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그냥 버려지는 폐스마트폰, 그 이유는? "재활용 하는 방법 잘 몰라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2.11.28 13:42:37
조회 4768 추천 9 댓글 22
[IT동아 정연호 기자] 한국인의 스마트폰 평균 교체 기간 27.9개월. 시장조사업체 컨슈머 인사이트의 2020년 조사 결과다. 같은 해 전 세계 스마트폰의 평균 교체 주기는 43개월이다. 세계적으로 스마트폰 가격이 비싸지면서 교체 주기가 늘어나고 있지만, 여전히 국내는 2년 약정이 끝나면 새 스마트폰을 사는 분위기다.

환경단체들은 스마트폰 교체 주기가 너무 짧다며 우리 사회가 ‘이렇게 빠르게 스마트폰을 교체할 필요가 있는지’를 고민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스마트폰에 들어가는 자원이 낭비되는 것과 함께 폐스마트폰이 제대로 재활용되지 않아 환경 오염이 심각하다. 이 과정엔 소비자와 기업 모두에게 책임이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소비자가 신형 스마트폰을 빨리 구매하도록 부추기는 마케팅도 문제를 키웠다. 오래된 제품을 수리해서 사용하기가 쉽지 않아 대신 교체를 택하는 소비자도 많다. 또한, 소비자들이 폐스마트폰이 어떻게 처리되는지, 그리고 어떻게 재활용할 수 있는지 잘 모르는 것도 사실이다.

세계경제포럼(WEF)에 따르면, 전 세계적으로 스마트폰은 총 160억 개 정도가 있다. 이중 53억 개의 제품이 올해 폐스마트폰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WEF는 “스마트폰처럼 작은 기기는 집에 사용되지 않은 채로 쌓이기 쉽고, 쓰레기통에 그냥 버려지기도 한다”면서 스마트폰을 재활용하면 생길 가치에 주목해야 한다고 전했다. 유럽에선 스마트폰이 작은 전자제품 중 4번째로 가장 많이 집에 쌓이는 품목이라는 조사 결과도 있다.

환경부에 2021년 자료를 확인해보니, 국내 스마트폰은 의무재활용량의 10% 미만으로 재활용되고 있었다. 전문가들은 스마트폰에 들어가는 금, 구리, 은 등의 자원들은 새로운 전자제품이나 풍력의 터빈, 전기차 배터리, 태양광 패널 등에 사용될 수 있다고 말한다. 매년 폐기되는 스마트폰의 양을 보면 이를 통해 회수할 수 있는 자원이 어마어마한데도 그냥 버려진다는 걸 알 수 있다.

'전기전자제품 및 자동차의 자원순환에 관한 법률'은 휴대폰 제조사에 재활용 의무를, 판매업자에 회수 및 인계 의무를 부여하고 있다. 이들이 재활용을 직접 하거나 공제 조합에게 의무를 대행시키는 방식이다. 폐스마트폰과 충전기, 배터리를 한국전자제품자원순환공제조합에 착불로 보내면 이곳에서 무료로 재활용해준다. 그럼에도 재활용 성적이 저조하다는 지적은 계속 나오고 있다.

폐스마트폰의 피해, 개발도상국에게 외주화된다



폐스마트폰을 처리하는 모습, 출처=그린피스



대부분의 전자폐기물은 재활용 없이 쓰레기 매립장이나 소각장에 버려진다. 혹은 재활용 기반시설이 없는 곳에 수출돼, 그곳에서 무분별하게 분해 및 처리되며 지역 주민들의 건강을 위협한다. 전자기기를 부적절하게 처리하면 그 안에 담긴 유해물질이 토양 등으로 유출된다. 오염된 땅에서 나는 식량을 가축이나 사람이 먹고, 오염물질을 섭취한 가축을 다시 사람이 먹으면서 유해물질이 사람 몸으로 들어오는 일도 흔하다.

전자물 폐기시설 근처에 사는 사람들이 메탈과 플라스틱을 태우는 과정에서 오염된 공기를 마시는 것도 심각하다. 전자기기의 자원을 분해하는 데 사용한 화학물질과 전자기기를 강에 버리면서 강이 오염되는 문제도 발생하고 있다. 전자폐기물이 쌓인 곳에 비가 내리면서, 오염된 물이 다시 주변 하천 등으로 유출돼 이를 오염시키는 것도 빈번하다.

그린피스에 따르면, 이러한 전자기기를 폐기하는 처리시설 노동자는 암의 위험성이 커지는 등 다양한 문제가 발생한다. 하지만, 폐스마트폰 처리에 따른 피해가 모든 사람에게 고르게 나타나진 않는다. 폐기물 처리에 대한 자국 규제와 국제 조약 등을 피하기 위해서 대부분의 폐전자기기는 규제가 느슨한 개발도상국으로 흘러가기 때문이다. 부유한 선진국이 개발도상국에게 위험을 외주화한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폐전자기기 처리시설이 있는 국가들, 출처=UN



폐기 시설을 제대로 갖추지 못한 개발도상국은 전자기기를 태우거나, 화학물에 담그는 부적절한 방식으로 폐스마트폰을 처리한다. 고온으로 녹이는 방식은 그 안에 있는 자원들을 녹여 재활용을 어렵게 만들기도 한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5000만 명 정도의 사람이 비공식 처리시설을 포함한 폐전자기기 처리시설에서 일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세계보건기구(WHO)는 폐스마트폰과 아이들의 건강 관련된 보고서에서 “폐스마트폰 처리 시설엔 여성과 아이 노동자들이 많이 있다. 여성의 경우엔 그들이 앞으로 낳게 될 아이도 유해물질에 노출된다”고 지적했다.

유해물질에 노출되기 쉬운 환경에서 아이들을 노동자로 쓰는 이유는 이렇다. 아이들의 손이 작아서 전자기기 속 금속 물질을 추출하기 쉽고, 이들의 노동력은 성인과 비교했을 때 값싸며, 경영진에게 더 나은 근로 환경을 요구할 일이 없기 때문이다. 아이들은 입 크기에 비해 어른보다 상대적으로 공기를 더 마시고, 더 많은 음식과 물을 먹는다. 오염물질에도 더 많이 노출될 수밖에 없다. 또한, 어른들에 비해서 오염물질을 자체적으로 정화하는 능력도 떨어져서 위험하다.

WHO는 아이들이 유해물질에 노출되면 신경 발달이 더뎌지고,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면역력과 폐 기능의 저하, 폐질병 등 다양한 문제가 생길 수 있다고 경고했다.

낡은 스마트폰, 꼭 교체가 필요할까?


그렇다면, 스마트폰은 왜 이렇게까지 재활용이 안 되는 걸까? 그 이유를 국내로 좁혀보면 답은 이렇다.


스마트폰 재활용을 위한 캠페인. 나눔폰 홈페이지에서 스마트폰 재활용을 신청할 수 있다. 착불 택배로 정해진 주소로 스마트폰과 충전기, 배터리를 함께 보내면 된다, 출처=나눔폰 홈페이지



정부 기관과 기업들이 스마트폰 재활용을 장려하는 캠페인을 하고는 있지만, 많은 사람들이 스마트폰 재활용과 관련된 정보를 모른다. 환경단체들은 “평소에 재활용을 위해서 스마트폰을 수거하는 정부나 기업의 캠페인을 본 적이 있는지”를 묻는다. 문제의 심각성에 비추었을 때 캠페인을 홍보하려는 노력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자원순환사회연대 관계자는 “사람들이 스마트폰을 올바르게 폐기해야 하는 걸 모르는 경우가 많다. 그 안에 다양한 금속류가 있고, 그걸 회수하려면 어떤 프로세스를 거치는지 등을 잘 모른다. 스마트폰을 버렸을 때 어떤 환경적인 문제가 생기는지 모르는 사람도 많다. 그 안에 있는 금속을 재활용할 수 있다는 것을 알려야 한다”면서 스마트폰을 제대로 버리는 방법을 알려야 한다고 했다.

사람들이 스마트폰을 재활용하지 않으니, 새로운 스마트폰을 만들 땐 기존 스마트폰의 자원을 활용하는 대신 새로 채굴을 하는 경우가 많다. 이 과정에서 다시 환경 파괴가 발생하는 것도 문제다.

재활용하는 것을 넘어서 지나치게 빠른 교체주기에 대한 성찰이 필요하다는 주문도 나온다. 환경단체들이 공통적으로 말하는 것은 “스마트폰 교체 시기를 늦춰야 한다”는 점이다. 많은 사람들이 스마트폰을 사는 이유는 ‘신형 스마트폰을 사고 싶어서’라는 게 그들의 지적이다. 기존 스마트폰을 더는 사용할 수 없어서 새 스마트폰을 사는 경우는 그렇게 많지 않다.

하지만, 단순히 소비자들이 환경을 생각하지 않다는 이유만으로 이 문제가 발생하는 것은 아니다. 서울환경연합 관계자는 “‘2년 정도가 지나면 핸드폰이 고장 난다, 배터리가 빨리 닳는다’는 소비자의 불편이 발생하는데, 기업에서도 스마트폰을 오래 사용할 수 있도록 제작하는 것이 필요하다. 짧으면 6개월에 한 번씩 신제품 광고가 나오는 상황이다. 이렇게 마케팅을 하면서 사람들이 스마트폰을 빨리 교체하게 하는 것도 문제다”라고 지적했다.

실제로, IT업계에서 의도적으로 소비자가 제품을 빨리 교체하도록 설계를 한다는 의혹이 나오고 있다. 주로 수리를 하는 것을 어렵게 하는 방식이다. 그린피스는 스마트폰 제조사들이 제품 디자인을 설계할 때 수리나 개조를 어렵게 한다고 문제를 지적했다. 소비자들이 배터리를 교체하거나, 메모리를 추가할 수 없게 만드는 디자인으로 제품을 설계한다는 것이다. 전화기가 망가지거나 새로운 배터리가 필요하거나, 저장 용량이 더 필요할 경우에는 스마트폰을 새로 교체해야 한다.


검안기로 사용되는 중고 스마트폰, 출처=삼성전자



물론, 스마트폰 제조사들도 스마트폰을 친환경적인 방식으로 제조하고, 폐스마트폰을 재활용하는 방안을 고민 중이다. 삼성전자는 중고 스마트폰을 회수해 IoT기기로 재사용할 수 있게 하거나, 폐플라스틱으로 전자기기 액세서리로 만들고 있다. 이외에도 재활용 소재를 사용해 탄소 배출량을 줄이고 있으며, 앞으로 재사용이 가능한 물질을 더 많이 사용하겠다고 계획을 발표했다.

애플의 경우엔, 스마트폰 재활용을 위한 기계를 개발해 자원들을 고품질 형태로 회수할 수 있게 됐다. 또한, 작년 애플 제품에 사용된 모든 알루미늄 중 59%는 재활용 자원에서 나왔고, 외장에 100% 재활용 알루미늄을 사용한 제품도 많다. 이외에도, 재활용 희토류 원소의 45%, 재활용 주석 30%, 재활용 코발트 13%, 인증된 재활용 금 등 사용했다.


Daisy는 연간 120만 개의 전화기를 분해할 수 있어 애플이 자원을 더 많이 회수해 재활용할 수 있게 돕는다. 애플은 자체 분해 공정을 개발 중인 연구진 및 전자기기 제조업체를 위해 Daisy에 대한 특허 라이선스를 무료로 제공해왔다, 출처=애플


제품도 오래 쓸 수 있는 권리가 필요하다


다만, 환경단체들은 더 많은 친환경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그중 하나로 요구되는 게 ‘수리할 권리’다. 소비자가 스스로 제품을 수리하고, 개조할 수 있는 권리를 말한다. 지금까지는 전자제품을 구매해도 수리할 권리가 제한되는 일이 많았다. 가령, 애플은 공식 인증업체가 아닌 사설 업체에서 수리를 하면 보증 기간 내 부품 리퍼나 수리를 거부했다.

현재는 애플 공식 스토어에서 애플 부품을 구매해, 애플이 제공하는 설명서에 따라 수리를 하는 제도를 마련했다. 이렇게 수리하면 보증 기간과 조건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유럽에선 수리할 권리를 보장하는 법안이 통과된 상태다. 다만, 여전히 제품 제조 과정에서 수리의 편의성을 고려하지 않는다는 비판이 나온다.

수리할 권리는 ‘개인이 스스로 제품을 수리하게끔 해라’에서 더 나아간 요구다. 우선, 기업이 제품이 금방 망가지지 않도록 내구성 높은 제품을 만들고, 소비자에게 선택권을 보장하는 것도 소비자의 수리할 권리를 보장하는 것이다. 오래된 스마트폰은 수리센터를 가도 적절한 부품이 없다는 이유로 수리를 못 하기도 하는데, 이러한 부품을 계속 보장받을 권리도 이에 속한다.

소비자들이 스마트폰 교체 속도를 늦추게 하려면, 스마트폰을 오래 쓸 수 있는 환경이 마련돼야 한다. 다만, 스마트폰이 정말로 그렇게 빨리 교체가 필요한지에 대한 인식의 전환이 필요한 것도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서울환경연합 관계자는 “스마트폰이 고성능이 될수록 그 안에 들어가는 부품으로 인해서 스마트폰의 교체 시기는 더 빨라지게 된다고 한다"고 말했다. 스마트폰의 성능이 좋아질수록 오래 쓰기 힘든 환경이 된다는 것이다. 실제로 스마트폰의 액정, GPU, 램 등이 고성능이 되면서 전력 사용량이 많아지고, 스마트폰 발열이 심해지면서 배터리 수명이 빨리 닳는다는 분석도 나온다. 고사양의 스마트폰 대신 오래 쓸 수 있는 제품을 선택하는 소비자가 많아져야 한다는 뜻이다.

전문가들은 "배터리 수명에 영향을 미치는 대표적인 요소는 제품의 고성능에 따른 발열 문제"라고 말한다. 성능이 올라가면 전력 소모가 많아지고, 이로 인해 배터리 수명에도 영향이 갈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특히 스마트폰 게임이 고사양이 되면서 발열 문제가 커지고 있고, 이에 따라 기계에 미치는 영향이 커진다는 지적이 나온다. 성균관대 반도체시스템공학과 한태희 교수는 “전자 기기가 고장나는 큰 이유 중 하나가 발열이다. 그래서, 기업들은 발열을 조절하기 위해서 신경을 쓰고 소프트웨어를 활용하거나, 히트파이프(스마트폰 온도가 올라가면 열을 흡수하고, 온도가 내려가면 열을 발산하는 역할을 한다)등을 적용해 전력 소모와 발열을 줄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자연순환연대 관계자는 폐스마트폰 재활용의 참여율을 끌어올리려면 사람들의 걱정을 해소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스마트폰을 배출할 때 개인정보가 제대로 폐기되는지 걱정하는 사람이 많다. 정부와 기업이 ‘스마트폰을 올바른 경로로 폐기하면, 정보도 완전히 사라진다’ 이런 안심을 줄 수 있도록 시스템을 만들어야 한다”고 했다. 이어, “거점 지역에 중소형 가전제품과 폐스마트폰 등을 같이 모아서 배출할 수 있는 수거함을 만들면 편의성이 높아질 것”이라고 전했다.

또한, 스마트폰 제조사들이 스마트폰 폐기 및 재활용 통계를 공개하지 않는 것도 문제로 지적된다. 스마트폰을 제조할 때 그 안에 얼마나 많은 희귀 금속이 들어가는지, 이중 얼마큼이나 재활용이 되는지 제대로 된 데이터가 없다. 환경단체들은 전자제품이 만들어지고 폐기되는 전 주기 과정을 철저하게 관리하고, 데이터를 투명하게 공개하라고 촉구한다.

글 / IT동아 정연호 (hoho@itdonga.com)

사용자 중심의 IT 저널 - IT동아 (it.donga.com)



▶ [IT애정남] 깨져버린 스마트폰 액정... 계속 써도 괜찮을까요?▶ 늘어나는 디지털 탄소발자국... 개인은 환경을 위해 무엇을 해야할까?▶ 퀄컴 스냅드래곤 8 2세대는 스마트폰을 어떻게 바꿀까



추천 비추천

9

고정닉 2

6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힘들게 성공한 만큼 절대 논란 안 만들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10 - -
이슈 [디시人터뷰] 웃는 모습이 예쁜 누나, 아나운서 김나정 운영자 24/06/11 - -
2167 재생산되는 유튜브발 가짜뉴스, 어떻게 해결해야 하나?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1 147 0
2166 VR로 체험하는 반도체 엔지니어의 하루…ASML ‘히어로 캠페인’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1 198 1
2165 [리뷰] 서재부터 작업실까지 아우르는 스탠드, 벤큐 위트 마인드듀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1 81 0
2164 서울 동북권 창업연합, 서울과기대에서 뭉쳤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1 94 0
2163 “해외 진출 사활 거는 스타트업들, ‘오징어 게임’ 사례 참고해야” [5]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1 3072 0
2162 [스케일업] 부지런컴퍼니 [1] “우리 아이의 용돈 관리를 미션으로 제공합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1 77 0
2161 AT센터 “농가·유기농가 디지털화, 온라인 유통 안착 돕겠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0 82 0
2160 [가상자산 제대로 알기] 8. 알트코인에 대한 기본 지식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0 186 0
2159 [박진성의 블록체인 바로알기] 15. 안전한 블록체인 투자 전 준비해야 할 것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0 68 0
2158 [혁신스타트업 in 홍릉] 큐제네틱스 “줄기세포 분화·촉진 기술로 난치병 극복에 앞장”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0 1030 1
2157 [뉴스줌인] 지포스 RTX 4080 겨냥한 라데온 RX 7900 시리즈, 속속 출시 [44]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19 3863 7
2156 머스크 변덕에 오락가락하는 트위터, 잇단 논란에 대표 사임 투표까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19 100 0
2155 [시승기] 3천만 원대 독일 세단을 찾는다면…해답은 ‘폭스바겐 제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19 87 0
2154 [스케일업] 제이디솔루션 [1] 입체 음향 기술로 들려주는 IOT ‘SOT’ 시대 연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19 66 0
2153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청소년 비즈쿨 “제조업의 중요성을 알리고 있습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19 76 0
2152 SBA “CV·오픈 이노베이션으로 혁신·일자리·성장 만든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19 58 0
2151 휴먼셀 “경쟁 치열한 건강기능식품 시장, 발상의 전환으로 돌파구 찾았죠”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19 71 0
2150 [주간투자동향] 베스핀글로벌, 1,400억 원 규모의 투자 유치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19 59 0
2149 [스타트업-ing] 트랜쇼, “서울시 중구에 2,500평 규모의 패션 풀필먼트 센터를 오픈했습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19 1025 1
2148 사십오센티미터 심태왕 대표, "쉽지않은 베트남 사업, 서울창업허브가 맞들어줘"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16 96 0
2147 에어스메디컬의 베트남 시장 진출, 그 배경에 '서울창업허브'의 뒷심 있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16 86 0
2146 [모빌리티 인사이트] 자율주행차가 다니는 길은 더 똑똑하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16 74 0
2145 [농업이 IT(잇)다] 식물성 대체우유로 만든 식품으로 건강한 다이어트 돕는 ‘아밀키’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16 123 0
2144 우주라컴퍼니 “펫 보험 손해율, 반려동물의 몸과 마음을 이해해야 낮출 수 있습니다” [15]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16 7459 6
2143 툰스퀘어 "AI 웹툰 창작, '재밌는 이야기'만 있으면 누구나 웹툰작가 될 수 있어"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16 158 0
2142 한터글로벌 “빅데이터의 힘, 케이팝 비즈니스 성공 이끌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16 136 0
2141 [스케일업] 레다게임즈 [1] 시공간 제약 無, 세계인과 즐기는 온라인 방탈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16 79 0
2140 웰트 “AI 인력 역량 강화, 디지털 치료제 개발에 큰 도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15 115 0
2139 [경콘진 MAP] AI 기반 개인정보 비식별화 전문 SW 개발...‘조이풀터틀즈’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15 83 0
2138 [리뷰] Arm 기반 초소형 노트북, 에이수스 엑스퍼트북 B3 디태쳐블 [18]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15 3061 1
2137 [경콘진 MAP] 씨에어허브 “수출입 물류 자동화의 모든 것, 여기G에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15 76 0
2136 인포지아, '산업맞춤형 AI 인력 양성, 중소기업의 AI 역량 끌어올려'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15 993 0
2135 핀인사이트 "AI 전문 인력 양성, 맞춤형 교육 솔루션이 해답"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14 71 0
2134 [경콘진 MAP] 내게 맞는 ‘한국 술’ AI가 추천…전통주 소믈리에 플랫폼 기업 ‘매월매주’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14 75 0
2133 인타임즈인 "기업의 글로벌 언어 역량, 전문적인 직무 교육이 뒷받침한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14 68 0
2132 [경콘진 MAP] 뷰티아이디 "맞춤형 젤네일 스티커, 젤네일의 품질을 높인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14 162 0
2131 미래와도전 “이제 원전 산업도 AI 개발 필수, 맞춤형 교육으로 내부 역량 높여”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14 73 0
2130 [스케일업] 엘핀 [1] 세계 유일 '복합 위치인증'으로 시장 이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14 69 0
2129 [경콘진 MAP] 고수플러스 “주거구독 플랫폼 ’독립생활’로 고시원도 즐거워진다”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13 854 0
2128 큐버스랩 “누구나 퀴즈 내고, 풀면서 보상까지 받아 가는 플랫폼으로 미국 시장 공략”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13 71 0
2127 [리뷰] 성능으로 엔비디아 잡았다, AMD 라데온 RX 7900 XTX [25]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13 1834 2
2126 알고리즘랩스 "AI 제작은 현업자의 '불편함'에서 시작돼야 한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13 77 0
2125 [혁신스타트업 in 홍릉] 메디플렉서스 “의료 데이터 분석, 정밀 의료 힘 싣는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13 194 0
2124 바질컴퍼니, '산업맞춤형 AI 인력양성, 공급·수요기업 모두에 윈윈'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13 88 0
2123 ‘AR 3D 헤드업 디스플레이’ 상용화...국제표준 획득으로 앞당겨 [4]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12 1329 3
2122 [경콘진 MAP] 피트 “문서 공유만으로 고객 분석하는 ‘피트페이퍼’, 필수 서비스로 자리잡을 것”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12 66 0
2121 "쇼핑몰에도 디지털 전환 필요, 잡무 아닌 상품 고르고 파는 일에 집중해야" 픽셀콘 202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12 81 0
2120 [스케일업] 세븐미어캣 [1] “아파트 하이퍼로컬·ESG화의 선두에 서겠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12 61 0
2119 [주간투자동향] 라인스튜디오, 400억 원 규모의 투자 유치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12 68 0
2118 에스오에스랩 "보안·편의성·생산성, 비즈니스 노트북은 3박자 고루 갖춰야"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09 260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