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리뷰] 상단 투사까지 지원하는 휴대용 빔프로젝터, 벤큐 GV1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2.12.01 13:49:27
조회 2266 추천 1 댓글 0
[IT동아 남시현 기자] 빔프로젝터는 용도에 따라 사무용, 영상 시청용, 외부 활용 등으로 나뉜다. 사무용 제품은 우수한 확장성과 인터페이스를 갖추고, 또 이동할 일이 적기 때문에 크고 많은 기능을 넣는 게 보통이다. 영상 시청용 제품은 감상을 목적으로 하는 만큼 밝기나 해상도 등의 품질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활용 조건에 따라 초단초점이나 휴대용 등 다양한 형태로 출시된다. 외부 활용 제품은 목적 자체가 캠핑같은 야외 활동이나 영업 등 외부 활용 등을 위한 제품으로, 별도의 연결 없이도 자체 동작할 수 있는 내장 운영체제를 갖춘다거나 배터리 성능, 무선 성능, 활용도 등을 잘 갖추는 편이다.

제품 선택 방법은 본인이 어떤 조건에서 활용하는가에 맞춰서 구매하면 되며, 제조사에서도 이에 맞춰 제품군을 나눠놓고 있는 편이다. 대만의 디스플레이 제조업체 벤큐는 GV, GS 시리즈로 휴대용 제품군을 공략하고 있다. 2019년 처음 등장한 GV 시리즈는 작고 휴대가 가능한 것은 물론 투사 각도에 자유도를 주어 캠핑이나 차박 등 야외 활동이 많은 사람들 사이에서 꾸준히 인기를 얻고 있다. GS 시리즈는 이보다 고성능 제품군이며, 휴대는 물론 고품질 이미지까지 고려하는 조건에 적합하다. 벤큐 GV 시리즈의 신작, GV11을 통해 휴대용 빔프로젝터의 활용도와 구성에 대해 짚어본다.

DLP 기반 휴대용 빔프로젝터, 벤큐 GV11



벤큐 GV11 빔프로젝터 구성품, 안드로이드 동글은 내부에 탑재된다. 출처=IT동아



벤큐 GV11은 DLP(Digital Light Processing, 디지털 광학 처리) 방식의 빔프로젝터다. DLP 방식은 램프에서 나온 빛을 DMD(디지털 미소 반사 표시기) 칩에 반사해서 화면을 표시하는 형태로, 다른 투사방식에 비해 화질이 높고 응답 속도가 빠르며, 수명이 길다는 특징이 있다. 밝기는 200 안시루멘(ANSI Lumens)으로 높은 편은 아니다. 안시루멘은 미국국립표준협회가 정의한 프로젝터 램프 밝기 표준으로, 스크린에 화면을 투사한 다음 9분할로 나눈 뒤 측정되는 화면의 밝기를 평균으로 나눈 값이다.


밝기는 200안시루멘이며, 약 2만~3만 시간의 수명을 지닌다. 출처=IT동아



다른 제품과 비교해 밝기가 떨어진다고 생각할 순 있지만 꼭 그렇지만은 않다. 빔프로젝터는 제조사에 따라 안시루멘과 LED 루멘, 루멘 등으로 표기가 나뉜다. 단순 비교로 200 안시 루멘이면 LED 루멘으로 480으로 표기된다. 밝은 빔프로젝터를 찾는다면 환산 밝기를 잘 고려해봐야 한다. 물론 200 안시루멘이면 채광이 들어오는 실내에서는 쓰기 어렵고, 채광 없이 불 꺼진 실내나 해가 진 저녁의 야외 조건에서 활용할 수 있다. 램프 광원은 오스람 LED가 사용되며, 수명은 기본 2만 시간, 절전 기준 3만 시간이다.


사진 상에서는 초점을 화면이 아닌 빔프로젝터에 맞췄는데, 실제로는 사진보다는 더 선명하다. 출처=IT동아



해상도는 854x480픽셀로 다소 떨어진다. 다만 DLP 방식 특유의 해상력 덕분에 선명도가 부족하진 않다. 화면 투사 거리는 1미터에서 35인치, 1.7미터에서 60인치, 2미터에서 70인치며, 2.3미터에서 80인치다. 전실이 있는 대형 텐트라면 실내에서도 40~50인치 화면은 띄울 수 있고, 실내에서는 원룸 크기에서도 충분히 최대 화상을 띄울 수 있다. 또한 수직 각도에 따라 화면의 기울기를 보정하는 키스톤이 자동으로 동작해 투사 각도와 관계없이 화면의 사다리꼴 왜곡이 보정된다. 색공간은 Rec. 709 기준 92%를 충족해 영상 감상에 충분하고, 유튜브 등 라이브 스트리밍에 적합하다.


기본 제공되는 운반 가방에 리모컨이나 거치대 등을 함께 넣고 다닐 수 있다. 출처=IT동아



제품 크기는 가로 150mm, 세로 140mm, 두께 113.5mm로 작은 편이고, 무게도 0.97kg 정도로 부담이 없다. 전용 가방에 거치대와 리모컨, 안드로이드 동글을 다 넣고도 소형 백팩에 여유있게 수납할 수 있다. 제품 측면은 방열을 위해 빗살 무늬가 나있고, 렌즈 초점을 맞추기 위한 다이얼이 있다. 내부에는 5W 스피커가 양 측면과 후면으로 소리를 내도록 돼있다. 제품을 고정하기 위해서는 하단의 전용 받침대가 필요하며, 전면 방향이나 상단 방향 등으로 화면을 투사할 수 있다.


안드로이드 TV 동글은 내부에 내장되는 구조다. 출처=IT동아



외부입력 인터페이스는 오디오 단자, HDMI 1.4 단자, USB 2.0 단자, 전원 단자로 구성돼있다. HDMI를 활용해 노트북 등과 연결할 수 있으며, USB를 연결하면 내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불러오기할 수 있다. 반대쪽 커버를 앞으로 밀면 내부에 안드로이드 동글 GS01을 내장하는 공간이 나온다. 해당 공간에 USB B형 단자를 꽂고, HDMI를 연결하면 운영체제가 내장된다. 해당 동글은 별도로 분리해 일반 TV와도 연결할 수 있다.


안드로이드 운영체제는 리모컨 혹은 기기 상단에 있는 버튼으로 제어한다. 출처=IT동아



내부 운영체제는 안드로이드 OS 10 버전을 지원한다. 활용 자체는 일반 스마트 TV와 동일하며, 구글 안드로이드 및 애플 아이폰과 무선으로 연결할 수도 있다. 와이파이를 연결하면 유튜브나 디즈니 플러스, 구글 플레이 등의 네트워크 기반 콘텐츠 제공 서비스를 활용할 수 있다. 아쉽게도 넷플릭스는 특정 인증된 장치만 지원하기 때문에 GV11 자체에서 지원하지 않는다. 시청을 원한다면 스마트폰으로 넷플릭스를 연결한 다음 미러링 해서 볼 수 있다. 덧붙여 리모컨이 없는 경우에는 스마트폰에서 벤큐 스마트 컨트롤러 앱을 설치해 전원이나 볼륨 조정, 방향 버튼 등 간단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배터리는 약 2시간 30분정도 사용할 수 있다. 출처=IT동아



배터리는 완충 상태에서 2시간 30분 정도 사용할 수 있다. 영화 한편을 충분히 볼 수 있을 정도다. 배터리 모드는 전원 연결 시 ‘보통’ 모드가 활성화되고, 배터리 상태에서는 ‘절약’ 모드와 ‘낮은 소비 전력’ 모드를 쓸 수 있다. 배터리 잔량은 리모컨에서 프로젝터 메뉴로 진입하면 확인할 수 있다. 아쉽게도 전용 충전 단자가 적용돼 전원을 연결해놓고 쓰려면 220V 충전기를 함께 갖고다녀야 한다. USB-C 형 단자로 충전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는 아쉬움은 남는다.

미니멀 캠핑에서 사무 용도까지 다재다능


벤큐 GV11는 전면부터 천장 투사까지 다양한 방식으로 쓸 수 있는 빔프로젝터다. 덕분에 공간적인 제약에서 조금 더 자유롭다는 장점이 있으며, 오토 키스톤을 지원해 화면 각도도 자동으로 보정해서 쓸 수 있다. 배터리 시간이 조금 더 길었으면 좋았겠지만, 러닝타임이 2시간 30분 이내의 영화라면 무난하게 감상할 수 있다. 특히 사운드가 후면과 좌우로 퍼지는 만큼 사운드에 대한 만족도는 충분하다. 가격은 47만 8천 원대로 동급 사양의 램프가 적용된 휴대용 빔프로젝터들과 비슷한 수준이다. 천장 투사까지 지원하는 휴대용 빔프로젝터를 찾는다면 딱 맞는 조건의 제품이다.

글 / IT동아 남시현 (sh@itdonga.com)

사용자 중심의 IT 저널 - IT동아 (it.donga.com)



▶ [리뷰] 합리적 가격에 전문가용 모니터 찾는다면, 벤큐 PD2506Q▶ [리뷰] 4K·144Hz 주사율의 강력한 연대, 벤큐 모비우스 EX3210U▶ [리뷰] 극장에서 게임하는 느낌? 벤큐 게이밍 프로젝터 X3000i



추천 비추천

1

고정닉 0

3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힘들게 성공한 만큼 절대 논란 안 만들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10 - -
이슈 [디시人터뷰] 웃는 모습이 예쁜 누나, 아나운서 김나정 운영자 24/06/11 - -
2213 [모빌리티 인사이트] '모빌리티 허브', 다양한 모빌리티간 연계가 물 흐르듯 이어진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30 119 0
2212 시시각각 변하는 금융상품 정보를 모아서 본다, '금융상품한눈에'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30 107 0
2211 어플러드 “사과와 함께하는 친환경 라이프스타일 제공할 것"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30 122 0
2210 [스케일업] 이노디테크 [2] “타겟에 맞춘 채널에, 신뢰성 있는 콘텐츠로 접근하라”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30 125 0
2209 잇따르는 전기차 화재, 왜 발생할까? [33]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30 5710 3
2208 [스타트업-ing] 바다드림이 보낸 제주도의 1년, “여전히 도전 중인 산지와의 연결”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30 100 0
2207 서울과학기술대학교, ‘ST 스타트업 어워즈’ 개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30 114 0
2206 [먹거리+IT] 마스플래닛 전창호 대표, “쿠클리는 고객과 대화하는 식품 브랜드입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9 86 0
2205 도약 거듭한 2022년 IoT 시장, 내년부터 판 더 커진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9 153 0
2204 서울과기대 창업지원단, '2022 메이커스페이스 오픈 스페이스 개관식’ 및 ‘성과 공유페어’ 개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9 90 0
2203 [가상자산 제대로 알기] 10. '루나/테라 사태' 정확히 이해하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9 86 0
2202 "기술 기반 스타트업 창업자는 공학 전공의 석박사...SKY 출신은 19%"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9 91 0
2201 서울과기대 창업지원단, “스타트업이 틔우고, 키우고, 피울 수 있는 공간을 완성했습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9 89 0
2200 [스타트업-ing] 쉐어박스 신연식 대표, “가상과 현실의 만남을 준비합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9 90 0
2199 한국 지자체·기관 스타트업 육성 정책 [2] 전라북도·제주도·농림축산식품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9 1084 0
2198 [IT강의실] 코로나 진단용으로 주목받은 바이오센서, 이젠 수산물 배달 서비스에도?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8 67 0
2197 앱과 게임으로 암·당뇨·ADHD·트라우마 치료한다... 디지털 치료제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8 68 0
2196 농식품 기술창업교육, 농산업 기업 스케일업 지름길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8 57 0
2195 전자레인지와 스마트폰의 전자파, 정말로 암을 유발할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8 63 0
2194 [농업+IT=스마트팜] 1. 스마트팜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 이유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8 123 0
2193 한국 지자체·기관 스타트업 육성 정책 [1] 서울특별시·충청남도·경기도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8 1061 0
2192 [먹거리+IT] 오늘맑음 장수문 대표, “물만 부으면 김치양념을 만들 수 있는 블록을 만들었습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7 153 0
2191 [리뷰] PC방에서 대환영? 완전방수 광축 키보드, 마이크로닉스 위즈맥스 W101P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7 88 0
2190 콘텐츠 PD도, 마케터도, 개발자도 날개 달았다…라이브커머스 스타트업 ‘모비두’의 HP 비즈니스 노트북 사용기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7 158 0
2189 [디지털콘텐츠로 자녀와 소통하기] 3. 게임으로 열 수 있는 자녀들의 미래와 진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7 63 0
2188 [가상자산 제대로 알기] 9. 블록체인(코인) 생태계와 디파이(DeFI)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7 67 0
2187 [혁신스타트업 in 홍릉] 시프트바이오 “엑소좀 플랫폼, 희귀 난치병 치료의 열쇠”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7 62 0
2186 [주간투자동향] 피유엠피, 200억 원 규모의 시리즈B 투자 유치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6 126 0
2185 [먹거리+IT] 로맨시브 이수현 대표, “코자아, 당신의 내일을 위한 오늘의 숙면을 드립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6 78 0
2184 갑작스런 환율변동에 '속수무책'인 중소기업...적극적으로 환헤지 나서야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6 78 0
2183 [리뷰] 16인치 WQXGA 해상도 휴대용 모니터, 카멜 포터블 프리즘 [13]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6 3457 1
2182 [스케일업] 누비랩 [1] “푸드 데이터를 활용해, 친환경 키친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6 102 0
2181 영상/음향 비즈니스에 최적화된 네트워크 스위치, 넷기어 AV 라인 M4250 시리즈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3 112 0
2180 [농업이 IT(잇)다] 9단 수직 재배판으로 생산성 향상…파종부터 재배까지 자동화 꿈꾸는 ‘울트라파머’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3 97 0
2179 [스타트업 리뷰] IT장비의 사고를 AI로 예방한다, 인포플라 아이톰스의 장비헬스체크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3 104 0
2178 [스케일업] 엣지케어 [3] 전문가 제언 “IR, 지속적인 만남을 두려워 하지 말라”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3 86 0
2177 [IT애정남] 오래된 그래픽 카드 드라이버, 어떻게 찾고 설치하나요? [14]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3 2967 3
2176 [스케일업] 펫나우 [1] 반려동물 등록제 혁신, 세계 시장·문화 선도한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3 105 0
2175 [기고] 미술품 투자시장의 확장: 가치평가의 신뢰성 확립이 중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2 82 0
2174 국립현대미술관 수놓은 IT기술…’라이다로 포착한 움직임과 공간’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2 94 0
2173 [리뷰] 미래 성능 지금 누리는 워크스테이션, 델 프리시전 7865 타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2 112 0
2172 갑자기 변하는 날씨·교통 상황, 바로 알려주는 실시간 서비스는?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2 2434 1
2171 [홍기훈의 ESG 금융] '선도그룹연합(FMC)'의 아주 짧은 역사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2 77 0
2170 [2022 창구] 소곤랩스 “경쟁 치열한 게임 시장, ‘여성향’에서 답을 찾았습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2 80 0
2169 [스케일업] 엣지케어 [2] BM 분석 “기기에서 데이터로, 데이터에서 서비스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2 133 0
2168 [리뷰] 그림 좋고 서비스도 OK, 씨게이트 스파이더맨 스페셜 에디션 외장하드 3종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1 85 0
2167 재생산되는 유튜브발 가짜뉴스, 어떻게 해결해야 하나?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1 147 0
2166 VR로 체험하는 반도체 엔지니어의 하루…ASML ‘히어로 캠페인’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1 198 1
2165 [리뷰] 서재부터 작업실까지 아우르는 스탠드, 벤큐 위트 마인드듀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1 80 0
2164 서울 동북권 창업연합, 서울과기대에서 뭉쳤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1 94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