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시인사이드 갤러리

갤러리 이슈박스, 최근방문 갤러리

갤러리 본문 영역

[스케일업] 비즈니스에서 잡화상은 통하지 않는다 - 스마트인사이드 AI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021.12.03 13:21:52
조회 524 추천 0 댓글 0
[스케일업 X 대구대학교 창업도약패키지] 스마트인사이드 AI (2)

IoT와 AI라는 사업영역


오늘 소개할 회사는 이름이 어렵다. ‘스마트인사이드 AI’란다. 이 어려운 이름의 회사가 다루는 기술은 건설 안전 분야의 IoT(사물인터넷)와 AI(인공지능)라는 난해한 영역이다. 이 어려운 영역의 기술, 그것도 두 가지나 할 수 있는 건 누구일까 봤더니, 현직 성균관대 건설환경공학부 교수인 박승희 대표와 AI 스타트업 대표였던 신주호 부대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출신의 김태헌 연구소장 등이 회사를 이끌고 있었다. 이런 고급 인력들이 꾸려가는 스타트업은 어떤 모습이고, 무엇이 다른지 궁금하다면 본 편을 주의 깊게 읽어 주시길 바란다.


스마트인사이드 AI의 사업 영역, 출처: 스마트인사이드 AI



앞서 말한 바와 같이 이들의 사업영역은 IoT 센서와 영상 AI이다. 누구든 IoT와 AI라는 두 단어를 들으면 의례히 IoT를 통해 축적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AI 서비스로 이어질 것이라 예상할테다. 하지만, 결론적으로 이 두 영역 간 서비스 연관성은 거의 없다. 공통점이라면 목표 고객군이 건설 현장 안전 관리에 신경 쓰는 건설회사라는 점이다. 한 지붕 두 개의 비즈니스 모델이 존재하는 스마트인사이드 AI의 사업은 과연 순탄하게 진행될지 하나씩 들여다보자.


스마트인사이드 AI 사업소개서, 출처: 스마트인사이드 AI


센서를 이용한 건설 안전 IoT 솔루션


스마트인사이드 AI의 IoT 센서는 크게 3가지다. 첫째, 교량/사면 등 건축물 하중을 견디는 긴장재의 긴장력을 측정 및 모니터링하는 EM 센서. 둘째, 와이어 및 체인의 미세손상을 진단/모니터링하는 자기 카메라(MFL 센서). 셋째, 초음파를 활용해 콘크리트의 양생 강도와 온도를 측정/모니터링하는 콘크리트 센서다. 특히, EM 센서와 콘크리트 센서는 독일의 경쟁사 'Dywidag' 제품 대비 계측 정확도와 운용 측면에서 경쟁우위에 있다는 것이 회사측 설명이다.


스마트인사이드 AI의 EM 센서, 출처: 스마트인사이드 AI



기술적 자신감에 근거한 것인지, 스마트인사이드 AI는 이 세 가지 센서를 건설 회사에 납품해 올해 약 9억 원, 2022년 18억 원, 2023년 42억 원의 매출을 예상한다. 이대로만 된다면 온라인 플랫폼 성장을 능가하는 역대급 하드웨어 스타트업을 만나는 셈이다.

건설 특화 영상 AI 솔루션


이들의 영상 AI 솔루션은 ‘건설 현장 안전 관리’와 ‘콘크리트 영상 균열 진단’, 2가지다. 먼저, 건설 현장 안전 관리 AI 솔루션은 건설 현장의 CCTV 및 카메라 영상을 분석해 '작업자가 헬멧을 쓰고 있는지', '안전수칙을 지키고 있는지' 등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분석해,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출처: 스마트인사이드 AI



여기서 기술적 어려움은 각 작업장마다 조도와 날씨, 해상도 등이 모두 다르다는 데 있다. 일반적인 객체인식 알고리즘을 활용한 AI CCTV는 건설현장의 인식도가 낮은데 비해, 스마트인사이드 AI의 영상 AI는 건설현장에 특화해 저조도 환경을 포함한 다양한 상황에서 객체 인식을 더 명확히 할 수 있다는 것을 기술 강점으로 꼽았다.

이들이 제공하는 또 하나의 영상 AI 솔루션은 ‘콘크리트 영상 균열 진단’이다.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을 촬영하기 위해 드론을 이용하며, 고해상도 균열 측정 정밀도(1mm)를 통해 아주 정밀한 균열과 손상을 진단할 수 있다고 한다.


출처: 스마트인사이드 AI



스마트인사이드 AI는 2025년까지 건설현장 영상 AI 영역에서 140억 원의 매출을, 콘크리트 영상균열진단에서 120억 원의 매출을 기대 중이다.

과연 성장은 가능할 것인가?


필자가 글 앞머리에 스마트인사이드 AI와 같이 고급인력이 이끄는 스타트업은 일반적 스타트업과 무엇이 다른지 따져보자고 했다. 가장 먼저 눈에 띄는 차이는 다양한 제품 포트폴리오다.

보통 기술 스타트업은 하나의 원천기술에서 파생된 몇 개의 적용군으로 분화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이들은 IoT 제품군과 영상 AI 솔루션이라는 완전히 다른 두 개의 기술 분야에서 각각 제품을 공급한다. 게다가 건설 IoT 센서 제품군에 속하는 EM 센서, 콘크리트 센서, 자기카메라는 원천기술의 성격도 다르다.


출처: 스마트인사이드 AI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이 회사는 건설 안전 IoT 솔루션 분야에서 2025년까지 140억 원의 매출을, 영상 AI 솔루션 영역에서 260억 원(균열진단 120억 원, 건설 현장 안전 관리 140억 원)의 매출을 예상한다. 두 개의 사업영역, 5개의 주요 제품이 모두 잘 팔리고 순조롭게 성장한다면 뭐가 걱정이겠냐만 문제는 늘 발생하기 마련이다. 그 문제의 중심에는 스타트업이 가진 자원의 한계성으로부터 초래된다.

결론적으로, 한계성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자원을 어디에 집중할 것인지 고민해야 한다. 사업영역에서도 그리고 스마트인사이드 AI의 역할에 대해서도.

어디에 집중해야 하는가?


여러 사업 분야 중 집중해야 할 사업 영역을 정할 때, 가장 중요하게 따져야 하는 것은 시장의 성장성이다. 그리고 자사가 가진 차별성을 기반으로 확보할 수 있는 시장 점유율을 살펴야 한다. 필자가 여기서 각 분야별 성장성을 논하거나, 경쟁사 대비 차별성을 정확히 분석해 제시하는 것은 어렵지만, 제한적이나마 의견을 제시해 보겠다.

건설안전 IOT 솔루션 – 제품개발 완료, 영업이 중요


스마트인사이드 AI는 IoT 센서 제품을 이미 개발했고, 외국산 대비 경제성과 운영 편의성 등에서 장점을 갖췄다고 설명한다. 이 주장대로라면, 이제 중요한 것은 건설 업계를 대상으로 영업하는 것이다. 각 센서 제품은 건축 전에 채택되고 가설되어야 하기에 교량, 건물, 아파트 등 대형 공공 사업체 대상의 영업이 비즈니스 성패를 좌우한다. 하지만, 스마트인사이드 AI가 가진 핵심역량은 R&D다. 영업이 아니다. 그 다양한 토목과 건축 업체를 대상으로 어떻게 스마트인사이드 AI가 영업할 것인가?

현재 스마트인사이드 AI는 제품 연구개발 완료 후 제품 생산(외주생산)과 영업, 유통을 모두 책임지고 있다. 이를 센서 전문 생산업체, 건설 관리 업체 등과 협력해 비즈니스모델을 R&D와 기술 지원에 집중하는 형태로 변화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출처: 인사이터스


0.1%의 차이가 영상 AI 비즈니스의 사활을 결정한다


영상 AI 분석 영역에서 두각을 나타낸 스타트업은 의외로 많다. 가장 유명한 사례는 무려 2,300억 원에 미국 나스닥 상장사 코그넥스로 매각된 수아랩이다. 코스닥 상장사인 라온피플 또한 머신미전 분야에서 독보적인 기술력을 자랑한다.


수아랩의 수아킷 Detection 기능, 출처: 동아일보



영상 AI 분석, 특히 머신비전을 활용해 디스플레이, PCB, 반도체 등의 검사 자동화 솔루션을 선보였던 이들의 사업에서 단 0.1%의 검사 정확도 차이가 고객에게 미치는 영향은 매우 클 수밖에 없다. 그에 따라 성장성의 확연한 차이를 만들어 낸다. 결국 누구나 할 수 있지만, 그 0.1%의 차이로 인해 승자가 갈리는 시장이다.

스마트인사이드 AI가 도전하는 영상 AI 솔루션은 건설 안전 관리와 콘크리트 균열 진단이다. 이중 어떤 것을 선택해 집중해야 하는가? 건설 안전 관리의 경우 다양한 공사 환경이 있는 만큼 날씨, CCTV 등 기기의 노이즈, 주변 환경 등을 모두 고려해 작업자에 대한 판독률을 높여야 한다. 외부환경에 대한 영상판독이기 때문에 난이도는 있겠지만, 판독률만 일정 수준이상이라면 고객들이 충분히 만족할 수 있는 시장이다. 즉, 더 높은 판독률을 위해 더 많은 비용을 지불하려는 시장이라고 보기 어렵다. 때문에 기술력이 우수한 기업보다 영업력이 우수한 기업이 시장을 장악하게 된다.


출처: 스마트인사이드 AI



콘크리트 균열 진단은 어떨까? 콘크리트 균열 진단을 위해서는 구조물의 근접 촬영을 위해 드론을 활용하고, 드론이 촬영한 고해상도 이미지를 정밀 분석해 1mm 수준의 균열, 손상을 찾아낼 수 있어야 한다. 검사 대상인 노후 구조물은 지속적으로 증가할 수밖에 없고, 균열이라는 것은 정기적으로 진단해야 한다. 즉, 시장은 충분해 보인다.

그리고 외부환경에 노출되어 있는 구조물을 촬영하기 때문에 날씨, 조도 등 다양한 환경변수를 감안한 촬영 이미지를 분석해야 한다. 그만큼 높은 난이도다. 건물 균열이라는 사태에 대비해야 하므로 고객 민감도 역시 매우 높다. 즉, 콘크리트 균열 진단은 0.1% 차이가 성장성의 차이를 만들어 낼 수 있는 분야다.

균열진단 영상 AI, 어떻게 접근할 것인가?


영상 인식 AI 정확도를 올리기 위해선 누가 더 많은 데이터를 갖고 있느냐의 싸움이다. 구조물이라는 것은 매우 다양해 상업용 건물, 아파트, 댐, 산업용 설비 등 다양한 현장 이미지를 드론 촬영을 통해 확보해야 한다. 결국 드론 데이터를 확보해야 하는데, 이는 자금 문제로 이어진다. 자금 문제는 투자 유치로 해결해야 하겠지만, 투자를 받아도 무수한 영역의 구조물 이미지를 확보하고 분석하기는 어렵다. 지겹지만, 또 한 번의 선택과 집중이 필요하다.


산업용 드론, 출처: 동아일보



마침 스마트인사이드 AI에 경사가 있었다. 창업진흥원이 주최한 인공지능 챔피온십에서 한국전력이 제시한 과제 ‘전력설비 점검 지능화 솔루션’ 부문에서 균열 진단 기술로 우승을 차지했다. 이들은 전력 설비 점검, 특히 송전 설비에 대해 드론을 통한 영상 AI 분석 기술을 적용한 아이디어를 제시했다.

이는 수상 그 자체보다도 스마트인사이드 AI에게 ‘전력설비’라는 균열과 손상에 아주 민감한 잠재적 거점 시장을 찾은 것에 의미를 둘 수 있다. 수상 이후 한국전력과의 협업 과제까지 진행된다면 훌륭한 ‘래퍼런스’가 될 것이다.


창업진흥원 주최 AI 챔피온십에서 스마트인사이드 AI가 우승을 차지했다, 출처: 스마트인사이드 AI


전력설비라는 거점시장을 공략하기 위해


전력설비 시장은 절대로 작지 않다. 한국전력과 발전사, 반도체, 석유화학, 철강 등 대규모 전기설비를 갖추고 있는 제조 대기업들이 다수 존재하기 때문이다. 제조 대기업들에게 전력설비는 생명줄과도 같다. 그만큼 중요하다. 안정적인 전력 공급을 위한 점검과 관리에 막대한 자금을 쓴다.

이런 전력설비의 상시점검을 위해 일부 업체들은 IoT 기반 시스템을 활용한다. 그러나 적지 않은 기업이 인력에 의존하는 것이 현실이다. 변압기, 전선, 전신주의 균열 손상 또한 자동화되지 못한 부분이다. 전력설비의 상시 관리 시스템은 대기업 계열의 SI 사업자(삼성SDS, LG CNS, SK C&C 등)들이 구축과 관리를 담당한다. 이들에게 먼저 협력의 손길을 뻗어야 한다.


출처: 인사이터스


왜 선택과 집중이 필요한가?


혹자는 '모두 다 열심히 하면 되지, 왜 선택이 필요한가?'라고 의아할 수도 있다. 그 이유를 한마디로 정리한다면, 인공지능 비즈니스에서 잡화상은 통하지 않기 때문이다. 고도의 기술력이 필요한 어떤 산업이건 간에 ‘종합’이라는 것이 경쟁력을 잃어가는 현상을 많이 볼 수 있다. 반도체 산업을 예를 들어보자. 메모리와 비메모리 업체가 나뉘고, 특히 비메모리는 그 특성에 따라 수없이 다양한 종류로 나뉜다. 게다가 기능적 차원에서 본다면 팹리스(Fabless)와 파운드리(Foundry)로 분류된다. 고도의 기술력이 필요할수록 각각의 전문성으로 포지션을 잡는 것이다.

현재 스마트인사이드 AI의 사업소개서를 보면, 건설 안전 관리 분야의 ‘종합상사’를 꿈꾸는 듯하다. 이제 그 우수한 인력과 기술을 바탕으로 종합상사가 아닌 기술적 해자를 가진 ‘Killer Application’을 제공하는 전문 기업으로 방향을 잡아야 할 시점이다. Killer Application을 제공함에 있어서도 개발부터 생산, 서비스 등을 모두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R&D에 집중하는, 반도체의 팹리스와 같은 비즈니스모델로 성장하기를 제언한다. 멀지 않은 미래에 우리나라 전력 설비 위에 드론이 날아다닌다면 그것이 ‘스마트인사이드 AI의 작품’이기를 기대해 본다.

글 / 인사이터스 황현철 대표, 비즈니스 스토리텔링 전문 민슬지 작가
정리 / IT동아 권명관(tornadosn@itdonga.com)


사용자 중심의 IT 저널 - IT동아 (it.donga.com)



▶ 유망 1인 창조기업 '스마트 공유 판매대' 타고 전국 누빈다▶ [스케일업] 숨겨진 고객군을 찾아내는 스마트한 방법 -인포플라(2)▶ [스타트업-ing] 유토케이 “전기차 충전소 통해 콘텐츠, 데이트 즐기는 시대 올 것”



추천 비추천

0

고정닉 0

0

댓글 영역

전체 댓글 0
등록순정렬 기준선택
본문 보기

하단 갤러리 리스트 영역

왼쪽 컨텐츠 영역

갤러리 리스트 영역

갤러리 리스트
번호 제목 글쓴이 작성일 조회 추천
설문 비난 여론에도 뻔뻔하게 잘 살 것 같은 스타는? 운영자 24/06/03 - -
563 [스타트업-ing] 유헬스플러스 “AI 기반 맞춤형 한의학 서비스는 블루오션”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23 816 0
562 코어다트랩의 보안 화상 회의, "인공지능과 블록체인을 통한 새로운 가치 창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23 74 0
561 ISK 정연진 대표 “CDO 몸값 높아진 시대, 인포매티카 솔루션으로 경쟁력 극대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23 59 0
560 [모빌리티 인사이트] “잠깐! 출발 전, 전기차 보조배터리 챙기셨나요?”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23 83 0
559 [홍기훈의 ESG 금융] 기업의 매출과 이윤을 분석할 때 ESG 요인을 평가한 사례 'AGF Investments Inc.' Part .6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23 1264 0
558 반려동물 양육 인구 1,500만 시대, 스마트 펫 용품 시장도 활기 [5]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22 788 0
557 동국대 창업원 이광근 원장 “창업 DNA의 선순환 구조를 꿈꿉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22 83 0
556 [네이버웍스 활용하기] 협업 툴의 활용도, 인공지능에서 나온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22 70 0
555 올랭귀지 "어학연수 시장의 정보 비대칭, 큐레이션 서비스로 해결"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22 58 0
554 [스케일업] 넥스트페이먼츠 (2) “헬로월드와 320만 소상공인 위한 배달 앱 만든다”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22 790 0
553 넓어지고 빨라진 넷기어 오르비 공유기 3종(RBK352, RBK752, RBK852), 차이점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21 60 0
552 [앱으리띵] 스크린골프 '게스트 로그인'은 그만! 골프존 앱 적극 활용하기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21 82 0
551 개인 정보 보호 강조하던 애플도 도입한 '디지털 유산'…그 배경은?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21 2738 3
550 스트라드비젼, LG전자 ADAS 카메라 시스템에 기술 공급한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21 80 0
549 비네스트, "농가와의 상생, 콤부차로 풀어나간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21 86 0
548 [주간투자동향] 드라마앤컴퍼니, 1,600억 원 규모의 시리즈 D 투자 유치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20 876 0
547 케이비자, "취업 외국인 위한 생활공간 추구··· 내년 2월 서비스 실시"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20 62 0
546 [스케일업] 파코웨어 (3) 메타버스 콘텐츠, 기술과 실물 앞세워 ‘증명’하라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20 996 0
545 [IT하는법] 복잡한 와이파이 이름·비번, QR코드로 공유하자 [6]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18 2246 1
544 [AICON 광주 2021] 인공지능산업융합사업단-스케일업코리아, AI 스타트업 위한 투자 업무협약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17 64 0
543 [IT애정남] 최신 게임기는 둘, HDMI 2.1 단자는 하나…어떻게 하죠?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17 80 0
542 지니고 "임신 기간, 견디는 시간 아닌 누리는 시간되도록"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17 122 1
541 [AICON 광주 2021] 미래 AI 트렌드가 한 곳에, '광주 AICON 전시회'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17 100 0
540 체험도, 구매도 집에서 비대면으로…삼성전자도 뛰어든 'VR 스토어'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17 122 0
539 [AICON 광주 2021] 경기콘텐츠진흥원 민세희 원장 “머신러닝 기반 실감콘텐츠, 가능성 무궁무진”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17 48 0
538 [스케일업] 두 마리 토끼를 쫓는다? 미래 가치 판단에 유리한 방향 선택해야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17 53 0
537 [농업이 IT(잇)다] 박서영 에스와이솔루션 “대체육은 건강한 미래 먹거리”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17 77 0
536 [기고] 미술품 분할 소유권 플랫폼의 지금과 미래, 그리고 투자 시 살필 점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17 1586 1
535 [AICON 광주 2021] 광주시와 기업인들, 네트워킹 파티 통해 AI 산업 발전 의지 다져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16 52 0
534 [AICON 광주 2021] 인공지능산업융합사업단-스케일업코리아, AI 스타트업 위해 의기투합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16 63 0
533 [AICON 광주 2021] "광주를 인공지능의 거점으로", 인공지능 컨퍼런스 'AICON 광주 2021' 개막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16 52 0
532 [AICON 광주 2021] 하버드대 레띠 교수 “엣지(Edge)에 AI 미래 있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16 53 0
531 [AICON 광주 2021] 구글 코리아 김태원 전무 "디지털 기술은 세상의 문제를 해결한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16 50 0
530 [먹거리+IT] 서울먹거리창업센터, 청년에게 스타트업 체험 기회를 열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16 55 0
529 델, 쉽게 조립하고 분해되는 친환경 PC '컨셉 루나' 공개 [2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16 1245 5
528 [스케일업] “닭이 먼저냐 달걀이 먼저냐” SW 개발 스타트업의 고민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16 62 0
527 [모빌리티 인사이트] ‘2021 서울모빌리티쇼’, 초연결화 자동차를 소개하다 [1]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16 471 0
526 1인 창조기업·소상공인 도운 ‘스마트 공유 판매대’ 2022년 이렇게 바뀐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16 50 0
525 [리뷰] 실속 가득 스마트워치, 샤오미 레드미 워치2 라이트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15 101 0
524 "무관심에 기생하는 'N번방'의 늪", N번방 방지법이 놓친 것은? [2]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15 117 1
523 [IT하는법] 안전 문자부터 의료 정보를 담다, 스마트폰용 '안전 및 긴급'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15 71 0
522 디즈니 캐릭터 나오는 첫 아바타 SNS 앱, '디즈니 마이리틀톨' 한국 서비스 시작 [7]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15 1221 2
521 [스케일업] 넥스트페이먼츠 (1) 소상공인의 스마트 상점 전도사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15 605 0
520 예술·지역·스타트업을 잇는 LAS 예술창업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15 57 0
519 자율주행차 시대, ‘신호 체계’도 스마트하게 진화한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14 65 0
518 '인테리어부터 오징어 게임까지' 인스타그램으로 본 2021년 결산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14 49 0
517 글로벌 플랫폼 선언 '두나무', "디지털 자산 생태계 확장에 힘쓰겠다"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14 50 0
516 라인의 경쟁력과 안정성, '함께 회고하는 개발 문화가 토대'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14 52 0
515 [주간투자동향] 람다256, 700억 원 규모의 시리즈B 투자 유치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14 94 0
514 '포름알데히드 걱정 끝'··· 다이슨, 유해물질 잡는 공기청정기 4종 출시 [10] IT동아갤로그로 이동합니다. 21.12.14 1131 2
갤러리 내부 검색
제목+내용게시물 정렬 옵션

오른쪽 컨텐츠 영역

실시간 베스트

1/8

뉴스

디시미디어

디시이슈

1/2