디지털콘텐츠로 자녀와 소통하기] 5. 자녀의 디지털미디어 통제 능력을 길러주는 소통법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17 128 0
2281 [농업+IT=스마트팜] 2. 스마트팜과 사물인터넷은 어떻게 연결되나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17 123 0
2280 [리뷰] 빈틈없는 AI 초점에 8K 해상도로 돌아왔다, 소니 A7R5 [5]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17 984 5
2279 [IT신상공개] 삼성전자 아이소셀 HP2의 기능과 장점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17 1010 0
2278 [혁신스타트업 in 홍릉] 지에이치팜 “고사리 추출물 프테로신, 삶의 질 높인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17 103 0
2277 개인정보는 공공재? 해킹으로, 혹은 담당자 실수로 줄줄 새는 개인정보 [7]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16 1828 6
2276 2023년 게이밍 모니터 시장 키워드는 '고주사율·OLED·미니LED' [4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16 3472 5
2275 오토엘 "자율주행의 핵심 '라이다', 비용 낮출 수 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16 151 0
2274 인공지능이 사람처럼 글을 쓴다... 결과물은 어떨까? [39]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16 5373 7
2273 [주간투자동향] 카카오엔터테인먼트, 1조 2,000억 원 규모의 글로벌 투자 유치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16 180 0
2272 [불황 이기는 검색광고 노하우] ① 불황에는 검색광고가 뜬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16 119 0
2271 [기고] 2023년 '다섯번째' 분기의 마케팅 극대화 방법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13 218 0
2270 오프라인 나온 NFT 아트, 디지털 사이니지 시장 확대에도 기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13 154 0
2269 요양보호사 매칭부터 디지털 트윈 질환 관리까지...기술타고 팽창하는 '실버산업'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13 216 0
2268 [스케일업] 부지런컴퍼니 [2] “사회적 명분 추구와 사업 성장, 우선 순위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13 123 0
2267 SBA·수원대학교 “2023년 스타트업 창업 열기에 불 지핀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13 136 0
2266 [리뷰] 아이폰을 맥OS 웹캠으로 쓴다, 벨킨 맥세이프 아이폰 그립톡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13 1068 0
2265 가민, 어디서나 전세계 골프장 가상 투어하는 ‘어프로치 R10’ 국내 출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12 921 0
2264 [모빌리티 인사이트] CES2023에서 엿본 모빌리티의 미래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12 186 0
2263 네이버의 연이은 중고거래 플랫폼 인수, '기술적 시너지로 체질 개선하는 과정' [10]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12 3957 4
2262 인텔, 가속기 12개로 데이터센터 강화하는 4세대 제온 스케일러블 프로세서 출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11 138 0
2261 인공지능 챗봇 '챗GPT'에게 '챗GPT'를 물었다, 그러자 '사람'처럼 대답했다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11 1266 4
2260 [스케일업] 제이디솔루션 [2] 이유진 프레인 “기업 상징 키워드로 이미지 쌓아라”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11 115 0
2259 [뉴스줌인] 모델명에 ‘3D’ 더한 라이젠 7000X3D 시리즈, 달라진 점은? [18]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10 1868 3
2258 [월간 자동차] 2022년 12월, 신차 등록 다시 감소세…중고차 시장도 얼어붙어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10 761 0
2257 [IT하는법] 카카오톡·밴드의 실시간 알림 끄는 법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10 1293 2
2256 [CES2023] CES 유레카 파크, 강력한 에너지 내뿜는 국내 스타트업 모였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10 181 0
2255 [혁신스타트업 in 홍릉] 리브라이블리 “노리케어 운동법으로 노년을 살맛나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10 110 0
2254 [르포] 주요 기업들 몰린 CES2023의 LVCC 센트럴홀, 국내 기업 부스 탐방기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10 145 0
2253 [CES 2023] 브랜드 벽 허문 ‘초연결’ IoT 시대 개막, 중소기업에겐 기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09 192 0
2252 [인터뷰] ASML “세계 유일 EUV 노광장비 생산 기업의 문을 두드리세요” [29]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09 3614 0
2251 [뉴스줌인] 스마트폰으로 위성 쓰는 시대 온다, 스냅드래곤 새틀라이트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09 951 0
2250 코빗 이정우 CTO, "네이버클라우드 eKYC 기술, 투명성·신뢰성에 도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09 113 0
2249 [스케일업] 레다게임즈 [2] 장목환 루다게임즈 “게임의 본질 재미 갖추고 시도 거듭하라”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3.01.09 95 0
뉴스 장근석, 20살에 하지원과 짜릿한 첫 키스! 풋풋한 짝사랑 고백까지?! 디시트렌드 02.17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