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마이크로닉스 손정우 팀장 "게이밍 기어 제품도 디자인 혁신이 필요하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2.12.06 17:12:28
조회 160 추천 0 댓글 0
[IT동아 정연호 기자] 경쟁이 치열한 레드오션 시장에서 승리의 결정적 한방으로 꼽히는 게 바로 ‘디자인’이다. 제품 간 성능 차이가 크지 않고, 한 업체가 가격 경쟁력 같은 절대적인 우위를 갖고 있지 않다면 디자인은 승패를 가르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가 된다. 많은 기업들이 선도적인 디자인을 만들기 위한 연구에 집중하는 이유다. 여기서 말하는 디자인은 물리적인 외형 외에도 스마트폰 앱 UI(메뉴 등의 인터페이스)처럼 이용자 경험을 결정하는 것을 총망라한다.

다만, “독특한 디자인만으로는 경쟁력을 갖출 수 없다”고 디자인 전문가들은 반복해서 강조한다. 디자인은 사람들의 공감을 얻을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새로운 도전에는 이를 뒷받침하는 이유가 필요하다.

한미마이크로닉스(이하 마이크로닉스)의 가산디자인센터에서 만난 손정우 디자인 팀장은 “디자인은 예술적인 감성이 필요하지만, 논리적인 근거도 필요하다. 제품에 특정 라인, 컬러를 사용했을 때 이를 대중에게 설득할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게이밍 기기 등을 포함한 PC주변 기기 전문 업체인 마이크로닉스가 게이밍 기기 시장에서 결정적인 한방으로 보는 것이 ‘혁신적인 디자인’이다. 이들은 혁신적이면서, 대중의 공감을 받을 수 있는 게이밍 기기를 제작하기 위해서 디자인센터를 두고 제품을 설계하고 있다. 이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보자.


마이크로닉스 디자인센터 손정우 팀장


“디자인 혁신을 위한 도전, 소비자에게 더 많은 선택지를 준다”


“’이 디자인은 예쁘다’라는 말만으로는 새로운 디자인을 설득할 수 없다. 미적인 요소도 고려하긴 하지만, 디자인에는 이성적이고 논리적인 감성이 들어갈 필요가 있다”

손정우 팀장이 인터뷰 동안 강조한 내용을 요약하면 위와 같은 내용이 나온다. 디자인 분야에서 23년째 일하고 있는 전문가로서의 디자인 철학이 드러난다. 그는 작년 12월 마이크로닉스에 오기 전 삼성전자 무선 사업부에서 11년 동안 스마트폰과 관련된 디자인을 담당했다.

스마트폰과 게이밍 기어는 다른 영역이지만, 두 제품군에서 필수로 고려하는 요소에는 겹치는 부분이 있다. 제품 만족도를 결정하는 ‘이용자 경험’이다. 두 제품 모두 디자인을 설계할 땐 이용자 경험을 향상하는 것에 초점을 맞춘다. 다만, 스마트폰과 게이밍 기어는 사용 빈도가 높은 만큼 사소한 변화도 이용자 경험에 큰 영향을 준다. 그래서, 대부분의 제품들은 소비자에게 익숙한 디자인에서 벗어나기가 어렵고, 프로토타입(전형적인 예)을 상정하고 이에 맞춰 제작된다.



손 팀장이 게이밍 기어 시장을 분석하면서 느낀 것도 이와 일맥상통한다. 가령, 게이밍 기어는 불필요한 디자인을 넣는 ‘오버 디자인’ 제품이 많았다. 그는 제품에 곡선과 과한 색감을 넣는 것이 때론 “소비자에게 전하는 가치가 없을 수도 있다”고 생각했다.

“어두운 PC방 환경으로 인해 화려한 디자인과 색감이 보편화됐지만, 최근엔 이 시장에도 변화가 생겼다. ‘심플 이즈 베스트(Simple is best)’라는 디자인 트렌드가 이 시장에도 적용된다. 예를 들면, 책상 공간을 많이 차지하지 않도록 키보드 하우징(케이스)도 키캡에 딱 붙어서 여백을 줄이는 방향으로 가고 있다”

마이크로닉스의 제품도 ‘심플함’을 선호하는 트렌드에 맞춰 제작된다. 그중 하나가 곧 출시를 앞둔 몬드리안 PC케이스다. ‘디자인 유어셀프(Design Yourself)’라는 슬로건에 맞게 만든 이 제품은 다양한 컬러로 출시돼 소비자에게 여러 선택지를 준다.

손 팀장은 “기존 케이스 제품은 PC 열을 빼는 것에 초점을 맞춘 검은 박스 형태가 일반적이었다. 최근 케이스 재질 등이 고급화되긴 했지만, 여전히 디자인엔 큰 변화가 없었다. 몬드리안 PC케이스는 주변 가구와 잘 어울리는 인테리어의 면모를 갖출 수 있도록 디자인했다”고 설명했다.

게이밍 기어 특유의 ‘과한 화려함’이 빠진 제품이라면, 일반 이용자들에게도 시장을 확대할 수 있지 않을까? 손 팀장은 “게이밍 기어와 일반 제품을 구별하는 건 고정 관념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최근 게이밍 기어들 중엔 일반 사무실에서 사용하기에 부담이 없는 제품이 많다. 또한, PC 주변기기 시장에서 게이밍 기어가 차지하는 점유율은 그렇게 높지 않아, 게이밍 기어 업체들도 시장을 넓히는 것에 관심이 많다. 손 팀장은 “마이크로닉스는 하이브리드 제품도 출시하고 있다. 게임용으로 쓰지만 일반적으로 근무할 때도 쓸 수 있는 제품들이다”라고 설명했다.


메카 테마의 마우스 ZM2, 출처=마이크로닉스




워프 테마의 키보드 WK3, 출처=마이크로닉스



마이크로닉스가 출시한 제품 테마인 메카 (MECHA)는 로봇과 첨단 기술의 이미지, 워프 (WARP)는 SF영화의 순간이동을 연상시키는 역동적인 이미지를 갖고 있다. 손 팀장이 회사에 들어오고 나서 제품별로 테마를 명확하게 정리했다고 한다. 다만, 제품이 여전히 게이밍 기어에 한정돼 있어, 일반 대중들도 사용하기 좋은 심플한 느낌의 맥시민(MAXIMIN) 테마를 추가했다. 주변 인테리어에 잘 녹아 드는 몬드리안 PC 케이스가 맥시민 테마의 대표적인 제품이다.

신제품에 대한 소비자 반응을 묻자 손 팀장은 “제품이 출시된 지 얼마 되지 않아 아직 반응을 말하긴 어렵다. 좋은 반응도 있고, 제품에 대한 다양한 피드백이 오고 있다”면서 “국내에서 유일하게 스스로 게이밍 기어의 디자인과 개발을 하는 기업이며, 다양한 도전을 하고 있다는 것에 의의를 두고 싶다. 이를 통해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선택지를 넓힐 수 있다”고 답했다.

제품 설계 과정에서 긴밀한 협업을 할 수 있도록 마이크로닉스의 디자인팀과 개발팀은 같은 사무실을 이용하고 있다. 손 팀장은 “일반적으로 개발팀과 디자인팀이 멀리 떨어진 경우가 많지만, 마이크로닉스에선 디자인과 개발팀이 긴밀하고 신속하게 함께 일을 한다”고 말했다. 디자인도 가용할 수 있는 기술 내에서 혁신을 이뤄야 하기 때문이다. 이어, 그는 “디자인이 혁신을 먼저 선도할 수 있도록 많은 제안을 하고 있다. 올해까지 헤드셋, 마우스, 키보드 총 10개의 신규 디자인이 완성됐고 앞으로 개발이 진행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현재 디자인센터는 가산디지털단지와 필리핀으로 이원화돼 있다. 동남아시아 시장으로 진출하기 위한 발판으로 필리핀을 선정했다고 한다. 기존에 필리핀에 네트워크가 있기 때문에 이곳에 먼저 진출했다. 손 팀장은 “필리핀에는 한국과는 다른 감성이 있어서 이를 제품 디자인에 녹이면 차별화된 제품을 만드는 것에 도움이 된다”고 설명했다. 각각의 디자인센터에서 나온 디자인은 해당 지역에 특화된 제품을 만들기도 하지만, 필리핀 센터의 디자인이 국내로 들어오기도 한다. 그 반대도 마찬가지다.



손 팀장은 “해외 영업팀 보고서에 따르면, 글로벌 인플레이션이 심한 상황에서도 베트남을 비롯한 동남아시아가 계속 성장을 하고 있다. 또, 이쪽은 연령층이 젊다 보니 경제 성장의 동력이 충분하고, 게이밍 기어가 확장될 여지도 충분하다”고 말했다.

그는 디자인센터가 추구할 앞으로의 목표에 대해 “게이밍 시장에서 경계를 더 넓히는 것”이라고 말했다. 게이밍 유저뿐 아니라 일반 이용자도 함께 포용할 수 있는 디자인을 만들겠다는 것이다. 디자인의 테마를 다양하게 만드는 이유도 소비자에게 여러 선택지를 주기 위해서다.

“스마트폰 시장에서 화면 옆이 곡선 형태인 엣지 디자인이 나오기 전, 이를 기술적으로 구현하기가 어렵다는 반응이 많았다. 그렇지만, 스마트폰 제조사들은 디자인에 많은 투자를 했고, 덕분에 엣지 제품도 등장했다. 아이폰의 경우엔 CMF(색상, 소재, 마감) 프로세스가 뛰어나다. 아이폰이 처음으로 제품 커버를 만들 때 메탈과 유리를 사용했다. 그 뒤로 다른 스마트폰 제조사들도 이를 따라갔다. 게이밍 기어 시장에서도 이처럼 디자인이 선도하는 혁신을 이루고 싶다”

글 / IT동아 정연호 (hoho@itdonga.com)

사용자 중심의 IT 저널 - IT동아 (it.donga.com)



▶ [지스타 2022] 게임쇼에서 조연으로 존재감 뽐낸 하드웨어 업체들▶ [지스타 2022] 인텔, 레노버, 스틸시리즈까지…게이밍 기기 모인 인벤 전시관▶ [리뷰] 기대 이상의 진화, 마이크로닉스 메카 ZM2, 워프 WM2 게이밍 마우스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힘들게 성공한 만큼 절대 논란 안 만들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10 - -
이슈 [디시人터뷰] 웃는 모습이 예쁜 누나, 아나운서 김나정 운영자 24/06/11 - -
2213 [모빌리티 인사이트] '모빌리티 허브', 다양한 모빌리티간 연계가 물 흐르듯 이어진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30 119 0
2212 시시각각 변하는 금융상품 정보를 모아서 본다, '금융상품한눈에'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30 107 0
2211 어플러드 “사과와 함께하는 친환경 라이프스타일 제공할 것"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30 122 0
2210 [스케일업] 이노디테크 [2] “타겟에 맞춘 채널에, 신뢰성 있는 콘텐츠로 접근하라”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30 125 0
2209 잇따르는 전기차 화재, 왜 발생할까? [33]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30 5710 3
2208 [스타트업-ing] 바다드림이 보낸 제주도의 1년, “여전히 도전 중인 산지와의 연결”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30 100 0
2207 서울과학기술대학교, ‘ST 스타트업 어워즈’ 개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30 114 0
2206 [먹거리+IT] 마스플래닛 전창호 대표, “쿠클리는 고객과 대화하는 식품 브랜드입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9 86 0
2205 도약 거듭한 2022년 IoT 시장, 내년부터 판 더 커진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9 153 0
2204 서울과기대 창업지원단, '2022 메이커스페이스 오픈 스페이스 개관식’ 및 ‘성과 공유페어’ 개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9 90 0
2203 [가상자산 제대로 알기] 10. '루나/테라 사태' 정확히 이해하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9 86 0
2202 "기술 기반 스타트업 창업자는 공학 전공의 석박사...SKY 출신은 19%"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9 91 0
2201 서울과기대 창업지원단, “스타트업이 틔우고, 키우고, 피울 수 있는 공간을 완성했습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9 89 0
2200 [스타트업-ing] 쉐어박스 신연식 대표, “가상과 현실의 만남을 준비합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9 90 0
2199 한국 지자체·기관 스타트업 육성 정책 [2] 전라북도·제주도·농림축산식품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9 1084 0
2198 [IT강의실] 코로나 진단용으로 주목받은 바이오센서, 이젠 수산물 배달 서비스에도?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8 67 0
2197 앱과 게임으로 암·당뇨·ADHD·트라우마 치료한다... 디지털 치료제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8 68 0
2196 농식품 기술창업교육, 농산업 기업 스케일업 지름길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8 57 0
2195 전자레인지와 스마트폰의 전자파, 정말로 암을 유발할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8 63 0
2194 [농업+IT=스마트팜] 1. 스마트팜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 이유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8 123 0
2193 한국 지자체·기관 스타트업 육성 정책 [1] 서울특별시·충청남도·경기도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8 1061 0
2192 [먹거리+IT] 오늘맑음 장수문 대표, “물만 부으면 김치양념을 만들 수 있는 블록을 만들었습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7 153 0
2191 [리뷰] PC방에서 대환영? 완전방수 광축 키보드, 마이크로닉스 위즈맥스 W101P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7 88 0
2190 콘텐츠 PD도, 마케터도, 개발자도 날개 달았다…라이브커머스 스타트업 ‘모비두’의 HP 비즈니스 노트북 사용기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7 158 0
2189 [디지털콘텐츠로 자녀와 소통하기] 3. 게임으로 열 수 있는 자녀들의 미래와 진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7 63 0
2188 [가상자산 제대로 알기] 9. 블록체인(코인) 생태계와 디파이(DeFI)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7 67 0
2187 [혁신스타트업 in 홍릉] 시프트바이오 “엑소좀 플랫폼, 희귀 난치병 치료의 열쇠”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7 62 0
2186 [주간투자동향] 피유엠피, 200억 원 규모의 시리즈B 투자 유치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6 126 0
2185 [먹거리+IT] 로맨시브 이수현 대표, “코자아, 당신의 내일을 위한 오늘의 숙면을 드립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6 78 0
2184 갑작스런 환율변동에 '속수무책'인 중소기업...적극적으로 환헤지 나서야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6 78 0
2183 [리뷰] 16인치 WQXGA 해상도 휴대용 모니터, 카멜 포터블 프리즘 [13]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6 3457 1
2182 [스케일업] 누비랩 [1] “푸드 데이터를 활용해, 친환경 키친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6 102 0
2181 영상/음향 비즈니스에 최적화된 네트워크 스위치, 넷기어 AV 라인 M4250 시리즈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3 112 0
2180 [농업이 IT(잇)다] 9단 수직 재배판으로 생산성 향상…파종부터 재배까지 자동화 꿈꾸는 ‘울트라파머’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3 97 0
2179 [스타트업 리뷰] IT장비의 사고를 AI로 예방한다, 인포플라 아이톰스의 장비헬스체크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3 104 0
2178 [스케일업] 엣지케어 [3] 전문가 제언 “IR, 지속적인 만남을 두려워 하지 말라”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3 86 0
2177 [IT애정남] 오래된 그래픽 카드 드라이버, 어떻게 찾고 설치하나요? [14]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3 2967 3
2176 [스케일업] 펫나우 [1] 반려동물 등록제 혁신, 세계 시장·문화 선도한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3 105 0
2175 [기고] 미술품 투자시장의 확장: 가치평가의 신뢰성 확립이 중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2 82 0
2174 국립현대미술관 수놓은 IT기술…’라이다로 포착한 움직임과 공간’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2 94 0
2173 [리뷰] 미래 성능 지금 누리는 워크스테이션, 델 프리시전 7865 타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2 112 0
2172 갑자기 변하는 날씨·교통 상황, 바로 알려주는 실시간 서비스는?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2 2434 1
2171 [홍기훈의 ESG 금융] '선도그룹연합(FMC)'의 아주 짧은 역사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2 77 0
2170 [2022 창구] 소곤랩스 “경쟁 치열한 게임 시장, ‘여성향’에서 답을 찾았습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2 80 0
2169 [스케일업] 엣지케어 [2] BM 분석 “기기에서 데이터로, 데이터에서 서비스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2 133 0
2168 [리뷰] 그림 좋고 서비스도 OK, 씨게이트 스파이더맨 스페셜 에디션 외장하드 3종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1 85 0
2167 재생산되는 유튜브발 가짜뉴스, 어떻게 해결해야 하나?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1 147 0
2166 VR로 체험하는 반도체 엔지니어의 하루…ASML ‘히어로 캠페인’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1 198 1
2165 [리뷰] 서재부터 작업실까지 아우르는 스탠드, 벤큐 위트 마인드듀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1 80 0
2164 서울 동북권 창업연합, 서울과기대에서 뭉쳤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2.12.21 94 0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