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스케일업] 스페이스앤빈 [2] BM분석 “작고 강한 벤처로 성장하기 위한 조건”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2.11.21 13:12:54
조회 181 추천 0 댓글 0
[스케일업 x 권역 BI] 스케일업코리아가 '동국대학교·서강대학교·서울과학기술대학교·이화여자대학교·한국기술벤처재단' 소재 창업보육센터들과 함께 '권역 BI 컨소시엄(서울과학기술대학교 주관)' 스케일업 프로그램을 진행합니다. 이번 프로그램은 컨소시엄의 각 BI 센터가 선정한 유망 스타트업을 인터뷰로 소개하고, 그들의 비즈니스모델을 분석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합니다. 마지막으로 스타트업이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에 맞춰 전문가를 소개해 도움을 드리고자 합니다.

지난 ‘[스케일업] 스페이스앤빈 [1]’ 기사를 통해 전자파와 방사선을 방어할 수 있는 신소재를 개발, 이를 활용한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페이스앤빈을 소개했습니다. 스페이스앤빈은 지상의 작은 콩(BEAN)부터 우주(SPACE)까지 아우르는 방호 플랫폼을 구축하겠다는 목표를 향해 나아가고 있는데요. 스페이스앤빈의 민경령 대표가 준비한 첫 번째 제품은 서버를 보호할 수 있는 차폐랙입니다. 기존 차폐랙 대비 저렴하고, 차폐공간 시공을 위해 벽지, 시트, 테이프 등으로 활용할 수 있어 활용도가 높은 장점을 지니고 있죠.

이후 스케일업팀은 비즈니스모델 분석 전문가로 활동하고 있는 인사이터스 황현철 대표와의 만남을 추진했습니다. 아래 글은 황현철 대표가 스페이스앤빈에게 전하는 메시지입니다.


스페이스앤빈 민경령 대표(좌)와 인사이터스 황현철 대표(우), 출처: IT동아


생각보다 무서운 EMP


스페이스앤빈은 EMP(Electro-magnetic Pulse, 고출력 전자기파) 방호 차폐 솔루션을 개발하는 스타트업으로, EMP 방호 전문가인 민경령 대표가 이끌고 있다. EMP는 아직 일반인에게 매우 생소할 테지만, 수년 전 북한이 핵 EMP탄을 이용한 공격 가능성을 언급하면서 국방 및 산업계에서 반드시 대비해야 하는 이슈로 인식된 바 있다. 만약 서울 상공에서 핵 EMP탄이 폭발한다면, 반경 160Km 이상의 넓은 지역에 있는 전자기기와 장비는 마비되고, 통신과 전력까지 기능을 멈추게 된다.


출처: 동아일보



핵 EMP 이외에도 특정지역과 시설을 목표로 하는 비핵 EMP 공격 또한 가능하다. 데이터 센터, 군사정보시설 등은 이러한 공격의 우선 대상이다. 얼마 전 카카오의 데이터 센터 화재 발생으로 인해 전 국민이 피해를 입었던 것을 떠올려보자. 주요 정보시설에 한정된 EMP 공격은 이와 같은 큰 피해를 끼칠 수 있다. 이런 이유로 정부는 민간과 공공기관의 EMP 방호시설 구축을 의무화하기로 했고, 곧 시행할 예정이다.


출처: 카카오팀 트위터


EMP 방호 시장과 차별성


EMP 공격은 어떻게 막을 수 있을까? 크게 건물 자체에 방호력을 높이는 시설 방호와 전자기기를 둘러싸는 장비 방호로 나눌 수 있다. 시설 방호는 공간 자체에 EMP 차폐력을 갖춰야 하기에 콘크리트 건물벽에 납판, 강철판을 덧대는 방식으로 시공해야 하며, 비용은 수백억 원에 이른다. 데이터 서버의 EMP 방호를 위해 활용하는 차폐랙은 고중량 강판을 이용한 형태로, 무겁고 비용은 대당 3,000~5,000만 원 수준이다. 이러한 비용 문제 때문에 국내 EMP 시설 구축 현황은 정부 및 민간의 경우 1%, 군시설은 18%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출처: 스페이스앤빈



이러한 시장 상황에서 스페이스앤빈은 가볍고 저렴한, 새로운 차폐소재를 적용한 제품으로 시장을 공략할 계획이다. 스페이스앤빈은 개발한 소재를 필름에 적층 구조로 입혀 시트, 테이프, 벽지, 고무, 허니콤 타입 등 다양한 형태로 제품화했다. 벽지, 시트 등 다양한 형태의 제품으로 시설과 장비를 방호한다.


출처: 스페이스앤빈




출처: 스페이스앤빈


고객가치 분석


스페이스앤빈의 경쟁력을 보다 세부적으로 알아보기 위해 새로운 소재를 적용한 제품이 고객가치 차원에서 얼마나 다른지 살펴보자. 현재 EMP 방호에 가장 많이 쓰이는 솔루션인 강판 차폐랙, 시설 차폐 방식과 비교하면 아래와 같다.


출처: 인사이터스



먼저 차폐랙과 세부적으로 비교해 보면 스페이스앤빈의 제품은 경제성 측면에서 유리하다. 비용은 절반 이하로 줄였으며, 강판 대비 훨씬 더 가볍고, 유지 보수 차원에서 유리한 차폐 섬유를 활용한다. 무겁고 육중한 강철 문이 아니라, 가볍고 편리한 개폐 방식을 적용해 유지 보수 등 사용자 편리성을 높였다.

기존 시설 방호는 고비용의 EMP 방호 콘크리트, 납, 아연도금 철판, 동박 등을 복합적으로 사용해야만 했다. 하지만, 스페이스앤빈이 시장에 선보인 시트, 벽지, 테이프, 고무 등 다양한 재질과 형태의 방호 제품은 절반 이하의 가격으로 더 빠르게 설치해 시설을 방호할 수 있다.

차별성 인정, 그러나 비즈니스모델은?


고객가치 분석에서 드러나듯 스페이스앤빈은 고유의 소재를 바탕으로 기능적, 경제적 차별성을 갖췄다. 그렇다면 이들은 이러한 차별성을 바탕으로 어떤 비즈니스모델을 가지고 사업을 전개하는지 알아보자.


출처: 인사이터스



많은 스타트업이 그렇듯, 이런 B2B 사업의 고객 유입 모델은 대표의 전문성에 기반한 상담과 업계 네트워크 기반으로 이뤄진다. 업계 네트워크라는 것은 수요고객군 보다 IDC 구축 전문사 등 채널 고객사가 주이며, 이들과 협력해 수요고객군에게 제품을 납품하는 구조다. 전형적인 솔루션 전문 기업의 비즈니스모델이다.

스타트업의 제한적인 영업력을 극복하기 위해 업계에 영향력을 갖춘 채널 고객과의 협력으로 비교적 신속하게 시장에 진입할 수 있다. 이에 잘못된 비즈니스모델이라고 말하기는 어렵지만, 수요고객에 대한 직접 영업은 제한적이다. 즉, 부가가치의 훼손과 채널 고객의 영향력에 따라 납품가 및 수익성이 좌우될 수 있다.

성장을 위한 비즈니스모델의 변화


차별화한 소재와 제품화 능력을 갖췄다는 점은 성장에 매우 유리하다. 다만, 성장을 담보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스페이스앤빈이 주장하는 소재의 독창성과 기술적 허들은, 무식한 필자가 그냥 믿은 것일 뿐이다. 이것이 사실인지 아닌지는 누구도 모르며, 부지불식간 더 저렴한 대체재가 시장에 나타나도 이상한 일은 아니다. 어찌 됐든 경쟁자들이 따라오기 힘든 기술적 허들을 갖췄다고 하니, 이제 사업적 허들을 쌓아야 할 때다.

수요고객 유입을 높이기 위한 EMP 평가 및 인증

우리나라에는 정보통신 기반 보호시설로 지정된 것이 약 1,000여 개라고 한다. 정부 약 300개, 공공 약 500개, 민간 약 200개 시설이 이에 해당한다. 민간의 200개 시설은 주로 IDC(Internet Data Center)로 볼 수 있다. 이들 모두가 스페이스앤빈의 수요고객에 해당한다. 그렇다면 이 수요고객에게 스페이스앤빈이라는 회사의 전문성과 제품군을 어떻게 인지시킬 수 있을까? 광고로 가능할까?

필자가 제안하는 방법은 IDC 등 EMP, 전자기파에 민감한 시설 100여 곳에 대해 일괄적으로 평가하고 EMP 방호 안전성에 대해 대외적으로 발표하는 것이다. 얼마 전, 카카오 데이터 센터 화재로 전 국민이 불편을 겪었던 만큼 ‘어떤 회사의 IDC가 EMP를 잘 막아낼 수 있는가’는 충분히 관심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주제다. 만약 이것이 진단과 측정 방식의 복잡성으로 인해 불가능하다면, 제품에 대한 측정으로 대체할 수도 있다. 쉽게 말해, 전자기파에 아이폰이 더 안전한가, 갤럭시가 더 안전한가를 조사해서 발표하는 것이다.


Global Cybersecurity Exposure Index, 출처 : Passwordmanagers Co.



이런 평가 지표 공개를 통해 일반인들은 EMP에 경각심을 가질 수 있고, 수요고객인 IDC 등은 EMP 차폐에 더 많이 투자할 것이며, 그 지표를 공개하는 스페이스앤빈을 높은 전문성을 갖춘 기업으로 인식하게 될 것이다. ‘국가기관도 아닌데 어떻게 그런 걸 하는가?’라고 반문할 수 있다. 위 그림을 보자. 민간보안 회사인 패스워드매니저스는 세계 각국의 보안 등급을 발표한다. 이처럼 기업이나 협회 등 민간에서 발표하는 인덱스는 생각보다 사례가 많다. 이들이 인덱스 발표를 통해 얻고자 하는 전략적 효과 또한 대외적 위상 확보와 고객 유입으로 대동소이하다.

생산자, 서비스 공급자와의 밸류 체인 협력

스페이스앤빈은 IDC의 EMP 방호를 위해 KT엔지니어링과 함께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시장을 확장하고 있다. 이미 파트너십을 활용하고 있는데, 이걸 그냥 확대하라면 별 의미는 없다. 확대는 하되, 소재 회사로서 핵심 원료를 공급하는 데 중점을 두길 바란다. 생산과 판매는 파트너사가 담당하게 하는 등 명확한 역할 분담이 필요하다는 의미다.

왜 그래야 할까? 스페이스앤빈이 가진 차폐 소재는 생각보다 그 쓰임새가 매우 넓다. 지금까지 중점적으로 언급했던 IDC의 EMP 방호뿐만 아니라, 군수 장비, 드론 및 로봇, 운수장비, 휴대폰과 같은 통신장비의 방호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방사선 차폐로 확대하면 의료, 항공 영역까지 넓어진다. 이런 다양한 시장, 다양한 고객을 스타트업이 모두 대응하는 것은 쉽지 않다. 가장 효율적으로 시장에 대응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해야만 한다.


출처: 인사이터스


작고 강한 벤처로 성장하길 기원하며


스페이스앤빈의 민경령 대표와 얘기를 나누는 시간 동안, 보기 드물게 열정과 경험의 균형을 이룬 사람이라는 느낌을 받을 수 있었다. 민 대표는 약 10여 년간 사업관련 업무를 맡아온 경험을 바탕으로, 우리에게는 너무도 생소한 차폐재 시장에 뛰어들었다. 그 기술적 깊이와 시장에 대한 이해도가 있기에 어쩌면 당연히 걸어야 할 길을 걷는다는 느낌도 받았다.

다가오는 EMP 방호에 대한 법제화 실행을 통해 관련 시장은 본격적으로 열릴 것이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해 군수에 대한 수요 또한 증가할 것이다. 이렇게 시장이 확대될 때 연구, 제품개발, 생산, 영업과 납품까지 모두 책임지는 대표와 스타트업은 장기적 성장을 이룰 수 없다. 그 팽창하는 시장에서 가장 부가가치가 높은 고객군에 대한 가치사슬을 잘 분리하고, 그중에서 가장 잘 할 수 있는 영역에 역량을 집중해야 한다. 그렇다면 한우물을 파온 민 대표의 기술과 경험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작고 강하며 오랜 시간 지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좋은 벤처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글 / 인사이터스 황현철 대표

실전 비즈니스모델 컨설팅 전문가. 20년간 비즈니스 전략, 프로세스, 생산, 품질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현장 중심의 컨설팅을 수행했으며, 이러한 경험을 토대로 스타트업부터 대기업에 이르기까지 실체적 비즈니스모델 컨설팅과 교육을 진행하고 있다. 본격 기업 극화 소설 '비즈니스모델러'의 저자이기도 하다.

정리 / IT동아 권명관(tornadosn@itdonga.com)

사용자 중심의 IT 저널 - IT동아 (it.donga.com)



▶ [스케일업] 엘포박스 [2] 톡톡박스, 디바이스가 아니라 ‘Playground’로!▶ [2022 창구] 로플리 “막막한 미국 이민, 앱 하나로 맞춤형 서비스”▶ [스케일업] 휴로틱스 [2] BM 분석 “웨어러블 로봇, 성장의 열쇠는 파트너십”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힘들게 성공한 만큼 절대 논란 안 만들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10 - -
이슈 [디시人터뷰] 웃는 모습이 예쁜 누나, 아나운서 김나정 운영자 24/06/11 - -
2165 [리뷰] 서재부터 작업실까지 아우르는 스탠드, 벤큐 위트 마인드듀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1 81 0
2164 서울 동북권 창업연합, 서울과기대에서 뭉쳤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1 94 0
2163 “해외 진출 사활 거는 스타트업들, ‘오징어 게임’ 사례 참고해야” [5]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1 3072 0
2162 [스케일업] 부지런컴퍼니 [1] “우리 아이의 용돈 관리를 미션으로 제공합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1 77 0
2161 AT센터 “농가·유기농가 디지털화, 온라인 유통 안착 돕겠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0 81 0
2160 [가상자산 제대로 알기] 8. 알트코인에 대한 기본 지식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0 186 0
2159 [박진성의 블록체인 바로알기] 15. 안전한 블록체인 투자 전 준비해야 할 것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0 68 0
2158 [혁신스타트업 in 홍릉] 큐제네틱스 “줄기세포 분화·촉진 기술로 난치병 극복에 앞장”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0 1030 1
2157 [뉴스줌인] 지포스 RTX 4080 겨냥한 라데온 RX 7900 시리즈, 속속 출시 [44]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19 3863 7
2156 머스크 변덕에 오락가락하는 트위터, 잇단 논란에 대표 사임 투표까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19 100 0
2155 [시승기] 3천만 원대 독일 세단을 찾는다면…해답은 ‘폭스바겐 제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19 86 0
2154 [스케일업] 제이디솔루션 [1] 입체 음향 기술로 들려주는 IOT ‘SOT’ 시대 연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19 66 0
2153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청소년 비즈쿨 “제조업의 중요성을 알리고 있습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19 76 0
2152 SBA “CV·오픈 이노베이션으로 혁신·일자리·성장 만든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19 58 0
2151 휴먼셀 “경쟁 치열한 건강기능식품 시장, 발상의 전환으로 돌파구 찾았죠”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19 71 0
2150 [주간투자동향] 베스핀글로벌, 1,400억 원 규모의 투자 유치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19 59 0
2149 [스타트업-ing] 트랜쇼, “서울시 중구에 2,500평 규모의 패션 풀필먼트 센터를 오픈했습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19 1025 1
2148 사십오센티미터 심태왕 대표, "쉽지않은 베트남 사업, 서울창업허브가 맞들어줘"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16 95 0
2147 에어스메디컬의 베트남 시장 진출, 그 배경에 '서울창업허브'의 뒷심 있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16 86 0
2146 [모빌리티 인사이트] 자율주행차가 다니는 길은 더 똑똑하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16 74 0
2145 [농업이 IT(잇)다] 식물성 대체우유로 만든 식품으로 건강한 다이어트 돕는 ‘아밀키’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16 122 0
2144 우주라컴퍼니 “펫 보험 손해율, 반려동물의 몸과 마음을 이해해야 낮출 수 있습니다” [15]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16 7458 6
2143 툰스퀘어 "AI 웹툰 창작, '재밌는 이야기'만 있으면 누구나 웹툰작가 될 수 있어"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16 158 0
2142 한터글로벌 “빅데이터의 힘, 케이팝 비즈니스 성공 이끌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16 136 0
2141 [스케일업] 레다게임즈 [1] 시공간 제약 無, 세계인과 즐기는 온라인 방탈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16 79 0
2140 웰트 “AI 인력 역량 강화, 디지털 치료제 개발에 큰 도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15 115 0
2139 [경콘진 MAP] AI 기반 개인정보 비식별화 전문 SW 개발...‘조이풀터틀즈’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15 83 0
2138 [리뷰] Arm 기반 초소형 노트북, 에이수스 엑스퍼트북 B3 디태쳐블 [18]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15 3060 1
2137 [경콘진 MAP] 씨에어허브 “수출입 물류 자동화의 모든 것, 여기G에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15 76 0
2136 인포지아, '산업맞춤형 AI 인력 양성, 중소기업의 AI 역량 끌어올려'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15 993 0
2135 핀인사이트 "AI 전문 인력 양성, 맞춤형 교육 솔루션이 해답"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14 71 0
2134 [경콘진 MAP] 내게 맞는 ‘한국 술’ AI가 추천…전통주 소믈리에 플랫폼 기업 ‘매월매주’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14 75 0
2133 인타임즈인 "기업의 글로벌 언어 역량, 전문적인 직무 교육이 뒷받침한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14 68 0
2132 [경콘진 MAP] 뷰티아이디 "맞춤형 젤네일 스티커, 젤네일의 품질을 높인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14 162 0
2131 미래와도전 “이제 원전 산업도 AI 개발 필수, 맞춤형 교육으로 내부 역량 높여”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14 72 0
2130 [스케일업] 엘핀 [1] 세계 유일 '복합 위치인증'으로 시장 이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14 69 0
2129 [경콘진 MAP] 고수플러스 “주거구독 플랫폼 ’독립생활’로 고시원도 즐거워진다”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13 854 0
2128 큐버스랩 “누구나 퀴즈 내고, 풀면서 보상까지 받아 가는 플랫폼으로 미국 시장 공략”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13 71 0
2127 [리뷰] 성능으로 엔비디아 잡았다, AMD 라데온 RX 7900 XTX [25]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13 1834 2
2126 알고리즘랩스 "AI 제작은 현업자의 '불편함'에서 시작돼야 한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13 77 0
2125 [혁신스타트업 in 홍릉] 메디플렉서스 “의료 데이터 분석, 정밀 의료 힘 싣는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13 194 0
2124 바질컴퍼니, '산업맞춤형 AI 인력양성, 공급·수요기업 모두에 윈윈'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13 88 0
2123 ‘AR 3D 헤드업 디스플레이’ 상용화...국제표준 획득으로 앞당겨 [4]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12 1329 3
2122 [경콘진 MAP] 피트 “문서 공유만으로 고객 분석하는 ‘피트페이퍼’, 필수 서비스로 자리잡을 것”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12 66 0
2121 "쇼핑몰에도 디지털 전환 필요, 잡무 아닌 상품 고르고 파는 일에 집중해야" 픽셀콘 202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12 81 0
2120 [스케일업] 세븐미어캣 [1] “아파트 하이퍼로컬·ESG화의 선두에 서겠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12 61 0
2119 [주간투자동향] 라인스튜디오, 400억 원 규모의 투자 유치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12 68 0
2118 에스오에스랩 "보안·편의성·생산성, 비즈니스 노트북은 3박자 고루 갖춰야"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09 260 0
2117 [농업이 IT(잇)다] 퍽퍽한 뒷다릿살도 맛있어지는 기술 개발…푸드테크 기업 ‘딥플랜트’ [4]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09 345 3
2116 [스케일업] 본투비 [1] “트웬티는 그림작가와 구매자를 연결하는 안식처이고 싶습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09 80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